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조 구곡가의 시가사적 전개양상 연구

        조유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87

        本研究旨在阐明朝鲜朝九曲歌的诗歌史展开样相。通过本研究,我们可以很清楚地判断出朱子经营武夷九曲并创作<武夷棹歌>的中国九曲文化是如何被朝鲜朝的士大夫所接受并形成朝鲜朝的九曲文化。与此同时,我们也期待可以解决九曲歌的享有主体─朝鲜朝士大夫的思想、志趣、情感、思考方式等与九曲歌的历史变化有怎样的影响关系。 对于朝鲜朝九曲诗歌的既往研究,比起韩文九曲歌,更多的研究室以汉文创作的九曲诗为中心进行的。但是,为了更全面地理解朝鲜朝九曲诗歌,我们要均衡地对这两种形式的诗歌进行充分地研究。所以,对于至今未被受瞩目的朝鲜朝九曲歌需要具体地研究。因此,我们在认定韩文诗歌在文学分类上的开放性后,需要在所有韩文诗歌中进行对与九曲文化相关的作品进行筛选。再有,我们可以确定截至20世纪初,九曲诗歌也在进行创作和享有,所以时期范围应扩大到日帝强占期来进行对作品的筛选。笔者认为朝鲜朝九曲歌的作者处于社会与现实中理应有其的对应与变化,因此,本研究坚持此种研究视角对朝鲜朝九曲歌的诗歌史展开进行探究。 朝鲜朝的九曲文化基本上是以中国山水文化的传统为背景发展的。史前的山水对于人们来说是一种敬畏的对象,但也有致用的观点。进入先秦时代后,山水成为了人们思考道德价值的审美对象,也开始将山水认为是确认包括人在内的自然普遍性(道)的对象。至魏晋南北朝,当代知识人开始将其认为是与政治现实对立的理想空间。唐宋时代,山水文化随着性理学的发展开始发生了变化。宋代的性理学者们为探寻其学问的理想而追求亲和山水的生活,具有代表性的便是朱子。朱子在崇安县新安的武夷山下建武夷精舍,过隐居生活的同时经营武夷九曲并创作<武夷棹歌>。之后,朱子隐居的武夷山成为了朱子学问的本山和圣所,他的武夷九曲成为了后代儒学者生活的典范。尊崇朱子的朝鲜朝士大夫开始效仿朱子的武夷精舍和武夷九曲,使得朝鲜朝九曲文化绽放鲜花。 九曲文化基本上具有山水文化的性格,同时也具有隐居文化的性格。因此,作为隐居文化的九曲在与政治现实对立这一点来看,它具有“理想乡”山水的意蕴。在朝鲜中期,士林派因各种士祸而退居乡村并生成了“江湖歌道”这一新的山水文学,这正是当代的政治现实与当代人对其认识下所产生的文化产物。效仿朱子武夷九曲而形成的朝鲜朝九曲文化便是与士林派的隐居文化相结合而形成的,它并非只是退居山水田园与世隔绝,而是作为儒者的本分和以儒家的出处观为基本的新型隐居文化,它就是朝鲜朝的九曲文化。 朝鲜朝的九曲文化一般形态与朱子相似,即以溪流为中心设定九曲园林,建造修养与讲学的精舍,并以九曲为对象创作九曲诗歌。再有,通常和武夷九曲一样:逆流设定九曲并将各曲特定的景物进行命名。朝鲜朝的九曲基本上接受了朱子九曲的经营模式。但是,被朝鲜化的九曲园林中也有很多没有按照朱子设定与经营的方式。朝鲜朝的九曲园林因士大夫的空间想象力和与中国不同的山水地形而产生了多样的九曲文化。 朝鲜朝九曲文化中,造形艺术的九曲图是在视觉上感受朱子隐居的九曲溪流的,这一点有着十分重要的意义。朝鲜朝的士大夫通过九曲图大致地确认武夷山的风貌,他们将武夷九曲在朝鲜的山水中再现。朝鲜朝的<武夷九曲图>最初从摹写开始,但到了朝鲜后期,因在九曲文化的扩散、实景山水画和民画的流行、当代社会现实的影响下产生了多样的作品。特别是以形式与画法的多样性为基础,<九曲图>呈现了多元化的倾向,这为形成具有独特性的朝鲜朝九曲文化提供了重要基础。 九曲诗歌根据语言形式分为以汉诗体的九曲诗和韩文九曲歌。朝鲜朝九曲诗是16世纪士林们以对<武夷棹歌>的批评意识为基础创作并享有的。这种批评意识强调对<武夷棹歌>有开放性的认识,这翻译在对<武夷棹歌>的次韵诗中。到了朝鲜后期,九曲诗便开始针对朝鲜朝的九曲园林进行创作。就像朝鲜朝的九曲园林在朝鲜的地理环境与历史背景下设定和经营一样,九曲诗也并非之停留在对<武夷棹歌>的模仿上,而是依据朝鲜朝士大夫的空间想象力和对山水的审美创作出了多彩多样的作品。 九曲诗歌的另一构成体为韩文九曲歌。朝鲜朝的九曲歌根据形式的差异分为时调体九曲歌与歌辞体九曲歌以及其他九曲歌。用韩语表现性理学山水美和经营九曲意向的九曲歌非常明确的体现了朝鲜朝九曲文化的特性。 在丽末鲜初,随着对性理学的接受,对朱子的尊崇意识也很自然地在新兴士大夫中间形成,到15世纪中期,出现了不少对武夷山和<武夷棹歌>深刻认识的作品。15世纪中期至16世纪中期,由于勋旧和士林的对立而酿成了多起士祸,从而导致了多数士林的牺牲。于是众多士林脱离政治现实并在其世居地周围寻找山水隐居。这一时期,依据士林所形成的性理学理论加以深化,直接导致了对朱子尊崇意识的加强。在此番背景下,士林对朱子的<武夷棹歌>与九曲经营产生了极大的关注,朝鲜朝的九曲文化开始逐步形成。 16世纪后期,标志朝鲜朝九曲文化定着的代表可以说是栗谷李珥的高山九曲与<高山九曲歌>。栗谷对当代流行的俗乐抱有否定态度,他肯定的是儒家的传统音乐观。即:他追求的是儒家修养论中的“遏人欲,存天理”的音乐。之后,他通过<高山九曲歌>实现了其追求的音乐。栗谷的<高山九曲歌>也与当时活跃地议论的“国文诗歌谈论”有着密切关系,当时代表的性理学家退溪与栗谷对歌曲有着共同的认识:注重歌曲体裁本身的特性,它是实现性理学理想的一种手段。 <高山九曲歌>的形态为为共10首的联时调。它以序曲开篇,将其设定的1曲冠岩至9曲文山各自通过时调所变现出来,这种构成方式可以说是继承了<武夷棹歌>的形式。栗谷通过经营高山九曲来实践讲学与‘咏月吟风’,他用歌曲表现在九曲中所产生的极致的‘兴’,于是<高山九曲歌>便应运而生。栗谷并非只是模仿朱子的九曲经营,他所创作的<高山九曲歌>可以说是朝鲜朝九曲文化定着与独自化的标志。 17世纪,岭南的李重庆以清道地域的云门山和东仓山为背景经营了梧台九曲,李重庆的梧台九曲是根据朱子的武夷九曲而设定的九曲园林。但是,他并没有创作九曲诗,而是创作了韩文诗歌<梧台渔父歌九曲>。他认为在经营梧台九曲的同时需要有解自身之‘兴’的歌曲,于是便取<陶山十二曲>与<渔父词>的‘体’和‘乐曲’创作了<梧台渔父歌九曲>。此作品共由9首构成,但并没有依据九曲歌的一般方式创作。<武夷棹歌>是渔父逆流而上找寻九曲妙处,所以朝鲜朝<渔父歌>的江湖与九曲具有相同性质。其结果,李重庆通过九曲歌所表现的便是在梧台九曲这一脱俗的理想空间里而悠然自得地生活的渔父。 16世纪后期,士林在政权中出现,与此同时,根据师承关系形成了学派和朋党。到17世纪后期,党争变得激烈。在此种情况下,京乡的社会、经济、文化上发生分歧,导致了士大夫阶层分化为京华士族和乡村士族。因为此时期的党争产生的权势交替,各党派均有多人被放逐或牺牲。在这样的政治现实下,追求山水隐居的他们对朱子的武夷九曲经营加以亲身实践,此般文化现象在全国范围内扩大。 朝鲜后期的朋党虽然是政治势力的集团,其必然也具有学派的性格。他们树立以性理学为名分的大义,在政治立场上统一战线,所以对于他们来说,学派的正统性比什么都重要。学派的正统性不仅与性理学的道统意识向结合,它还是区别其他党派并体现其优越性的标志。此番道统问题到了朝鲜后期,在乡村社会中以更加复杂的形式出现。特别值得注意的是,对于乡村士族来说,道统关系到他们存在的依据。因为对于无法出仕的乡村士族来说,在确立自身的地位和作为引领乡村社会的主要士族而得到认可上,学派或家族的正统性比什么都重要。以此,士大夫的道统意识由国家的层次转向学派,亦或家族的层次。 朝鲜后期士大夫阶层的分化,以及因此产生的道统谈论成为了朝鲜后期九曲文化发展的重要北京。朝鲜后期的九曲经营和九曲诗歌创作具有几点倾向性。首先,以各学派为中心,在先贤的世居地设定九曲园林,大多创作<九曲图>和九曲诗歌。其次,模仿先贤的九曲经营并设定自己的九曲园林,<九曲图>和九曲诗歌的创作更加扩大化。 经过18世纪的发展进入19世纪后,九曲园林的经营与九曲诗歌的创作扩散到全国。西人老论主要以忠清道的盛景为中心将九曲文化扩大,岭南地域的南人主要以乡村的世居地位中心经营九曲。岭南南人在经营九曲的同时也创作<武夷棹歌>的次韵诗和渔父歌系的九曲歌。与岭南南人不同,西人老论积极接受栗谷的<高山九曲歌>并使其成为朝鲜朝九曲歌的典范。但是,此失去的西人老论在创作九曲歌上相对有些限制,而岭南南人的九曲歌更加多彩多样。 在此时期,岭南地域的李衡祥经营城皋九曲并创作了<伧父词>,他借用了李贤辅的长歌<渔父歌>,并将唐诗集句从而创作了属于自己的九曲歌。这种岭南南人的九曲歌到18世纪后期由闻庆的蔡瀗继承,他在自己的世居地经营石门九曲并创作了九曲诗和九曲歌。<石门亭九曲棹歌>借用了连续体律文形式的歌辞,这一点是反映朝鲜后期九曲歌变化的标志。 18世纪以后,随着京乡的分化,乡村士族比京华士族更集中地创作九曲歌。再有,朝鲜后期音乐环境的变化导致了乡村士族所关注的体裁变为歌辞。因为歌辞基本是具有连续体律文的形式,所以它是可以将写作对象详细列举并自由地表现作者感情的诗歌体裁。九曲歌在将9曲不同的空间进行形象化的同时,也要把九曲作为一个整体空间进行构造化。因此歌辞具有表现多种复杂的主题又不失作品完整性的特征,而且它还可以将作者在每处景观的感情很自由地表现。这就起到了瓦解九曲诗歌所具有的固定形式的作用。到了朝鲜后期,九曲歌呈现出以乡村士族集中创作的倾向。乡村士族创作的九曲歌中包含着在世界与自我对立中与矛盾中的困苦,也包含着通过经营九曲来实现自身的志向。因此,朝鲜朝九曲歌的体裁转换与享有层变化导致了九曲歌的变化。 到19世纪后期,朝鲜朝社会面临着外势东渐的危机,其中卫正斥邪思想与开化思想相互起着冲突。朝鲜后期,华夷论被卫正斥邪思想家们所继承,以尊周论为依据的小中华意识更加强化。以华西学派为首的当代卫正斥邪思想家主张通过内修外攘论来应对内忧外患的现实。卫正斥邪思想家还认为要克服外势侵略就要恢复性理学的秩序,其中九曲文化便成了此番思想的基底。正因如此,卫正斥邪思想家们经营九曲,依旧享有九曲诗和九曲歌等九曲文化。此时期经营九曲的人们大多与亡国的现实有些距离,在保存中华之道的名分下找寻山水而经营九曲的。再者,他们比起接受变化的价值观,这更是他们守护儒者的正体性而做出的必然行动。 19世纪末,华西学派的柳重教通过讲学培养后生,他特别注重音乐教育的效用。因此,他制作《弦歌轨范》并把关于弦歌的理论体系以朱子的乐论为中心进行整理,他还将此在讲学和生活中加以实践。他的<玉溪操>正是为了充分追求儒家传统音乐的效用而创作的九曲歌。传统九曲歌的最后一篇要属李道复的<駬山九曲歌>,此作品是李道复在马耳山建造駬山精舍并经营駬山九曲时创作的歌辞体九曲歌。他通过经营九曲与创作九曲歌来构想恢复已经崩塌的性理学秩序。结果,在旧韩末和日帝强占期的历史转换期,当代的儒学者们通过创作九曲歌来表达自己忧国忠节的精神和复古的世界观。 与继承传统的九曲歌不同,还存在追求解体前近代并重新解读传统诗歌形式的开化歌辞类的九曲歌。<大韩每日申报>上发表的作品便与朝鲜朝的九曲歌具有不同性质,这些作品的作者追求文明开化和建设近代国家,在此番意图下,韩国传统诗歌文学或近代文学开始试图进行转换。在这种形式的实验下,传统的九曲歌完全呈现出了另一番模样。因此,在新闻媒体上发表的开化歌辞类的九曲歌完全失去了九曲这一类别的正体性,在九曲歌的形式下,当代的时代谈论占据了主要位置。这时期的九曲歌随着性理学秩序的瓦解和近代社会的转换逐渐丧失了生命力,这也成为了此时期九曲歌的特征。 朝鲜朝九曲歌的诗歌是意义可以归纳为以下几点。第一,朝鲜朝九曲歌在<武夷棹歌>的接受与变化,已经定着朝鲜的实际情况具有诗歌史的意义。第二,朝鲜朝九曲歌是士大夫通过韩文诗歌表现其阶层的正体性和山水认识的,这一点在诗歌史上也是有意义的。第三,朝鲜朝九曲歌在韩国文学史内占据着士大夫诗歌文学的中心地位,同时<渔父歌>和<四时歌>等诸多类别的交错发展具有诗歌史的意义。第四,通过继承了<高山九曲歌>的现代时调作品可以考察现代时调的指向问题,这也具有文学史的意义。

      • 청소년기 미래의 꿈을 시각화하는 표현 지도 방안 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조유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학교 현장에서 만나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미래에 대해 불안해하면서 혼동과 방황을 거듭하고 있는 것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청소년기는 삶의 이상을 정립하는 중요한 시기로 진학과 진로를 포함한 생애 설계는 매우 신중하고 어려운 과제이다. 따라서 이를 잘 펼쳐나갈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교육활동이 필요하다. 미술에서의 표현 활동은 개개인의 감정이나 인식 능력 등을 새로운 의미로 재구축하는 창조의 과정이므로 청소년들의 꿈을 표현하기에 가장 적절한 교과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청소년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의 꿈을 탐색하고 설계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며, 타 교과와 연계한 통합적인 지도로 다양한 영역의 시각화 과정을 통해 창의성과 발상력을 향상하고 이미지 구성 능력을 기르고자 하는 목적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먼저 문헌과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청소년기의 개념과 발달 특성을 영역별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중학생들에게 비교적 인지도가 높은 화가들이 미래의 꿈을 그린 작품과 7차 교육과정의 미술 교과서에 실린 학생 작품을 분석하였다. 수업의 실제에 앞서서는 중학교 교육과정을 전체적으로 분석하고 본 연구의 주제와 연계가 가능한 과목과 내용 영역을 찾아서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였다. 표현 활동 지도는 중학교 시기에 중요한 삶의 과제를 표현 주제로 선정하여 선행 활동, 기본 이론과 기법 이해, 아이디어 구상, 작품 제작, 작품 발표 및 감상, 평가의 과정으로 진행하였고, 결과물인 학생 작품은 내용과 미술 표현의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미래의 꿈을 시각화하는 표현 활동 지도를 진행하면서 이르게 된 결론은 첫째, 타 교과와 연계한 선행 활동은 적극적인 자기 이해와 미래 탐색의 폭을 넓히고 깊이도 더해가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로 인하여 작품의 내용이 풍부해지고 미술을 삶과 연관된 의미 있는 수업으로 받아들였다. 둘째, 미래의 꿈과 관련된 대영역의 표현 주제를 세분화하여 주제에 따른 다양한 활동으로 자신의 생각을 일관성 있게 정립하면서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셋째, 표현 기법과 재료의 자유로운 선택이 생각의 확장과 표현을 가능하게 하고 흥미를 유발하였다. 넷째, 작품 감상과 발표를 통해 사고를 활성화하고 자신감을 갖게 되었으며, ‘작품 읽기’를 미술의 한 영역으로 즐기게 되었다. 다섯째, 표현 활동을 통해 자신의 미래 삶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가 형성되었다. 여섯째, 작품에 표현된 내용을 통해 오늘날 청소년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과 사회 문제를 인식할 수 있었다. 앞으로 본 연구와 관련하여 모둠 구성을 통한 입체 표현 영역으로 확장하고, 학생들의 삶의 자세와 미술 표현 능력 면에서 더욱 긍정적인 결과를 얻도록 프로젝트 수업으로 진행되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의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Why many teenagers feel nervous of their future and are led astray, is what they are doubtful of their future and don't establish their identifies yet. Because adolescence is very important period to establish ideas of life, designing their lives including school application and courses should be careful and it's difficult.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educational activities to train youth to make their dreams realized. Expression activity in arts is a creative process to rebuild individual emotions or recognitions or skills, thus is the most proper curriculum for students, which enables them to express their dream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to encourage them in seeking and designing their dreams, improve creation and powers to make new ideas through a visualization process in various spheres by teaching them with integrative guidance methods connected with other curriculums, and enable them to develop image constructive abilities, based on understanding of youth. First of all, conception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youth were examined according to each sphere. And works about future dreams made by artists, who are named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students works included in an art text-book of the Seventh curriculum were analyzed. Prior to a practical class, the whole curriculums of middle school were analyzed and methods to integrate subjects connectable with purposes of this study and contents were sought. In addition, after selecting subjects of liv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s expression subjects, pre-activities, basic theories, understanding of techniques, creation of ideas, production of works, presentation of works, and their appreciation and assessment were performed to instruct students' expression activities. Students' works were analyzed from two points of views, which are contents and art expression. The results of expression activity guidance to visualize dreams of future are as following. First, pre-activities connected other curriculums enabled students to understand themselves positively and provided experiences to seek for their future for students, thus contents of works became plentiful and students recognized arts as a meaningful class related to their lives. Second, by classifying expression subjects in a major sphere of future dreams, students could express their opinions consistently and creatively through various activities in relation to subjects. Third, expression techniques and liberal selections of materials enabled expansion and expression of ideas, and aroused students' interests. Fourth, students activated their ideas and became confident in their lives through appreciation and presentation activities of works, and could recognize an activity of 'reading works' as a part of arts. Fifth, they became positive towards their lives of future through various expression activities. Sixth, the researcher could understand opinions of teenagers and social problems through their works. In conclusion, we have to expand solid expression sphere through integration composition of works in reference to this study, and continue to study various professor teaching plans for project classes so that students can obtain more positive results in behaviors of lives and abilities of art expression.

      • 동영상 교육이 대장내시경 대상자의 장 정결 이행에 미치는 영향

        조유영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동영상 교육이 대장내시경을 받는 대상자의 장 정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본 연구의 표적 모집단은 우리나라에서 대장내시경을 받는 모든 대상자이며, 근접모집단은 I시에 소재하고 있는 W. 대학병원에서 건강검진으로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기 위해 방문한 수검자이며,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실험군 51명, 대조군 50명이었다. 본 연구는 W. 대학교병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1556) 승인 후 진행하였고, 자료는 표준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와 관찰법으로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장내시경 준비를 위한 식이와 장 정결제 복용에 대한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2003)의 지침을 근거로 유삼숙(2009)이 만든 도구를 일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장 정결도는 Aronchick Scale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8월 7일부터 10월 30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영상을 이용한 장 정결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식이에 대한 지식의 변화가 컸고(U=1011.50, p=.035), 장 정결제 복용에 대한 지식의 변화가 더 컸다(U=980.50, p=.019). 둘째, 동영상을 이용한 장 정결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식이에 대한 이행 수준이 높았고(U=638.500, p<.001), 장 정결제 복용에 대한 이행 수준이 높았다(U=668.00, p<.001). 셋째, 동영상을 이용한 장 정결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장 정결도가 더 유의하게 높았다(χ2=16.909,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는 대상자의 준비를 위해 개발한 동영상 교육이 식이 및 장 정결제 복용에 대한 지식의 변화, 식이 및 장 정결제 복용에 대한 이행 수준, 장 정결도 향상에 효과적인 교육매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장내시경 검사 시 효과적인 장 정결을 위한 교육매체로 동영상 교육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 코하우징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조유영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는 2018년 기준 고령사회로 진입하였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개인적 변화를 겪고 있다 그중 가장 주목해야 할 변화 중 하나로 가구변동에 따른 주거생활의 변화를 들 수 있다. 가구의 세분화와 고령화가 동시에 진행됨에 따라 1인 가구의 증가와 노인단독가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노인들에게 적합한 주거대안에 관한 연구와 활발한 개발이 진행되었으나 다양한 노인들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하지 못해 새로운 주거대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다양한 주거대안 중 코하우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970년대 유럽에서 처음 등장한 코하우징은 가사노동, 육아, 주택관리 등을 공동체가 다 같이 함께하는 점이 특징이다. 이러한 코하우징의 장점이 혁신적인 주거대안으로 여겨짐에 따라 서울시를 포함한 정부 및 공공기관들이 코하우징의 가능성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코하우징 관련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코하우징의 구성요인 및 영향력을 파악하고, 그러한 요인과 영향력을 국내의 고령화 실정에 맞게 실행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코하우징 주제를 가진 총 29편의 문헌들을 선정하고, 선정된 문헌들을 분석 및 평가하여 코하우징의 도입 배경, 코하우징의 하드웨어적·소프트웨어적 구성 요소를 통해 개인과 사회가 받는 긍정적 영향들에 대하여 정리했다. 또한 논문을 분석하고 재구성하여 개념지도를 도출하고 연구내용의 공통적 흐름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코하우징에 대한 연구는 2003년, 2012년, 2013년에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노인용 코하우징에 거주하고 있는 해외고령자들을 선정하여 진행한 것이 많았으며 2016년 이후로 다양한 코하우징 유형을 연구대상으로 지정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통한 질적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는데 이는 국내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노인용 코하우징에 대한 요구조사와 해외 장년층을 대상으로 실시한 노인용 코하우징 생활만족도, 이주동기 등에 관한 연구들이었다. 분석문헌들의 연구영역은 코하우징 계획안 또는 계획요소, 국내 코하우징 개발방향 및 활성화방향을 연구영역으로 두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으며 2012년부터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보아 다양한 학자와 학문 분야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코하우징을 연구했음을 알 수 있다. 분석문헌의 연구목적은 총 6개로 정리될 수 있으며, 그 중 국내 노인용 코하우징 도입 시 개발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예를 들어, 노인용 코하우징에 대한 국내 중·장년층의 수요를 조사하여 이상적인 노인용 코하우징 모델 항목 제시, 국내 노인용 코하우징 계획안의 설계도 제시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들이 제시한 코하우징 모델을 비교한 결과 국내 코하우징에 대한 수요와 계획안 사이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공통적으로 유니버설 디자인, 무장애 설계, 충분한 채광, 개인 사생활 보장 등이 필요하다고 언급된 반면, 공동생활시설과 단지의 규모 등에 있어서는 상이한 결과가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코하우징의 도입배경, 코하우징 구성요소, 코하우징의 긍정적 영향 등을 파악하였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배경과 요소 그리고 영향으로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코하우징의 가능성을 증명했다. In Korea, the elderly population aged 65 or older accounted for 14.3% of the total population in 2018 and entered the aging society. As population aging getting faster, the number of single - family households have been increased. Therefore, researches and development of alternative housing which are suitable for elderly people have been carried out. However, they were almost failed because of overlooking elderly’s various characteristics and demand. Cohousing, the first alternative housing in Europe in the 1970s, is well known as solution of housework, childcare and housing management under co-working. As cohousing are considered as an innovative housing alternatives, Korean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including the city of Seoul, are paying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cohousing.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cohousing in order to cope with aged society by designating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as a study method, to examine how domestic researches evaluate possibility of cohousing on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due to aging society and to propos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practical problems. A total of 29 domestic paper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literature search method and selection criteria. The literature was the most active in 2003 and 2016. Most of the study subjects were the elderly who were living in cohousing.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survey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The research areas of the analyzed literature are as follows: Coherence plan or planning factor, direction and direction of development of domestic housing, policy proposals and implications, possibilities of cohousing, migration motivation or life satisfaction of cohousing and social effects associated with cohousing. Based on the fact that more diverse researches have been started from 2013, it can be seen that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ohousing for the aged society since 2013.In the 2000s, a total of thirteen studies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when introducing the domestic housing for the elderly through surveying the (senior)cohousing or collective house residents or Korean middle-aged and elder people who are not living in cohousing.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s new housing alternatives applying the concept of (senior)cohousing and research on the meaning of learning and social effect of (senior)cohousing. In other words, studies on domestic demand and overseas cases have been conducted to introduce cohousing in Korea in the 2000s. The results of analyzing 29 papers through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show that the tasks to be implemented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nclude demand survey, diffusion of awareness of cohousing, trial operation, cooperation of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development and research of integrated cohousing, multi-faceted and continuous research on cohousing, research on +40 cohousing, legal problem. Key words: elderly society, low fertility aging, elderly single family, residential alternatives, cohousing, senior cohousing

      • 구성주의 관점에서 학습자 중심 미술 감상 교육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조유영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importance of teaching art appreciation as well as expression in arts education is being gradually emphasized. Elliot W. Eisner, a prominent arts education expert, criticized that present arts education sways to producing of artworks and argued that expression is not the only method of fostering students' aesthetic sense. He also insisted that educating how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artworks is as important as to produce them because visual experience requires training of intellectuality as a process of recognizing and studying the objects. In response to such trend in art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announced the revised arts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It emphasized art appreciation which encourages students' self-direct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artworks by enhancing 'appreciation' of three education areas including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s the importance of art appreciation is gradually emphasized, study of the curriculum in art appreciation education is required. In this regards, the study will explore teaching methodology of learner-based art appreciation through which learners actively analyze and interpret the artworks. This study will first examine the concept, teaching-learning mechanism, and learning principles of constructivism,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learner-based art education. Constructivists view knowledge is derived from experience and something that learners should construct for themselves through their own activities and selection of the objectives to appreciate. In this perspective, learner-based art education should instruct students to appreciate objectives from their own interest and desires. Based on such constructivist principles and knowledge, this study will try to identify the functions and methods required for art appreciation.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based education and analysis of the 2007 Middle School Art Education Revision, a direction for education of the learner-based art appreciation will be set up. The study will also examine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and George Geahigan's Art Criticism Theory. PBL model is considered appropriate to be employed in the middle school classrooms,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and teaching context. Geahigan's Criticism Theory encourages students' active problem solving attitude, as well as expands their aesthetic maturity, depth of thinking, and critical views. Incorporating the two theories, a teaching-learning mechanism will be suggested in this study, and expected effects of the mechanism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will obtain an active attitude for appreciation of art by using dialogues, discussions and cooperative study in the classroom. Second, learners'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expression skills will be fostered through a combined lesson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t will improve learners' active and critical thought. In the education of learner-based art appreciation, which will be suggested in this study, the learning process is more important than the results. In the combined learning process, learners can discuss together about artworks to interpret them and then link their understanding to art making production. Also, in the process of selection of the appreciation objects, learners' interest and capabilities should be considered as priority. It was observed that such learner-based teaching led the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work, and it helped the learners' self-direct thinking as well as improved their problem-solving abilities.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he efforts of developing a teaching method that enables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rtworks appreciation classes and eventually foster their aesthetic capabilities and attitudes. 미술교육에 있어 표현제작뿐 아니라 감상교육의 중요성이 과거에 비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화가이자 미술교육학자인 엘리엇 아이스너(Elliot, W. Eisner)는 현대 미술교육이 실기 위주로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음을 비판하면서 표현만이 미적 감각을 함양하는 수단이 아니라고 지적하였다. 그는 또한 시각적 경험은 미술작품을 보고 인식하는 탐구과정으로써 지성의 훈련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미술작품을 제작하는 것 못지않게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방법을 교육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미술교육의 새로운 동향에 부응하여 2007년 우리나라 교육인적자원부가 고시한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안에서도 ‘미적 체험’, ‘표현’, ‘감상’의 세 가지 학습 영역 중에서 감상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미술작품의 표현특징을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도록 하여 보다 적극적인 감상을 강조하였다. 이처럼 미술 감상의 중요성이 날로 강조됨에 따라 감상교육에 대한 교과내용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고력과 창의력, 문제해결력을 요구하는 현대 미술 감상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미술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미술 감상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구성주의를 고찰하기 위해 우선 구성주의의 개념과 교수ㆍ학습의 원리, 학습원칙을 살펴볼 것이다. 구성주의에 따르면 지식은 경험을 통해 구성되므로 학생 스스로 자신의 필요에 의하여 대상을 선정하고 학생 스스로의 활동을 통하여 구성된 지식만이 지식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은 미술작품을 학습자 자신의 흥미와 욕구의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인지적, 정의적 감상의 원리와 지식을 교육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원리와 지식을 바탕으로 미술 작품 감상에 필요한 기능과 방법들을 구성주의적 내용에서 찾고자 한다. 이 같은 배경 이론의 탐색을 통해 학습자 중심 교육의 특징과 성격을 살펴볼 것이며, 그에 따라 2007년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안을 분석하여 학습자 중심의 미술 감상교육의 방향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 맥락을 고려하여 중학교 수업 환경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문제중심학습(PBL, Problem Based Learning) 모형과 학습자의 능동적 문제 탐구 자세를 함양하며 생활 속에서의 미적 성숙뿐만 아니라 사고의 폭을 넓히고 비판적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게히건(George Geahigan)의 비평적 탐구 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두 모형을 상호 보완한 미술 감상 교수ㆍ학습 지도안을 제시할 것이다. 본 지도안을 적용함으로써 학습자에게서 기대할 수 있는 교육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활동에서 대화와 토론, 협동학습을 사용하여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미적 체험을 하고 주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극적인 미술 감상 자세를 함양한다. 둘째, 표현과 감상의 통합 학습을 통해 비평적 사고력과 창의적인 표현능력을 기른다. 이로써 학습자의 주체적, 비판적 사고력을 신장시킨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학습자 중심의 감상교육은 학습의 결과보다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학습자는 감상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 토론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표현활동으로 연결시키는 일련의 통합과정이 요구된다. 또한 감상 작품의 선정에 있어 우선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학습자의 흥미와 능력이다. 이와 같은 학습자 중심의 수업에서는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수업 과정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사고를 도울 뿐 아니라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이 신장된다는 사실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미술 감상활동에 참여하여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미술적 능력과 태도를 육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지도 방안 연구 노력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생태체계적 관점을 중심으로

        조유영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사회체계 요인을 연구함으로써,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관계요인을 밝히고, 인터넷 중독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사회복지적 접근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상정한 연구문제는 개인체계 요인, 가족체계 요인, 사회체계 요인이 인터넷 중독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검사법을 활용하였으며, 대상자는 구로구 지역 6개 고등학교의 1,2,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시행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347명의 설문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종속변수는 인터넷 중독이었으며, 이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는 자존감, 충동성, 대인관계 곤란 등으로 구성된 개인체계 요인과 가족관계, 부모감독, 부모의 인터넷 사용능력 등으로 구성된 가족체계 요인, 학교만족도, 친구지향성, 또래압력 등으로 구성된 학교 및 또래 환경 요인을 상정하였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구성하였고, 청소년 인터넷 사용실태를 알아보았다. 인터넷 중독분석은 SPSS/WIN 12.0(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적인 통계와 t-test, ANOVA 분석기법 및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청소년 인터넷 이용실태를 살펴본 결과, 인터넷 사용기간이 5년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인터넷의 하루 평균 사용시간은 1시간~3시간 미만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접속방법에 있어서는 초고속전산망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인터넷 이용활동 중 네트워크 게임이라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음란사이트와 채팅을 일주일에 하는 시간에 대한 물음에서는 전혀 안본다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두 번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인터넷 중독 정도를 알아본 결과, 인터넷 중독은 성별과 어머니의 교육정도, 가정의 경제수준, 아버지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청소년 인터넷 중독을 생태체계적인 관점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개인, 가족, 사회체계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는데, 그 결과 개인, 가족, 사회체계 요인, 모두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개인체계 요인에서"충동성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대인관계 곤란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이 채택되었고, 가족체계 요인에서는 “부모의 인터넷 사용능력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사회체계 요인에서"학교만족도는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또래압력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이는 충동성과 대인관계 곤란도가 높을수록, 부모의 인터넷 사용능력과 학교 만족도가 낮을수록, 또래압력을 많이 받는 청소년일수록 인터넷에 중독될 확률이 증가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들을 정리하여 청소년 인터넷 중독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려고 한다. 첫 번째, 청소년의 충동성을 낮추고, 또래집단에서 관계를 맺는 방법이나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청소년들을 위한 다양한 인성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해야 한다. 두 번째, 부모의 인터넷 사용능력과 관련하여 부모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부모의 인터넷 사용능력 향상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부모-자녀가 공유할 수 있는 인터넷 문화를 확산시켜야 한다. 세 번째, 청소년들의 여러 환경 중 그들을 가장 잘 파악하고 접근할 수 있는 학교를 청소년 인터넷 중독 예방 및 치료 접근을 위한 주요 자원 체계로의 활용을 위해 전문 인력을 배치하고, 청소년기관과 연계하여 인터넷 중독된 청소년들을 선발, 치료해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or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programs by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influence individual, family, school & peer factors o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In order to reach this purpose, survey research with adolescent was conducted. The study questionnaire for conducting study purpose search that items regarding internet addiction, individual, family, school & peer factors. This study was utilized in Self Inspection Theor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2,3 grader of 6 highschool in kuro, seoul. Subordination variable which use for analysis is internet addiction, through the influence of that's independence variable is consisted lack of self-esteem, high impulsiveness, low personal relationship. Reason of family scheme is consisted of family relation, parents direction, parents internet using skill. Internet addiction analysis is conducted thorough SPSS/WIN 12.0 program and conducted T-test, ANOVA analysis, multiple recurrence analysis in this study condensation is below existence. First, as to degree of the use for internet ,almost internet using time is up to 5years. Almost internet using average time indicated from 1hour to 3hour, almost connection way is high speed LAN, and almost using internet activity is network game. Second, addiction in adolescents analyse dividing into personal section, family section, social section in view of ecology. Result of that, t is appeared that have affect personal section, family section, social section. "Impulsiveness may affect addiction in adolescents." "Low personal relation may affect addiction in adolescents" are adopted as tentative theory in reason of personal scheme. "Parents internet using skill may affect addiction in adolescents" is adopted as tentative theory in reason of family scheme. And "School satisfaction may affect addiction in adolescents", "Pressure among same age friendship may affect addiction in adolescents" is adopted as tentative theory in reason of social scheme. It show that the higher impulsiveness, lack of personal relation, heavy pressure among same age friendship, the higher percentage of addiction in adolescents, contrary to school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 proposal for addiction in adolescents. Prevention or treatment was indicated following section. First, suppress adolescents's impulsiveness ,develop human nature program which improve way to relation among same age friendship and skill. Second, improve parents internet using skill through parents education system, and spread internet culture that sharing it from parents to children. Third, school that easy to access at the around children is utilized to prevent and to treat internet addiction. Posting professional wok force, internet addiction children must be treated by linking among children education centers.

      • New Interior-Point Methods for Horizontal Linear Complementarity Problems

        조유영 부산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수평 선형 상보성 문제, -Mx + Ns = q, xs = 0, (x : s)≥0, 에 대하여 통일된 내부점법의 틀을 제시하고 복잡도를 이용하여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살펴보았다. 여기서(M, N)는 P∗(κ)-쌍을 나타낸다. 만약 κ=0 이라면, (M,N)는 단조-쌍이 되고 본 문제는 P∗(0)-수평의 선형 상보성 문제가 된다. M이 P∗(κ)-행력이고, N이 단위행렬일 때, 본문제는 P∗(κ)-선형 상보성 문제가 된다. 우리는 매개변수를 이용한 16가지 새로운 커널함수들을 정의하였다. 엘리저블 핵 함수 ψ1, …,ψ14와 엘리저블이 아닌 함수 ψ15, ψ16로 크게 나누고, 엘리저블 함수는 양수배하더라도 엘리저블 함수 ψ1,…,ψ9가 됨을 보였다. 우리는 특히 엘리저블 함수를 기초로 하여 P∗(κ)-수평 선형 상보성 문제에 대한 통일된 알고리즘 틀을 소개하고, 각각의 함수에 대한 복잡도를 큰 폭 개선 방법 뿐만 아니라 작은 폭 개선 방법에서도 계산하였다. 또한 엘리지블 핵함수 ψ5,ψ8,ψ10,ψ11,ψ13,ψ14에 기초하여 큰 폭 개선 방법에 대하여 지금 현재까지의 가장 좋은 복잡도를 보였으며 ψ7은 기존의 커널함수보다 더 좋은 복잡도를 얻었다. 작은 폭 개선 방법에 대하여서는 커널함수 ψ1,…ψ15 기초하여 복잡도를 계산하였으며 지금 현재까지의 가장 좋은 복잡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수치실험을 통해 양수 p배한 엘리저블 함수 ψ1,…,ψ9에 대하여 p=1인 경우의 반복 횟수보다 p>1인 경우의 반복 횟수가 더 좋음을 보였고, 각 커널함수에 기초한 반복 횟수 및 매개변수의 값과 근사해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