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노사이드, 기억, 죄책감 - 가지야마 도시유키(梶山季之)의 「이조잔영(李朝残影)」에 재현된 제암리 교회 학살의 의미 -

        조윤정 ( Jo¸ Yunjeong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硏究 Vol.43 No.-

        이 논문은 가지야마 도시유키의 「이조잔영」과 이 소설을 원작으로 제작한 한국 영화 「이조잔영」에 재현된 제암리 교회 학살 사건의 의미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가지야마가 1953년에 발표한 소설 「무지개 속」과 이 작품을 개작하여 발표한 소설 「이조잔영」의 차이를 분석했다. 또한, 가지야마의 방한 사실을 보도하는 한국의 신문 기사를 분석하여 한일국교정상화의 흐름 속에서 작가의 죄책감을 부각하는 정치적 의도를 살폈다. 이를 토대로 동명의 소설과 영화를 비교하여, 소설가가 계획했던 한일 남녀의 결합이라는 해피엔딩이 1965년 한국에서 불가능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밝혔다. 가지야마 도시유키가 소설 「이조잔영」에서 ‘제암리 교회 학살 사건’을 중심에 둔 것은, 패전 후 본토에 돌아간 귀환자들을 향한 일본인의 부정적 시선과 식민화에 대한억압적 기억에 대응하는 방법이었다. 또한, 그것은 한일협정의 정치적 분위기 안에서 식민지 체험과 속죄의 글쓰기로 작가가 문학적 입지를 마련하기 위한 전략이기도 했다. 제암리 학살 사건을 공공의 기억으로 끌어들이는 문제는 한국에서 1967년에 발표된 영화 「이조잔영」에도 나타난다. 감독 신상옥과 각색자 마츠야마 젠조는 영화를 제작하며 소설에 없던 학살 장면을 삽입하고, 일본인의 죽음을 보여준다. 그들은 소설가가 기획했던 해피엔딩의 작위성을 우회해, 일본인의 자살로 두 국가의 감정적 상처를 일시적으로 봉합하는 방법을 선택한다. 그러나 이는 일본의 역사적 책임을 심문하고, 고통의 기억 위에서 한국과 일본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관해 숙고할 시간을 박탈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massacre in Jeam-ri church represented in both the novel of Kajiyama Toshiyuki named ‘Yijojanyeong(李朝残影: The traces of Lee dynasty)’ and the film titled also ‘Yijojanyeong’, which is based on the novel. With this purpose, the difference between his novel ‘Mujigae sok(霓のなか: In the rainbow)’ published in 1953 and ‘Yijojanyeong’ which was adapted from ‘Mujigae sok’ was revealed. Furthermore, this study showed the political intention emphasizing the writer’s guilty under the circumstance of normalizing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based on news articles reporting his visit to Korea. Under these conditions, the novel and the film sharing the same title were compared and I revealed why the happy ending between the Korean woman and the Japanese man planned by the writer was impossible in Korea in 1965. The thing that Kajiyama Toshiyuki set ‘massacre in Jeam-ri church’ at the center of the novel ‘Yijojanyeong’ was a coping method against negative views of Japanese people toward returnees and repressive memories about colonization. In addition, it was also a kind of strategy to establish his literary position by writing about colonial experience and atonement under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Bringing Jeam-ri massacre into the public memory was done also in the film ‘Yijojanyeong’ showed in Korea in 1967. The director Shin Sangok and the dramatizer Matsuyama Zenzo inserted the massacre scene which was not present in the novel and showed the death of the Japanese character. They circumvented the unnatural happy ending designed by the writer and tried to settle the problem between the two countries through the suicide of the Japanese character. But this kind of way had a limitation because it had deleted the time in which the historical responsibility of Japan should be asked and a new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could be discussed based on painful colonial memories.

      • KCI등재

        청소년 주도 마을교육공동체 사례 연구

        조윤정(Jo, Yunjeo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몽실학교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청소년 주도 마을교육공동체의 형성과정 및 형성요인과 청소년 주도 마을교육공동체의 성과 및 의미에 대해 분석하고 청소년 주도 마을교육공동체 정착을 위한 의미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몽실학교 마을교육공동체를 연구사례로 선정하고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몽실학교 마을교육공동체는 형성기에서 확립기로 넘어가면서 청소년 집단지도체제를 갖추게 되었고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에 주도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되었으며 명실상부한 청소년 주도 마을교육공동체로서의 성격을 갖추게 되었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로는 마을교육공동체 구성원들의 청소년들에 대한 인격적 존중, 청소년에 대한 정서적 지지와 지원, 청소년들의 자발적 참여 보장 등을 들 수 있다. 청소년들은 정책마켓을 통해 자신들의 일상적 삶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찾아 정책으로 제안하면서 자신의 삶과 사회를 변혁하려고 하였는데 이를 몽실학교의 가시적 성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몽실학교 구성원들은 청소년 주도 마을교육공동체의 의미를 청소년의 주도성과 자발성을 인정하는 동시에 공동체 구성원 모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면서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청소년 주도성은 자신의 주체성과 자발성이 중요한 만큼 타자의 주체성도 동일하게 소중하다는 것을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다양성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통하여 공동체성이 공고해질 때 공동체 구성원이 함께 성장하면서 청소년의 주도성도 함께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a youth-led, village-based educational community (VEC), to better understand the form it takes, the relevant activating factors as well as its wider meaning and the implications of such youth-led VECs. To this end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arried out on Mongsil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ongsil VEC has been transformed from the formation to the establishment period, and has been equipped with a youth group guidance system. Through this, the youth involved have been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VEC management and it has thus become a youth-led VEC. The activating factors are the personal respect of the youth involved, the emotional support and assistance sustaining them, and the guarantee of the initiative for them in the project. A visible achievement of the Mongsil school could be expressed through the policy market in which the youth proposed policies that can transform their lives and society. Finally, the members of the Mongsil school recognized the youth-led VEC as a place to guarantee the initiative and spontaneity of the adolescents, as well as listen to the voices of the community members and acknowledge the diverse viewpoints of each member.

      • KCI등재

        중⋅고등학생용 학생주도성 측정 도구 개발

        조윤정(Yunjeong Jo),박세진(Sejin Park),정우진(Wooji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용 학생주도성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12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생 2,158명을 대상으로 학생주도성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학생주도성 척도는 주도적 태도, 주도적 행동, 그리고 공동체주도성의 3개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주도적 태도는 동기,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성장마인드셋 등 4개의 하위요인, 주도적 행동은 목표설정, 주도적 실행, 노력지속 등 3개의 하위요인, 공동체주도성은 의사소통, 배려, 협력, 공동체 의식, 참여 등 5개의 하위요인을 가진다. 학생주도성 측정 도구는 총 48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수집된 검사 자료가 연구진에서 설정한 학생주도성 요인 모형에 부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주도성 측정 도구의 교육적 함의와 활용 방안을 논의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ool that can objectively and validly measure student agency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o this end, first, a measurement tool was developed by reviewing previous related studies. Next,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a Delphi survey targeting 12 experts. Finally,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tudent agency test targeting 2,15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Gyeonggi-do, and construct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Three domains of student agency were established: initiative attitude, initiative action, and community agency. Motiv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growth mindset are four sub-factors of initiative attitude, while goal formulation, initiative execution, and effort continuity are three sub-factors of initiative behavior. Communication, consideration, cooperatio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involvement are the five sub-factors of community agency. There are 48 items in the student agency measurement tool.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e test data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consistent with the student agency factor model established by the research team.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student agency measurement tool and utilization pla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 실천사례에 대한 질적 연구 : 초등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조윤정(Jo, Yunjeong),변영임(Byun, Young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 실행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 실천과정과 수업의 특징에 대해 규명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실행연구를 실시하고 실행연구에 참여한 초등교사 2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한 후 심층 면담과 참여관찰, 반성적 글쓰기를 통해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 수업 실행 사례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수업을 사전단계와 실행단계로 나누어 실행하였으며 수업에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적용하였다.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의 특징으로는 모든 학생을 위한 학생중심수업, 학생주도성이 발휘되는 수업, 과정중심 평가가 이루어지는 수업, 교사의 지속적인 성찰이 이루어지는 수업 등을 제시할 수 있다. 결론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을 통하여 존재의 고유성과 차별성을 최대한 존중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잠재가능성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시도나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관련 정책에 포함할 필요가 있으며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을 정착시키기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es apply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nd specify the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lasses. Methods Researchers conducted an action study and selected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action study as research participant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reflective writing. Results The classes consisted of pre-stage and an execution stage.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were applied to the classes. The classes were characterized as student-centered classes for all students, classes pulling out student agency, classes conducting process-based evaluation, and classes in which teachers continuously reflect. Conclusions Through the classes apply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 uniqueness and differentiation of existence can be respected as much as possible, and students can be supported to show their full potential. In order to implement the principle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t is necessary to include it in policies related to the curriculum at the provincial or national level, and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to activate the classes apply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 KCI등재

        국가주의적 희망의 서사를 넘어서기

        조윤정(Jo, Yunjeong)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4

        이 논문은 결혼 이주 여성이 자신을 재현하는 글쓰기에 주목하여 한국어 수기의 조건, 대상, 의미를 분석한다. 이주 여성은 글을 쓰면서 언어, 주관 기관, 독자, 자기 재현 욕망이라는 네 가지의 검열 체계를 거친다. 이 때문에 이주 여성의 글에는 자신의 감정을 단순화하고 일관된 논리로 만들어야 한다는 강박이 나타난다. 특히, 모성애의 문제는 한국 사회에 작동하는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동화(同化) 이데올로기와 관련된다. 결혼 이주 여성들은 수치화될 수 없는 재생산노동에 종사하며, 글쓰기로 한국에의 적응과 가정의 돌봄을 입증한다. 그들이 공모전에서 요청받는 다문화가정구성원으로서의 희망은 한국에서 느끼는 상반된 위상-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영웅, 결손 가정의 원인-과 감정을 인위적으로 봉합하는 과정을 수반한다. 우리가 주목할 것은 그들이 말하는 희망이 아니라, 희망이나 발전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복합적인 감정과 자기 설명의 불가능성이다. 이민자 수가 많아지고 공론장이 활성화되면서 한국(인)의 배타적인 폐쇄성, 계급·인종·젠더의 서열화 문제를 폭로하는 글이 많아졌다. 다른 한편, 결혼 이주 여성이 자녀를 비롯한 한국인에게 모국어와 모국 문화를 가르치는 일화 역시 증가했다. 그 속에서 이주 여성은 동화의 불가능성과 함께 정체성의 혼란을 고백한다. 이는 한국 다문화가족 정책에 내재한 균열이다. 그런데 그 균열은 세계화를 외치며 국민/비국민을 가르고 이민자를 배제하는 한국인에게 ‘완전한’ 한국인, ‘진정한’ 세계화가 무엇인지 묻게 한다. 그리고 독자 역시 그 질문 앞에서 자기를 설명할 수 없다는 무능과 고통을 인정하게 된다. 이처럼 결혼 이주 여성에게 요청된 국가주의적 희망의 서사는 이주 여성과 한국인의 정체성 변화나 확장 가능성을 암시하는 방향으로 굴절된다. 나와 너의 불완전함을 인정하는 계몽의 복수성이야말로 결혼 이주 여성의 한국어 수기에서 발견할 수 있는 희망의 전조이다. Concentrating on the writing of immigrated females on marriage, this paper analyzes the conditions, the objects and the meanings of the memoirs written in Korean. When the immigrated female writes the memoir, she needs to censor the writing under the condition of the language, the managing department, the reader and the desire expressing herself. Therefore in these memoirs a kind of obsession can be found, which simplifies the writer’s emotion and composes the emotion in a consistent logic. Especially, the subject of maternal affection is related with the ideology of normal family and the ideology of assimilation operated in Korean society. Immigrated females normally work in the area of social reproduction in which the magnitude of work is hard to be calculated and they prove their adaption in Korea and the care for their own family. The hope that is requested in writing contests to them as a member of multi-cultural family, accompanies the process intentionally harmonizing the two conflicting social assessments for them, the one is a hero attributing to national development and the other is a reason of broken family, and their incompatible emotions under this contradictory situation. What we need to concentrate is not the hope that they say but their complex emotions and the impossibility of explaining their being that they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ir hope or development. As the number of immigrants are increasing and social discussions are more activated, the articles that disclose the exclusiveness of Korean society and the ranking problem according to social class, race and gender, are released more frequently. In this situation, the immigrated females experience not only the impossibility of assimilation but also identity crisis. This is the problem which is embedded in the policy of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By the way, this problem of disharmony demands an answer for the questions, that is, who is ‘genuine’ Korean and what is ‘real’ internationalization, to Korean people who exclude immigrants in the society while claiming globalization. The Korean readers of the memoirs also feel pain and incompetence because they can not explain their existence in front of these questions. Like this, the nationalistic hopeful narration requested to the immigrated females, comes to have meaning to both the writers and Korean readers in the direction of changing and enlarging the identity of both of two groups. Therefore this kind of multiplicity of enlightenment that admits the incompleteness of everyone, is the sign of hope which we can find in the memoirs of the immigrated females.

      • KCI등재

        백수 청년을 둘러싼 감정 구조와 증오의 전복 - 2000년대 한국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

        조윤정 ( Jo Yunjeong ) 영주어문학회 2021 영주어문 Vol.49 No.-

        이 논문은 외환위기 이후 한국 장편소설에 형상화된 백수 청년을 둘러싼 감정 구조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백수 관련 신문 기사의 추이, 연관어 분석 등을 토대로 실업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백수 담론의 유통 과정에서 나타난 사회문화적 특성 등을 함께 살폈다. 또한, 박주영, 이상운, 정한아, 김영하, 구경미, 김사과의 장편소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백수를 향한 증오와 그에 대응하는 인물들의 행위가 지닌 전복성을 분석했다. ‘실업’, ‘노는 인간’ 등의 레테르는 노동의 상태성을 기본으로 삼는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소설 속 인물은 ‘최저 임금, 최소 노동’의 삶을 살면서도 그 상태를 부정하기보다는 백수로서 선택적 노동을 향유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로써 작가들은 ‘백수건달’로 뭉뚱그려진 ‘비노동’ 상태에 대한 사회적 증오를 되돌려 주고, 자본주의의 노동 통제와 편협한 인정 구조를 폭로하여 기존의 사회경제적 관념에 균열을 일으키려 한다. 이는 후기 자본주의의 한국 사회에서 경제적 위기를 경험하며 노동 윤리를 강요받았던 청년들이 그에 순응하기보다는 노동하지 않을 권리로 자기를 실현하고, 사회적 현상에 대한 냉담함으로 죄책감과 수치심을 극복하려는 욕망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다만, 현재의 관점에서 볼 때, 2000년대 소설 속 백수가 노동의 놀이화나 친밀성의 공동체를 통해 타인과 연대하고 근대의 노동 윤리를 전복하려 한 양상은 백수의 현실을 낭만화했다는 역사적 평가를 피하기 어렵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ucture of feeling related to unemployed youth who were figured in Korean novels after the currency crisis. The common perception about unemployment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shown in jobless discourse were also inspected based on newspaper articles about jobless and analysis on associated words of jobless. And this paper analyzed hatred for jobless and overturning properties of the unemployed character’s responsive behaviors with the research on long novels of Bak Juyeong, Lee Sangun, Jeong Hana, Kim Yeongha, Gu Gyeongmi and Kim Sagwa. The labels like ‘unemployment’ and ‘jobless’ assumes ‘a job for a person’ as a normal situation. Nevertheless, characters in novels after the 2000s do not feel anxiety from their lives nor deny them but enjoy their self-chosen works although their lives consist of ‘minimum wages’ and ‘minimum labor’. With these characters, the writers give back the social hatred for ‘not in a job’ state and make a crack on the existing social and economic sense by revealing labor control and the narrow-minded evaluation system of capitalism. In these novels, it is meaningful that young people, who had experienced economic crisis and been forced into existing lab or ethics in post-capitalism society, actualized ‘themselves’ with their right not to work and expressed their eagerness to reach their ideal of ‘labor as an amusement’. However, the aspects in the novel of 2000s, that is, converting a labor into an amusement, banding together with others in a group of intimacy, and turning modern lab or ethics upside down, could be criticized for romanticizing the reality of the unemployed from the perspective of present.

      • KCI등재후보

        김동인 소설과 위반의 미학

        조윤정(Jo, Yunjeong) 돈암어문학회 2014 돈암어문학 Vol.27 No.-

        이 논문은 김동인이 작가를 인물로 내세웠거나 작가의 자율성을 실험하는 단편소설을 "위반"의 구조 속에서 분석하고, 그가 사상가로서의 권위를 벗은 새로운 작가의 상을 구축하는 방식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통해 작가의 독창성 확보 문제가 문학/작가의 자율성에 대한 고민을 낳고, 소설적 진실이 작가의 자기 환멸을 그려내는 데까지 나아갈 수 있었음을 구명한다. 이 논문은 김동인 문학에 대한 연구의 시점을 소설 내부로부터 외부로 이양하여, 작가와 독자의 위치 전복, 성경 다시 읽기/쓰기, 작가?편집자?문단의 관계 폭로, 소설 창작의 과정을 소설화한 양상에 주목한다. 이와 같은 관점은 그가 기존의 문학 규범을 위반하고 전복하는 과정에서 작가의 예술관, 문학관의 토대를 마련했음을 드러낼 수 있다. 김동인은 <마음이 옅은 자여>와 <목숨>에서 권위를 벗은 작가의 모습을 보여준다. 전자에서 김동인은 작가-독자의 위계 전복을 통해 자기 문학(론)의 위상을 확보한다. 후자에서 그는 죽음에 대한 사유를 계기로 삼아 한 없이 위대하면서도 우스워질 수 있는 인간이라는 간극 속에서 작가의 실재성을 획득한다. 작가의 자율성을 중시했던 김동인은 성경의 다시 읽기/쓰기를 통해 소설과 소설가의 권위를 확보한다. <이 잔을>, <명문>, <신앙으로>에서 그는 기독교의 진리라는 것은 성경적 진실과 그것을 재해석하는 주체의 위치 사이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는 소설을 통해 성경의 언어와 성물의 이미지에 긴박되어 있는 조선인의 신앙심 사이에 종교적 진실성에 대해 자문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한다. 소설은 작가의 독창성을 확보하는 방법이면서 작가를 살릴 수 있는 자본이기도 하다. 자기 파산 이후 김동인에게 소설은 그의 작가적 위치를 보여주는 교환가치가 된다. 이때, 그는 예술과 자본의 교환가치 속에서 작가-편집자 혹은 작가-작가의 관계, 작가와 소설의 이미지, 참 예술에 대한 욕망 등에 대한 사유를 담은 소설을 창작한다. <발가락이 닮았다>, <소설급고>와 <광화사> 같은 작품이 그 예다. 이 작품들은 소설 창작의 메커니즘으로서 "위반"의 문제를 생각해볼 수 있게 하며, 자본의 논리 속에서 작가가 경험해야 하는 자기 부정과 환멸의 비애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sis Kim dong-in‘s short stories which show writer as a character or experiment writer"s autonomy in the frame of "transgression" and aims to consider the way in which he made a new figure of writer who took off the authority as a thinker. Through this kind of work, this study reveals that the problem of retaining the originality of writer, make distress about the autonomy of writer and reality of fiction can reach to describing self-disillusionment of writer. This paper changes the point of study of his fictions from interior of the fictions to exterior and pays attention to changing position of writer and reader, re-reading/re-writing of the Bible, exposure of the relations among writer, editor and literary circle and the way of writing fictions in which he described the process of writing fictions. This kind of point of view can reveal that he made a basis of his view of art and literature under the process of transgressing and overturning the established literary norms.

      • 온라인 협업 툴을 위한 UI 시나리오 제안 - 친화도 다이어그램을 (Affinity diagram)을 중심으로

        조윤정(Yunjeong Jo),박남춘(Namchoon Park),이지현(Jihyun Lee)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코로나-19 로 인한 비대면 상황의 장기화로 온라인 협업 툴에 대한 요구와 사용은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다.이에 따라 코로나-19 이전 대면으로 이뤄지던 UX(User Experience) 디자인 프로세스 또한 온라인 협업 툴을 활용한 비대면 중심의 프로세스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X디자인 프로젝트에서 온라인 협업 툴인 비 캔버스(Beecanvas)를 활용해 친화도 다이어그램 (Affinity Diagram)을 수행한 사용자들의 경험과 대면 상황에서의 친화도 다이어그램 수행 경험을 함께 수집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협업 툴을 활용한 친화도 다이어그램 수행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도출 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UI (User Interface)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1900-1910년대 조선의 수학여행과 기록의 의미

        조윤정 ( Jo Yunjeo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民族文化硏究 Vol.76 No.-

        이 논문은 1900-1910년대 수학여행의 형성 계기, 수학여행의 정착 과정을 살피고, 학생들의 기행문을 분석한다. 근대 초기 조선의 수학여행은 학교의 제도화, 여행 담론의 출현, 근대적 관광 상품의 개발과 확산 과정 속에서 연례화된다. 수학여행은 계몽이라는 사회적 당위와 여행에 대한 개인의 욕망이 만나는 지점에 놓여있다. 또한, 통감부나 조선총독부가 개입하면서 여행이라는 사적영역은 공적 행위로 편입된다. 수학여행은 교육 제도 및 국토 개발 등의 자본 권력에 의지하면서도 일본에서 유입된 국가주의를 민족주의로 변용하고 내면화하는 데에 활용된다. 학생들을 인솔하는 교사들과 수학여행이라는 문화현상에 주목한 기자들의 발 언, 학생의 기행문은 수학여행을 재생산하는 효과를 낳는다. 근대 초기 여행 담론에는 수학여행을 사마천의 답사에 비유하는 양상이 두드러진다. 학보, 신문, 교지에 실린 학생들의 기행문은 수학여행의 공공성과 여행지의 전형적 이미지를 반영 하는 동시에, 감정기억을 통해 공공의 지식으로 환원될 수 없는 균열의 지점을 보여준다. 조선 학생들은 자신이 습득한 지식을 여행지에서 추체험하며 현재를 응시하고, 과거와 미래의 조선까지 상상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므로 근대 초기 수학여행과 관광의 기록은 신조선을 이끌어갈 주체로 학생을 부각하고, 조선의 역사를 과거의 사건으로 미화하는 것이 아니라 미완의 사건으로 인식하게 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formation of school excursions, its process of settlement and travel essays of the travelers of the 1900s and 1910s. In the early modern Jose on, school excursions were established during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schools, the emergence of travel discourse, development and spread of tourism pro ducts. The school excursion is a point where the social duty of enlightenment and tourism meet. In this process the private part of travel is incorporated into public act with the interven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or the Res idency-General. The travel essay articles published in school newspapers, newspaper s, and school magazines show the publicness and typical images of a tourism sites as well as a point of crack where emotional memories cannot be reduced public knowledge. Remarks of teacher in charge and reporters who pay attention to cultural phenomenon of school excursion. The school trip is compared to the exploration of Sam acheon in the early modern travel discourse. The students of Joseon check the difference between what they have learned and what they have seen in the travel, gazing at the present, and imagining Joseon of the past and future. Therefore, the records of the early modern school trips and tourism highlight the students as the subjects that will guide the new Joseon and recognize the history of Joseon as incom plete events rather than beautifying them as past ev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