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람쥐’, ‘두더지’, ‘청설모’의 語源에 대하여

        조항범(Cho, Hang-bum)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69 No.-

        본고는 ‘다람쥐, 두더지, 청설모’ 세 단어에 대한 어원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들 세 단어는 ‘쥣과’는 아니지만 ‘쥐’와 관련되어 조어된 단어라는 공통점이 있다. ‘다람쥐’는 18세기 문헌에 ‘다람쥐’로, ‘두더지’는 15세기 문헌에 ‘*두디쥐’로, ‘청설모’는 15세기 문헌에 ‘靑鼠’로 보인다. ‘청설모’에 대한 고유어는 딱히 문헌에서 확인되지 않는다. ‘다람쥐’와 ‘두디쥐’에 대해서는 등장 시기, 조어 구조, 변화 과정을 등을 종합적으로 논의함으로써 기왕의 논의가 합당한지를 확인하는 쪽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다람쥐’와 ‘두더지’를 지시하는 또 다른 단어를 찾는 데에도 관심을 두었다. 이에 ‘다람쥐’는 ‘다라미’를 이어 근대국어에 새롭게 등장한 단어이며, 이는 ‘다람(닫-+-암)’과 ‘쥐’가 결합된 어형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다람쥐’를 뜻하는 단어로 ‘솔쥐’라는 단어가 있었을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솔쥐’는 한자어 ‘松鼠’에 대응하는 고유어이다. ‘두디쥐’는 동사 어간 ‘두디-’와 명사 ‘쥐’가 결합된 어형인데, 이것이 구개음화 이후 ‘두지쥐’로 변했다가 사라졌음을 밝히고, ‘두디쥐’가 ‘두더쥐’로 변한 것은 어휘 개별적인 변화로 파악하였다. ‘두더지’를 뜻하는 단어로 ‘뒤덕이’를 새롭게 찾아내, 이를 동사 ‘뒤져기-’에서 파생된 명사로 설명하였다. ‘청설모’에 대해서는 그 등장 시기, 단어 구조, 형태 및 의미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아울러 ‘청설모’를 지시하는 고유어를 찾는 쪽에도 관심을 두었다. ‘청설모’는 19세기에 ‘쳥셜모’로 보이는데, 이는 ‘쳥셔모(靑鼠毛)’에 ‘ㄹ’이 첨가된 어형이며, 본래 ‘청설모의 털’을 지시하다가 ‘청설모’ 그 자체를 가리키게 된 것이라는 사실을 밝히고, 그 의미 변화는 19세기 이전에 일어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靑鼠’는 청설모의 회청색 털빛에 기반하여 명명된 한자어로 보았다. ‘청설모’를 지시하는 고유어는 딱히 드러나지 않으나 ‘다람쥐’를 지시하던 ‘솔쥐’가 ‘청설모’까지 아울러 지시했을 수도 있고, 아니면 처음부터 ‘솔쥐’가 소나무에서 주로 서식하는 ‘다람쥐’와 ‘청설모’를 범칭했을 수도 있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the original names of the words ‘다람쥐’(squirrel), ‘두더쥐’(mole), and ‘청설모’(squirrel with blue hairs). There is a common thing among these three animals that they are related with ‘쥐’(rats), even though all of them are not for ‘쥣과’(animal of the rat genus). The ‘다람쥐’ was ‘다람쥐’ in the 18th century documents, the ‘두더지’ was ‘두디쥐’ in the 15th century documents, and the ‘청설모’ was ‘靑鼠"(blue rat) in the 15th century documents. The native Korean name for ‘청설모’ could not be found in any literature. For the ‘다람쥐’ and the ‘두디쥐,’ the way of tracing each word"s appearing time, coinage structure, and process of change all together was used to see whether the existing studies are good for finding the original names. And some other words which represent the ‘다람쥐’ and the ‘두더지’ were discussed. The word form ‘다람쥐," which followed ‘다라미,’ appeared first in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word ‘다람쥐" is combined with ‘(-+-)’ and ‘쥐.’ The word ‘솔쥐’ was discussed because of its possible representing ‘다람쥐.’ The ‘솔쥐’ is the native name for ‘松鼠’(pine tree rat) in Chinese letter. The word ‘두디쥐’ comes from combining ‘두디-’, a verb root with ‘쥐’(rat), a noun, and then it changed into ‘두지쥐’ because of its palatalization, and it disappeared. The ‘두디쥐’ beame ‘두더쥐’ because of its own lexical change. It was possible to find a new word ‘뒤덕이’ meaning ‘두더지,’ and it is a noun form coming from the verb ‘뒤져기-’. The ‘청설모’ was discussed with regarding to its appearing time, word form structure, and the process of word form and meaning changes. In addition, the native noun representing ‘청설모’ was traced. The ‘쳥셜모’ appeared first time in the 19th century literature and it seems to add ‘ㄹ’ to ‘쳥셔모(靑鼠毛)(blue hair of rat)’ in Chinese letter, and it represents ‘청설모의 털’(hair of red squirrel) originally. And then it became to refer to ‘청설모’, the animal. The meaning change occurred before the 19th century. And ‘靑鼠’(blue rat) in Chinese letter was named based on the blue grey color of ‘청설모’, the animal. Although there could not be found any native names for ‘청설모’, the word ‘솔쥐’, which represent ‘다람쥐’, could sometimes be used for ‘청설모’. Or the word ‘솔쥐’ refers to ‘다람쥐’ and ‘청설모’ which usually live in pine trees.

      • KCI등재
      • KCI등재

        ‘복성스럽다’, ‘볼썽’, ‘말썽’의 어원에 대하여

        조항범 ( Cho Hang-bum ) 국어학회 2015 국어학 Vol.76 No.-

        본고는 ‘복성스럽다’, ‘볼썽’, ‘말썽’의 어원을 구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들을 함께 고려하는 것은 이들에 보이는 ‘성’과 ‘썽’이 기원적으로 동질의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복성스럽다’의 ‘복성’에 대해서는 ‘福星’과 ‘福相’이라는 서로 다른 견해가 있어 왔다. 그런데 ‘복성스럽다(생김새가 둥그스름하고 도톰하여 복이 있어 보인다)’의 의미를 고려하면 ‘복성’은 ‘福相’에서 온 것이 분명하다. ‘복샹스럽다’가 ‘복상스럽다’ 또는 ‘복셩스럽다’를 거쳐 ‘복성스럽다’가 된 것이다. ‘볼썽’에 대해서는 이것이 ‘볼상’으로 소급하며, ‘볼상’의 ‘상’이 ‘相’이라는 점이 이미 지적된 바 있다. 다만 그 관련 양상을 자세히 설명하지는 못하였다. 만약 ‘볼썽’이 중세국어에 존재했다면 ‘*볼샹’이었을 터인데, 이는 ‘보다 [視]’의 관형사형 ‘볼’과 ‘샹(相)’이 결합된 어형이다. 이것이 ‘볼샹>볼셩’을 거쳐 ‘볼성’이 되거나 ‘볼샹>볼상’을 거쳐 ‘볼성’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말썽’에 대해서는 ‘썽’이 ‘성’으로 소급하며, 이것이 한자 ‘聲’이라는 설과 ‘-썽’ 자체를 접미사로 보는 설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 설은 잘못된 것이다. ‘말썽’의 ‘썽’ 또한 ‘相’에서 온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말썽’이 중세국어에 존재했다면 ‘*말샹’이었을 것이고, 이것이 ‘말샹>말셩’을 거쳐 ‘말성’이 되거나 ‘말샹>말상’을 거쳐 ‘말성’이 된 것으로 이해된다. This thesis is to trace the etymology of ‘복성스럽다’, ‘볼썽’ and ‘말썽’. Because each ‘성’ and ‘썽’ in these words are considered to have the same root in the origin, these three words are studied together. For the etymology of ‘복성’ in ‘복성스럽다’, there has been two different forms suggested; the one is ‘복성(福星, fortune star)’ and the other is ‘복상(福相, a face with luck written on it)’. However, when the ‘복성스럽다’ means that someone is quite plump and he or she has a plump and well-looking face, then, it is certain that the word came from ‘복상(福相)’. In the late 19th century literatures, there appeared ‘복 샹스럽다’, which is the former form of ‘복상스럽다’. The word ‘복샹스 럽다’ became ‘복상스럽다’ or ‘복셩스럽다’, and then ‘복성스럽다’ finally. The word ‘볼썽’ goes back to ‘볼상’, and ‘상’ in ‘볼상’ must be ‘상 (相), a shape’.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them is so obscure that it is hard to find the relation. If there exists a word form meaning ‘볼썽’ in the middle age, it would be ‘*볼샹’, which is the combined form from ‘볼’ (a relative-adjective form of ‘보다’) and ‘샹(相)’. This became ‘볼샹>볼셩’, and then ‘볼성’, or became ‘볼샹>볼상’ and then ‘볼성’ finally. The ‘볼썽’ is either a written pronounced form of ‘볼성’ in real life or a transformed form from ‘볼쌍’. The ‘썽’ in ‘말썽’ goes back to ‘성’, and for the origin of ‘성’, there are two theories; in one theory, ‘성’ is considered as ‘성(聲)’(Chinese character meaning sound), and in the other theory, it is considered as ‘-썽’ (a suffix in itself). However, neither of these two ideas is correct, because ‘썽’ in ‘말썽’ came from ‘상(相)’ also. If there exists a word form meaning ‘말썽’ in the middle age, it would be ‘*말샹’, which became ‘말샹>말셩’, and then ‘말성’ or became ‘말샹>말상’ and then ‘말 성’ finally. The words like ‘말상, 말쌍, 말셩, 말성’ appear in the early 20th century literatures. The ‘말썽’ is either a written pronounced form of ‘말성’ in real life or a transformed form from ‘말쌍’.

      • KCI등재

        ‘쪽박’, ‘함박’, ‘대박’의 어원에 대하여

        조항범 ( Cho Hang-bum ) 국어학회 2017 국어학 Vol.83 No.-

        본고는 ‘쪽박’, ‘함박’, ‘대박’을 동일 어원의 ‘박’을 포함하는 한 계열체로 인식하고, 상호 의미 관계 속에서 그 어원과 변화 과정을 살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쪽박’은 중세국어 ‘죡박’으로 소급한다. 이는 ‘<sup>*</sup>죡-[小]’과 ‘박’으로 분석되며, ‘작은 박’과 ‘작은 바가지’라는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그런데 ‘죡박’에서 ‘작은 박’이라는 의미는 사라지고 ‘작은 바가지’라는 의미만 남게 된다. ‘죡박’은 ‘족박’을 거쳐 ‘□박’으로 변한다. ‘함박’은 중세국어에서는 ‘<sup>*</sup>한박’으로 존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한[大]+박’으로 분석되며, ‘큰 박’과 ‘큰 바가지’의 의미를 띤다. ‘<sup>*</sup>한박’에서 변한 ‘함박’도 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그런데 ‘함박’은 근대국어 이후 ‘큰 박’이라는 의미를 잃고 ‘큰 바가지’라는 의미만 유지한다. 이어서 ‘함박’은 ‘큰 바가지’에서 ‘통나무 속을 파서 큰 바가지같이 만든 그릇’이라는 특수한 의미로 변한다. 이와 같은 의미 변화는 ‘함박’을 ‘함지박’의 준말로 오해하면서 그 의미에 이끌린 데 기인한다. 한편 ‘함박’에는 ‘함박꽃’의 의미도 있다. 이는 ‘함박꽃’에서 ‘꽃’이 생략되면서 생겨난 의미이다. ‘함박’은 합성어의 한 요소로서는 ‘(큰 박처럼) 크고 탐스러운’ 또는 ‘(함박꽃처럼) 굵고 탐스러운’이라는 비유적 의미를 띤다. ‘함지’는 중국어 ‘函子’에서 온 말이다. ‘함지박’의 준말로 보기도 하나 이는 잘못이다. ‘함지’를 ‘함지박’의 준말로 오해한 이후 이에 ‘함지박’의 의미가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함지’에 ‘박(바가지)’이 잉여적으로 덧붙은 어형이 ‘함지박’이다. 이로써 ‘함박’, ‘함지’, ‘함지박’이 동의어가 된다. ‘대박(大-)’은 근대국어 문헌에서 발견된다. 이는 ‘한박’의 ‘한’을 한자화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대박(大-)’이 등장하면서 ‘족박’의 대립어는 ‘함박’과 ‘대박(大-)’ 두 단어가 된다. ‘함박’이 의미 변화한 이후 ‘족박’의 대립어는 ‘대박(大-)’ 하나가 된다. ‘족박’의 대립어로서의 ‘대박(大-)’은 사전에 올라 있지 않다. This paper considers ‘쪽박jjyokbak’(small gourd), ‘함박hambak’(big gourd), and ‘대박daebak’(large gourd) as a series of names which contain the same word ‘박bak’(gourd) in their origi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etymology and the process of form change in the interrelations among them. The ‘쪽박jjyokbak’(small gourd) goes back to ‘죡박jyokbak’. This word is divided into ‘<sup>*</sup>죡jyok-[小](small)’ and ‘박bak’(calabash, gourd), and it refers to both ‘작은 박jakeun bak’(small calabash) and ‘작은 바가지jakeun bagagi’(small gourd bowl). However, as time goes, the meaning of ‘작은 박jakeun bak’(small calabash) in the ‘죡박jyokbak’ disappeared and the meaning of ‘작은 바가지jakeun bagagi’(small gourd bowl) remains only. The ‘죡박jyokbak’ took a form of ‘□박sjokbak’ because of word-initial tensification after the 20th century. The ‘함박hambak’(big gourd) is assumed to be as ‘<sup>*</sup>한박hanbak’ in the middle Korean. This word is divided into ‘한han[大](big)+박bak(gourd)’, and it represents ‘큰 박keun bak’(big calabash) or ‘큰 바가지keun bagagi’(big gourd bowl). The ‘함박hambak’(big gourd), the changed word form from ‘<sup>*</sup>한박hanbak’, had the same meaning with its former form. But, the ‘함박hambak’(big gourd) had lost its meaning as ‘큰 박keun bak’(big calabash) after the modern Korean, and only one meaning of ‘큰 바가지keun bagagi’(big gourd bowl) remains now. Also, the ‘함박hambak’(big gourd) underwent the change of meaning from ‘큰 바가지keun bagagi’(big gourd bowl) into the ‘large wooden gourd bowl’.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is attributed to the ‘함박hambak’(big gourd), which is regarded as a shortened word form of ‘함지박hamjibak’(wooden bowl), that the meaning of the word makes an effect on the meaning change. However, the word ‘함박hambak’ represents another object, ‘함박꽃hambakkkoch’(flower of peony). The meaning was newly-made as the ‘꽃kkoch’(flower) in ‘함박꽃hambakkkoch’(flower of peony) has been omitted. The ‘함박hambak’, as one component of the compound word ‘함박꽃hambakkkoch’, means ‘big and bulky (like a big calabash)’ or ‘thick and huge (like a flower of peony)’ in a figurative expression. The ‘함지hamji’(large scooped wooden bowl) came from ‘函子’,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ere is an assumption that the word is a shortened word from ‘함지박hamjibak’(wooden bowl), but this explanation is wrong. It seems that the meaning of ‘함지박hamjibak’ (wooden bowl) was created when the ‘함지hamji’(large scooped wooden bowl) was misunderstood as a shortened form of ‘함지박hamjibak’ (wooden bowl). When the ‘박bak(바가지bagaji) (gourd)’ is added to the ‘함지hamji’(large scooped wooden bowl) as a redundant word, it became ‘함지박hamjibak’(wooden bowl). Therefor, all three ‘함박hambak’(big gourd), ‘함지hamji’(large scooped wooden bowl), and ‘함지박hamjibak’(wooden bowl) are synonyms. The ‘대박daebak(大-)(large gourd)’ can be found in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word was made when the ‘한’ in ‘한박hanbak’ underwent the process of writing in Chinese characters. When ‘대박daebak(大-)’(large gourd) appeared, the opposition word of ‘족박jokbak’(small gourd) was either ‘함박hambak’(big gourd) or ‘대박daebak(大-)’(large gourd). Since then, the ‘함박hambak’(big gourd) refers to the ‘the calabash-shaped container made by carving the wood)’ instead of ‘large gourd bowl’, and the opposition word of ‘족박jokbak’(small gourd) is ‘대박daebak’(large gourd) only. The ‘대박daebak(大-)’(large gourd), as an opposition of ‘족박jokbak’(small gourd), has not been made an entry on most Korean dictionaries.

      • KCI등재

        정지용 詩語의 意味에 대하여(1)

        조항범(Cho, Hang-Bum) 한국시학회 2015 한국시학연구 Vol.- No.43

        정지용의 시는 대부분이 향토색 짙은 서정시이다. 그렇기에 그의 시에는 고향인 옥천의 방언이 도처에 깊숙이 박혀 있다. 당시의 옥천 방언을 모르고서는 정지용의 시를 온전히 이해할 수 없을 정도이다. 지금까지 정지용의 시어에 주목한 논의들이 그렇게 많았던 것은 정지용의 시를 좀 더 정확히 이해하기 위한 노력의 일단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특이한 점은 일부 ‘난해 시어’에 대한 해석이 너무나 혼잡스럽다는 것이다. 특정 시어에 대한 근거 없는 해석이 난무하는 데도 불구하고 그것을 방치해 놓은 듯한 인상을 준다. 본고는 이와 같은 시어 해석의 혼잡성을 조금이나마 줄이기 위해 국어학의 관점에서 몇몇 시어에 주목한 것이다. ‘남먼히’의 ‘먼히’는 ‘먼저’에 대한 당시의 옥천 방언이다. 지금도 옥천 지역에서는 ‘남 먼저’를 ‘남 머니’로 쓰고 있다. ‘남먼히’를 ‘남 먼저’로 보았을 때 시의 문맥적 의미도 살아난다. ‘덩그럭 불’의 ‘덩그럭’은 ‘등걸’의 방언형이다. 그리하여 ‘덩그럭 불’은 ‘등걸불(나뭇등걸을 태우는 불)’과 같은 의미가 된다. 그런데 시에서는 ‘등걸불’이 아니라 ‘나뭇등걸이 타다가 남은 불’이라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덩그럭 불’에 의미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순쓰래기’의 ‘순’은 ‘筍’이고, ‘쓰래기’는 ‘칼 따위로 썬 담배’의 뜻이다. 그리하여 ‘순쓰래기’는 ‘(햇빛에 말린) 순을 칼로 잘게 썬 담배’로 해석된다. 그런데 시에서 ‘순쓰래기’가 ‘葉草’와 나란히 쓰이고 있어서 그 본래의 의미로서가 아니라 ‘葉草의 부스러기’라는 의미로 쓰인 것이 아닌가 한다. 실제 주민 가운데에는 ‘순쓰래기’와 어형이 유사한 ‘숨씨래기’를 그와 같은 의미로 쓰고있다. Jung JiYong’s poetry is mostly rich in local color. Many local dialects of Okcheon, which is JiYong’s hometown, have been found in his poetry.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his poetry fully without knowing Okcheon dialects of those times. As there has been many efforts to understand his poetry more exactly, there has been so many discussions to find out exact meaning of his poetic words. However, in spite of all efforts, there are some ‘confusing poetic words’ which have been interpreted in so many different ways that the exact meaning of those has not been developed. In this thesis, in order to eliminate the confusion caused by different ways of explanation to some poetic words, some JiYong’s poetic words are examined in the way of Korean language study. ‘먼히’ in ‘남먼히’ is an Okcheon dialect meaning ‘먼저’(first of all). Even now, some Okcheon people use ‘남 머니’ for ‘남 먼저’(others first). When ‘남먼히’ is interpreted as the meaning of ‘남 먼저,’ the word gives the poem a full contextual meaning. ‘덩그럭’ in ‘덩그럭 불’ is an Okcheon dialect of ‘등걸’(tree stump). Thus, ‘덩그럭 불’ is ‘등걸불(나뭇등걸을 태우는 불, the fire burning tree stump)’. However, the word ‘덩그럭 불’ is not meant for ‘등걸불’ but for ‘나뭇등걸이 타다가 남은 불’(the remaining fire after burning tree stump) and, therefore, ‘덩그럭 불’ has the different meaning in the process of meaning change. ‘순’ in ‘순쓰래기’ is ‘筍’(a sprout, shoot) and ‘쓰래기’ is ‘칼 따위로 썬 담배’(tobacco leaves cut with a knife). Thus, ‘순쓰래기’ has the meaning of ‘(햇빛에 말린) 순을 칼로 잘게 썬 담배’((dried) tender tobacco shoot cut with a knife). But, as ‘순쓰래기’ is also used for ‘葉草’(dried tobacco leaves) in the poem, the word ‘순쓰래기’ is not used for the original meaning, i.e. (dried) tender tobacco shoot cut with a knife, but for ‘葉草의 부스러기’(the dried tobacco leaves crumbs). Even now, many Okcheon people use ‘숨씨래기’, which is similar in the word form of ‘순쓰래기,’ for the dried tobacco leaves crumbs.

      • KCI등재

        나무 이름 ‘개나리’의 어휘사

        조항범(Cho Hang-bum) 한글학회 2020 한글 Vol.- No.330

        본고는 문헌에 나타나는 나무 이름 ‘개나리’ 및 그 이칭(異稱)들을 모두 들어 개별 명칭의 어휘사를 전개한 것이다. 특히 ‘개나리’에 주목하여 그 등장 시기, 유래, 어원 등의 문제를 다루었다. ‘개나리’와 관련하여 문헌에 등장하는 명칭에는 ‘어어리나모/어사리나모, 개나리, 개나리나모, 나무개나리, 개나리꽃나무’ 등이 있다. ‘어어리나모/어사리나모’는 17세기 문헌에 처음 보이며, 이들은 ‘*어ㅿㅓ리나모’로 소급한다. ‘*어ㅿㅓ리나모’가 지역에 따라 ‘어어리나모>어아리나모’와 ‘*어서리나모>어사리나모’를 거쳐 ‘어아리나무’와 ‘어사리나무’로 이어졌다. 현재 이들은 표준어가 아니다. ‘개나리’는 ‘*어ㅿㅓ리나모’를 이어 나타난 명칭으로, 18세기 문헌에 처음 보이며, 이는 풀이름 ‘개나리’에서 온 것이다. 꽃의 유사성이 매개가 되어 명칭의 전이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풀이름 ‘개나리’가 ‘나리’에 접두사 ‘개-’가 결합된 어형이므로 나무 이름 ‘개나리’도 그러한 구조의 어형으로 간주된다. ‘개나리나모’와 ‘나무개나리’는 19세기 문헌에 처음 보인다. 전자는 ‘개나리’가 나무임을 강조하기 위해 ‘나모’를 그 뒤에 덧붙인 어형이고, 후자는 같은 목적에서 ‘나무’를 그 앞에 덧붙인 어형이다. ‘개나리나무’나 ‘나무개나리’는 현재 표준어가 아니다. ‘개나리꽃나무’는 최근에 등장한 명칭으로, ‘개나리꽃’이라는 꽃 이름이 만들어진 뒤에 나타난 것이다. 이 또한 현재 표준어가 아니다. This study examined tree names that refer to 개나리 (forsythia). This study examined when this word appeared and its lexical history and etymology. The names for 개나리 (forsythia) are written in the forms of “어어리나모/어사리나모,” “개나리,” “개나리나모,” “나무개나리,” and “개나리꽃나무.” The “어어리나모/어사리나모” form first appeared in 17th century literature and originated from “*어ㅿㅓ리나모.” “*어ㅿㅓ리나모” became “어어리나모, 어아리나모” and “*어서리나모, 어사리나모,” which then became “어아리나무” and “어사리나무” in some provinces. These words are not used in contemporary standard language. “*어ㅿㅓ리나모” then became “개나리” as first seen in 18th century literature. At that time, forsythia were named after the grass called “개나리,” which is the combination of the “개-” prefix and “나리.” Thus, it is assumed that the tree name “개나리” has the same word structure as the grass name. “개나리나모” and “나무개나리” first appeared in 19th-century literature. “개나리나모” was formed by combining “개나리” with “나모” (tree) to emphasize that the name refers to a tree. “나무개나리” is another form that emphasizes that the word refers to a tree. It was formed by adding “나무” (tree) before “개나리.” However, neither “개나리나무” nor “나무개나리” are used in contemporary standard language. “개나리꽃나무” is another name referring to forsythia that has appeared more recently. This name emerged after “개나리꽃” (forsythia flower), but it is not used in contemporary standard language either.

      • KCI등재

        몇몇 ‘나무’ 이름의 어휘사 : ‘개암나무, 곰솔, 구기자나무, 물푸레나무’를 중심으로

        조항범(Cho Hang-Bum) 우리말학회 2020 우리말연구 Vol.63 No.-

        본고는 ‘나무’ 이름을 국어 어휘사의 관점에서 검토하여 궁극적으로는 그 어원을 밝히고자 하는 일련의 노력 가운데 하나이다. 본고에서 다룬 나무 이름은 ‘개암나무, 곰솔, 구기자나무, 물푸레나무’이다. ‘개암나무’에 대해서는 ‘개암’이 접두사 ‘개-’와 명사 ‘밤[栗]’의 결합체인 ‘*개ᄫᅡᆷ’에서 온 것이라는 기존의 설을 비판하고, 기원형 ‘*개ᄀᆞᆷ’이 ‘*개ᄋᆞᆷ’을 거쳐 나온 어형임을 추정하였다. ‘곰솔’에 대해서는 ‘곰’을 ‘熊’이나 ‘大’의 뜻으로 보는 기존의 설을 비판하고, 형용사 어간 ‘검-[黑]’의 변화형으로 간주하였다. 곧 기원형을 ‘검솔’로 잡고, 이것이 ‘곰솔’로 변한 것으로 파악하여 나무껍질이 검은색이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해석하였다. ‘구기자나무’에 대해서는 열매 이름 ‘구기자(枸杞子)’와 ‘나무’가 결합된 형태로 보고 ‘구기자가 달리는 나무’로 해석하였다. ‘구기자나무’ 이전에 ‘구긔(枸杞)’와 ‘구긔나모’, 그리고 열매 이름에서 나무 이름으로 전용된 ‘구긔ᄌᆞ’가 있었는데, 이들이 현대국어에 ‘구기, 구기나무, 구기자’로 이어졌으나 ‘구기나무’는 현재 표준어가 아님을 지적하였다. ‘물푸레나무’에 대해서는 기원형을 ‘*믈프레나모’로 잡고 이를 나무 이름 ‘*믈프레’에 ‘나모[木]’가 잉여적으로 결합된 어형으로 보았다. 그리고 ‘*믈프레’는 ‘믈[水]’과 ‘프레(프르-+-에)’로 분석하여 ‘물을 푸르게 하는 것’ 정도로 해석하였다. ‘*믈프레나모’는 ‘무푸레나무’로 변하여 20세기의 얼마간까지 쓰였으나 ‘ㄹ’을 회복한 ‘물푸레나무’를 표준어로 삼으면서 대표성을 잃었음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rying to review some etymologies of 4 tree names and find out the convincing their original forms by the morphological and semantic analysis of them. The tree names, which are studied here, are ‘개암나무’(Asian hazel), ‘곰솔’(Black pine), ‘구기자나무’(Chinese matrimony vine), ‘물푸레나무’(Asian ash). For the word ‘개암나무’, this paper disproves the existing explanation that ‘개암’(a hazelnut) came from the word ‘*개ᄫᅡᆷ’, the combination of ‘개-’, a prefix and ‘밤[栗]’(a chestnut), a noun. It is assumed that the word came from ‘*개ᄀᆞᆷ’, an original form, and then has become the form of ‘*개ᄋᆞᆷ’. For the word ‘곰솔’, this paper disproves the existing explanation and considers the ‘곰’ is not from ‘熊’(a bear) nor ‘大’(big enough) but from the changed word form of ‘검-[黑]’(a black color), an adjective stem.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its original form is ‘검솔’ and the word has changed into ‘곰솔’ and the name has been made since the bark of the tree is black color. For the word ‘구기자나무’, it is assumed that ‘枸杞子’, a fruit name combines with ‘나무’(tree), a word. Therefore the word refers to ‘구기자가 달리는 나무’, a tree with the fruit of Chinese matrimony vine. The paper found that before the appearance of the word ‘구기자나무’, the words ‘구긔(枸杞)’ and ‘구긔나모’ were used for referring to the tree. 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fruit name ‘구긔ᄌᆞ’ referred to the tree and they remain as ‘구기’, ‘구기나무’, and ‘구기자’ in modern Korean dictionary. But the ‘구기나무’ is not the current standard language. For the word ‘물푸레나무’, it shows up in the early 17th century literature as a form ‘무푸레나모’. It is might be assumed that the word exists as a reconstructed form, ‘*믈프레나모’ in the earlier part of the 15th century, considering a Chinese form, ‘水靑木’, written by a borrowed writing system at that time. It could be assumed that ‘*믈프레나모’ is a word form a tree name, ‘*믈프레’ combined with a redundant word ‘나모’. In addition, ‘*믈프레’ is composed of ‘믈[水, water]’ and ‘프레’, of which ‘프레’ is a root form ‘프르-[靑, blue]’ combined by a suffix, ‘-에’. Consequently, a reconstructed form ‘*믈프레’ is interpreted ‘the thing that makes water blue’, and becoming a tree name in itself. The above naming is reflected by the fact that breaking its branch and putting it in the water, makes the water taking on the blue color drawing from the branch. The form, ‘*믈프레’ had been used until the earlier part of the 20th century through a series of changes, ‘*므프레>무프레>무푸레’, but now ‘물푸레’ is a normative form with a recovered coda ‘ㄹ’. Also a form, ‘*믈프레나모’ had been used during a short time after te 20th century through a series of changes, ‘*므프레나모>무프레나모>무푸레나무’, but it gave its status of a normative form to ‘물푸레나무’ as soon as ‘물푸레’ became a normative form instead of ‘무푸레’.

      • KCI등재

        ‘헹가래’의 어원(語源)과 의미(意味)에 대하여

        조항범 ( Cho Hang-bum ) 국어학회 2013 국어학 Vol.68 No.-

        ‘헹가래’의 어원 설명은 그와 관련된 근대국어 이후의 용례(‘헤염가레, 헤엄가□, 헴가□, 헹가래’, ‘헤영가□, 허영가□, 허엉가□, 혀영가□, 에영가□’ 등)가 다수 발견되어 한결 쉬워졌다. 이들 근대국어 이후의 용례를 통해 볼 때 ‘헹가래’는 ‘헤염가래’에서 온 것으로 보아 문제가 없다. ‘헤염가래’는 ‘헤염[游]’과 ‘가래[杴]’가 결합된 형태로 보인다. ‘헹가래’를 지시하는 단어를 만드는 데 ‘가래’를 이용한 것은 ‘헹가래’의 앞뒤로 내밀었다 들이켰다 하는 행위가 가래질의 행위와 유사하기 때문이며, ‘헤염’을 이용한 것은 ‘헹가래’의 네 활개를 잡힌 채 벗어나려고 발버둥치는 행위가 헤엄치는 행위와 유사하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헤염가래’는 본래 ‘치하하거나 벌을 주기 위해 네 활개를 잡고 앞뒤로 내밀었다 들이켰다 하는 반복 행위’를 가리킨다. 지금은 ‘치하하기 위해 네 활개를 잡고 위아래로 던졌다 받았다 하는 행위’를 가리켜 의미가 상당히 달라졌다. 행위의 ‘의도’와 ‘방식’에서 큰 차이가 생긴 것이다. 의미 변화는 네 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는데, 이는 결국 행위의 ‘의도’와 ‘방식’에서의 네 단계 변화로 이해할 수 있다. ‘헤염가래’에서 ‘헹가래’로까지의 어형 변화는 문헌 예만으로도 설명이 가능하다. ‘헤염[游]’이 ‘헤엄’을 거쳐 ‘헴’으로 축약되듯, ‘헤염가래’ 또한 ‘헤엄가래’를 거쳐 ‘헴가래’로 축약되고, 이어서 자음동화하여 ‘헹가래’로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Because there have been found many modern Korean words related to the word ‘헹가래’(‘헤염가레, 헤엄가□, 헴가□’, ‘헤영가□, 허영가□, 허엉가□, 혀영가□, 에영가□,’ etc.) found in some manuscripts, it is very easy to trace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헹가래.’ According to modern Korean usage, ‘헹가래’ could be assumed to be from ‘헤염가래.’ The word seems to be a composition of ‘헤염[游]’ and ‘가래[杴]’. In the word ‘헤염가래’, the act of ‘헤염’ is similar to the act of ‘헹가래’(trying to stretch their legs and arms to escape from the bond) and the act of ‘가래’(digging with a spade) is similar to the act of ‘헹가래’(pushing and pulling someone’s body). Originally, ‘헤염가래’ is a repetitive act of holding someone’s legs and arms and pushing and pulling in air to praise or punish someone. Nowadays, ‘헹가래’ is an act of holding someone’s legs and arms and tossing or hoisting someone shoulder-high in the air. The two acts are different in ‘intention’ and ‘way of acting.’ The difference can be understood by a 4-step-change process of ‘intention’ and ‘way of acting.’ Examining many example usages in scripts, it is possible to trace the origin of ‘헹가래’ in ‘헤염가래.’ As ‘헤 염[游]’ became ‘헤엄’ and then ‘헴’ by word contraction, the ‘헤염가래’ became ‘헤엄가래,’ ‘헴가래’, and then can be in the form of ‘헹가래’ lastly by consonant assimilation.

      • KCI등재

        ‘나무’ 이름의 어원에 대하여(1)

        조항범 ( Cho Hang-bum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8 No.-

        이 논문은 ‘나무’ 이름의 어원을 찾고자 하는 노력의 첫 시도이다. 본고에서 다룬 나무 이름은 ‘가랑나무/떡갈나무’, ‘가문비나무’, ‘가래나무’, ‘가죽나무’이다. ‘가랑나무’에 대해서는 중세국어 ‘가랍나모’로 소급하며, 이것이 ‘가락나모>가랑나모’를 거쳐 나타난 단어임을 밝혔다. 다만 ‘가랍’의 어원은 밝히지 못하였다. ‘가랑나무’가 ‘떡갈나무’와 동일 樹種이라는 사실을 문헌의 기록과 대응된 한자를 토대로 밝혔으며, 중앙어에서 이것이 밀려난 것을 ‘떡갈나무’와의 유의 경쟁의 결과로 파악하였다. ‘떡갈나무’에 대해서는 중세국어 ‘덥갈나모’로 소급하며, 이것이 ‘덕갈나모>□갈나모’를 거쳐 나타난 단어임을 밝혔다. 이 과정에서 떡을 찔 때 까는 잎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기존의 민간 어원이 허구임을 밝혔다. ‘가문비나무’의 ‘가문비’에 대해서는 ‘가문비나무’가 ‘黑皮木’에 대응되고, ‘皮’가 ‘비’로도 발음 난다는 점에 근거하여 ‘감-’의 관형 사형 ‘가믄’과 ‘비(皮)’가 결합된 ‘*가믄비’의 변화형으로 파악하였다. ‘가래나무’는 ‘래나모’로 소급하며, ‘래’는 본래 가래나무의 열매를 지시하다가 그 열매가 열리는 나무 자체를 가리키게 된 것임을 밝혔다. 그리고 ‘래’가 한때 이것과 외형이 유사한 외래종 ‘호두’를 지시한 사실도 밝혔다. 다만 ‘래’의 어원은 밝히지 못하였다. ‘가죽나무’에 대해서는 이것이 중세국어 ‘개□나모’로 소급하며, ‘개□나모’는 ‘□나모’에 접두사 ‘개-’가 결합된 어형임을 밝혔다. 그리고 ‘개□나모’가 ‘개듕나모>개듁나모>가듁나모>가쥭나모’를 거쳐 ‘가죽나무’가 된 것임도 밝혔다. ‘가죽나무’와 더불어 표준어인 ‘개죽나무, 가중나무’의 변화 과정도 아울러 살폈다. This is the first trial to study documentary records to trace original names of some ‘나무’(trees). In the thesis, the words for tree names related with ‘가랑나무/떡갈나무’, ‘가문비나무’, ‘가래나무’ and ‘가죽나무’ were studied. The ‘가랑나무’ is supposed to be ‘가랍나모’ in the Middle age Korean and it changed into ‘가락나모>가랑나모.’ The original word for ‘가랍’ was not found. It was found that the ‘가랑나무’ is the same kind of ‘떡갈나무’ in some documentary records by finding its matching Chinese letter. The reason the ‘가랑나무’ disappeared in the language of central areas was that it had given way to the ‘떡갈나 무’ because of the synonymy clash between them. The ‘떡갈나무’ is supposed to be ‘덥갈나모’ in the Middle age Korean and it changed into ‘덕갈나모>□갈나모.’ While examining, the existing folk etymology that the ‘떡갈나무’ was named because the leaves of which were used for making rice power for rice cake(떡) proved to be false. The ‘가문비’ in ‘가문비나무’ refers to ‘黑皮木’(a tree with black-colored bark), and the ‘皮’(it means ‘the bark of a tree,’ and it sounds ‘pee’) can be pronounced ‘비’(the sound ‘bee’). Then the ‘*가 믄비’ is the word combination form of ‘가믄,’ which is the determiner of ‘감-,’ and ‘비(皮)’. For the ‘래나무,’ it was revealed that the ‘래’ in ‘래나무’ referred to the fruit of the tree at first and then it became to represent the tree itself at last. 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 fruit ‘래’ was used to refer to the foreign fruit ‘호두’(walnut fruit) because of their similar shapes of the fruits. However, the origin word form of ‘래’ was not found. The ‘가죽나무’ is supposed to be ‘개□나모’ in the Middle age Korean and the ‘개□나모’ was formed by combining ‘□나모’ with ‘개-’, a prefix. And ‘개□나모’ changed into ‘개듕나모>개듁나모>가듁나모>가쥭나모’, and into ‘가죽나무’ lastly. In addition to the origin of ‘가죽나무’, the process of form change of ‘개죽나무’ and ‘가중나무’, the standard word forms, are studied.

      • KCI등재

        우리말 비속어의 어원에 대하여(1)

        조항범(Cho Hang-bum) 한글학회 2018 한글 Vol.- No.322

        본고는 ‘비속어’(卑俗語)도 어원 연구의 중요 대상이 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비속어’ 어원 연구의 본격적인 첫발을 내딛은 것이다. 여기서 다룬 비어(卑語)는 ‘꺼벙이, 얌생이꾼, 오무래미, 쪽발이’이고, 속어(俗語)는 ‘고바우, 골통, 깡패, 또라이’이다. ‘꺼벙이’는 ‘꺼병이’가 ‘꺼벵이’로 변한 다음 잘못된 유추에 의해 나타난 어형으로 추정된다. ‘얌생이꾼’은 ‘얌생이’에 접미사 ‘-꾼’이 결합된 어형이며, ‘얌생이’는 ‘얌’에 접미사 ‘-생이’가 결합된 어형으로 ‘도둑’이라는 뜻이다. ‘오무래미’는 ‘*오므러미’로 소급하며, 이는 의태성(擬態性) 어근 ‘오믈’과 ‘어미[母]’가 결합된 어형이다. ‘쪽발이’는 ‘쪽발’에 접미사 ‘-이’가 결합된 어형으로, 본래 ‘두 쪽으로 나누어진 발’이라는 뜻이다. ‘고바우’는 성씨인 ‘고(高)’와 이름인 ‘바우’가 결합된 만화 주인공이다. 이에 결부된 ‘인색한(吝嗇漢)’이라는 의미는 「고바우」라는 영화 주인공의 인색한 성격에서 비롯된 것이다. ‘골통’은 ‘골’과 ‘통(桶)’이 결합된 어형으로, ‘두뇌를 덮어 싼 부분’을 가리킨다. ‘깡패’는 영어 ‘gang’에서 변형된 ‘깡’과 그러한 의미의 한자어 ‘패(牌)’가 결합된 동의(同義) 중복형 단어이다. ‘또라이’는 ‘아이’에 접두사 ‘돌-’이 결합된 ‘돌아이’에서 변형된 어형이다. This paper considers some Korean vulgar words and slangs to be major subjects in etymology and takes an initial step toward the field of ‘vulgar words and slangs’ etymology. The vulgar words which are examined in this paper are ‘kkeobyeongi(꺼벙이), yamsaengikkun(얌생이꾼), omuraemi(오무래미), jjokbali(쪽발이)’ and the slangs studied here are ‘gobau(고바우), goltong(골통), kkangpae(깡패), ttorai(또라이)’. For ‘kkeobeongi(꺼벙이)’, it is assumed that ‘kkeobyeongi(꺼병이)’ had changed into ‘kkeobengi(꺼벵이)’, and then it changed again into the original word form because of the inverse of analogical inference. The ‘yamsaengikkun(얌생이꾼)’ is the word from ‘yamsaengi(얌생이)’ adding ‘-kkun(-꾼)’, a suffix. The ‘yam saengi(얌생이)’ means a thief which is composed of ‘yam(얌)’ and ‘-saengi(-생이)’, a suffix. The ‘omuraemi(오무래미)’ came from ‘*omeureomi(오므러미)’, and it is the mixed word of ‘omeul(오믈)’, a mimetic word root and ‘eomi(어미)’. The ‘jjokbali(쪽발이)’ is the mixed word of ‘jjokbal(쪽발)’ and ‘-i(-이)’, a suffix, and it originally means a foot separated into two parts’. As for ‘gobau(고바우)’, the word was name for one cartoon character whose family name is ‘go(고)’ and given name is ‘bau (바우)’ at first. When the name gives the feeling of ‘stingy’, it is caused by the special stinginess of 「gobau(고바우)」, the main character in the movie. The ‘goltong(골통)’ is a mixed form of ‘gol(골)’ and ‘tong(통)’, which refers to ‘the parts covering brain’. The ‘kkangpae(깡패)’ is the meaning overlap word with ‘kkang(깡)’ from ‘gang’ in English, and ‘pae(패)’ from Chinese letter. The ‘ttorai(또라이)’ is the modified word form coming from mixing ‘ai(아이)’ and ‘dol-(돌-)’, a prefi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