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력 추구 차이에 따른 집단 간 심리, 직무 및 경력 특성 비교 : 직업변경 이직자, 동일 직업 이직자, 비 이직자를 중심으로

        조지연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을 추구하는 데 있어 직업변경이직자, 동일직업이직자, 비 이직자의 세 집단을 대상으로 집단의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을 탐색 하는데 있다.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으로 심리적변인, 직무관련변인, 경력관련변인으로 구분하여 어떤 특성 변인이 직업변경집단과 다른 집단의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탐색하였다. 심리적 변인으로는 경험개방성, 외향성, 성장욕구, 위험감수성향을 분석하였 다. 직무관련 변인으로는 보상불만과 직무부합을, 경력관련 변인으로는 프로틴 경력지향성과 직업정체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력초기 단계의 남녀 직업인들로 경력추구의 차이에 따라 직업 변경 이직자 317명, 동일 직업 이직자 363명, 비 이직자 322명의 세 집단 1002 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기술 통계 분석, 신뢰도 검증,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공다변량분석 (MANCOVA),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추가 분석을 위하여 독립 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프로그램으로는 SPSS 25.0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서 얻은 결과는 첫째, 직업변경 집단과 비 이직자 집단에 서 차이가 있는 심리적 변인으로는 경험개방성, 외향성, 성장욕구, 위험감수성 향이 도출되었다. 경력관련 변인으로는 프로틴경력지향성과 직업정체성이 두 집단에서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둘째, 직업변경 집단과 동일이직 집단은 심리적 변인으로는 외향성과 위험감 수성향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관련변인으로는 프로틴 경력지향 성이 두 집단에서 차이가 있는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추가적으로 직업변경이직자들의 직업은 사무직이 늘고 노무직 등이 줄어드는 결과를 나타냈다. 직업변경의 횟수는 1번의 변경이 가장 많았고, 직업변경의 이 유로는 급여수준, 직무불만족, 일과 삶의 균형, 자기성장, 일에서의 만족감의 순 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직업을 변경할 때 심리적 변인을 포함한 자신의 성 향을 고려하는 대처전략이 필요하다. 조직에서는 개인의 심리적 변인을 고려한 다양한 경험, 성장, 도전 등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 요하다. 또한, 직업변경을 고려할 경우 개인은 경력에 대해서 주도성을 가지고 자신 이 추구하는 가치에 맞는 경력개발과 관리가 필요하다. 조직에서는 개인의 경 력과 관련하여 스스로 주도성을 가지고 경력을 개발할 수 있는 시스템이나 경 력개발 코칭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도입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경력 추구와 관련하여 실제적인 직업변경 경험이 있는 직업 변경 이직자, 동일 직업 이직자, 비 이직자 세 집단을 동시에 비교한 최초 의 연구이고 직업변경의도나 이직의도를 통해서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연구가 아니라 실제 경력추구와 관련된 경험 집단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실증적 연구 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variables that indic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f three groups, occupation change group, same occupation turnover group, no turnover group. As a variable representing differences, it was classified into psychological variables, job-related variables, and career-related variables to investigate which characteristic variables represent differences between the occupation change group and other groups. Psychological variables include openness to experience, extroversion, growth needs, and risk-taking tendencies, job-related variables include reward dissatisfaction and job fit, the career variables were analyzed for protein career orientation and occupational ident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ale and female professionals in the early stages of career, and data were collected for 317 occupation changers, 363 in the same occupation turnover, and 322 in the no turnover, in three group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career pursuit. For data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is,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MANCOVA)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ere performed, and additional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performed.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used SPSS 25.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that differed between the occupation change group and no turnover group are as follows. For psychological variables, openness to experience, extroversion, growth needs, risk-taking tendency, and career-related variables were derived from protein career orientation and occupational identity. Second, the variables that differed between the occupation change group and the same occupation turnover group are as follows. The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extroversion and risk-taking, and career-related variables were protein career orientation. In addition, occupation change group increased the number of white-collar workers, and the number of labor workers decreased. The number of occupation changes was the most once, and the reasons for occupation changes were in order of salary level, job dissatisfaction, work-life balance, self-growth, and satisfaction in work. When changing occup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a coping strategy that considers one's tendencies, including psychological variables, is needed. Organizations need to find way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a variety of experiences, growth, and challenges that take into account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In addition, when considering occupation change, an individual needs to develop careers and manage their careers according to their values. Organizations will need to develop and introduce systems such as career development coaching and systems that can lead career development on their own. Lastly,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comparing three groups of occupation change group, same occupation turnover group, no turnover group who have practical occupation(career) chang experience in relation to career pursuit.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targeting the experience group related to actual career pursuit, not the study of exploring the influence factors through the intention for change career or the intention to turnover.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서울대공원 동물친화교육이 참가자 정서에 미치는 영향과 필요성 조사연구

        조지연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물원은 단순히 동물들을 보여 주는 곳이 아니라 대자연의 공생의 진리와 동물 종별 각기 다른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생태와 습성을 배울 수 있는 곳이다. 또한 동물들과 교감을 통한 정서순화의 교육 장소로서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멸종위기에 처한 종 보전과 생태계 복원을 위한 조사 연구 및 국제교류 등 동물과 관련된 광범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간성을 회복시키는 정서순화 사랑교육이 필요함에 따라 동물교육이 동물원의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대공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야생동물 진료체험교실 등 7개 프로그램에 참가한 572명을 대상으로 참가자 정서에 미치는 영향과 바람직한 동물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연구를 통해 동물교육의 필요성, 선호도, 만족도를 파악하고 해당 프로그램의 지속적 운영여부에 대한 판단자료 확보와 더불어 바람직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방향과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교육프로그램의 참석 전․후의 생각차이에서 비교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설계에 도움을 주었는지에 대한 응답과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통해 알아본 동물 교육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첫째, 동물에게 직접적인 먹이주기 등 체험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동물과의 교감을 얻고 유대감을 형성하여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청소년들에게 동물 관련 분야의 진로설계에 도움을 주었다. 셋째, 참가자에게 동물의 종 보전을 위해서 생태계 보호가 필요함을 알려주고 지속적인 관심과 실천으로 환경보호에 동참하는 계기가 되었다. 동물원은 향후 더 발전된 동물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동물들이 가지고 있는 매력을 최대한 보여줄 수 있는 전시시설을 갖추고 환경이 변화된 동물원에서 시대에 알맞은 교육 프로그램으로 동물원 프로그램 참가자에게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매력적 요소를 제공해야 한다. 또 학교교육과 연계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동물원 교육 프로그램을 더 연구하고 개발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어린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을 가족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체험교육과 병행하여 참가자의 폭을 넓히고 더 많은 프로그램을 기획함으로써 어린이 정서순화에 많은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동물교육 프로그램의 모니터링을 통해 개선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서울대공원의 향후 동물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개발 방향성 제시를 위한 자료 또는 동물교육 프로그램 연구 및 발전방향 제시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충남 홍성 지역 논의 환경적 특성에 따른 생물다양성과 충북 오창 지역 논의 농법에 따른 백로류의 섭식활동

        조지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Rice fields ate the unique man-made seasonal flooding wetland, which supporting many taxonomical groups of aquatic organism. In particular, rice fields play a significant role as alternative habitats for waterbirds, including herons and egrets, substituting for decreasing their original natural habitat, since they show the relatively high prey density. Recently, to maintain biodiversity and ecosystem conservation becoming more important has been the rise as the extinction of bio-species in rice fields and the destruction of ecosystem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he biodiversity in rice fields by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foraging activity of Ardeidae by agricultural methods, in order to provide basis for grasp the health of the ecosystem. Research was conducted for about four months from June to September 2009. Firstly, the study on the biodiversity in rice fields by six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as conducted for once a month at mundang-ri and unwol-ri, Hongsong, Chungcheongnam-do. Aquatic insect, land insect, fishes, spiders were quantitatively collected in rice fields according to six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with or without ponds, with or without water channels, conventional farming and organic farming by agricultural methods). The fauna identified and classified and performed communities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more number of individuals and taxa of aquatic insect, land insect, spiders were collected in rice fields with ponds than those in rice fields without ponds. Species diversity(H') and species evenness(J') were higher in rice fields with ponds than those in rice fields without ponds. In addition to, more number of individuals and taxa of aquatic insect, fishes were collected in rice fields with water channels than those in rice fields without water channels. Species diversity(H') and species evenness(J') were higher in rice fields with water channels than those in rice fields without water channels. and a result of biodiversity in rice fields by agricultural methods, more number of individuals and taxa of fishes, spiders were collected in the organic farming rice fields than those in the conventional farming rice fields. The dominant species in the conventional farming rice fields was Fossaria truncatula known as indicator of excessive input of pesticides. Secondly, the study on the foraging activity of Ardeidae by agricultural methods was conducted for once a week at sinpyeong-ri and tap-ri, ohchang-myeon, Chungcheongbuk-do. This research was aimed to compare the feeding activity(number of ardeidae, foraging pecking rate, foraging capture rate, dry weight of captured prey) of ardeidae caused by agricultural method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otal numbers of ardeidae observed were decreased on the date. and monthly the total numbers of ardeidae observed in rice-banks and water-channels than in rice fields were increased. Flooding fields ratio were decreased on the date. And Flooding fields ratio was lower organic farming than conventional farming. In addition, the individuals number and foraging pecking rate and foraging capture rate of ardeidae were higher organic farming than conventional farming in the early but higher conventional farming than organic farming in the lately. Ardeidae preyed mainly on loaches in the organic farming rice fields and the main prey items of ardeidae in the conventional farming rice fields were insects and tadpoles. From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dentify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or enhance the biodiversity of ecosystems. 논은 계절적으로 침수되는 인위적인 습지 생태계로 다양한 생물들이 살고 있으며, 먹이 밀도가 높아서 많은 물새류가 섭식지로 이용하고 있다. 최근 들어 인간의 활동으로 논에서 서식하는 생물의 멸종 속도가 급속도로 빨라짐에 따라 생물다양성의 유지와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논 생태계의 건강성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충남 홍성 지역에서 논의 환경적 특성에 따른 생물다양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충북 오창 지역에서 논의 농법에 따른 백로류의 섭식활동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년 6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약 4개월 동안 연구가 수행되었다. 논의 환경적 특성에 따른 생물다양성 조사는 충남 홍성군 문당리, 운월리 일대에서 월 1회 실시하였으며, 논의 둠벙 유무, 수로 유무, 그리고 관행농법과 유기농법의 여섯 가지 논의 환경적 특성에 따라 수서무척추동물, 육상무척추동물, 어류, 거미류의 정량적 채집을 하였고 분류 및 동정을 통해 각 생물들의 군집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둠벙이 없는 논보다 둠벙이 있는 논에서 어류를 제외한 수서무척추동물과 육상무척추동물, 거미류의 분류군수와 개체수가 많았으며, 종 다양도 지수와 종 균등도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로가 없는 논보다 수로가 있는 논에서 수서무척추동물과 어류의 분류군수와 개체수가 많았으며, 종 다양도 지수와 종 균등도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관행농법 논보다 유기농법 논에서 어류와 거미류의 개체수가 많았으며, 관행농법 논에서 농약 과다 투입의 지표종인 긴애기물달팽이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농법에 따른 백로류의 섭식활동 조사는 충북 오창면 신평리와 탑리의 친환경농업단지 일대에서 주 1회 실시하였으며, 백로류 개체수, 섭식시도율과 섭식성공률 그리고 백로류가 섭식한 먹이 건중량을 이용하여 관행농법 논과 유기농법 논에서의 섭식활동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관찰된 백로류의 총 개체수는 매 달 감소하였고, 논안보다 논둑과 수로에서 관찰되는 개체수가 점차 증가하였다. 농법에 따른 담수된 논의 비는 6월보다 7월에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유기농법 논이 관행농법 논보다 담수된 논의 비가 낮게 나타났다. 농법에 따른 백로류 개체수는 6월에는 유기농법 논에서, 7월과 8월에는 관행농법 논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백로류의 섭식시도율과 섭식성공률은 6월에는 유기농법 논에서, 7월과 8월에는 관행농법 논에서 높게 나타났다. 백로류는 주로 유기농법 논에서는 미꾸라지를 섭식하였으며, 관행농법 논에서는 올챙이와 곤충을 섭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는 논 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향상시키는 환경적 특성을 규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사전 편찬에서 다의어 배열순서의 실제와 개선책 연구 : 신체어 명사를 중심으로

        조지연 서경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전은 해당 언어에 대한 연구 성과가 집약되어 나타난 결과물인 동시에 그 언어에 관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주는 언어 정보의 원천이기도 한다. 언어란 여러 층위의 요소들이 서로 맞물려 있는 매우 복잡한 체계이고, 사람들이 하나의 언어에 대해 필요로 하는 정보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언어 정보의 원천이며 집합체인 사전도 매우 다양한 모습, 다양한 용도를 가질 수 있다. 일반인들의 경우, 책을 읽다가 어떤 낱말의 정확한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을 이용할 수도 있고, 글을 쓰다가 어떤 낱말의 정확한 철자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언어학자들의 경우 낱말들 사이의 의미 관계나 어떤 낱말이 어떤 문형으로 사용되었는지를 알기 위해 사전을 이용할 수도 있다. 사전의 용도가 이처럼 다양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사전에서 이 모든 요구를 만족시키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렇기에 각각의 용도에 맞게 특화된 다양한 사전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영어의 경우와 비교해, 한국어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사전이 나와 있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이 일반 사전 이용자들의 낱말 정보 습득을 위한 실용적 용도로 편찬될 시 '다의어 의미배열에 관한 새로운 배열 방법 제시'를 중심으로 논의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사전 이용자들의 낱말 정보 습득을 목적으로 하는 사전 편찬을 염두에 두고 실용적 어휘 사전 편찬 시 신체 다의어 의미배열 순서 기준을 연구한다. 신체어는 '국어교육용' 어회의 1등급 수준에 해당하며, '한국어 교육용'어휘의 초급 수준에 해당하는 기초어휘에 속하는 낱말들로 실제 언어생활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체어는 실제로 어휘파생력이 대단히 크고, 또 모국어 화자는 신체어를 활발하게 사용하기 때문이다. 또 기초어휘인 신체어 조사 결과를 통해 신체어가 아닌 다른 낱말들에도 같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경험은 그 자체로 구조화되어 있으며, 개념적 구조를 발생시킨다. 곧 신체화에 바탕을 둔 선개념적 경험은 한편으로는 직접적으로 경험되는 물리적 개념을 발생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은유적 확장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형성되는 추상적 개념을 발생시키는데, 추상적 개념도 궁극적으로는 신체적 경험에 근거하여 동기화된 것이다. 다의어 의미매열 방법은 대체로 통시적 배열, 논리적·심리적 배열, 용법적 배열로 나뉜다. 통시적 배열은 어휘 항목의 추적 가능한 최초 용례로부터 사전 기술 시점까지의 용례를 검토하여 의미배열을 시도하는 것으로, 역사 자료의 완전한 공급이 가능하다면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완벽한 기술이 가능할 만큼의 역사 자료를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논리적·심리적 배열은 다의어의 의미를 중심 의미로부터 전이된 의미의 순으로 나열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사전 이용자로 하여금 각각의 의미들 간의 논리적 연결을 파악하도록 하여 효과적인 의미 정보습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실제의 의미 기술에 있어서 낱말의 어휘 항목의 중심 의미를 파악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용법적 배열은 중심 의미보다는 일반 의미, 즉 사용 빈도가 높은 의미부터 제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일반적인 경우의 사전 이용자의 정보습득을 가장 적극적으로 돕는 방법이다. 이 방법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신뢰성 높은 의미 빈도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세 가지 방법 중 논리적·심리적 배열. 즉, 다의어 중심 의미로부터 전이 의미로의 배열 방법과, 용법적 배열. 즉 사용 빈도가 높은 의미부터 배열하는 방법을 따른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진행된다. 첫째, 기존 사전들의 다의어 어휘의미 배열 순서를 살피고, 각 사전의 배열순서의 차이점을 확인한다. 둘째, 낱말의 중심 의미와 주면 의미를 구분한다. 이를 위하여 Rosch의 '원형이론'을 따를 것이다. 셋째, 각 사친에 등재된 의미들을 각 의미별로 분류한다. 이는 각 사전별로 같은 의미가 등재되어 있는 경우와, 어떤 사전에는 등재된 의미가 어떤 사전에는 등재되지 많은 경우, 한 사전에만 등재된 의미가 발견되기 때문이다. 넷째, 실제 모국어 화자의 어휘 의미 사용 빈도를 조사한다. 다섯째, 기존 사전에서의 다의어 의미배열과 실제 어휘 의미 사용 빈도조사 결과 후의 의미배열을 비교한다. 여섯째, 다의어 의미배열의 순서를 제시한다. 다양한 사전 용도의 모든 요구를 만족시키기는 실제로 불가능하다. 언어학자들이 사용하는 사전과 같은 전문성이 요구되는 사전이 아닌, 일반사전 이용자들이나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 또는 학생들이 사용하는 실용적 사전 편찬 시 좀 더 효과적인 의미 정보 파악과 의미 습득을 위해서라도 다의어 의미 연구는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The issue on the semantic order of multivocal words has shared its time with the history of Korean lexicography. However, there is neither a long history of studying the semantic order of multivocal words, nor enough discussions about editing the lexicon responding to a lot of uses of dictionary in editing Korean dictionaries. A dictionary is the fruit of scholarly research on the language concerned.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 source of the language information to give useful advices of that language to all the people who need them. A language is a very complex system in which factors from many layer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he types of information people need about language are very different. Thus, a dictionary, which is the source and collection of language information, can be used for a number of purposes. People could use a dictionary to find an exact meaning of a word or to check a spelling in writing. Linguists may use it to identify the semantic relations between words or which word was used as which sentence pattern. The use of dictionary is so wide that it is very difficult for a certain dictionary to satisfy all of these demands. 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to have a variety of dictionaries specialized for each use. Indeed, however, compared with English, the dictionaries of Korean language are not diverse. In this study, focusing on the semantic language, discussed was "new meaning arrangement method presentation about polysemy." that would be in confusion if a practical dictionary is edited to help common users get information. The level of the somatic language is classified into the first class of the vocabular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ts words are also the basic vocabulary that is equal to the elementary level of the vocabular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us the somatic language is a lot likely to have wide usage in real life. The somatic language has an extremely huge capability of vocabulary derivation indeed. In addition, native speakers actively use the somatic language. That is why the somatic language is focused in discussing the semantic order of multivocal words. In this study, researched is the semantic order of somatic multivocal words when a practical lexicon is edited considering the edition of a dictionary purposed to help general users acquire the information of a word. The way of the semantic order of multivocal words is usually divided into the diachronic order, the logical and psychological order and the usage order. The diachronic order is to try to order the meanings by checking examples ranging from the traceable first one of lexical items to the one of the lexical description point, which can provide a very important information if historical resources are fully offered. However, it is impossible to gain historical resources enough to describe perfectly. The logical and psychological order is the way of ordering the meanings of multivocal words by transition from the central meaning. Its advantage is to make it possible for dictionary users to acquire the meaning information effectively by identifying the logic connections between each meaning. Still, it is not easy to identify the central meaning of each lexical item in terms of the actual description of the meanings. The usage order is the way to present the general meaning first, which means the order of frequency in use instead of the central meaning. This is the way to help dictionary users most actively to get information in common case. For more effectiveness, a highly reliable study on the semantic frequency has to be done. This study follows the logical and psychological order, which is the way of ordering the multivocal word from its central meaning to the transition meaning. It also follows the usage order, or the way of ordering the meanings by frequency.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look at the order of lexical meanings of the multivocal words in the existing dictionaries and check the difference in the order of each one. Second, to distinguish between the central meaning of a word and its peripheral meaning. For this, Rosch's "Prototype Theory" will be followed. Third, to classify a meaning registered in a dictionary by that of each dictionary. The reason is as follows: One, the same meaning of a word is found registered in each dictionary in some cases. Two, some dictionaries have meanings registered that others do not have. Three, some meanings are found registered in only one dictionary. Fourth,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lexical meaning for real native speakers. Fifth, to compare the semantic order of the multivocal words from the existing dictionary with the order after investigating the actual frequency of lexical meaning. Sixth, to present the semantic order of the multivocal word. In fact, it is impossible to satisfy all demands of various uses of dictionary. To help identifying and obtaining the information on meanings more effectively, the multivocal-word meanings should continue to be studied in editing not such a lexicon for linguists that would require expertise but practical dictionaries for common users, foreign Korean-language learners or students.

      • 전라북도 고창 연안습지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조지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라북도 고창 연안습지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로 연안의 습지는 염습지, 사구습지, 암석습지의 유형으로 구분되어 졌다. 각 습지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는 식물상과 생활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겨울눈의 위치를 보는 휴면형(Dormancy form)의 경우 갯벌습지에서 1년생식물(Th)과 수생식물(HH)이 월등한 분포를 보이고 지표식물(Ch)과 소형지상(M), 대형지상식물(MM)은 나타나지 않았다. 동형1년생식물(Th(w))은 사구습지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암석습지에선 지중식물(G), 소형지상(M), 대형지상식물(MM)이 높은 비율을 보인다. 반지중식물(H)만 고른 분포를 보여준다. 지하부의 생활·생육형태를 보는 지하기관형(Radicoid form)은 단립식물(R5)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나지만 암석습지의 식생 비율이 낮다. 종자나 과실의 산포를 유형화한 산포기관형(Disseminule form)은 중력산포형(D4)이 모두 높은 분포를 보이지만 그중 갯벌염습지가 차이 나게 높고, 풍수산포형(D1)은 고른 분포를 보이며 갯벌염습지에 동물산포형(D2)은 나타나지 않았다. 생육형(Growth form)의 경우 직립형(e)이 모든 위치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는데 암석습지 비율이 갯벌염습지의 2배 이상이다. 총생형(t)은 사구에 약하고 다양한 형태의 로제트형(pr, ps, r)은 암석습지가 차이 나게 낮은 비율을 보인다. 갯벌에서는 넌출형(l)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고창연안의 연구대상지인 세 유형의 습지가 가진 다양한 토양, 지형적 특성이 1차적으로 반영된 결과이며, 2차적으로 천이, 인위적 교란행위, 침입종의 종류가 반영되어 나타난 것이다. 대상지의 지리적 위치, 다양한 지형적 요인,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분에 의한 영향, 토지이용현황 등의 차이가 각각의 습지에 적응하여 살아가는 식물의 종류가 달라진 이유이다. 고창 지역의 식생은 크게 내륙식생과 연안 및 연안내륙식생으로 구분되는데 내륙지역에 비하면 지형적 요인이 단순한 연안지역 식생의 미세입지 즉, 미기후, 미지형, 미세토양성분의 작용 못지않게 갯벌, 암석지, 사구라는 매우 상이한 식물서식의 입지조건이 연안식생분포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 L. v. Beethoven의 Piano Sonata Op. 31 No. 2, S. Prokofiev의 Piano Sonata Op. 14에 관한 분석연구

        조지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전 생애 대부분에 걸쳐 작곡된 피아노 소나타 32곡은 그의 작곡양식의 변화 과정를 잘 보여주며 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한다. Beethoven의 Piano Sonata Op. 31 No. 2는 1802년 작곡하여 1803년 출판된 중기 작품으로 “템페스트”라는 표제가 붙어있으며 3악장 구성의 소나타 형식이다. 이전까지의 작품과는 다른 새로운 결심과 시도로 다양한 변화를 보여주며 더 이상 고전주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독창적인 창작기법으로 Romanticism을 이끌어냈다. Sergei Prokofiev (1891∼1953)는 20세기 현대 러시아 음악에 큰 공헌을 한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이다. 그의 Piano Sonata는 40년 이상의 기간에 걸쳐 작곡되었으며, 작품시기에 따라 새로운 작곡기법과 피아노 주법의 발전, 그리고 그의 음악적 사고의 변천과정을 볼 수 있다. Prokofiev의 Piano Sonata Op. 14는 4악장 구성으로 1912년에 작곡되었으며 고전주의 전통과 현대적인 요소를 잘 접목시킨 Neo-Classicism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