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Impact of the Learner’s Meta-ability Changes on Interpersonal Relations with Teachers under COVID-19: A Lens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조순정,이동현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12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of South Korea have switched to a full-scale distance-learning paradigm.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hanges in the learner's meta-ability on interpersonal relations with teachers as well as to examin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long with a theoretical lens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 Relying on media richness theory and social information process theory about CMC, the research first mapped out 16 pre-determined variables from the related literature in a proposed conceptual model combining three measurable elements of meta-abilities required for higher education learners and the learner-teacher relationship. In response to the changeover to online education, this empirical work looked into nonverbal messages from 117 students and surveyed 207 students attending a Korean general university after collecting the data in December 2020 and June 2021 over the two academic terms. Empirical results from the survey respondents showed that the changes in meta-cognitive ability and meta-affective ability affected interpersonal relations with teachers; however, changes in meta-social ability left no influences on the learner-teacher relationship. The factor in their school year worked as a moderator, particularly affecting the causal relationship in variables between changes with meta-cognition as well as meta-affe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ese findings would be noteworthy for university educators and policymaker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learner's meta-ability changes on interpersonal relations with teachers via CMC in the long-term pandemic context. This study proposes the original CMC-specific theoretical model, and it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higher education academia and to the field of education informatics whose research interests include rising issues of a distance-learning scenario under COVID-19.

      • KCI등재후보

        사이버대학 영어청취 교과목 콘텐츠 개선을 위한 학습자 요구조사

        조순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교양교육연구 Vol.9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adult students in a cyber university to improve the optimal content for listening courses catering to their goals and expecta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earner needs, surveys and online discussion were carried out with the students enrolled in a listening course at a cyber university. The need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s: 1) most adult learners in cyber university have stronger intrinsic motivation in learning English, prioritizing self-development and genuine interests in communicating in English; 2) linking sounds, fast speech rates, and colloquial expressions were the main factors to block them from comprehension while listening; 3) the students preferred learning through practical everyday conversations, authentic movies or dramas to news or informative materials as an listening input; 4) some of the listening skills that the learners found useful were communication patterns, colloquial pronunciation, and culture studies. They also considered comprehension questions and dictations more useful than listen and repeat or listen and record activitie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learners will be greatly benefited if those characteristics and needs implemented on the content/curricular development for listening courses. 본 연구는 기 개발된 사이버대학의 영어청취 콘텐츠 후속 개선에 반영하기 위하여, 학습자들의 청취수준 현황과 청취장애 요소, 선호 학습자료 및 유용성에 관한 학습활동 등을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A디지털대학 재학생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영어학습에 있어 청취(듣기)가 세 번째 난이영역으로 선택된 가운데, 연령과 성별은 청취수준에 있어 거의 무관한 반면, 예상대로 해외연수 경험과 학력 수준은 양(+)의 관계로 나라나 이들을 대상으로 한 콘텐츠 차별화가 필요함을 검증하였다. 청취 이해에 장애 요소는 발음 및 빠른 발화속도와 같은 음성적 요소 뿐 아니라 문장 구조, 구어체 표현 등도 주요 항목으로 선택되었다. 응답자들을 일상 대화문 외에도 드라마, 영화 및 애니메이션 등 실생활적 동영상 콘텐츠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뉴스나 정보문, 영어능력 시험과 같은 기능적인 학습 콘텐츠의 관심도는 매우 낮음에 따라 동 요구에 관한 콘텐츠의 안배가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청취 학습 요소들 중에서는 대화 패턴, 구어체 발음 현상 등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유용성을 느낀다고 답했고 문장구조, 문화 등의 요소들에 대해서도 학습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아울러 청취연습 활동으로는 듣고 이해문제 풀기를 가장 유용하다고 답했고, 받아쓰기나 듣고 번역하기 역시 높은 유용성을 보였다. 반면, 듣고 요약하기나 녹음발음 따라 하기는 상대적으로 유용성이 낮은 등, 전반적으로 청취학습 요소에 관해 재분석 후 콘텐츠 개선이 필요함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해외의 메타버스 연구 조명(2000~2019) : 다성적 서술 고찰

        조순정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3 경영컨설팅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코로나19 발발로 국내에 메타버스 관련 연구가 급증하기 이전, 미국에서 출범한 메타버스(metaverse)의 이론 기반과 실용 지식을 중심으로 해외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메타버스 기술의 고도화가 현대 국내 사회에 함의하는 바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의 다성 적 서술 방식에 따라,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소개된 국제 출간·비출간 문헌에서 메타버스의 시대별 상황, 국가별 주요 연구 주제 및 내용 분석 을 토대로 다양한 학제적 분야에 대한 경영 컨설팅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20년의 기간 중, 미국과 일본의 경우 2000년대 중 반 메타버스 로드맵 참여 이후 다수의 학문 분야에서 광범위한 메타버스 연구가 있는 가운데 경영 쪽에선 광고, 재무, 회계, 소매업, 국제 경영, 인력 관리에 초점을 둔 연구가 여럿 소개됐다. 동 기간 메타버스에 관한 국내 연구는 디지털미디어, 공간 디자인, 전시 기술, 3차원 게임, 역사 교 육 등이 주가 되고 경영 분야에 관한 연구는 거의 공백에 가까웠으며, 당시 해외 경영 문헌마저도 메타버스를 직접적인 소재로 삼기보다는 2003 년 출시된 미국의 가상현실 플랫폼‘세컨드 라이프(Second Life)'가 끼칠 사회 경제적인 파장과 기업 경영의 파급 효과 분석에 집중되어있는 현 상을 발견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사회 분야의 대표적인 실용 학문인 경영학 측면의 메타버스에 관한 연구는 당시 이공계와 예술·디자인은 물 론 인문 분야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적은 측면이 주목된다. 동 연구는 메타버스 분야 과거 해외 주요 국가의 연구를 토대로 한국의 연구 공백을 파악함으로써 메타버스 현상의 폭넓은 이해와 다양한 산업 및 연구 분야의 실질적 적용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study reviewed international literature published from 2000 to 2019 before Koreans' attention to the metaverse skyrocketed due to COVID-19 to seek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actical knowledge of the metaverse overseas. Based on the multivocal narrative review method, it examined both white literature and gray literature in line with the chronological changes by other leading countries, identifying meaningful evidence in Business. While domestic publications on the metaverse within the period focused on digital media, space design, exhibition technique, 3D games, and history education that were far from Business, researchers and professionals in the US, EU, and Japan widely published across the field, including multiple business studies on advertising, financing/accounting, retails, and global management; however, rather than dealing with the metaverse in nature, most of their works in Business spotlighted ‘Second Life’, the first virtual reality platform that debuted in 2003, to forecast social-economic impacts and enterprise management. Overall, in handling the issues of the metaverse, business-related practical research in Social Sciences turned out to be less than those in Natural Sciences and Humanity/Arts. For academic scholars and industry practitioner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management consulting on the metaverse by understanding the knowledge gap and gaining insight into the virtual world in the collaboration research of the business area.

      • KCI등재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유형 연구: 유튜브 영상물을 중심으로

        조순정,이동현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7 No.3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social media literacy pattern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attending Korean universities, analyzing the secondary data available on YouTube. In line with the Rheingold(2009)’s five patterns of social media literacy, in total, 48 video clips were analyzed by the thematic content analysis in a qualitative manner. This work unearthed that ‘appropriate attention’ and ‘network awareness’ were two dominant literacies over ten themes within the Korean contexts identified as culture; learning; food; language; daily lives; employment; campus; society; family and environment, while ‘sound participation’, ‘matured collaboration’ and ‘critical consumption’ outnumbered in the themes of culture, learning, and campus. Overall, the Korean pop music, a sense of communal spirit, Korean language learning, the cost of living, participation into university festivals, social activities with domestic students, and collaboration in group assignments were the intensively identified. In particular, the majority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were good at critic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actively embracing cultural diversity in Korean society. Besides, a number of the regular curriculum students effectively expressed their various thoughts in the Korean context, whereas almost all exchange students and some language course students were their English/native language speakers. Lastly,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most students were skilled in demonstrating a good command of communication over social media, by sharing their unique local experiences exchanging knowledge-based information;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media literacy-related research.

      • KCI등재

        직무중심 영어의 핵심역량 요소 연구- 영어졸업 인증제와 국가 직무능력 표준 맥락에서

        조순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4

        This study explores the elements of core competence in workplace English within the context of English Proficiency Graduation Certification (EPGC) that has implemented over the last 20 years an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a new policy on the job market, which was launched in 2018. After a series of in-depth critical literature reviews on EPGC and NCS,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from secondary data sources (e.g., EPGC details, skills in job description) available on the websites of 30 general universities and 15 public corporations as well as 50 private enterprise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elements of core competency based on NC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As per documentation, translation skills and email-writing skills are required, while oral communication skills in English for presentation, meetings, and counseling, including VIP interpretation, are considered to be a core capability. Within reading comprehension area, basic proficiency in understanding user manuals is essential for the general tasks whereas the expert-level of proficiency for translating contracts/agreements is important for the overseas business roles. Regarding other capabilities, the ability to organize complex schedules for international events is one of the key competencies for workers responsible for global businesses. This empirical study may contribute to further researches in EPGC and NCS focused on improvement of graduates' command of the English language and the development of the English education programs for the Korean universities. 본 연구는 2018년 정착된 국가 직무능력 표준과 시행 20년이 지난 대학 영어졸업인증제의 맥락에서 직무중심 영어의 핵심역량 요소에 관해 조사했다. 양 제도에 관한 심층적인 문헌 조사에 이어, 30개 4년제 종합대의 영어졸업인증제 공개 자료와 공기업 15개사 직무기술서 및 기업체 50개사의 채용 광고를 취합했다. 수집된 2차 자료를 내용분석 기법으로 질적 분석한 결과, 4개 역량의 총 15개의 직무중심 영어의 핵심역량 요소를 선별할 수 있었다. 첫째, 문서 역량과 관련하여 해외 부서와 해외업무 분야의 공기업은 원문 번역과 문건 생산 능력을 필요 역량으로써 직무기술서에 기술했다. 둘째, 구술 역량에서는 다수의 직무기술서가 의사소통 능력 측면에서 영어 구사를 기본 기능으로 명시했다. 구체적으로, 일반 통역, 대중 발표, 국제회의 및 대면 상담 능력을 포함하며, 귀빈 통역 역시 중요한 능력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독해 역량의 경우, 영업·현장 직무에서는 영문 매뉴얼을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의 영어 구사 수준이 직무기술서에 서술되었는데, 해외 관련 분야는 법적 계약서와 국가 간 협정문 등을 고도의 전문가적 수준에서 검토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했다. 끝으로, 기타 역량에서는, 조직의 국내외 행사 수행과 일정 수립을 생산하는 영어 역량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기업과 일반 기업체의 영어 역량평가 요소에 맞춘 대학의 영어졸업 인증제 개선을 위한 학계의 유관 연구와 국가 직무능력 표준에 맞춘 영어 교과목 수립을 관한 대학 현장의 실무에 참고가 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KOICA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에 관한 교과목의 교육 효과: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사례

        조순정,백선욱 국제개발협력학회 2023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5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12년부터 KOICA 국제개발협력(IDC) 이해증진사업에 9개년에 걸쳐 참여한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의 사례를 통하여 IDC 교과목의 교육 효과를 다각도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중요성: 그간 KOICA는 이해증진사업에 참여하는 전 대학의 협력단 자체의 종합적인 성과는 공개했으나, 각 대학 차원에서 참여 수강생에 대한 교육 효과를 세부적으로 조사한 연구는 아직 드물다. 본 연구는 KOICA 주관 이해증진사업에 여러 차례 선정된 한 대학의 IDC 관련 이론 및 실습 교과목의 교육 효과를 분석한 사례 연구로써, 동 사업에 참여하는 대학의 핵심 역량과 분야별 강점에 부합한 교과목 설계와 운용에 참고가 될 것이다. 연구방법론: 동 단일 사례 연구는 2018년~2022년 KOICA가 상명대 천안캠퍼 스를 통해 다년간 수집한 총 139명의 설문 자료를 수강생 답변 자료의 양적 분석과 설문 내 자유서술 답변을 질적 분석하는 혼합 방식으로 수행했다. 연구결과: IDC 교과목 수강 전에 비해 수강 후 IDC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대외 원조의 필요와 확대에 관하여 수강 전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했음을 보였다. 수강생의 강의 후 자기 교육 평가가 높을 수록 학교 측이 의도한 교육의 효과 역시 높아지는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종강 후 자유서술 의견에서 대다수는 IDC 기관의 취업, 해외 활동과 현장 학습에 관심을 보인 가운데, 일부 학생은 지속가능한 세계시민의식이 증대됐고, 세계 시민교육에 관한 지식요소, 기능요소, 태도요소와 실천요소 측면에서 향상된 자신의 세계관을 묘사했다. 반면, 적정기술·적정디자인 기반의 융복합 프로젝 트의 실습은 교과목 운영 측면에서 보강이 필요함을 보였다.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세계시민 관점의 IDC 이론 강의와 협력 국가의 현황에 맞는 융복합 프로젝트가 대학생의 글로벌 역량 증대, IDC 분야 취업 의지를 고취해 줌을 확인했다. 본 사례는 국내 대학의 IDC 강의 전후의 효과 분석과 사업 진행에 관한 대학별 모니터링과 평가에 시사점을 줄 것이다.

      • KCI등재

        이민자 부부의 영어 역량과 학습 의지가 배우자의 자존감과 행복감에 끼치는 영향-뉴질랜드 교민 사례

        조순정(Cho, Soon Jeong),이동현(Lee, Dong Hyun) 한국성인교육학회 2018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1 No.2

        비영어권 국가인 한국의 교민들이 영어권 거주국에서 발휘하는 언어적 능력은 현지 동화와 사회 활 동에 있어 중요한 도구이며, 가족 구성원의 삶에도 직간접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교민 부부의 영어 능력과 학습 의지는 자신은 물론 배우자의 자아 존중과 개인 행복에도 영향을 준다고 하겠다. 사회언어학 관점과 성인 교육 맥락에서, 동 연구는 해외 거주 부부의 영어구사 역량과 영어학습 의 지가 자존감과 행복감에 영향을 끼치는지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 적합한 이론 모형인 행위자-상대 자 상호의존모델(APIM)을 근간으로 자신(행위자)과 배우자(상대자)간 독립 변수(영어구사 역량․ 영어학습 의지)와 종속 변수(자존감․행복감)의 인과 관계를 설명하고자, 동 연구자들의 체류 경험 이 있고 현직 활동 중인 뉴질랜드에서 한인 부부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2017년 6 월부터 2개월 간, 현지의 교민 104쌍(총 208명)으로부터 온라인-오프라인 응답지를 수집하여 위 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배우자의 영어학습 의지는 물론 자신의 영어학습 의지 역시 배우자 의 자존감과 행복감에 각각 유의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부부의 영어구사 역량은 배 우자의 자존감 및 행복감에 주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뉴질랜드 이민자 부 부의 경우, 현재 각자의 영어구사 역량보다는 공동의 영어학습 의지가 자신은 물론 배우자의 자아 존중과 개인 행복에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부부가 참여하는 과정이나 공동의 관심 주제를 반영한 현지 성인영어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번에 실험한 모델과 설명된 변수들 을 토대로, 타 영어권 국가들의 한인 부부를 대상으로 확장된 연구 조사를 통해 분석 결과의 일반 화를 꾀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influences of language competence and learning intention on immigrants social activities in an English-speaking environment, thereby examining how the related factors interact with immigrant couples and their self-esteem and happiness. To to this, amongst Korean couples in New Zealand, this work tested multiple variables in English language competence and English learning intention on self-esteem and happiness; a research framework was first designed in line with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and theoretical variables were then arranged into the framework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immigrants language competency and learning intention in English as well as self-esteem and happiness. A combined online-off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out New Zealand in June-August 2017, followed b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collected from 104 Korean couples(i.e. 208 persons in conjugal relations). The results explain that English learning intention is significantly interdependent with the partner s self-esteem and happiness, while English language competence is little interdependent; in particular, among Korean-New Zealand couples, English learning intention of actors exerts the strong influence on self-esteem and happiness against their partners. To generalize the outcomes from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n different countries will be performed in more overseas Korean couples.

      • KCI등재

        E-러닝 경험, MOOC 특성과 학습자 배경이 MOOC 수용 의도에 주는 영향

        조순정(Cho, Soo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동 연구는 비영어권 국가인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MOOC 수용 요인을 규명하고 인과 관계를 종합적으로 설명하였다. 앞선, 2015년 연구 당시 소개한 E-러닝 기반의 개념 모형 위에 MOOC 특성과 학습자 배경에 관한 변인을 추가하여 설문 응 답, 인터뷰 내용과 토론방 자료를 분석했다. 2018년 1월부터 7월까지, 국내 4년제 대학생과 해외 거주를 포함한 사이버대 재학생 등 총 189명의 설문 응답을 조사한 결과, MOOC의 용이성과 함께 MOOC 강좌에 대한 해석 수준이 매개되어 MOOC 수용 의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MOOC의 유용성, MOOC 교수자와 상호작용과 MOOC에 접근했던 심리는 수용 의도에 끼친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학습자 배경에서는, 주관적 규범은 조절 효과로 작용했으나 수강자의 영어 실력은 조절 효과로 연관이 없었다. 한편, 설문지의 자유 서술(51명), 별도의 현장 면접(6명) 및 온라인 토론방(14명)에서 얻은 텍스트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한 바, 영어학습 병행과 관심분야 지식 습득에 따른 유용성, 수강에 조건 없이 공개된 용이성, 교수자의 원어 민 발음에 따른 해석 수준과 시청각 효과에 의한 상호 작용이 MOOC 수용에 관계가있었다. 아울러, 교수자의 명성이 MOOC의 접근에 심리적으로 작용하였고, 보다 영어 실력을 높이려는 수강자의 의욕도 MOOC 수강 의지에 일조했다. 동 연구는 MOOC를 활용한 교육 현장의 플립러닝과 평생 학습을 위한 교육정보화는 물론 영어문 강의 도입에 관련된 K-MOOC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ausal factors in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acceptance, explaining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across the key factors.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and findings from a pilot study conducted in 2015, this empirical research analyz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by adopting a mixed method. To sharpen the former research framework, it applied interaction theory as well as construal level theory and selected three constructs that may influence the acceptance of MOOC: E-learning experience, MOOC specificity, and learners background. This work, as the main study, then undertook a questionnaire survey in the first half of 2018, followed by text-based inquiries, face-to-face interviews, and online discussions in February/July 2018. Using survey data from 189 local/overseas Korean general and online university students,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s identified ease of use in terms of E-learning and construal level within the context of MOOC specificity exerted an influence on MOOC acceptance, while the background of learners controlled the level of accepting MOOC; however, competency in English turned out to be insignificant. Freestyle replies, interviews, and online discussions revealed that not only improvement in English and knowledge acquisition by personal interest, but also the openness to all potential learners across the borders led to accepting MOOC. Interaction with a native-speaker accent and practical audio-visual tools were keys to selecting MOOC whereas the reputation of MOOC lecturers played a minor role psychologically in the MOOC s approach. Besides, the desire of the learners to improve their English skills affected the willingness to accept MOOC. This work will contribute to the utilization of MOOC in the area of lifelong and higher education, the application of MOOC to flipped-learning and the development of K-MOOC in delivering lectures in English.

      • KCI등재

        Comparing American MOOCs and K-MOOC Paper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Korean Journal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조순정(Cho, Soon-jeong),이동현(Lee, Dong-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동 연구는 국내 인문사회 유관 학술지의 미국 MOOC와 K-MOOC 연구 유형을 검토했다. 2012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 출간된 MOOC 관련 논문 중,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인문사회 및 학제 간 분야 26개 등재지에 출간된 미국의 3대 MOOC, K-MOOC 문헌 총 52편을 체계적으로 고찰했다. 2015년 말 K-MOOC 출범 후, 약 3년이 지난 2019년 K-MOOC 논문이 수적으로 앞선 가운데, 두 유형의 MOOC 논문은 연구 형식, 자료 종류, 분석 기법 등 방법론에 큰 차이가 없었다. 연구 형식은 탐색형과 기술형이, 자료원은 설문조사에 의한 1차 자료가 압도적이다. 자료 분석은 추리 통계와 기술 통계가 대세이며, 표본 수는 200개 이하가 대다수였다. 반면, 계량 변수와 질적 변인의 유형은 크게 달랐다. 첫째, 미국 MOOC 연구는 만족도, 유용성, 태도 등의 매개/조절 변수가 포함된 개념 모형을, K-MOOC 연구는 중계 변수가 관여하지 않은 인과 모델을 주로 선택했다. 둘째, 전자의 문헌은 정량적 독립 변수로 MOOC의 인지된 유용성, 기대감, 적합성 등이, 종속 변수는 수용의도와 재사용이 주류였으나, 후자의 경우 독립 변수의 범주화가 힘들 정도로 다양했고 종속 변수는 수강 완료, 사용 중단, 학습 완료가 다수를 이뤘다. 셋째, 질적 방법에서 미국 MOOC 연구는 언어 습득, 교과 활용, 학습 동기가 주요 변인이나, K-MOOC 영역은 상호작용, 학습 평가, 과정의 질에 집중됐다. 넷째, 이론적 기반은 미국 MOOC 연구가 탄탄한 가운데, 분석 방식은 K-MOOC 연구가 다양했다. 끝으로, 연구 맥락에서 미국 MOOC는 플립러닝에, K-MOOC는 고등·직업 교육에 초점을 뒀다. Few comparative studies reveal the impact of American MOOCs (A-MOOCs) and K-MOOC in the Korean context. We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the two MOOC platforms in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the related interdisciplinary field, comparing a total of 52 articles published in 26 Korea Citation Index-accredited journals in the period 2012-2019. The selected papers appear to recognize no apparent distinction between the two domains in terms of research design. Exploratory and descriptive are equally dominant research types, and primary data by survey method are common data forms. Overall, while the sample size is smaller than 200, inferential and descriptive statistics are widely used. However, research approaches clearly differ between the two: A-MOOCs studies utilize complex causal models combining mediators/moderators, whereas K-MOOC studies rely largely on simpler cause-effect frameworks. The former case primarily uses perceived usefulness, expectation, and conformation as independent factors, and intention to accept/re-use as key dependent factors. In contrast, the latter case selects various focal antecedents that are uncategorizable, including completion, drop-out, and accomplishment. The A-MOOCs context is mainly within flipped learning, yet many K-MOOC contexts relate to vocational learning. Lastly, K-MOOC papers outnumbered A-MOOCs articles in 20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