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관한 연구 - 행정명령이 대통령의 입법권한 행사에 미치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조재현(CHO JAEHYU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東亞法學 Vol.- No.94

        오늘날은 적극적이며 효율적인 행정이 강조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대통령은 입법적 형식의 행정명령으로 신속하고 적극적인 국정운영과 정책결정에 임한다. 미국 대통령은 의회의 위임이나 헌법에 근거를 두고 정책을 결정하고 공무원이나 행정기관에 대한 지시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형태의 행정적 조치를 발한다. 대통령이 발하는 행정적 조치는 행정명령(executive order), 교서(presidential memoranda), 선언(presidential proclamations), 행정협정(executive agreements), 국가안보지시(national security directives), 입법성명(signing statements) 등이 그것이다. 대통령의 행정명령 세 가지에 근원에 근거하여 발해진다. 우선, 행정명령은 헌법 그 자체에 근거하여 발해지며, 법률의 위임에 의해서도 발해진다. 법률에 의한 위임의 경우에는 의회의 명시적 위임뿐만 아니라 묵시적 위임에 의해 가능하다. 그리고 대통령의 가지는 고유한 권한 그 자체에 근거해서 행정명령은 발해질 수 있다. 대통령은 선거과정에서 밝힌 자신의 공약을 임기 내에 실현함으로써 국정수행 지지도를 높일 수 있다. 행정명령은 이러한 자신의 아젠다를 실현하기 위하여 법률제정의 도구로서 행정명령을 이용한다. 이러한 대통령이 탄력적인 입법권한의 행사는 우리 헌법체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우리 헌법에 도입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장애요소는 행정입법권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 헌법규정이다. 헌법 제75조에서는 구체적으로 범위를 정하여 위임한 범위 내에서 대통령의 행정입법권을 인정하고 있는데, 이 점이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권의 도입을 어렵게 하는 현실적 장애요인이다. 따라서 현행 헌법을 위반하지 않고 미국의 대통령 행정명령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헌법개정에 의한 도입방식이 가장 적합하다. 또한 개헌논의와는 별개로 헌법해석에 의한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 도입의 영역을 검토하는 것도 본 연구의 범위에 해당한다. Presidents have historically utilized various written instruments to implement policy and direct the executive branch. Executive actions play an extremely important role in the President’s ability to enforce the laws of the United States, but have also become more controversial as Presidents continue to use the instruments more frequently. These include executive orders, presidential memoranda, presidential proclamations, executive agreements, national security directives and signing statements. The most common executive action is an executive order. Analysis of executive orders must begin with Article II of the Unites States Constitution, which states that “the executive power shall be vested in a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The President can draw on three sources to issue an executive orders. The first is the Constitution itself. The second source of authority is from the legislative branch. Congress may grant the President or an executive agency the limited power to make rules on certain topics. The third source for executive actions is the President’s inherent authority, which necessarily derives from an position or status. In short, authorization for executive orders must be either direct or implied in an act of Congress or the Constitution. And an executive order has the full force and effect of a law enacted by the legislature. Several factors make executive orders attractive policy-making tools for a President. First is speed. President can achieve far faster by issuing an executive order. Second is flexibility. Executive orders have the force of law. A President can alter any executive order by issuing another executive order. Finally, executive orders allow the President not only to evade congressional opposition, but also to preempt potential or growing opposition, to reduce its ability to formulate a powerful opposing position. Under our Constitution, the President does not have executive authority like a executive orders of a President of United States. This paper suggest that there could be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introduce executive orders of a President because there is some advantages for these orders to enforce policy and carry out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in a national crisis or positive administration demand.

      • KCI등재

        미국대배심제의기능적·조직적모델구상과운용성과에관한연구- 우리 검찰시민위원회의 발전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

        조재현(CHO JaeHyun) 한국부패학회 2014 한국부패학회보 Vol.19 No.1

        최근 검찰개혁의 일환으로 검찰시민위원회제도의 도입되었고, 국민이 직접 검사의 기소재량권을 통제하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검찰시민위원회는 검사의 기소재량권에 대한 국민적 통제와 민주적 정당성의 부여라는 헌법적 의의를 가지는 제도로 평가된다. 검찰시민위원회는 미국의 대배심제도를 그 모델로 하고 있다. 대배심은 기소배심이라고도 하며 일반 시민으로 구성된 배심원단이 검사의 기소장을 승인하도록 하여 기소권한을 행사하는 제도이다. 연방대법원도 연방대배심이 근거 없는 형사기소의 남용으로부터 시민을 보호하고 시민적 자유를 보호하는 보호자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이해한다. 미국 연방대법원은 대배심제도를 기소적 모델, 사법적 모델로 이해한다. 그 밖에 대배심은 민주적 모델, 입법적 모델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우리 검찰시민원회의 운영과 발정방향 을 제시함에 있어서 이러한 미국의 대배심 제도의 모델 구상에 관한 연구는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생각된다. The grand jury system originated in twelfth century England. The origins of the grand jury's civil watchdog function also appeared during the fourteenth century. In conformance with the English system, grand juries were also employed in the American colonies. The first formal grand jury in America was established in 1635 in Massachusetts. The grand jury in America developed beyond its indictment and presentment functions and adopted quasi-legislative and civil watchdog functions as well. Grand juries were known to influence legislation and in some cases to enact ordinances directly. There is a long history of anti-grand jury sentiment in the United States. One criticism is that the broad statutory powers of the grand jury invite abuse. Some critics argue that civil grand juries should be comprised of citizens who have extensive knowledge of or experience in public administration, finance or politics. Regardless of the criticism that the grand jury has sustained, the Fifth Amendment guarantees the federal right to indictment by the grand jury--a grand jury whose historical function has been both as a “‘sword and a shield.” ’ A citizen jury is a peculiar institution for making decisions. One obvious purpose is to imbue criminal justice with a democratic element. In Korea, it has been adopted the Civil Control Commission System in order to control prosecutorial power.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there are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the Civil Control Commission System.

      • KCI등재

        헌법개정과 자유권적 기본권

        조재현(CHO JAEHYUN)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9 No.3

        1987년 탄생한 현행 헌법은 상당한 기간이 경과함으로써 개헌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선거 때마다 새로운 정부의 대통령 선거공약이 개헌과제로서 등장하였다. 그 동안 헌법개정을 위한 정치권의 노력은 국민의 합의도출에 실패함으로써 개헌을 완성하지 못하였다. 개헌을 위한 노력은 학계에서도 계속되었으며, 개헌에 관한 연구성과는 상당히 축척되었다. 개헌논의에서 축척된 연구결과를 보면 헌법개정의 필요성은 충분히 긍정된다. 특정 정치세력의 이해관계에 따라 부침하는 개헌논의가 아니라 헌법전반에 걸친 개헌논의라는 점에서, 국민의 대표기관 주도의 개헌논의라는 점에서도 긍정적이다. 헌법개정의 목적은 헌법의 규범력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헌법개정의 방향은 국민의 기본권 보장을 향해야 한다. 따라서 기본권 규정도 개헌논의의 예외영역일 수 없다. 자유권적 기본권의 영역에서는 규범의 체계적합성의 관점에서 개헌이 필요한 영역이 존재한다. 적법절차원칙의 규범적 위치의 문제, 사생활영역에서의 개념의 정리와 통일을 바탕으로 한 규범의 체계적인 배치 문제, 표현의 자유의 헌법적 한계조항의 문제, 문화적 기본권 등의 신설문제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개헌의 방향성이 기본권 보장의 강화에 있는 만큼 기본권의 확대와 신설도 헌법개정시 고려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모든 헌법적 가치가 헌법전에 수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헌법이 갖는 간결성, 추상성에 비추어 지나치게 법률적 차원의 내용은 헌법에서 과감하게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1987, the debate on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has continued. The debate of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centered the around issues of the governing structure or form of government in the mean time. It is discussed about the amendment of constitutional law in general recently. It should be pushed ahead cautiously to improve and complement the normative force of the constitutional law. It is desirable that the debate on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across the constitution. So in the paper it will be dealt with the problem of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the basic right of personal liberty. First, due process of law stipulated in Article § 12(1) of the Constitution requires that restrictions on peoples’s freedom be made through procedures in a form of an act legislated by the parliament and that the contents of such act be reasonable and legitimate. If we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due process of law as such, it becomes a constitutional principle like a principle of the proportion stipulated in Article §37(2), so it is not proper to regulate the due process of law in area of basic rights of human body.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a the arrangement and unification of terms in area of basic rights of privacy for example dwelling, mail and telecommunication and to confirm the scope of protection between the privacy and other basic rights related the privacy. Third, although there are some opinions that it should be deleted the constitutional limitations on freedom of speech stipulated in Article § 21(4) because it is similar to the principle of the proportion stipulated in Article §37(2), it is proper to maintain the provision for the constitutional limitations on freedom of speech to protect the rights of others particularly that are likely to be infringed by the speech. Fourth, there are some arguments that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basic rights of culture newly containing rights for freedom of speech and press, freedom of assembly and association, freedom of conscience, freedom of thought and other rights related to culture. And also there are some opinions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new basic rights such as the right of information and right of life. But it should be studied and considered to make a new provision very carefully. Lastly, it should be combined with clearness and brevity between the provision in area of basic rights of human body and other basic rights because of characteristic of the Constitu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의 근면성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조재현 ( Jaehyun Cho ),오세일 ( Seil Oh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근면은 경쟁과 성과중심의 한국사회에서 개인의 자기계발과 노동에 대한성실과 헌신을 추동하는 삶의 윤리로서, 한국인의 삶의 질을 담지하는 중요한 사회문화적 코드이다. 이에 본 연구는 KGSS 2009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인의 근면에 관한 사회의식적 함의를 분석한다. 근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그 함의를 분석하기 위해서, 자기책임의식, 경제 및 계층의식, 신뢰, 사회불평등을 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두단계에 거쳐 수행하였다. 먼저 자기책임의식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사회신뢰, 사회불평등, 경제 및 계층의식이 주는 영향에 대해 탐색하고, 다음으로 근면에 영향을 주는 모든 지수들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자기책임의식인 자기과업의식과 부정적-내적 귀인은 근면과 유의미한 상관성을 가진다. 두 가지의 자기책임의식은 상이한 경제적 상황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되는데, 가계경제의 미래전망이 자기과업의식과 정적관계를 이룬다. 반면, 사회경제적 실패가 부정적-내적 귀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신뢰차원에서는 국가신뢰(애국심)가 근면과 정적 관계를 보인다. 사회불평등 인식차원에서는 취업 기회 및 지역 차이에 대한 불평등 인식이 높을수록, 그리고 교육 및 여성의 대우에서 불평등인식이 낮을수록, 근면이 높게 나타난다. 요컨대, 근면은 자기과업에 대한 책임 혹은 (자기 탓으로 인한) 실패로 인식하는 내적기제로서 산업화 시대부터 애국심의 차원에서 강화되어 왔지만, 오늘날 신자유주의 체제에서는 양극화되어 가는 노동시장에서 구조적 불평등을 강하게 인식하는 개인들에게 근면성이 강제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Diligence has been socially and culturally explained in discourses dealing with self-development, economic growth, and quality of life in Korea. It specifically emphasizes subjective factors with regard to environment (societal trust and inequality) alongside experience (the consciousness of self-responsibility, economics, and hierarchy), This study utilized KGSS 2009 data and conduc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 two stages. First,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trust, social inequality, and economic and hierarchical perceptions on the consciousness of self-responsibility on individualization. Second, it analyzes the influences of all variables affecting dilig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sciousness of self-task and negative-internal attribution, which is self-responsibility,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iligence. These characteristics arise from the understandings of different economic situations, in which the future prospects of the household economy have a static relationship with consciousness of self-task, while socio-economic failure affects negative-internal attribution. Next, in the dimension of social trust, national trust (patriotism) form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diligence. In terms of recognition of social inequality,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inequality in education and in the treatment of women, an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inequality in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regional differences, the more diligent. In sum, diligence, as a socio-cultural mechanism strengthened from the time of the Korean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up to the nowadays neoliberal regime, has effected on those, in particular, who hold precarious or marginalized social positions in the labor markets.

      • KCI등재

        인공지능의 기본권 주체성에 관한 연구

        조재현(CHO, JAEHYUN),김용의(KIM, YONGEUI) 유럽헌법학회 2021 유럽헌법연구 Vol.- No.35

        인공지능은 관점에 따라서 가장 최선의 것이 될 수도 있고, 생명・자유・사생활의 가장 큰 위협이 될 수도 있으며, 책임의 문제도 발생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이 공적 가치를 창출한다는 점에는 의문이 없으며, 공적 가치 창출에 대한 기술개발은 계속될 것이다. 향후 미지의 것으로 남겨진 인공지능의 미래에 대한 법적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한 이유이다. 인공지능은 알려진 미지의 것으로 우리의 예상 밖의 영역이다. 그 때문에 지금과는 다른 법적 책임의 문제가 등장할 수 있고, 그것에 대비하는 미래지향적・사전예방적 입법체계를 준비할 필요성이 있다. 인공지능의 법적 책임성과 권리성의 문제는 기본권 주체성과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인공지능의 발전에 긍정적인 옹호자들은 인공지능의 시민권, 선거권, 평등권 등을 인정하려는 시도와 함께 인간과 동일시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인공지능이 법인과 같은 지위를 승인받는다면 법인이 가지는 헌법상의 권리를 부여하는 데는 무리가 없다. 다만 인공지능도 인간이 누리는 헌법적 권리를 승인할 수 있는가의 문제는 또 다른 문제이다. 인공지능이 헌법적 권리의 보유할 수 있는가에 관한 논의에서 결정적 문제는 자율적 인격성이다. 인공지능에 대한 헌법적 권리를 인정하는 입장은 인공지능이 자율적 인격성을 가질 수 있다면 헌법적 권리를 부여할 수 있다고 한다. 다만 자율적 인격성만으로는 인공지능의 헌법적 권리를 인정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또한 의식, 자의식, 지각 또는 그들의 결합만으로는 헌법적 권리를 보유할만한 가치를 가지기에는 충분하지는 않으며, 인공지능이 헌법적 권리의 보유하기 위해서는 부가적으로 주관적・객관적인 이익을 보유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인공지능이 인간과 같이 행동하고, 생각하며, 인간과 같은 인지능력을 보유한다고 하더라도 기본권 주체에게 요구되는 인격적 자율성, 도덕적・윤리적 자율성 등을 충족하기 어렵고, 인간의 존엄성을 전제로 해서 논의되는 기본권을 인공지능에게 인정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AI as a term was first coined by John McCarthy in the Dartmouth Summer Research Project of 1956. McCarthy defined AI as a machine that behaves in ways that would be called intelligent if a human were so behaving.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form of “intelligent computing” in that it relies on computer programs that can sense, reason, learn, act, and adapt much like humans do. It is “intelligent” because it emulates human cognition. It is “artificial,” because it involves computational rather than bio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Technically, AI is mainly powered by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e., algorithms that change in response to their own received inputs and consequently improve with experience. The increasing use of AI and autonomous systems will have revolutionary impacts on society and there are many things we do not know about how AI will impact the law. There is a argument whether we could imagine a human-level AI that demands constitutional rights and should that entitle them to constitutional rights for AI. It could be possible that we can grant the constitutional rights similar to those of corporations and agents for AI, but we are not unable to recognize constitutional rights for AI because they are not natural humans. The reason is as follows. Though AI has consciousness, self-consciousness, autonomy and cognitive abilities, he cannot has ethical personality. Objectivity is not one of AI’s virtues. Rather, algorithms reflect back the biases in the programming that are input when models are designed and in the data used to train them. Modern constitutional principle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ethical human being as a constitutional human character is essential for the prevent and removal of threat to humanity and the improvement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

        화상 집단상담 내담자의 집단 역동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조재현(Jaehyun Cho),장유진(Yoojin J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는 대면 집단상담을 경험한 집단원의 관점에서 본 화상 집단상담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집단 역동 경험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방법 대면 집단상담과 화상 집단상담을 모두 경험한 내담자 중 10명을 대상으로 2021년 7월부터 9월까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들은 질적 연구방법 중 합의적 질적 분석(CQR)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총 4개의 영역, 12개의 범주, 28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공간이 주는 고유한 경험은 타인과의 경계 유지와 집단에의 몰입 정도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원들과의 관계는 분위기에 따라 달라지는 집단원들의 자기개방, 조금은 힘든 집단원들 간 라포 형성, 그럼에도 연결감을 느끼며 시작하는 유대감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니터에서의 상호작용 경험에서는 현장감의 부족도 집단 역동을 막지는 못함, 눈치를 살피며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전지적 시점의 모니터링, 집단 내 갈등 촉발로 나타났다. 넷째, 화상 방식에 대한 선호는 화상 방식의 효율성, 비밀보장과 사생활 보호, 화상 도구와 프로그램의 활용으로 나타났다. 결론 화상 집단상담을 경험한 내담자들을 통해 대면 집단상담과 비교했을 때 집단 역동이 어떠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화상 집단상담에서의 실질적인 효용성과 앞으로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roup dynamics experience during video group counseling, focusing on the perspectives of group members who have undergone in-person group counseling.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21 with 10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both in-person and video group counseling,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Results The analysis resulted in a total of 4 areas, 12 categories, and 28 subcategories,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online space was characterized by a unique experience marked by maintaining boundaries with others and a degree of immersion in the group. Secondly, relationships with group members were repre-sented as self-disclosure of group members depending on the atmosphere, rapport between group members that is somewhat difficult to form, and bonding that starts with a sense of connection still exists. Thirdly, the interactive experience on monitors was summarized as lack of realism does not prevent group dynamics, interaction formed while being watchful of others, omniscient monitoring, and conflict sparked within the group. Lastly, preferences for the video method were demonstrated in efficiency of video, confidentiality and privacy, and utilizing video tools and programs. Conclusions This study extensively examined the group dynamics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ho underwent video group counseling in comparison to in-person counseling and also discussed the practical efficacy of video group counseling and its future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중국의 「竇娥冤」, 「金鎖記」와 한국의 「정효부전」 서사 비교 연구

        조재현(Jaehyun Cho)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23 지식융합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于公과 東海孝婦」 고사를 수용한 한중 작품 「竇娥冤」, 「金鎖記」, 「정효부전」에 나타나는 서사 변주 양상과 주제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漢書』, 『搜神記』에 수록된 「우공과 동해효부」 고사의 의미를 찾고, 「두아원」과 「금쇄기」는 두 가지 이야기를 모두 수용하였으나 「정효부전」에서는 명철한 관리를 상징하는 우공을 중요시하게 여기는 인식을 반영하여 『한서』에 수록된 고사만을 기반으로 하였음을 밝혔다. 주제적인 측면을 살펴보았을 때, 「두아원」은 부조리한 현실로 인해 억울한 죽음을 당한 여성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면, 「금쇄기」는 천상계와 수궁계를 개입시켜 현실계의 갈등을 약화시키는 대신, 여성의 효열의식을 강조하고 있다. 「정효부전」에서는 효열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희생한 정씨부인이 「금쇄기」보다도 더욱 다양한 환상계를 여행하며 보상으로 남편과 함께 현실계로 귀환할 뿐 아니라 가문을 부흥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우공과 동해효부」 고사에서부터 나타나는 ‘송사의 부당함과 여성의 원통함’이라는 주제는, 서로 다른 시공간에서 창작된 개별적인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효열의식을 강조하는 작품으로 변모하였다. 그 이면에는 왕조 말기의 혼란함을 유교적 가치의식의 강화로 극복해 보고자 하는 보수적 대응방식이 문학작품에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금쇄기」, 「정효부전」은 이러한 의식이 반영된 문학 개작의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arratives and themes that appear in Korean-Chinese works 「Duawon」, 「Geumswaegi」, and 「Jeonghyojeon」, which accepted the history of 「Ugongg and donghaehyobu」. To this end, the meaning of 「Wukong and Donghae Hyobu」 in 『Hanso』 and 『Susingi』 was found, and 「Duawon」 and 「Geumswaegi」 accepted both stories, but 「Jeonghyobujeon」 was based only on the history contained in 『Hanso』. Looking at the theme aspect, 「Duawon」 critically represents the problem of women who were killed unfairly due to absurd reality, while 「Geumswaegi」 emphasizes women’s sense of filial piety instead of weakening real-world conflicts through the heavenly and the royal world. In 「Jeonghyojeon」, Mrs. Jeong, who sacrificed her life for ‘filial piety-fidelity’, travels to a more diverse fantasy world than 「Geumswaegi」, not only returning to reality with her husband as a reward, but also reviving the family. The theme of “unfairness of trial and women’s resentment” from the story of 「Ugongg and donghaehyobu」 has been transformed into a work that emphasizes women’s sense of filial piety despite being individual works created in different time and space. Behind it, it can be seen that the conservative response method to overcome the confusion at the end of the dynasty by strengthening the Confucian sense of value worked in literary works. 「Geumswaegi」 and 「Jeonghyojeon」 can find meaning in terms of showing the direction of literary adaptation reflecting this consciousness.

      • KCI등재
      • 클라우드 데이터의 안전을 위한 가상 저장기술에 관한 연구

        조재현(Jaehyun Cho),이대성(Daesung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최근 클라우드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많은 기업들이 다양한 기업용 클라우드 서비스를 개발 및 보급하고 있지만, 많은 연구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활성화의 저해요인으로 보안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데이터가 로컬 컴퓨터가 아닌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기 때문에 해킹을 당하거나 악의적인 공격자에 의해 유출될 경우 많은 피해가 우려된다. 본 연구는 해킹이나 악의적인 공격자에 의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유출되더라도 그 데이터를 쉽게 읽지 못하도록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