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쓴맛 수용체 TAS2R38 유전자 변이와 한국인의 체성분 상관성 연구

        조이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bitterness-receptor gene taste 2 receptor member 38 (TAS2R38, T2R38) is reportedly associated with bitterness sensitivity and dietary behavior and also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regulation of appetite, energy balance, and adiposity-related digestive function, independent of dietary consumption. However, most studies on this association have been conducted in Western populations, and evidence regarding the Korean population is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scertain whether the TAS2R38 rs10246939 C>T genetic variation is associated with body size and composition in Koreans. It included 1,843 males and 1,801 females from the Ansan/Ansung cohort,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and analyzed their TAS2R38 rs10246939 genotypes, general characteristic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height, weight, waist and hip circumferences, waist-to-hip ratio, and body mass index [BMI]), and body composition indices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fluid content, body water content, muscle mass, lean body mass, protein content, mineral content, body fat, fat mass, abdominal fat mass, and obesity degree) via a sex-stratified approach. Based on a recessive genetic model (CC+CT vs. TT), participants with the TT genotype exhibited greater BMI (24.9±3.0 kg/m2, adjusted p=0.027), fat mass (31.5±5.2%, adjusted p=0.049), and obesity degree (123.2±15.3%, adjusted p=0.017) values than those with the C allele (CC+CT). Further, in females, the TT genotyp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MI (B=0.428, adjusted r2=0.014, p=0.032), fat mass (B=0.743, adjusted r2=0.035, p=0.026), and obesity degree (B=2.363, adjusted r2=0.029, p=0.019) compared with the C allele (CC+CT). Moreover, the risk of obesity increased 1.382-fold in females with the TT genotype (95% confidence interval=1.038-1.840) according to an adjusted model with various participant demographic, sociological, and dietary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this study's findings suggest that the TAS2R38 rs10246939 genetic variation is associated with BMI, fat mass, and obesity degree in Korean females. 쓴맛 수용체 유전자 taste 2 receptor member 38(TAS2R38)은 쓴맛 민감도 및 식행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이 섭취 및 이와 독립적으로도 다양한 질환의 병태생리 및 식욕 조절, 에너지 균형, 지방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TAS2R38 유전자와 비만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주로 서구인이 대상이거나 체질량지수 단일 지표만으로 분석된 경우가 많으며, 한국에서 체성분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TAS2R38 rs10246939 C>T 유전자 변이와 한국인의 다양한 신체계측치 및 체성분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자료(안산안성코호트)를 이용하여 총 3,644명(남성 1,843명, 여성 1,801명)의 TAS2R38 rs10246939 유전자형과 신체계측치 및 체성분지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TAS2R38 rs10246939 유전자형과 성별에 따른 일반적 사항, TAS2R38 rs10246939 유전자형과 성별에 따른 신체계측치 및 체성분 지표와의 상관성 분석은 general linear model, chi-squared test, student's t-test, regression analysis 등을 이용하였다. General linear model와 regression analysis 분석 시 연령, 거주 지역, 경제 수준, 교육 수준, 음주 및 흡연 상태, 신체활동량, 총 에너지 섭취량을 포함한 공변량 유무에 따라 분석하였다. TAS2R38 rs10246939 유전형은 에너지 섭취량과 관련성이 없었으며, recessive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TT 유전자형을 가진 여성이 C allele(CC+ CT)을 가진 여성보다 body mass index (BMI, 24.9±3.0, p=0.027), fat mass (31.5±5.2, p=0.049), obesity degree (123.2±15.3, p=0.017)가 높았다. linear regression analysis 분석 결과, TT 유전자형을 가지는 사람이 C allele를 가지는 여성보다 BMI는 0.428kg/m2 (B=0.428, adjusted r2=0.014, p=0.032) fat mass는 0.743% (B=0.743, adjusted r2=0.035, p=0.026), obesity degree는 2.363% (B=2.363, adjusted r2=0.029, p=0.019) 증가하였다.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분석 결과 TT genotype을 가지는 경우 C allele를 가지는 사람보다 비만할 확률이 Model 1에서는 1.344배 (95% CI=1.012-1.784), 공변량을 고려한 model 2에서는 1.382배 (95% CI=1.038-1.84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인 여성에게서 TAS2R38 rs10246939 유전자 변이가 일부 신체계측치, 체성분 지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AS2R38 쓴맛 수용체 유전자 다형성이 향후 비만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맞춤형 식생활 관리에 응용될 수 있는 유전지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남녀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조이슬 동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남녀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조이슬 동신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지도교수: 박희현) 본 연구는 광주·전남지역 소재의 남녀 대학생 479명을 대상으로 남녀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측정도구는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 한국판 희망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검증을 위해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Baron과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희망, 대학생활적응 간의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생활스트레스 하위요인들과 희망, 대학생활적응은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희망과 대학생활적응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생활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희망 수준은 낮았고, 대학생활적응 수준도 낮았으며, 희망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 수준도 높았다. 둘째, 여자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희망, 대학생활적응 간의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생활스트레스 하위요인들과 희망, 대학생활적응은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희망과 대학생활적응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생활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희망 수준은 낮았고, 대학생활적응 수준도 낮았으며, 희망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 수준도 높았다. 셋째, 남자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희망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했다. 생활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에 직접 유의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희망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자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희망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했다. 생활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에 직접 유의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희망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남녀 대학생이 어느 영역에서 주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지 파악하여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고 보다 대학생활을 적응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는데 필요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즉, 개인 내적인 자원인 희망을 강화할 수 있는 상담 개입과 프로그램의 개발이 남녀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를 줄이고 대학생활적응 수준을 높이는 것에 있어 효과적일 것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어: 생활스트레스, 희망, 대학생활적응 A mediation effect of Hope on relationship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Jo I seul Counseling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Dongshin University (Direct by Professor Park Hui hyun) This study examined an mediation effect of hope on relationship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for 479 male and female students enrolled in colleges located in Gwangju·Jeonnam province.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 Korean version of hope scale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cale was used as main measurement instrument. For test in the research, a correlation between research variables was analyzed, and mediation effect was tested through Baron and Kenny’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male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hope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Sub-factors of life str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hope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it was shown tha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ope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s life stress increased, the level of hope decreased, and level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also decreased. And as the level of hope increased, the level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also increased.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hope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sub-factors of life str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hope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it was shown tha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ope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s life stress increased, the level of hope decreased, and the level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also decreased. And the level of hope increased, the level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also increased. Third, there was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effect of hope on relationship between male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It was shown that life stress had not on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but also effect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rough the mediation of hope. Fourth, there was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effect of hope on relationship between female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It was shown that life stress had not on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but also effect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rough the mediation of hope. The above-mentioned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needed for helping reduce stress level and more adaptably live college life by understanding in which area the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experience major stress. In other words, this study implies that the development of program and counseling intervention making it possible to enhance hope, each person’s internal resource, will be effective in reducing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and raising the level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direction for further research was discussed. Key Words: Life stress, Hope, Adaptation to College Life

      • 대학에서 실시하는 취업지원프로그램과 구직효능감의 관계 연구

        조이슬 대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administered by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nd job seeking efficacy. universities in Korea conducts variety of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but it in the students on a specific analysis of the effects is lacking. In order to evaluate these effects, the following statistical questions are considered in this study: First, Does personal characteristics affect participa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Second, Does participa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affect job seeking efficacy? Third, Does participa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with job seeking efficacy have a relationship? Fourth, Does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participation number of times with job seeking efficacy have a relationship? Fifth, Does satisfac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with job seeking efficacy have a relationship? By questioning through 853 students of 3 grade and 4 grade of four years course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nd applying statistical methods, five results are found: First, no differences are found on participa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by gender of students. however, student’s grade level, major series, major satisfaction affects participa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Second,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arch target, job search motive, job search intensity, job search skill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is higher the students who non-participated in it. Third, participa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arch motive, job search intensity, job search skill. Fourth,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participation number of times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arch target, job search motive, job search intensity, job search skill. Fifth, the job searching camp's satisfaction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arch target. the job searching exhibition’s satisfaction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arch skill. the job searching lecture's satisfaction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arch motive, job search intensity, job search skill. the job searching course’s satisfaction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arch target, job search motive, job search skill. finally, the job searching club’s satisfaction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arch motive, job search skill. In order to increase job seeking efficacy of students, universities need to publiciz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in addition, universities ne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finally, universities need to invent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which supplement the insufficient part. 본 연구는 대학에서 실시하는 취업지원프로그램과 구직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청년실업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대학에서는 다양한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대학에서 실시하는 취업지원프로그램이 4년제 대학교 재학생에게 미치는 구체적인 효과에 대한 보고나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에 따른 구직효능감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구직효능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넷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횟수는 구직효능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다섯째, 취업지원프로그램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등을 연구문제로 정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취업지원프로그램을 개발ㆍ운영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구ㆍ경북지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ㆍ4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853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김병숙 등(2009)이 개발하여 사용한 구직효능감 측정도구를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PASW(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18.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은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학년, 전공계열, 전공만족도는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자가 취업지원프로그램 비참여자에 비해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목표, 구직동기, 구직강도, 구직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동기, 구직강도,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횟수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목표, 구직동기, 구직강도,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취업캠프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하위요인 중 구직목표와 정(+)의 관계가 있으며, 취업박람회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하위요인 중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내 취업특강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동기, 구직강도,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으며, 학기별 취업강좌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목표, 구직동기,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취업동아리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동기,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참여, 참여 횟수, 만족도가 구직효능감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구직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취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권장과 홍보가 필요하며, 대학생이 다양한 취업지원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취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대학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부족한 부분을 상호 보완할 수 있는 통합된 형태로의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정서발달 향상을 위한 미술심리치료 연구

        조이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 문 초 록 초등학생은 집단으로 모여 성장하는 시기로써 부모님들의 안정된 교육과 보살핌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가족들 간에 해체와 갈등, 워킹 맘등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한 부적절한 양육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그에 맞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부족으로 인해 초등학생들 스스로가 학습에 집중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고, 학습 문제에 부딪혔을 때 스스로 해결할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교육은 사람의 행복을 결정하는 중요한 점으로 볼 때, 현재 초등학생들에게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 교육은 교과의 체계성을 기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정보나 재능을 보다 더 잘 이용하여 초등학생 스스로 새로운 것을 창조 할 수 있는 능력을 만들기에는 부족하다. 이러한 교육이 지속될 경우, 아동들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문제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반사회적인 행동과 부정적인 가치관을 나타내는 성격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부모들은 이러한 문제들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그에 마땅한 해결방법을 알지 못해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이러한 문제들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중이다. 아동들이 타인 관계에서의 문제와 반사회적인 행동을 일으키고 부정적인 가치관을 형성하기 전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응책이 필요하다. 먼저 필자는 아동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응책을 미술교육에서 찾고자 했다. 하지만 기존의 미술교육은 창의성 발달과 아동의 정서를 치료하는 인격적 발달 수단으로서의 교육이라기에는 많은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미술교육 중에서도 미술심리치료를 통한 ‘창의성 교육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미술심리치료란, 회화·조소·미술놀이 등을 다양하게 사용하여 사람들의 심리적인 문제를 미술로서 치료해주는 것을 말한다. 미술교육에서 말하는 미술심리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하고, 그것을 ‘창의성 교육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활동을 통해 미적감상을 향상시키고 초등학생들에게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하여 자아 존중감과 정서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그러므로 필자는 다양한 미술심리치료 놀이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정서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좀 더 명료하게 밝히기 위해 본 연구는 표본 집단의 실험을 토대로 진행된다. 표본 집단의 실험은 미술 방과 후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아동 중 또래 아동에 비해 집중력이 현저히 낮거나 자존감이 낮은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미술심리치료 프로그램과 함께 그 기본 취지를 밝혔다.

      • 트레이시 에민(Tracey Emin, 1963~)의 <나의 침대 My Bed> 연구

        조이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영국의 미술가 트레이시 에민(Tracey Emin, 1963 ~ )의 〈나의 침대 My Bed〉를 다룬 연구이다. 연구 전체를 관통하는 질문은 두 가지다. 첫째, 에민은 왜 자신의 물건을 작품의 오브제로 사용했으며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 둘째, 에민의 사적 생활의 표출이 에민의 작업과 삶에서 무엇을 의미하는가. 〈나의 침대〉는 에민이 이성과의 이별 후 나흘 간 머물렀던 그의 침대를 전시실로 옮겨 놓은 것으로, 하나의 침대와 침대 주변의 다양한 오브제로 구성된 설치 작품이다. 이 작품은 1998년 도쿄에 있는 사가초 갤러리(Sagacho Exhibit Space)에서의 전시를 시작으로 1999년 뉴욕의 리만 머핀(Lehmann Maupin) 갤러리, 같은 해 런던의 테이트 브리튼(Tate Britain)에서 전시가 되었고 현재까지 전시되며 대중에 공개되고 있다. 에민은 열세 살에 성폭행을 당하는 등의 성적 학대를 경험했고, 혼혈아라는 이유로 따돌림을 당하는 등 학교 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열세 살에 학교를 그만 두었다. 그 후 에민은 십 대 시절을 다수의 남성들과 숱한 성관계를 맺으며 보냈다. 성인이 된 이후에도 에민은 여러 남성과 관계를 맺었으며, 그 결과 두 번의 임신과 두 번의 임신 중절 수술을 경험했다. 이후 에민은 심각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를 갖게 되었다. 에민은 우연한 기회에 미술을 접했으며 미술가로서의 경력을 만들기 시작했다. 에민의 작업은 주로 그의 사적 생활과 감정을 주제로 삶을 이야기 하며, 그가 겪어온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나의 침대〉는 에민의 감정적 상처와 스트레스가 나타나는 사적 영역을 공적 영역으로 이동시킨 것이다. 〈나의 침대〉에는 에민의 불안정한 인간관계뿐만 아니라 삶의 고통이 드러난다. 에민은 도쿄 사가초 갤러리와 뉴욕 리만 머핀 갤러리의 〈나의 침대〉 전시에서 극적인 연출을 위해 올가미 모양 밧줄을 천장에 매달아 죽음을 의미하는 오브제로 사용하기도 했으며, 런던 테이트 브리튼 전시에서는 성적인 의미를 부각시켜 삶의 긴장을 두드러지게 나타냈다. 오브제 구성의 변화는 에민의 심리적 변화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에민이 시도한 〈나의 침대〉의 오브제 활용은 작가의 주체성과 직관을 강조한 레디메이드와 다다(Dada)와 뒤샹(Marcel Duchamp, 1887 ~ 1968), 라우센버그(Robert Rauschenberg, 1925 ~ 2008)의 업적을 계승하고 발전 시켰다. 〈나의 침대〉의 오브제는 그의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며 설치 미술로 치환된 자화상과 정물화의 성격을 보여주었다. 임신을 했지만 경제적 부담과 홀로 아이를 양육할 수 없다는 이유로 선택한 임신 중절 수술은 극심한 생활고를 겪고 정신적으로 고통 받던 에민을 미술가로서의 침체기에 빠지게 했다. 비록 자신이 선택한 임신 중절이지만 〈나의 침대〉에는 모성의 상실이 드러나거나 임신에 대한 두려움과 이별에 대한 고통과 불안감, 슬픔을 나타난다. 에민이 미술가로서 슬럼프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은 바로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 ~ 1900)의 사유로 에민의 예술관과 작업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니체는 예술을 삶의 중심적인 요소로 인식했으며, 예술로서의 삶을 주장했다. 에민은 니체의 사유를 받아들여 그의 고통을 창조적 힘에 대한 의지로 표현했다. 즉 예술과 사유의 매개를 〈나의 침대〉로 드러내며 고통을 긍정하는 삶의 의지를 보여주었다. 니체가 주장한 무질서, 본능, 비이성으로 표현되는 디오니소스적 정신은 〈나의 침대〉에 부조화의 방식으로 드러나고, 에민은 고통을 긍정함으로써 자유의 감정을 획득하고 스스로 가치의 주체임을 인지하여 의지를 더욱 강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에민은 〈나의 침대〉에서 그의 상처와 고통을 숨김없이 표현하였고, 그의 혼란과 고통을 고백하는 행위를 통해 카타르시스를 경험하며 치유의 순간으로 전환된다. 에민이 작업 과정에서 갖게 되는 치유의 경험은 관람자에 전달되며 상호 관계적 소통의 단계로 나아가게 된다. 에민은 〈나의 침대〉에 그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여 자신의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동시에 관람자들이 작가의 삶에 공감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였다. 따라서 〈나의 침대〉는 에민의 사적 생활의 욕구와 감정을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생의 의지와 창조적 주체성을 보여주며 사적 영역을 대중이 향유할 수 있는 미술작품으로 전환한 시도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focusing on My Bed of Tracey Emin(b. 1963). There are two questions in this entire study. First, why did Emin use her private objects as the objects of the installation and what does it mean in her work? Second, what does Emin's expression of her private life mean in the work and her real life? Emin made herself best known and controversial British artist by her work My Bed describing her real messy bed. My Bed was shown in 1998 for the first time in Sagacho Exhibit Space in Tokyo, Japan. The following year, Lehmann Maupin Gallery in New York, the USA, and also Tate Britain in London, the UK. Tracey Emin who is identified 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women artists in the UK seems that she is well educated in her life, but she has suffered from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which was from sexual abuse in her childhood. In 1990 and 1992, Emin became pregnant and had abortions twice that made her get traumas and pain. She has been recognized as confessional and has been well known for using a variety of mediums including drawing, painting, text, sculpture, neon, appliqué, photograph, film, monoprint, installation, performance, et cetera. Not only does she consider herself an artwork, but also Emin has made herself the subject in her oeuvre. Through her works, memorabilia and souvenirs from her life talk about her life and endless pain. Like her other works, My Bed reveals Emin’s private life. Bedsheets and her underwear covered with menstrual blood and also bodily secretions make audiences approach the work in a voyeuristic way. In terms of ready-made, objects of My Bed are related to herself and her emotions of that moment. Emin had tried to use objects to express the emotional situations and psychological situations. For example, in the Sagacho Exhibit Space and Lehmann Maupin Gallery, the wooden coffin box and suitcases chained and padlocked, roped together and the rope noose hanged under the ceiling describe sadness and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in Tate Britain, the wooden coffin box and rope noose were removed, it emphasizes sexual meaning rather than death. By utilizing ready-made as an object, it reminds that the legacy of Dada represented by Marcel Duchamp(b.1887 d.1968) and Robert Rauschenberg(b.1925 d.2008). Above all Emin has tried to show audiences My Bed as the self-portrait and the still life of 1990s style by connecting the past and present of her private life. The absence of her father, racism, sexual abuse in her childhood, and pregnancy, abortion in her adulthood have made her in trouble of having extreme poverty that discouraged her from attempting as an artist. Although Emin had decided the abortion by herself, there is still concern about maternity and a large amount of fear of being pregnant in her works. After having a second abortion, she committed ‘emotional suicide’ which means killing without dying. In this period, she removed what she painted and made. While she suffered from physical and psychological pain, Emin could see the bright side of life through taking philosophy courses for two years at Birkbeck, University of London. Especially, the philosophies of Friedrich Nietzsche(b.1844 d.1900) had a great effect on her view of art. Nietzsche considers art as a prime factor in one’s life. Based on Nietzsche’s philosophy, Emin’s private life is deeply absorbed into My Bed and this work has been distinguished by Emin’s confessional way to strengthen the will to power and eternal recurrence. Accepted agony in her life and acknowledged it her destiny, hardly ever did she hide her emotions like painfulness, loneliness, sadness, depression in her works. By discharging her pain and trauma, catharsis derived from her inner mind has been explored in her works. Having taken her private sector as her bedroom into the public sector as an exhibition room, she shares her life and communicates with audiences. Finally, Emin has achieved the freedom of expression which is connected to her emotion.

      • 역할놀이를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의 생명존중의식에 미치는 영향

        조이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Modern society has become increasingly indifferent to life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materialism, and such indifference to life and the loss of human morality have become a social problem. As a result of the life crisis that we face today, the natural environment is destroyed and many of animal and plant species face extinction each year. The incidents involving animal abandonment and animal abuse are increasingly becoming common these days, and such phenomenon reflects the widespread trend of devaluing life in our society. Among many other reasons, this paper asserts that the reason why people make light of the animal's life is primarily due to the lack of basic awareness that all life should be respected. The knowledge-centered education poses a problem in that, while such method of education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that life is precious, it doesn’t lead the students to actually practicing respect for life in reality as they fail to internalize the sense of respect for life. Given this, this study is motivated by the fact that true life respect education should encourage the students to learn by themselves through actual practices rather than merely explaining theoretical concepts. Although there are various educational methods to raise awareness of respect for life, it would be most effective to utilize actual case studies around us to understand and feel the importance of life through activities that allow the students to sympathize with animal and plant species and understand that they are living things—not toys—that hold the same feelings of joy and sadness as humans. According to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01), role play is one of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eaching values and attitudes. Role play is a learning method in which learners are trained to think and act on behalf of others by performing specific roles in various situations similar to real life. Typical educational functions of role play include 'empathy' that comprehends the feelings of others while empathizing with their thoughts and actions. The ability to move away from egocentrism to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with others is related to the attitude that perceives other living things as emotional beings. By engaging students in role play, this method aims to naturally enhance their respect for life by allowing the learners to think in the organic animals’ positions and empathizing with the pain the creatures would have received. Given thi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effect of role play and life respect educa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role play in the 6th grade art class on the students’ sense of respect for life. In order to achieve this, this study examines several theories behind the principle of life respect and role play by surveying the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literature, in addition to analyzing the 5th and 6th grade art textbooks with revisions made in 2009. Based on such findings, this study then constructs a teaching program for an art class with the aim to raise awareness of life respect. Utilizing role play, the lesson is structured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feel the value and importance of life through the activity of making comics about understanding the emotions of other living thing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e sample of 56 students across two different 6th grade classes from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ongdaemun-gu, Seoul, Korea. After conducting a homogeneity test, the 28 students from one of the classe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28 students from the other class were designated as a control group. In the control group, an art class based on textbooks and slides were carried out for eight sessions. On the other han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 art class using role play was conducted for 10 sessions. For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results, this paper uses SPSS Ver. 21.0 to process the life respect awareness test results from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closely examines the data analysis results to draw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life respect 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mean value increased in both controlled and experimental groups after the experiment while the magnitude of such increase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rate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character design and cut carto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rtoons produced by the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higher ratings than the control group in topic expression and expression method. In particular, the experiment group performed better in effectively communicating the purpose by displaying a sense of life respect through the subject expression in the cartoon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art lesson using role play has more positive effect on cultivating learner's sense of life respect than textbook and slide oriented art classes. Moreover, the paper asserts that art lessons using role play has positive effects on not only understanding the value of respect for life but also actually practicing the concepts in real life. 현대 사회는 환경오염, 물질만능주의 등으로 인하여 생명에 대한 무관심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간의 도덕성 상실과 생명에 대한 무관심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오늘날 우리가 처한 생명의 위기로 인해 자연 환경이 훼손되고 매년 수많은 동·식물들이 멸종 위기에 직면하였다. 최근 흔하게 발생하는 동물 유기 및 학대 사건 등은 우리 사회에 만연한 생명경시풍조를 보여준다. 사람들이 동물의 생명을 가볍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모든 생명은 존중되어야 한다는 기본적인 인식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지식위주의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생명은 소중하다는 사실은 알고 있지만 생명존중의식을 내재화하지 못하여 생활 속에서 생명존중을 실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참다운 생명 존중 교육은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것보다 실습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느낄 수 있도록 행하며 배워가는 것이다. 생명존중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함양하는 교육 방법은 다양하지만 우리 주변의 실제적인 문제를 바탕으로 생명체를 장난감이 아닌 기쁨과 슬픔 등 우리와 똑같은 감정을 가진 존재로서 이해하고 공감하는 활동을 통하여 생명에 대한 소중함을 느끼게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1)에 따르면 가치와 태도 교육에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 중 하나로 역할놀이가 있다. 역할놀이는 실제 생활과 유사한 여러 가지 상황에서 특정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훈련을 하도록 하는 학습방법이다. 역할놀이의 대표적인 교육적 기능에는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고 타인의 생각과 행동에 공감하는 ‘감정이입’이 있다.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은 다른 생명체도 나와 같이 감정을 지닌 존재로 지각하는 태도와 관련이 있다. 학생들이 역할놀이에 몰입함으로써 유기 동물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고 학대받는 고통과 아픔을 공감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생명존중의식이 함양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역할놀이의 교육적 효과와 생명존중교육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역할놀이를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의 생명존중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을 통하여 생명존중의식과 역할놀이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2009개정 초등학교 5·6학년 미술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생명존중의식 함양을 위한 미술과 수업을 설계하였다. 수업은 역할놀이를 활용하여 다른 생명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내용의 만화를 제작하는 활동을 통하여 생명의 가치와 중요성을 느끼도록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사전 동질성이 검증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소재의 S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총 56명을 표집하여 실험집단 1개 학급(28명)과 통제집단 1개 학급(28명)으로 구성하였다. 통제집단 학급은 교과서와 PPT위주의 미술수업을 8차시 동안 실시하였고, 실험집단 학급은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 수업을 10차시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을 실시한 후 생명존중의식 사전·사후검사 결과는 SPSS Ver.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고, 이와 함께 실기 결과물을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생명존중의식 사전·사후검사를 비교·분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사전 검사보다 사후 검사에서 생명존중의식의 평균값이 증가하였으나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이 생명존중의식의 평균값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기결과물인 캐릭터 디자인과 컷 만화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실기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주제표현, 표현방법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특히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주제 표현에서 작품 안에 생명존중의식이 잘 나타나고 목적에 맞게 표현하여 이미지를 설득력 있게 전달하였다. 따라서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수업이 교과서와 PPT위주의 미술수업보다 학습자의 생명존중의식을 함양하는데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수업은 생명존중 가치를 이해하고 생명존중의 필요성을 실제적으로 학습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의 생명존중의식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검증한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청소년들의 인성발달을 위해 생명존중교육 뿐만 아니라 실제 생활에 적용 가능한 교육방법인 역할놀이 활발한 연구와 적용이 필요하다. 역할놀이와 생명존중교육에 대한 연구는 시도되고는 있지만 미술과를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르면 학교 교육에서 미술은 바른 인성을 기를 수 있는 핵심 교과이다. 따라서 미술교과가 생명존중의식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교과임을 인지하고, 생명존중의식과 연계된 미술과 수업사례가 활발히 개발되고 생명존중의식 향상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 한국 결혼이주여성 지원제도에 대한 비판적 소고 : Nussbaum의 가능성이론(Capabilities Approach) 관점에서

        조이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현행 법제와 정책이 과연 이들을 다문화가족의 통합을 위한 수단적 대상이 아닌 독립적 주체(예컨대, 외국인 며느리가 아닌 한국인으로서)로 인식하고 있는지, 실제 정책내용이 이주여성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방향으로 구성되 어 있는지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Martha Nussbaum의 가능성이론(capabilities approach)을 기틀로 삼아 비판적 논의를 이어나갈 것이다. 추후 본문에서 상술하겠지만, 가능성이론은 한 사회의 구성원이 양질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책이 올바르게 구성되었는지를 가늠하는 규범적 기준과 같다. 특히 Nussbaum의 논의는 국가가 구성원의 삶의질(가능성 실현)을 위한 방향으로 법과 공공정책을 적실하게 마련하였는지를 살펴볼 수 있게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Nussbaum의 가능성이론에 기초하여 현행 지원제도가 이주여성이 자신의 삶에서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 光學셀 形象 變化가 生物粒子探知機 性能에 미치는 影響

        조이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A bio-fluorescence sensor is used to detect biological agents such as bacillus anthracis, variola virus, vegetative cell which attack human, animals and plants. When biological particles are exposed by UV (Ultra Violet), the scattering and fluorescence phenomena that distinguish between biological and non-biological particles are commonly induced. The UV-LED (Light Emitting Diode) as excitation source equipped in bio-fluorescence sensor have advantage of low cost, light weight, and low power consump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onfiguration of collection optics on the performance of a bio-fluorescence sensor, numerical study was performed with various types of optical lens and configurations of collection optics, using the commercial software, LightTools, to analyze illumination characteristics. The trajectory of light rays and the distributions of the irradiance were graphically depicted. In order to minimize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bio-fluorescence sensor, numerical study was performed with LED, lens, and collection optics equipped with bio-fluorescence sensor. Optical lens such as ball, bi-objective, aspherical shapes are designed to enhance the LED efficiency. As a result, decrease rate of the divergence angle, loss of irradiance, and beam size using bi-objective lens are 64%, 20%, and 97.8%. The collection optics designs were considered with magnifications, screen, and reflectance. In case of the magnification of 4, screen of circle-circle, and reflectance of 100% of collection optics, maximum irradiance was calculated in the receiver.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beam profiler and PMT (photomultiplier tube) and confirmed that the collection optics focus the light. 생물학 작용제는 군사작전에 사용되어 인체 및 동·식물에 질병과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무차별 살상무기이므로 조기에 탐지하지 못하면 큰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한 대비를 위해 생물학 작용제가 살포된 지역에 투입되어 대기 중에 부유하는 생물입자를 단시간에 정확한 탐지와 분류를 할 수 있는 고성능장비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생물입자 탐지기는 직접접촉하거나 전기화학적으로 또는 광학적인 탐지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화를 통한 탐지기의 휴대성이 양호하고 제작에 유리한 빛 파장의 흡수 원리를 이용하는 광학적인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광학셀을 이용한 생물입자 탐지기 원리는 광학셀 내부로 광원에서 나온 자외선과 대기 중에 부유하는 생물입자가 서로 직교방향으로 유입되는 구조인데, 자외선이 조사된 생물입자는 고유한 영역대를 발산하는 형광파장을 발산한다. 형광파장은 광학셀 내부표면에 반사되어 광전자 증배관에 도달하여 생물입자를 탐지하여 물성을 파악하게 된다. 생물입자 탐지기에서 광원은 일반적으로 자외선 영역대의 레이저가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저렴한 가격과 낮은 소비전력으로 구동되는 UV-LED (Ultra Violet-Light Emitting Diode)를 적용하였다. 생물입자 탐지기의 소형화와 탐지 성능 향상을 위해, 탐지기에 장착되는 LED 광원, 렌즈, 광학셀 (collection optics) 형상에 따른 광학적 특성을 분석을 위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LED 광원은 레이저 광원에 비해 출력 (power)이 작고 발산각이 크며 탐지영역에 도달하는 빛의 초점이 수렴되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광원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LED 광원 전면에 렌즈 배치를 고려하였다. 볼 렌즈 (ball lens), 이중대물 렌즈 (bi-objective lens), 비구면 렌즈 (aspherical lens)를 모델링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한 결과 UV-LED광원에 비해 이중대물 렌즈의 발산각은 64%, 광량손실은 20%, 빔사이즈는 97.8% 감소하여 3 가지 렌즈 중 가장 우수한 렌즈로 평가되었다. 광학셀 형상은 배율, 스크린 형상, 반사율 변화를 설계변수로 적용하여 각각 5 가지 case를 설정하였다. 광학셀 배율이 4일 때, 스크린 형상이 circle-circle인 경우, 반사율이 100%일 때 수용기에서 최대광량을 나타내었다. 수치해석 결과를 토대로 배율이 4 인 광학셀을 제작하여 빔 프로파일러와 광전자 증배관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광학셀을 통해 초점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간의 관계에서 불안민감성의 매개 효과

        조이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과의 관계에서 불안민감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 소재 4년제 대학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251명을 대상으로 완벽주의, 불안민감성, 학업적 지연행동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불안민감성의 매개 모형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불안민감성, 학업적 지연행동의 측정변수들의 상관계수를 살펴본 결과 측정변수 간 정적 상관이 있으며 모두 유의하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불안민감성이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불안민감성에 초점을 맞춘 상담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의의 및 추후 연구를 위한 논의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SIRT1 activators promote neuronal differentiation in 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조이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hMSCs), which have the capacity to differentiate into neurons, have been used in regenerative medical therapies for neurodegenerative disorders. However, the differentiation potency of donor stem cells should be improved prior to engraft, which limits their therapeutic efficacy. Many researchers have shown that activation of sirtuin1 (SIRT1) have functional effects including neuronal differentiation, neuroprotection and axon elongation.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whether resveratrol induces neuronal differentiation of human 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hBM-MSCs). Quantitative PCR results showed that resveratrol-treated MSCs (RSV-MSC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expression of the neuropro- genitor markers Nestin, Musashi, CD133 and GFAP. When RSV-MSCs were differentiated with neuronal induction media (RSV-dMSCs), they exhibited a cell body and dendritic morphology similar to neurons. The number and neurite length of these RSV-dMSC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differentiated MSCs (dMSCs). Both RSV-dMSCs and dMSCs have signifi- cantly increased expression of the neuronal-specific marker genes Nestin, Musashi, CD133, GFAP, NF-M, MAP-2 and KCNH1. The RSV-dMSCs also showed a increased expression of the neuronal marker proteins, Nestin and NF-M, based on immunocytochemical staining and immunoblot analysis. These effects were abolished by the treatment of SIRT1 inhibitor EX527. Therefore, I have shown that resveratrol treatment, along with the use of neuronal induction media, effectively stimulates neuronal cell differentiation of hBM-MSCs. Next, I investigated whether rolipram, phosphodiesterase 4 (PDE4) inhibiotr, induces neuronal differentiation of 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hBM-MSCs). Rolipram-treated MSCs (Roli-MSC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expression of the neuroprogenitor proteins Nestin, Musashi, GFAP and Sox-2. When Roli-MSCs were differentiated with neuronal induction media (Roli-dMSCs), they exhibited cell body and dendritic morphologies similar to those of neurons. The neurite number and length of Roli-dMSC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differentiated MSCs (dMSCs). Compared with undifferentiated hBM-MSCs, the Roli-dMSCs and dMSC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expression of the neuronal-specific marker genes, Nestin, Musashi, CD133, GFAP, NF-M, MAP-2, KCNH1 and KCNH5, and decreased expression of other lineage-specific markers Adiponectin, FABP4, MMP13 and ALP. The Roli-dMSCs also showed a higher expression of the neuronal marker proteins Nestin, Musashi, Sox-2, NF-M and Tuj-1 compared to those of the undifferentiated hBM-MSCs, based on immunocytochemical staining and immunoblot analysis. Thus, I have shown that rolipram promotes neuronal differentiation by the induction of neuroprogenitor expression in hBM-MSCs. Therefore, SIRT1 activators in hBM-MSCs may induce to neuronal differ- entiaton and improv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stem cell therapy for neurodegenerative disorders. 인간의 중간엽 줄기세포(hMSCs)는 신경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특징을 가져, 퇴행성 신경계질환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졌다. 이를 치료목적으로 이용할 경우, 줄기세포의 분화능은 치료의 효율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 최근 연구들에 의하면, sirtuin1 (SIRT1)의 활성은 신경분화, 신경보호 효과, 축삭돌기의 신장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인간의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hBM-MSCs)에서 resveratrol (RSV)이 신경분화를 효율적으로 유도하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quantitative PCR (qPCR)을 통해, 줄기세포 배양 배지에 RSV과 함께 배양한 세포(RSV-MSCs)는 control-MSCs (Ctrl-MSCs)와 비교하여 신경 전구체 마커인 Nestin, Musashi, CD133, GFAP의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RSV을 전 처리한 뒤, 분화유도 배양액으로 신경세포분화(RSV-dMSCs)를 유도했을 때, 전 처리 되지 않은 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신경세포(dMSCs)에 비해 분화율과 신경돌기의 길이 및 수에서 상당히 증가함을 보였다. qPCR을 통해 신경전구체 마커인 Nestin, Musashi, CD133, GFAP와 신경 특이적 마커인 NF-M, MAP-2, KCNH1을 확인해본 결과 상당한 증가폭을 나타내었다. 또한, immu- nocytochemical staining과 immunoblot analysis를 통해 RSV-dMSCs에서 Nestin, NF-M이 높은 수준으로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SIRT1의 억제제인 EX527을 중간엽 줄기세포에 처리한 결과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RSV 전처리 이후 신경분화 유도 시, 인간의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신경분화에 효과적으로 자극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phosphodiesterase 4 (PDE4)를 억제하는 rolipram이 인간의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신경분화를 효과적으로 유도하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줄기세포 배양 배지에 rolipram을 처리하여 배양한 세포(Roli-MSCs)를 qPCR을 통해 신경 전구체 마커인 Nestin, Musashi, CD133, GFAP의 발현을 확인해본 결과 상당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immunoblot analysis를 통해 신경전구체 마커인 Nestin, Musashi, GFAP, Sox-2의 단백질이 높은 수준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Rolipram을 전 처리 한 뒤, 분화유도 배양액으로 신경세포로의 분화(Roli-dMSCs)를 유도했을 때, 전 처리 되지 않은 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신경세포(dMSCs)에 비해 분화율과 신경돌기의 길이 및 수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qPCR을 통해 신경전구체 마커 Nestin, Musashi, CD133, GFAP와 신경 특이적 마커인 NF-M, MAP-2, KCNH1, KCNH5에서 상당한 증가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다른 계통의 특이적 마커인 Adiponectin, FABP4, MMP13, ALP의 발현은 감소하였다. 또한, immunocyto- chemical staining과 immunoblot analysis를 통해, Roli-dMSCs에서 Nestin, Musashi, Sox-2, NF-M, Tuj-1의 수준이 상당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인간의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rolipram 전처리 후 신경분화를 유도할 경우 그 효과가 증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SIRT1 활성제를 전 처리한 뒤 신경 분화를 유도할 경우, 퇴행성 신경계질환의 줄기세포 치료제로써 치료적 효능이 있음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