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課程日錄』의 어휘 분류체계 및 ‘身體’ 어휘의 의미 관계

        조아람 반교어문학회 2019 泮橋語文硏究 Vol.0 No.51

        본고는 분류어휘집인『과정일록』의 어휘 분류 체계를 살펴보고, ‘신체’문 어휘의 의미관계를 살펴 『과정일록』의 국어사적 가치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과정일록』은 두 가지 이본이 전하며, 일본의 오구라문고와 성균관대학교의 존경각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어휘 분류는 약 9,000여 개의 어휘를 30개의 목록으로 나누어 싣고 있는데 천, 지, 인, 물 관련 어휘를 모두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만물류 물명서와 성격을 같이 하며, 제목을 과정에 대한 매일의 기록으로 볼 수 있다는 면에서 한어 학습서와 같은 성격도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신체’ 관련 어휘는 오구라문고본 329개, 존경각본 328개를 다루고 있으며 몸, 장기, 얼굴, 상체, 하체, 행동, 분비물 등의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그리고 그 어휘들과 관련이 있는 형용사와 동사를 함께 다루고 있다. 『과정일록』은 19~20세기에 사용되던 일상 어휘를 명사를 중심으로 형용사, 동사 등 전체를 아울러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국어사 어휘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xical classification system of "Gwajeong-illok", which is a classification word collection, and to examine the semantic relation of the lexicon of "body" group, to establish the Korean history value of "Gwajeong-illok". There are two types of "Gwajeong-illok" and are kept in the Ogura Mungo of Japan and in the Jongyeonggak of Sungkyunkwan University. The "Gwajeong-illok" contains about 9,000 words divided into 30 lists. It has all the vocabulary associated with '天, 地, 人, and 物,' so it has a similar personality to 'Manmul-lyu Mulmyeong-seo'. Also, since the title is a daily record of the process, it is similar in character to the Chinese language study book. There are 329 vocabulary in the "body" group in version of Ogura Mungo, and 328 in the "body" group in version of Jongyeonggak. Words related in "Body, organs, face, upper body, lower body, action, secretion" are listed in order. It is also listed with adjectives and verbs related to the word. It is expected that "Gwajeong-illok" will be an important resource for Korean language vocabulary research because it has all the nouns, adjectives, and verbs used in the 19th and 20th century.

      • KCI등재

        Potassium Sulfate Supply under Elevated CO2 Improves Flower Development and Photosynthesis of Phalaenopsis

        조아람,정선우,김윤진 한국화훼학회 2022 화훼연구 Vol.30 No.3

        Although the effect of elevated carbon dioxide (CO2) on Phalaenopsis plant flowering, biomass, and photosynthesis has received intensive study, whether elevated CO2 affects plant requirements and sensitivity to potassium sulfate (SOP) during the reproductive growth stage remains unclear. To evaluate the combined effect of CO2 and SOP provision on crassulacean acid metabolism orchids, we cultivated Phalaenopsis Queen Beer ‘Mantefon’ under ambient and elevated CO2 treatments (≈ 400 or ≈ 720 μmol×mol-1, respectively) and four levels of SOP supply for 20 weeks after treatments (WAT): potassium and sulfate levels by 10.41 and 1.96 mmol·L-1 (SOP1), 5.98 and 0.90 mmol·L-1 (SOP2), 12.80 and 1.96 mmol·L-1 (SOP3), and 14.83 and 3.16 mmol·L-1 (SOP4), respectively. The number of floral buds and flowers decreased in the plants grown under elevated CO2 than in those grown under ambient CO2, regardless of the SOP level; however, the reduced production of floral buds and flowers did not affect the dry mass of shoot, root, and spike at 20 WA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of CO2 and SOP on root biomass accumulation and net CO2 uptake. The stimulation of biomass partitioning on the root, as a sink source, observed due to the uptake of elevated CO2 was improved under increased SOP supply. Under ambient CO2, the leaf critical SOP level was SOP1 for root and spike biomass accumulation. Plants grown under elevated CO2 were more sensitive to SOP treatments, with higher essential leaf levels of SOP.

      • KCI등재

        폐 CPU 칩의 해체장치 제작 및 성능 평가

        조아람,박승수,김보람,박재구,Joe, Aram,Park, Seungsoo,Kim, Boram,Park, Jaiko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6 資源 리싸이클링 Vol.25 No.6

        본 연구에서는 F-PGA 타입의 CPU 칩과 W-BGA 타입의 CPU 칩을 대상으로 금(Au)의 함량 및 분포 상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F-PGA 칩의 경우, 금의 80.8%가 칩 터미널(terminal)부분에, W-BGA 칩의 경우에는 베어다이(bare die)에 금이 89.8% 편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금이 칩의 특정 부분에 존재하는 사실로부터 CPU 칩의 해체장치를 고안하게 되었다. CPU 칩 해체실험의 조작변수는 롤러 회전속도, IR 히터의 가열 온도, 가열 시간으로 하였다. F-PGA 칩의 경우에는 가열 온도 $300^{\circ}C$, 가열 시간 90초 조건, 그리고 W-BGA 칩의 경우에는 롤러속도 90 rpm, 가열온도 $300^{\circ}C$, 가열 시간 180초 조건에서 칩 터미널과 베어다이를 각각 완전하게 분리/회수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Au distribution in F-PGA chip and W-BGA chip were examined to recover Au effectively from CPU chips. The result showed that 80.8% and 89.8% of Au exist in terminal of F-PGA chip and bare die of W-BGA chip, respectively. Based on the fact that Au exists in specific parts of the chips, an CPU chip dismantling apparatus was developed. The experimental variables were roller rotating speed, heat temperature of IR heater and heating time. Terminals of F-PGA chips were completely recovered under the temperature of $300^{\circ}C$ and the residence time of 90 s. Bare dies of W-BGA chips were completely recovered as well under the temperature of $300^{\circ}C$, the roller rotating rate of 90 rpm and the residence time of 90 s.

      • KCI등재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조아람,김영신 한국음악치료학회 2015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7 No.2

        이 연구는 1998년부터 2014년까지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들을 대상으로 음악치료가 치매노인에게 미치는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석․박사 논문 20편과 학술지 논문 10편을 대상으로 중재방법, 중재목적, 그리고 총 회기 수, 회기 당 운영시간 등으로 나누어 변인별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총 30편의 논문에서 107개의 효과크기 사례수가 도출되었으며 전체효과크기는 0.851의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변인별로 대상의 연령과 증상에 따라 구분하였는데 연령에 따라 80세 이상에서 더 효과적이었으며 증상에 따라 경증에서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나 각각의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중재목적에 대해서는 인지, 사회/정서, 행동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했으며 그 결과 사회/정서영역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고 인지영역, 행동영역순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중재방법을 적극적 활동과 혼합적 활동으로 구분하여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적극적 활동에서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음악선곡 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 치료사가 지정한 경우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음악치료사가 시행했을 때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총 회기 수와 회기 당 운영시간을 분석 한 결과 10회기 이하에서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회기 당 운영시간 역시 40분미만일 때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총 회기 수와 회기 당 운영시간에 대해 메타회귀분석 결과 10회기 이하, 40분 미만에서 경향성이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for dementia using the studies conducted from 1998 to 2014 on dementia for meta-analysis. 20 doctoral and master theses and 10 published articles were analyzed by dividing into dependent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and operating hours per session. 107 effect sizes were derived from 30 studies. The meta-analysis showed 0.851 of overall effect size, which means that music therapy is effective to dementia according to Cohen’s criteria of above 0.8 (1988). The analysis by variables showed that for ages over 80’s effect size was 0.899 while below 80’s effect size was 0.812; regardless of age it showed high effect sizes. Mild symptoms showed higher effective size than severe symptom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degrees of symptoms. Regarding the intervention purpose, 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by dividing into cognitive, emotional/social and behavioral areas; emotional/social area’s effect size was highest, followed by the cognitive and the behavioral areas. Regarding the intervention method, active music therap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siz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receptive and active music therapy. If the music was suggested by music therapist, the effect size was higher and more effectiv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and duration per session showed that music therapy is more effective under 10 sessions as well as for a session duration of less than 40 minutes. The meta-regression analysis of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and duration per session showed more effectiveness below 10 sessions and for sessions of less than 40 minutes. This study proves that music therapy is effective for social/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problems in dementia.

      • KCI등재

        스케일링이 치은열구액 내 치성 법랑모세포 단백질(ODAM)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조아람,배현숙 대한구강해부학회 2023 대한구강해부학회지 Vol.44 No.1

        ODAM은 치주염의 활성 상태를 반영하는 바이오마커로 질병의 정도나 민감도 및 특이성이 높아서 질병의 초기 단계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GCF를 활용하여 스케일링 중재 후 치성 법랑모세포 단백질(ODAM) 변화를 비교하여 치주상태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GCF 분석을 위하여 선정 기준 및 제외 기준에 따른 치은염 및 치주염 환자 총17명을 대상으로 스케일링 중재 전·후 치아 12∼20개 부위에서 총 76개의 GCF를 채취 후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으로 총 수준을 정량화하였다. GCF 채취 후 동일한 치아에서 치주탐침을 사용하여 PD, PI, CI, mSBI를 측정하였으며, 스케일링 중재 후 평가는 4주 후에 호전 기간을 두고 진행하였다. 스케일링 중재 전· 후에 따른 임상 매개변수(PD, PI, CI, mSBI)와 GCF 내 ODAM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s 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스케일링 전·후에 따라 PD, PI, CI, mSBI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스케일링 전·후에 따른ODAM 농도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스케일링 전·후 ODAM 발현 정도는 PD가 3 mm 이내인 치은염 환자보다 PD가 4 mm 이상인 치주염 환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스케일링 후 GCF 내 ODAM 변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보완 연구를통해 치은염 환자의 GCF 내 ODAM 검출 기전에 대해 확인하고, PD가 4 mm 이상인 중등도 및 심한 치주질환 대상자를 포함하여 피험자에 따라 GCF 내 ODAM 농도가 큰 차이를 보인다면 ODAM은 치주질환 예방 및 관리 후 치주 개선 정도와 질환 활성화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periodontal status by comparing changes in odontogenic ameloblast-associated protein (ODAM) after scaling interventions utilizing samples of gingival crevicular fluid (GCF). For GCF analysis, a total of 76 GCF samples, collected from 12 to 20 teeth, from 17 patients with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before and after scaling were collected. The patients were selected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total GCF levels were quantifi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fter GCF collection, PD, PI, CI, and mSBI were measured on the same teeth using a periodontal probe Furthermore, the post-scaling intervention evaluation was performed after a 4-week healing period. A Wilcoxon signed ranks test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clinical parameters (PD, PI, CI, mSBI) and ODAM in gingival crevicular fluid before and after scaling intervention. PD, PI, CI, and mSBI were all significantly different before and after scaling (p < 0.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DAM concentration between pre- and post-scaling (p < 0.05).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ODAM expression before and after scaling in periodontitis patients with a PD of 4 mm or more than in gingivitis patients with a PD of less than 3 mm. The present study confirmed changes in ODAM within GCF after scaling. ODAM is a biomarker that reflects the active state of periodontitis and has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the extent of the disease, making it useful for accurately diagnosing the early stages of the disease 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Our results confirmed changes in ODAM within GCF after scaling. In the future,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If the mechanism of ODAM detection in the GCF of patients with gingivitis is confirmed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DAM concentrations in the GCF of subjects with moderate and severe periodontal disease with PD ≥ 4 mm, ODAM may be a potential objective indicator of periodontal disease activity. If GCF can be used as a biomarker to assess and monitor periodontal disease activities and periodontal changes following treatment, periodontal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may be further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