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용적 디자인 관점의 신체생활기능 분류‧평가체계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신체기능 분류‧평가체계 분석을 중심으로

        김태선,조재경,Kim. Taesun,Cho. Jaekyung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2

        고령사회, 위험사회 등 사회변화를 볼 때, 종래의 산업적 이익을 우선시하는 디자인 개발풍토에서 벗어나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상황 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포용적 디자인의 적용을 위한 도구개발의 차원에서 신체 생활기능 분류 평가체계 개발의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에 문헌연구와 내용분석법을 통해 포용적 디자인의 의미와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포용적 디자인의 관점에서 핵심적 신체 기능인 신체생활기능을 정의했다. 그리고 신체 생활기능 분류 평가체계의 개발방향 도출을 위해 대표적 신체기능 분류 및 평가체계를 조사, 분석했다. 대표적 분류 평가체계로는 한국장애분류 평가,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 평가 맥브라이드 신체장해 분류 평가, 사이먼 키츠와 존 클락슨의 분류 평가, (도구적)일상생활수행능력 평가체계를 조사 분석했다. 그 결과 분류체계에 대해서는 ‘감각기능, 정신 언어기능, 운동기능’ 중심의 구성, 다 른 신체기능 분류체계와의 연계성 확보, 디자인을 넘어 다른 영역에서 활용 가능한 범용성의 확보를 개발의 방향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이 도출결과를 종합하면, 국제표준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범분야적 활용 가능성이 확보된 ‘국제기능 장애 건강분류’를 바탕으로 기능을 선별하는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평가체계의 경우, 상황 동작 묘사적 표현에 의한 직관적 척도, 비장애 기능제약 손상 수준의 신체능력 정도를 포함하는 평가범위, 척도항목 간 위계와 함께 (숫자 등에 의한)능력 총합점수의 제시가 필요함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포용적 디자인의 도구로써의 신체생활기능분류 평가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다. 이에 포용적 디자인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하지만 이것은 향후 신체 생활기능 분류 평가체계의 개발에 활용될 때 실제적으로 의미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신체 생활기능 분류 평가체계의 개발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Such as aging society, risk society and so on, societal changes asks to escape from the traditional industrial design approach concerning industrial benefits more into new approaches as alternatives. In these circumstances, in order to boost and create a tool for inclusive design, this study aims to suggest guidelines to develop a comprehensive body function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syste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mainly through adopting literature review and analytical method, understood meaning and ethos of inclusive design. Then, comprehensive body function, playing core roles in using products, was defined and representative body function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systems were analyzed. Finally, having this knowledge and information, guidelines for the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system of comprehensive body function were drawn. As representative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systems, Korea disability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Mcbride evaluation system of permanent impairment, Simeon Keats and John Clarkson system, (Instrumental)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chosen and analyzed. As the result of analysis, for the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system, it would be needed that consisting of ‘sensory-mind and language communication-motor functions’, acquiring consistency with other disability/body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s, generality used in other areas beyond industrial design. It demonstrates that effective could be an approach selecting the core functions from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which was developed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system, it would be necessary that promoting intuitive understanding with descriptive expression of scales, comprehensive evaluation range including minor impairments, numeric total scores(grades) of body functioning besides hierarchy between scales. As fundamental resour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helpful to develop the comprehensive body function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system. Thus, this study could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creating inclusive design tools. However, this menas all of the finding in this study could be valuable when they are used for the comprehensive system. Hence, executed should be a follow up study developing the comprehensive body function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system.

      • KCI등재

        무료공개 3D모델링 소프트웨어 사용자 경험 분석을 통한 교육용 3D모델링 소프트웨어 개발유형 제안

        이국희 ( Guk-hee Lee ),조재경 ( Jaekyung Cho ) 한국감성과학회 2017 감성과학 Vol.20 No.2

        3D프린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3D프린팅에 선행되어야 할 3D모델링 교육에 대한 관심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3D모델링 소프트웨어들은 대부분 외국 브랜드에서 개발하였고,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가 모두 영어되어 있기에 이러한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한국인 입문자들을 대상으로 3D모델링 소프트웨어 교육을 수행하기에는 제약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면서 3D프린팅을 위한 한국형 3D모델링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3D모델링 경험이 없는 사람들로 하여금 입문자들의 접근이 용이하다고 알려진 대표적인 무료공개 3D모델링 소프트웨어 123D Design나 Tinker CAD 중 하나로 집만들기 과제를 수행하게 한 후, 이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Tinker CAD에 대한 사용자 경험이 123DDesign에 대한 것보다 호의적이고, 전자를 경험하면서 발생한 오류가 후자를 경험하면서 발생한 오류보다 적으며, 전자에서 과업을 완료한 사람의 비율이 후자에서 과업을 완료한 사람의 비율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논의에서는 Tinker CAD의 특성(입체도형을 통해 쉽게 모델링 가능)과 웹 기반 구동방식을 적용한 입문자 교육용 3D모델링소프트웨어 개발 및 123D Design의 특성(세밀한 치수조작과 도형정렬 가능)과 윈도우 기반 구동방식을 적용한 초?중급자 교육용 3D모델링 소프트웨어 개발을 제안하였다. With increasing interest in 3D printing, the interest in the 3D modelling training that should precede the 3D printing is increasing. However, the existing 3D modelling software is developed mostly by foreign brands. Thus, the interfaces are all in English. 3D modelling software training for Korean novice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se terms has constraints.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at to consider when developing a Korean model for 3D modelling educational software for 3D printing in the face of such reality. For this goal, after having novices with no experience in 3D modeling to perform a house building task using either 12D Design or Tinker CAD, we conducted a survey. It was found in the result that more users favored Tinker CAD over 123D Design, and the errors involved while working with the Tinker CAD were less than those with the 123D Design, and the ratio of people who completed the task with the Tinker CAD was higher than that with the 123D Design. In general discussion, an introductory level educational 3D modeling software development is proposed which utilize characteristics of Tinker CAD (easy modelling is possible by three-dimensional figures) and web-based method. Also, a beginner/intermediate level educational 3D modeling software development is proposed which utilize characteristics of 123D Design (with finer measurement manipulations and figure alignment) and Windows-based method.

      • KCI등재후보

        여성의학과 의료 서비스디자인 개선 연구

        신지연(Shin, Jiyoun),조재경(Cho, Jaeky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3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2 No.3

        최근 사회 전반에 걸쳐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의료서비스와 관련해서도 보다 환자를 배려하는 질높은 서비스와 진일보한 의료 환경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보건 의료 분야에서도 디자인과 의료 서비스의 접점을 찾아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디자이너의 시각에서 역량을 발휘하여 의료서비스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나타나게 되었다. 따라서 여성의학과 병원의 경우에도 미용 관련 산업이나 산후조리원, 레스토랑 또는 카페 등의 외식업과 연계하여 여성의 심리적, 행동적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시설이 늘어났으나 이와는 별개로 정작 여성의학과와 관련된 치료나 시술을 자유롭고 떳떳하게 받을 수 없는 환경에 놓인 미혼 여성에 대한 배려는 매우 미약하다. 오늘날 우리 사회 젊은 층의 성의식이나 태도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특히 개방된 성 의식과 문화의 유입으로 기성세대와는 달리 성에 대해 자유로운 가치관과 태도를 지닌 사람이 많아졌다. 그러나 피임 교육과 임신, 출산에 대한 사회적 안전장치에 대한 논의와 적절한 대안은 제시되지 않은 채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이 여성의학과 병원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장애요인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관찰 및 심층 인터뷰를 수행한 후 서비스 이용 단계에 따라 환자 여정 맵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환자가 서비스의 전 과정에 걸쳐 사생활의 침해에 따른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특히 다른 환자의 시선이 불편하게 느껴지거나 의료진이 환자에 대해 공감하고 배려하는 정도가 낮은 데서 오는 불쾌함을 토로한 환자가 많아 심리적인 장애 요인이 분명히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여성의 눈높이에서 진행되는 연구를 통해 임신 및 출산을 목적으로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는 물론 전 연령의 여성 환자의 편의 향상에 그 궁극적 목적이 있다. 또한 디자이너의 활동 무대가 단지 제품이나 광고 등 상업적 이익 창출에만 머무르지 않고 보건의료 분야의 문제를 다루고 나아가서는 사회적 차원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보다 표준화된 디자인 방법과 도구를 활용하여 기여함으로써 공공의 이익과 사회 전반에 걸친 서비스의 질적인 발전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variety of demands of high quality service for patients and advanced medical environments has been raised to medical services in along with the increasing proportion of service industry in the overall aspects of society. In the health and medical area, there was an attempt to solve problems by finding out a contact point between design and medical services, and also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solve medical service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ers. Accordingly, in case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there are increasing number of medical facilities providing services reflecting women’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features in connection with beauty industry, postnatal care center and food service industry like restaurant and cafe. Besides, it is still very insufficient to consider single women who are not properly cared or treated in relation with obstetrics and gynecology. Social awareness on single women who had experiences in sexual discourse is still negative, and women suffering from diseases could not properly express their own disease which tends them to aggravate diseases. This study would like to examine various barriers in the use of actual services together with background in which patients would not use medical services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then attempts to find improvement measures to consider women by means of service designs. Through the study carried out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 this study aimed to improve convenience of all aged women as well as patients for pregnancy and child birth. And the activities of designers do not remain in commercial profits such as product or advertisement but could involve health and medical problems. Furthermore,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quality development of services for public benefits and social benefits by providing standardized design method and tools to solve problems of social level.

      • KCI등재

        3D프린팅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 분석과 서비스 방향제안

        이국희(Guk-Hee Lee),조재경(Jaekyung Cho)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1 No.1

        삼차원 프린팅(이하 3D프린팅)은 현대인들에게 새로움과 흥미를 줄 뿐 아니라 새로운 산업혁명을 예고할 정도로 각광받는 기술이다. 또한 다양한 3D프린팅 서비스 플랫폼의 출현으로 개인들도 3D프린팅으로 디자인한 제품을 쉽게 소유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3D프린팅이 대중화되는 시대, 3D프린팅으로 누구나 원하는 제품을 디자인해서 만들 수 있는 신제조시대가 오기까지는 아직 고려할 문제들이 많아 보인다. 예를 들어, 과연 현존하는 3D프린팅 서비스들이 기존에 기계나 사람이 제작하던 제품을 3D프린팅으로도 만들 수 있다는 것 이상을 보여줄 수 있는지, 현존하는 대다수의 3D프린팅 서비스 플랫폼들처럼 넓은 범위의 제품군을 판매하는 것이 소비자들에게 어떤 의미를 제공할 것인지 등에 대한 충분한 고려와 연구가 필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시작한 본 연구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제품군의 범위가 넓은 3D프린팅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과 상대적으로 좁은 서비스를 직접 경험해보게 한 후, 구매희망 사이트, 디자인의 다양성, 디자인 만족도, 지각된 기술력, 지각된 구매만족, 지각된 애프터서비스(A/S)를 비교하고 선택형 질문과 서술형 질문에 응답하게 함으로써 향후 3D프린팅 서비스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무엇인지에 대한 통찰을 얻고자 했다. 결과적으로 제품군의 범위가 넓은 서비스(예: Shapeways)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가 좁은 서비스(예: Digital Forming)에 대한 선호보다 전반적으로 강함을 관찰하였고, 디자인의 다양성과 원하는 디자인의 구현 가능성이 3D프린팅 서비스가 고려해야할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하여 향후 경쟁력 있는 3D프린팅 서비스가 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디자이너풀을 확보를 통한 디자인 컨설팅을 진행, 초보자들도 쉽게 디자인할 수 있는 웹기반 소프트웨어 제공, 온-오프라인 매장 병행운영에 대해 논의하였다. Three Dimensional Printing (herein, 3D printing) not only gives novelty and interests to modern people but is also a spotlighted technology that could herald a new industrial revolution. The introduction of various 3D printing service platforms has enabled individuals to easily possess products designed through 3D printing.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issues to consider until the era of new manufacturing, when 3D printing becomes available to the general public so that anyone can make and design products with 3D printing. For instance, there needs to be sufficient consideration and research on whether the current 3D printing services can prove their higher capability to produce products conventionally done by machines and hands through 3D printing, and on the meaning of selling a wide range of product families like those of most 3D printing service platforms to the consumers. This study, which was initiated in this context, aimed to gain insight on the directions that 3D printing services need to advance going forward by letting consumers have first-hand experience on 3D printing online service platforms with a wide range of product families and those with relatively limited services, and then asking them to answer multiple-choice and short-answer survey questions on the websites they wish to purchase from, diversity of designs, design satisfaction, perceived technical skills, perceived purchase satisfaction, perceived after-sales service(A/S). As a result, we were able to witness that consumers generally had a strong preference for services with a wide range of product families (e.g. Shapeways) compared to services with a narrow range (e.g. Digital Forming). We also verified that design diversity and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the designs were the crucial aspects that need to be considered with 3D printing services. Moreover, we also carried out discussions on carrying out design consulting by securing a pool of designers from diverse fields, on providing web-based designing software that can be utilized even by beginners, and on operating shops both online and offline in order to provide more competitive 3D printing services.

      • KCI등재

        3D프린터 사용자들의 3D모델링 소프트웨어 사용경험 탐색 및 한국인을 위한 3D모델링 소프트웨어 개발제안

        이국희(Guk-Hee Lee),조재경(Jaekyung Cho)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2 No.2

        3D프린팅 기술의 발달은 표준화된 디자인적 요소를 추출하여 소품종 대량생산하던 2차 혹은 3차 산업시대의 생산방식에서 벗어나, 창작자의 개성을 반영한 창작물을 대량으로 제작할 수 있는 다품종 대량생산 및 개인 맞춤형 생산의 시대를 새롭게 만들어 가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3D프린팅을 통해 다품종 대량생산 혹은 개인 맞춤형 제작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3D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 하며, 이 소프트웨어가 어떤 기능을 지원하는지에 따라 창작물의 형태와 유형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3D프린터를 사용하여 창작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작업에 활용하는 3D모델링 소프트웨어가 무엇이며, 이 소프트웨어를 통해 어떤 유형의 창작물을 제작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3D프린팅 창작자들의 활동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한국 최대의 3D프린팅 창작자 커뮤니티인 오픈크리에이터즈의 회원 60명에게 3D프린팅 창작을 위해 사용해본 3D모델링 소프트웨어, 3D프린팅에 가장 적합한 3D모델링 소프트웨어, 해당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주 출력하는 창작물의 유형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설문조사 참가자들의 응답비율과 응답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한국의 3D 프린팅 창작자들은 Rhino와 123D Design을 주로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Rhino는 3D프린터 산업 종사자들 중심으로 시제품, 샘플, 실물모형을 제작하는 것에 사용하며, 123D Design은 교육보조도구, 액세서리, 가정용 인테리어 소품 등의 교육 및 취미활동에 사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Rhino와 같은 실무형 소프트웨어와 123D Design과 같은 입문자 교육 및 개인 제조형 소프트웨어를 별도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함과 특정 산업유형에 특화된 3D모델링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한국의 개인 창작자들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While the second and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s made it possible a few standardized designs to be extracted and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3D printing technology allowed many individuals to reflect their unique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ir creative works and produce them in large quantities—i.e., personally customized designs and mass production of various designs. However, for the customized designs and the mass production of various designs through the 3D printing technology, the individuals should use a 3D modeling software and the supporting features of the software can significantly affect the type and shape of a creative work.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individuals who design the creative works using 3D printers about the type of software that they use and the type of creative works that they design using the software, to propose a possible direction of new software that supports their activities. To do this, we first surveyed sixty members of the OpenCreators, which is the largest 3D printing creator community in South Korea, about the 3D modelling Software that they use for their 3D printing creations, the best 3D modelling software for the 3D printing, and the type of frequently printing creation using the best 3D modelling software. We then analysed the response results. As a result, we found that most of 3D printing creators in South Korea use Rhino and 123D Design. More specifically, the Rhino was being widely used by the people in the 3D printing industry to print prototypes, samples, and mock-ups, while the 123D Design was being mainly used for general purposes such as educational tools, accessories, and home interior accessories. Therefore, we believ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oftware in two separated categories, i.e. for the business, like the Rhino, and for the beginners, and educational and personal purposes, like the 123D Design. Finally, we stressed and proposed the necessity to support individual creators by developing an industry-specific 3D modeling software.

      • KCI등재

        글리포세이트 중독 환자에서 급성 신손상 발생의 임상 양상과 위험 인자

        박형훈 ( Hyung Hun Park ),최규일 ( Kyu Ill Choi ),이제원 ( Je Won Lee ),박정민 ( Jung Min Park ),박진욱 ( Jinwook Park ),노상문 ( Sang Moon Noh ),조재경 ( Jaekyung Cho ),이대로 ( Daero Lee ),조재철 ( Jae Chul Cho ),박동찬 ( Dong C 대한임상독성학회 2020 대한임상독성학회지 Vol.18 No.2

        Purpose: Acute kidney injury (AKI) in patients with glyphosate poisoning has a poor prognosis. This study aimed to predict the risk factors for AKI in patients with glyphosate poisoning at the emergency department (ED). Methods: Clinical data on glyphosate poisoning patients at ED who were older than 18 years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19.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outcomes of the AKI group in patients with glyphosate poisoning were compared with the non-AKI (NAKI) group. Results: Of 63 glyphosate poisoning patients, AKI was observed in 15 (23.8%). The AKI patients group showed the following: old age (p=0.038), low systolic blood pressure (p=0.021), large amount of ingestion (p=0.026), delayed hospital visits (p=0.009), high white blood cells (WBC) (p<0.001), high neutrophil counts (p<0.001), high neutrophil-lymphocyte (LN) ratios (p<0.001), high serum potassium (p=0.005), low arterial blood pH (p=0.015), and low pO2 (p=0.021), low bicarbonate (p=0.009), and high Poisoning Severity Score (PSS) (p<0.001). AKI patients required hemodialysis, ventilator care (p<0.001, p=0.002), and inotropics (p<0.001). They also showed more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p<0.001), longer hospitalization (p<0.001), and high mortality (p<0.001). Logistic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igh WBCs (OR, 1.223) and increased LN ratios (OR, 1.414)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AKI. Conclusion: In patients with glyphosate poisoning at ED, high WBCs and increased LN ratios can help predict the occurrence of AK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