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제국 시대의 탈식민 주체 되기 - 재일(在日) 지식인 김석범의 글쓰기를 중심으로 -

        조수일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3 일본학 Vol.59 No.-

        This paper attempted to derive Kim Sok-pom’s attitude and thoughts on the symptoms of the post empire by reviewing the continuity of the post empire and the multi-layered cultural power and relationship network through the writing of Kim Seok-beom, a Korean-Japanese writer. First, Kim Sok-pom says that the idea and memory of post-emperial national education created by multi-layered movement and antagonism are the key elements of the decolonization movement, visualizing the symptoms of the cultural power of imperial Japan. Second, Kim Sok-pom presented a way for decolonization by embodying the continuation of emotional sensations as a symptom of the post-emperial transplanted into the mind and body of the decolonized by the cultural power of imperial Japan. Kim Sok-pom emphasizes that in order to achieve true de-imperialization, it is necessary to take infinite responsibility and restore the nation as a consumer, but also raises alarm about the arrogance of the emotional sense imprinted on the colonists. Third, Kim Sok-pom repeatedly reproduces Jeju April 3 Tragedy, which shows symptoms of the post-imperial empire, such as suppression and concealment of memories in the space and time of old-fashioned folklore after the depression, and in the process, he shows the attitude of writing to seek physiological energy as a reaction to cultural power latent in the unconscious. 본고는 재일조선인 작가 김석범의 글쓰기를 통해 포스트제국의 연속성, 다층의 문화권력과 관계망을 검토함으로써 포스트제국의 증상을 대하는 그의 자세와 사상을 도출하고자 했다. 첫째, 김석범은 다층적 이동과 길항의 상호작용으로 생성된 포스트제국의 민족교육을 둘러싼 탈식민화 운동에 깃든 사상과 그 기억을 문자화함으로써, 제국일본의 문화권력이 변종적으로 소생하는 증상을 가시화하고 이 과정에 있어서의 전유와 연루에 대한 청산이 탈식민화 운동의 요체라 말한다. 둘째, 김석범은 제국일본의 문화권력에 의해 피식민자의 심신에 이식된 포스트제국의 증상으로서의 정서적 감각의 지속을 형상화하며 탈식민 주체화를 위한 길을 제시했다. 김석범은 진정한 탈제국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무한대의 책임을 지겠다는 자성과 소여로서의 민족 회복이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하면서도, 피식민자에 각인된 정서적 감각의 오만함에 대해서도 경종을 울린다. 셋째, 김석범은 탈제국 후 구식민지의 시공간에 나타난 기억의 억압과 은폐와 같은 포스트제국의 증상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제주4・3을 반복적으로 재현하는데, 그 과정에서 무의식에 잠재된 문화권력에 대한 반작용으로서의 생리적 에너지를 모색하는 글쓰기의 자세를 보여준다.

      • KCI등재

        김석범 「허몽담(虚夢譚)」의 인물 형상화 양상에 나타난 작가의식

        조수일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0 탐라문화 Vol.0 No.65

        The study focused on the Japanese novel Homongdam(1969), which was published by Kim, Seok-beom, a Zainichi Korean writer, focusing on three aspects of “I,” a focusing a Zainichi Korean writer, and its meaning. First of all,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s beginning, Japan's lifestyle captured the aspects and senses of the “I” body and spirit. It was pointed out that it was linked to the futility of colonized people, who were forced to face the liberation of their homeland in Japan, which had ruled as colonist. In addition, he pointed out that flying dreams and the Korean-language novel Honggildongjeon were inevitable sanctions created by Kim Seok-beom’s first Japanese creative writing in seven years and antagonism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ubsequently, it was noted that in last night’s dream, it depicted “I” who could not think of the word ‘so-la-ge’(a hermit crab) in Korean. Through this, what was possible in the unconscious world of dreams ended in impossibility in the real world, but the dream was discussed as an surreality, not a unreal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cene of the argument with journalist F, I was able to see that “I” was a person who was suffering from the sense of disconnection caused by the linguistic, ethnic, and geopolitic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Language/Japanese Language, Korean People/Japanese People, and Korea/Japan. In addition, Journalist F says Joseon, where he grew up, is his hometown, which is based on his extremely personal feelings. And for “I,” it could read that the ideological element of national community was a the biggest element. Finally, after pointing out that the memory of ‘8・15’ is reproduced by the sense of “I” at the time of recall, the tears shed from Japanese tramway in 1945 after Japan’s defeat in World War II were not uncomfortable tears, but things that expressed human sympathy for others. This work, published in 1969, raises the question of the complexities of individuals, peoples, and nations, but basically, it is a text that asks questions about what true liberation is for individuals. 이 연구는 재일조선인작가 김석범이 「관덕정」 발표 이래 7년 만에 발표한 일본어소설 「허몽담」(1969년)을 분석텍스트로 삼아, 초점화자인 재일조선인 ‘나’의 세 가지 상기와 그 의미에 초점을 맞춰 고찰함으로써 김석범의 작가의 식을 파악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작품의 모두(冒頭) 분석을 통해, 일본이라는 생활세계가 ‘나’의 신체와 정신을 주박(呪縛)하고 있는 양상과 그 감각을 포착하였다. 그것은 종주국 으로 군림해왔던 일본에서 조국의 해방을 맞이할 수밖에 없었던 피식민자의 허무함과 연결된다. 또, 하늘을 나는 꿈과 한글 소설 홍길동전』은 김석범이 7년 만에 일본어로 창작하며 조선어와 일본어 사이에서 격투하며 생성된 필연적 제재였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어서, 어젯밤 꿈에서 조선어로 말한 ‘소라게’라는 단어 자체를 떠올리지 못하는 ‘나’의 모습을 묘사하는 부분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꿈이라는 무의 식의 세계에서는 가능했던 것이 현실세계에서는 불가능으로 끝나버리지만, 그 꿈은 ‘비’현실이 아닌 ‘초’현실, 즉 또 하나의 현실이라는 점에 대해 논하였다. 저널리스트 F와의 언쟁 장면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는, ‘나’가 조선어/일본어, 조선인/일본인, 조선/일본이라는 언어적・민족적・지정학적 차이에서 초래되는 단절감에 오뇌하는 인물로 형상화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 자신이 성장한 조선이 고향이라 말하는 저널리스트 F에게 고향이란 극히 개인적 심정이 근저에 깔린 존재인 반면에, ‘나’에게 있어서의 고향은 민족의 공동체 성이라는 관념적 요소가 큰 존재라는 점을 읽어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8⋅15’의 기억은 상기되는 시점에 있어서의 ‘나’의 감각으로 재현된다는 점을 지적한 후에, 패전한 일본의 전차에서 흘린 눈물은 결코 꺼림칙한 눈물이 아니라, 타자에 대한 인간으로서의 공감을 표상한다는 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1969년에 발표된 이 작품은 개인과 민족, 국가가 안고 있는 복잡다단한 지점들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지만, 기본적으로는 개인으로서의 인간에게 있어서 진정한 해방이란 무엇인지에 관한 질문을 던지는 텍스트라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문학자로서의 본연성, 기억과 역사를 횡단하는 자전적 글쓰기 - 김석범의 기행문과 『보름달 아래 붉은 바다』 읽기 -

        조수일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4 No.-

        This article analyzes the circumstances and meaning of 13visits to Korea through reading travel essays by ZainichiKorean writer Kim Sok-pom. And this paper’s purpose is to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utobiographical writing thatcrosses memories and history in Red Sea under the Full Moonpublished in 2022.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of writing as a writercan be confirmed through reading Kim Sok-pom’s travelessays. First, it is the attitude to carry out unconditional travelto Korea that does not conform to power. Second, solidarityand network necessary for the truth and true liberation of theJeju 4·3 Resistance. and Third, it is the original direction andethics of the Jeju 4·3 Movement and a writer. The latest work, Red Sea under the Full Moon(CUON,2022); contains three works, “Revolved Solitude,” “Red Seaunder the Full Moon,” and “Pains on the Ground” which hasmany traces of visiting Korea’s records and philosophicalthinking. The history and works of writer K, the protagonist of these works, indicates Kim Sok-pom. In this way, the style ofwriting that clears the boundaries inside and outside the noveltext is far from the literature of Kim Sok-pom. But why is KimSok-pom doing autobiographical writing in these works, whichwill be the last novel in his life? For more than 70 years, KimSok-pom tried to publicize the Jeju 4·3 Resistance throughthe method and expression of a novel in the Japanese publicsphere and make it historical as a counter-discussion. Kim Sok-pom, who has not experienced the Jeju 4·3Resistance, wants to supplement the memory and limitations ofthe Jeju 4·3 Resistance through literary imagination, intersectevents that differ in historical time and space, and approachuniversality. Such autobiographical writing shows KimSok-pom’s attitude toward memories and history itself. 이 글은 재일조선인작가 김석범의 방한 기행문 읽기를 통해 13회에 걸친 방한 경위와 그 의미를 분석하고, 2022년에 간행된 작품집 『보름달 아래 붉은 바다』에 담긴 기억과 역사를 횡단하는 자전적 글쓰기의 특징에 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김석범의 방한 기행문을 통해 (1) 권력에 영합하지 않는 조건 없는 한국행을 관철하고자 하는 자세, (2) 제주4·3항쟁의 진상규명과 진정한 해방을 위해 필요한 연대와 네트워크, (3) 4·3운동과 문학자가 지향해야 할 길의 본연적 방향성과 윤리성을사유하게 하는 글쓰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방한 기록과 사유의 흔적이 다분한 최신작 『보름달 아래 붉은 바다』(CUON, 2022)에는 「소거된 고독」, 「보름달 아래 붉은 바다」, 「땅의 동통」이 라는 세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이들 작품의 주인공인 작가 K의 내력과 작품은 김석범을 가리킨다. 이처럼 소설텍스트 안팎의 경계를 지우는 작풍은 그간의 김석범 문학과는 거리가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왜 김석범은 생애 마지막 소설이 될 이들 작품들에서 자전적 글쓰기를 하고 있는가? 김석범은 70여 년에 걸쳐 일본(어) 공론장에서 소설이라는 방법과 표현을 통해 4·3을 공론화하고 하나의 대항담론으로써 역사화하고자 했다. 4·3을 직접 체험하지 않은 김석범은 비당사자로서 4·3에 대한기억과 재현의 한계를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 보완하고 역사적 시공간을 달리하는 사건들과 교차시키며 보편성으로 다가서고자 한다. 이 같은 자전적 글쓰기는 기억과 역사의 문제를 대하는 김석범의 삶의 태도 그 자체를 보여준다.

      • KCI등재

        金石範「觀德亭」論-主題を生成する語り手と讀者の相互作用をめぐって-

        趙秀一 한국일본어문학회 2018 日本語文學 Vol.79 No.-

        본고는 1962년에 발표된 김석범의 「관덕정」을, 제주4·3사건에 있어서의 학살과 그 것에 대한 책임주체의 문제를 추궁하는 작품으로 독해한 것이다. 우선 작품의 첫머리에 주목하여, 낯선 조선의 고유어가 일본어 독자에게 제시되는 표현구조를 밝혔다. 이어서 일본의 언설공간에서 형성된 조선표상을 상기시키는 주인공의 묘사와, 한센병을 둘러싼 동시대언설과 동기화할 수 있는 에피소드를 통해, 일본어 독자에게는 낯선 시공간인 작품세계를 한반도와의 관계와 구조화된 차별과 폭력의 문제로 독자의 눈을 향하게 하는 내러티브의 구조를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복합적인 주인공상과 촬영의 장면에 주목하였고, 거기에 담긴 의도는 찍는 자의 배후에 몸을 숨긴 채 학살을 강요하는 주체, 즉 미국과 이승만정권에 대한 책임추궁이라는 점을 고찰했다. This paper examines Gwandeokjeong Pavilion(1962), Kim Seok-beom’s narrative the massacre in the Jeju 4·3 incident and its discussion of the responsible party. First, the paper pays attention to the beginning, and clarifies the mechanism of expressions in which the native tongue of defamiliarization is presented to readers. Next, it focuses on the narrative world, which is only temporal space of defamiliarization for Japanese readers.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 with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problems of discrimination and violence that are structured toward the reader,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protagonist’s reminisces about Chosun’s representation formed in the Japanese discourse space and episodes that can be synchronized with contemporary discourse over leprosy. Finally, it focuses on the protagonist’s complex image,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shootings. The analysis, reveals that this novel intend to pursue the US military and the Lee Seung-man regime, demanding that they take responsibility for the massacre.

      • KCI등재

        전체과제제시와 부분과제연습이 학습자의 사전인지기능에 따라 문제해결과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

        조수연(趙修年),정선영(鄭善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복합적 인지기술의 습득을 위한 교수설계모형으로 알려진 4C/ID모형의 네 가지 요 소 중 전체과제제시와 부분과제연습이 학습자의 사전인지기능에 따라 문제해결과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I시 소재 중학교 108명의 학생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엑셀 학습 프로그램’을 총 7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복합적 인지기술을 필요로 하는 학습과제의 경우 전체과제제시를 제공하였을 때 문제해결을 쉽게 할 수 있었으며, 문제해결에 대하여 학습전략과 사전인지기능 간에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즉, 전체과제제시는 사전인지기능이 높은 상위집단이 사전인지기능이 낮은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효과적이었다. 또한, 전체과제제시는 본유적 인지부하를 높여주었다. 그러나 인지부하에 대하여 학습전략과 사전인지기능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 복합적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전체과제제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해 준다. 따라서, 전체과제제시는 문제해결 시 본유적 인지부하를 높여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실제 교실환경에서 복합적 문제해결 시 전체과제제시전략의 사용을 제안한다.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hole task practice and part task practice among four components of 4CID model, which is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complex cognitive skill acquisition. 108 subjects from middle school located in I city participated. For the purpose, an instructional program for excel was conducted for seven weeks.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post-test for problem solving and cognitive load test was administered. As the research results, subjects were able to solve problems better when whole task practice was provide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s between learning strategies and previous cognitive skills. That is to say, while whole task practice was effective for the subjects with higher previous cognitive skills, part task practice was effective for the subjects with lower previous cognitive skills. Also, whole task practice raised germane cognitive load. Previous cognitive load skills ha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for all types of cognitive load. However,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s between learning strategies and previous cognitive skills. The current research results reports that whole task practice is more effective for students with high cognitive skills whereas part task practice is more effective for students with low cognitive skills. Since the whole task practice took a role of raising the germane cognitive load while students solve a problem, we suggest whole task practice strategies for complex cognitive problem solving in the practical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하라 다미키(原民喜)의 「여름 꽃(夏の花)」 연구 ―히로시마의 피폭 체험을 형상화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조수일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0 일본학연구 Vol.60 No.-

        DengThis paper contemplated on Summer Flowers(夏の花), a representative literary work of Tamiki Hara that illustrates his radiation exposure from the atomic bombing of the U.S. Forces. He does so by showing a clear contrast between usual and unusual and between the living and dead, and by using novelistic expressions that guide readers to ceaselessly perceive time and space of the literary world. First, paying attention to why the opening of the work is dated August 4, 1945, the work is compared with records explaining the air raid situation at the time. The comparison reveals that the time setting and actions of the protagonist, ‘me,’ are inevitable settings arranged meticulously and elaborately based on the historical time. Next, ‘silence’ of the protagonist, ‘me,’ is pointed out to be a symbol of the reality that represents the impossibility of response rather than a deliberate omission of communication by the author. Lastly, the expressive behavior of the author imprinting the movement line of ‘N’ and ‘me’ on the text is analyzed as a function that makes readers draw space in the literary world while checking the map of Hiroshima in their time and space. 본 논문은 하라 다미키의 문학세계를 대표하는 「여름 꽃」이 미군의 원자폭탄 투하에 의한 자신의 피폭 체험을, 일상과 비일상/산 자와 죽은 자의 극명한 대비를 보여 주는 방법과 독자로 하여금 작품세계의 시간과 공간을 끊임없이 의식하게 하는 소설적 표현으로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우선, 작품 서두는 왜 1945년 8월 4일로 설정되어 있는지에 주목하여, 당시의 공습상황이 기재되어 있는 기록물과 대비하여, 그 시간 설정과 주인공 ‘나’의 행동은 역사적 시간을 바탕으로 매우 섬세하고 세밀하게 구성된 필연적 설정이라는 점을 밝혔다. 이어서, 주인공 ‘나’의 ‘무언(無言)’은 작자에 의한 인위적인 커뮤니케이션의 결락이 아닌 응답불가능성의 상황을 가리키는 리얼리티의 표상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N’과 ‘나’의 동선을 텍스트에 각인하는 작자의 표현행위는 독자로 하여금 독자의 시공간에서 히로시마의 지도를 확인하며 작품세계의 공간을 그려나가게끔 하는 수행적 기능으로써 작동한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기억의 서사화와 문화권력―우메자키 하루오의 「기억」을 중심으로―

        조수일 동아시아일본학회 2023 일본문화연구 Vol.- No.87

        This paper sought to visualize the context of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imprinted on the narrative by tracking the time of the novel world called Memories by postwar author Haruo Umezaki. It can be read that this work depicts the deviations, delusions, and episodes surrounding it with light touches, but behind the seemingly simple daily life, the time and memories of those who fiercely antagonize something flow. In particular,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work, the "struggle to raise spring wages" behind the text was highlighted. The action of power and conflict in the three-way relationship of consumer-worker-user, and the 'fighting' or stubbornness and selfishness that the main character was asleep in the daily life of pursuing 'safety' and 'relief' triggered by workers. In other words, Memories is a work that reveals the simultaneity of the text by reading the relationship of others whose names are not called in the expression of the novel and reading it in parallel with the memory of "fighting" in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where the work was published. In addition, you can get a glimpse of the artist's attitude to feel the potential nature and essence of humans with a sense of skin and to respond to the trends of the times and the self observing.

      • KCI등재

        재일(在日) 지식인이 구축한 연대의 공론장 『계간삼천리』

        조수일 일본사학회 2022 일본역사연구 Vol.59 No.-

        By reviewing the pathway of “Kikan Sanzenri” (Issues 1 to 50: Feb. 1975 to May 1987), an academic journal published by Zainichi Korean intellectuals and in which they expressed their clear critical mind toward the issues of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ir home country Korea, restoration of democratization/human rights in Korea, and promotion of mutual understanding and solidarity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time and space of their foreign land, this paper examined the overall picture of this public sphere written in Japanese. In particular, while the Korean intellectuals’ articles translated and introduced in “Kikan Sanzenri” were not covered in previous researches,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m and examined what kind of stature they have in the journal. First, through division into “Special Features”, “Conversation/Round-table Talks/Symposiums”, “Serial Publication” and “Translation”, which clearly indicate the journal’s direction, the critical mind and roles of “Kikan Sanzenri” were analyzed. The public sphere “Kikan Sanzenri” is a journal which Zainichi Korean intellectuals who were inspired by the July 4 Inter-Korean Joint Statement in 1972 initiatively started publishing. Through “Kikan Sanzenri”, they aimed to write a “History of Korea-Japan Exchange” for historical agreement, through collection of various ideas and opinions by planning special features on the contemporary historical tasks of Korea and on pending issues about the Korean Peninsula and about the Japanese Islands. Also, through special features examin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Zainichi Koreans, “Kikan Sanzenri” functioned as a venue for “unity in diversity” which is a synonym for polyphony.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Kikan Sanzenri” shared its critical mind with readers through conversation, round-table talks, and symposiums. Through serial publication of articles in a wide range of fields and genres, the journal fulfilled its social and cultural roles as the public sphere. In particular, by focusing on “Seoul Report” written by K・I. and Yasuhiro Maeda, this paper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is “another series.” The articles by K・I. and Yasuhiro Maeda, which sought to reveal the truth hidden in the politics between Korea and Japan by taking the lives and voices of the Korean people as their own,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onvey the overall picture of the times in solidarity with oppressed Korean intellectuals including Chi-ha Kim who expressed the importance of political imagination and creativity, as well as workers, and Zainichi Korean students. Finally, this paper focused on the articles by Korean intellectuals translated and introduced on “Kikan Sanzenri.” “Kikan Sanzenri” introduced the practice of intellectuals who wrote articles by diagnosing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and diagnosing the crisis situation in Korea, where human rights were being violated and freedom of speech was deprived of. This paper identified that “Kikan Sanzenri” tried to further strengthen its sense of purpose through this, and that the spirit of the times contained in the intellectuals’ voices transcending time and space from Korea functioned as a reason to urge contemporary Zainichi/Japanese people to self-reflect their attitudes toward the reality and history in which they are placed. The movement of “Kikan Sanzenri”, which gathered the voices of all social classes while accompanying practice, is worth noting as a historical record and deserves further discussion in that, in this era of ongoing hostility typified by anti-Japanese and anti-Korean sentiments,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discover the history of Korea-Japan exchange and to look into its significance in the present time. 본고는 재일 지식인들이 이향의 시공간에서 조국의 평화통일과 한국의 민주화/인권 회복, 한일 간 상호이해와 연대 도모라는 뚜렷한 문제의식을 피력하며 만들어낸 계간삼천리 (전50호, 1975.2-1987.5)의 도정을 검토함으로써, 이 일본어 공론장의 전체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계간삼천리 에 번역・소개된 한국 지식인의 글은 선행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았는데, 여기에 주목하여 그것이 이 잡지에서 어떠한 위상을 갖는지 검토했다. 우선 잡지의 방향성이 잘 드러나는 특집, 대담/정담/좌담회, 연재, 번역이라는 범주를 통해 계간삼천리 의 문제의식과 역할을 분석했다.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에 촉발된 재일 지식인들이 주체적으로 시작한 계간삼천리 라는 공론장 만들기는 동시대 한국의 현대사적 과제, 한반도와 일본 열도의 현안에 대해 특집을 기획하여 다양한 목소리를 수렴하여 역사적 합의를 위한 ‘한일교류사’를 쓰고자 했고, 재일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들여다보기 위한 특집을 통해 ‘다양 속의 통일’=폴리포니의 장으로 기능했다는 점을 밝혔다. 또, 계간삼천리 는 대담/정담/좌담회를 통해 독자들과 잡지의 문제의식을 공유한 점도 특기할 만하며, 폭넓은 분야와 장르의 글을 연재함으로써 공론장의 사회문화적 역할을 다했다. 특히 K・I와 마에다 야스히로의 ‘서울 리포트’에 주목하여 그 ‘또 하나의 연재’가 내포하는 의의를 살펴보았다. 한국 민중의 생명과 목소리를 자기 것으로 삼으며 한일 간 정치에 감춰진 진실을 드러내고자 한 K・I와 마에다의 글쓰기는 정치적 상상력과 창조력의 중요성을 피력한 김지하를 비롯한 탄압 받는 한국의 지식인과 노동자, 재일 유학생 등과 연대하며 시대의 총체상을 담았다는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계간삼천리 가 번역・소개한 한국 지식인의 글에 주목했다. 분단된 한반도와 인권이 유린당하고 언론의 자유가 박탈되는 한국의 정황에 대해 위기 상황을 진단하며 글쓰기를 한 지식인의 실천을 소개한 계간삼천리 는 이를 통해 잡지의 목적의식을 더욱 견고히 하고자 했고, 한국의 시공간을 초월하여 전달되는 그들의 목소리에 담긴 시대 정신은 동시대 재일/일본인에게 자기가 놓여 있는 현실과 역사를 대하는 태도에 자성을 촉구하는 사유로 기능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실천을 동반하며 다층의 목소리를 모은 계간삼천리 의 운동은 반일과 혐한이라는 단절의 길을 걷고 있는 현재에 있어 한일교류의 역사를 발굴하고 그것의 현재적 의미를 들여다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 있어 사료로서 주목할 가치가 크며, 더 논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