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 온라인 수업에 관한 교사와 학생 인식: 초등학교 사례연구

        조수민 ( Cho¸ Soomin ),안경자 ( Ahn¸ Kyungja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진행된 초등영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의 한 초등학교의 영어전담교사 2명, 원어민보조교사 1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4∼6학년 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들의 교수 경력과 행정업무 참여 여부에 따라 달랐지만, 처음 도입된 영어 온라인 수업 경험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한 반면, 한계점도 깨달았다고 밝혔다. 온라인 수업 자료 제작과 관련해 세 교사 모두 각자 패턴이 생기며 익숙해졌고, 포스트코로나 시기에도 온라인 수업과 등교 수업 병행을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교사와 학생들은 온라인 수업에 대해 유사하게 인식했으나 온라인 수업에서의 역할이 달라 차이점을 보여주기도 했다. 영어 온라인 수업에 따른 장점은 개인차를 고려한 학습이 가능하고 학생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했다는 점이었다. 이에 반해 영어 온라인 수업의 단점은 교사의 학생에 대한 피드백이 감소했고, 학생 학업 성취도가 양극화가 심화되었으며 학생 특성과 학업 성취도 파악이 어려워졌고, 학생들 간 상호작용 기회가 감소하였으며 영어에 대한 기초 학습 지원이 부족했다는 점이다. 이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영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의견을 고려한다면 향후 온라인 수업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English online classes during the COVID-19 period at an elementary schoo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English teachers and one native-speaking teacher at an elementary school, a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80 4-6th grade stu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teachers felt the limitations while positively recognizing online classes depending on their teaching expertise and participation in administrative work. All three teachers developed their own processes when producing online class materials. They also felt positive about offering a combination of online and in-person classes post-pandemic. Teachers and students had similar views towards online classes, while showing differences depending on their roles in online lessons. The advantages of online classes were that students could progress at their own pace, free from potential ridicule by classmates. The disadvantages, however, were as follows: Lack of teacher feedback to students, polarized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s, difficulties gauging each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achievement, limited opportunities for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insufficient basic learning support for English. To improve future application of online classes,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and the online forma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must be considered.

      • KCI등재

        학교밖 청소년의 진로장벽 유형과 사회적 낙인감 간의 관계

        조수민 ( Cho Soomin ),안은미 ( An Eunmi ),정익중 ( Chung Ick-joo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0 청소년복지연구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벽을 유형화하고 그것에 따라 사회적 낙인감에 차이가 있는지 관련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업중단청소년 패널조사」 2차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장벽에 따라 저지각형, 중간지각형, 진로정보부족형, 경제적한계 및 미래불안형 네 가지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사회적 낙인감 차이 검증 결과, 경제적한계 및 미래불안형, 진로정보부족형, 중간지각형, 저지각형 순서로 사회적 낙인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집단 간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상중심적 접근방법을 활용하여 진로장벽 유형화를 시도하고 사회적 낙인감 간의 유형간 차이를 밝힘으로써 청소년복지의 임상적, 정책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distinct latent groups based on career barriers of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o test whether social stigma differs depending on latent groups. Data from Dropout Adolescents Panel Survey in 2014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s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four different latent groups: low-barrier perception group, middle-barrier perception group, group with insufficient career information, and group with economic difficulties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In terms of the difference of social stigma depending on latent groups, it showed that the group with economic difficulties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had the highest social stigma. There appeared the second highest social stigma in the group with insufficient career information. The lowest social stigma was found in the low-barrier perception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career barriers were categorized through the person-centered approach, and practice and policy interventions for youth welfare were suggested by identifying differences of social stigma among latent groups.

      • KCI등재

        저소득 취약 계층 청소년을 위한 오케스트라 사업의 주요 성공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조수민(Cho Soomin),김현주(Kim Hyunjoo),임정기(Lim Jeonggi)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4 No.-

        본 연구는 저소득 취약 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오케스트라 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오케스트라 사업의 운영과 실천내용에 있어 구조적, 과정적 설계에 투입해야할 증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취약 계층 청소년을 위한 오케스트라 사업에 참여 하고 있는 강사, 지휘자, 행정가, 참여 청소년 20명을 연구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접 조사를 실시하여 일차적으로 사업 성공 요인에 대한 설문문항을 개발하였다. 다음 전문가 23명에 대하여 델파이 조사를 통해 이를 핵심 요인들로 압축해 보는 과정을 거쳤다. 그결과, ‘사업 참여자들이 사업의 목적과 가치에 공감하고 애정과 열정을 쏟는 것’이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혔으며 ‘지휘자나 강사의 축적된 지도 방법’, ‘강사의 좋은 성품 및 태도’, ‘참여 아동의 몰입 및 긍정적 경험’, ‘연주회 경험’, ‘부모의지지 및 관심’, ‘참여 기관의 책임감’등이 중요 요인으로 꼽혔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ritical success factors in the orchestra for underrepresented youth, so as to draw social welfare practice and adminstration implication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collected success factor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which targeted music instructors, conductors, youth participants and administrators, and selected critical success factors using delphi technique as expert decision making method.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mmitment of participants, particularly in instructors and conductors, in youth orchestra had the highest priority of all factors and skilled teaching methods, instructors’ good personality and attitude, youth participants’ affective involvement, experience of recital and responsibility of community center had relative prior factors.

      • KCI등재

        기초학습지원사업을 통한 아동의 다면적 변화 과정에 대한 탐색 연구 : 지도 교사 면접 결과를 중심으로

        조수민(Cho, Soomin),이현진(Lee, Hyunj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6

        본 연구는 취약계층의 기초학습부진 아동을 1:1로 지도해온 교사들을 연구 대상으로 초점 집단 면접을 통하여 학습 지도 과정과 아동들의 변화에 대해 참여자들이 인식하고 경험한 내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도 교사는 총 8명으로 구성되어 모두 경기지역에서 평균 6년간 본 프로그램을 통해 기초학습부진 아동들을 지도하였으며 모두 여성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학습부진 지원 프로그램을 통하여 아동들은 학습 태도뿐만 아니라 기초학습역량에 긍정적 변화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기초학습부진에서 탈피하여 제 학년 수준에까지 도달하는 변화를 보이는 아동도 존재하였다. 둘째, 기초학습능력 향상 이외에도 적극성, 집중력 등 학습태도, 자신감, 사회성 등 심리사회적 변화도 감지되었다. 셋째, 아동들의 변화에 기여한 요인 중 하나는 지도 교사의 역량과 태도로 평가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운영 방법에 있어 1:1 개별 지도학습과 더불어 집단 동기부여 프로그램도 아동들의 변화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취약계층의 기초학습부진 아동을 위한 중재 전략을 제고할 수 있는 논의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그동안 민 ․ 관 영역에서 이들을 대상으로 한 개입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보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축적되지 않은 상황에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사회복지현장, 나아가 교육현장에서 취약계층의 기초학습부진 아동을 위한 개입 시사점을 찾는데 의미 있는 기여를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thoughts and experiences of the instructors participating in the basic learning intervention project for underachieving children from low-income household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to gain insight into the effectiveness and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roject. There are a total of 8 instructors, all of whom are women; have been in the Gyeonggi region for an average of 6 years, and have guided children with underachieving children through this program, .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rough the basic learning intervention project, children showed changes in their attitudes towards learning as well as greater basic academic achievement. Also, there were also children who reached the grade level. Secondly, changes were detected not only academically but also psychosocially such as in their confidence levels and social skills. Thirdly, the competence and attitude of the instructors contributed to the changes in the children. Finally, 1:1 individual supervised learning and group motivation programs seem to be attributed to changes in the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above, suggestions for different methods to enhance th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underachieving children were discussed for future research. Because there has been no extensive research into basic learn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underachieving student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meaningfully contribute to the field of social welfare.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아동 행복 관련 기사분석

        조수민(Cho, Soomin),김민주(Kim, Minjoo),안은미(An, Eunmi),이운경(Lee, Woon Kyung),이정애(Lee, JungAe),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2

        본 연구는 텍스트 빅데이터 분석 방법 중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2019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의 아동 행복 관련 기사를 분석함으로써 우리 사회에서 아동 행복과 관련하여 어떠한 이슈들이 시행, 논의되고 있는지를 간접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아동 행복을 핵심 목표로 하는 제1차 아동정책기본계획(2015-2019)에 근거하여 기사를 분류하고 넓은 범위의 텍스트 자료에 잠재된 토픽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기사를 통해 나타난 아동 행복은 취약계층 아동에 대한 시혜성 지원과 관련된 내용으로 편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일부 토픽들의 경우 국가의 아동 정책 내용들과 일치하여 지역사회에서 동일 이슈에 대해 관심을 갖고 실제로 정책들을 현실화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정적인 사건, 사고들이 토픽의 핵심 내용으로 도출되거나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횟수로 노출되는 이슈들도 존재하였다. 넷째, 우리 사회가 아동의 행복 증진을 위한 다양한 시도와 논의 가운데 아동의 생각이나 의견은 배제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아동행복을 제고할 수 있는 논의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issues related to children’s happiness by using topic modeling to analyze news articles published between January 1 and December 31, 2019. Specifically, news artic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ix policy goals of children’s happiness, suggested by the 1st Plan for Child Policy (2015-2019). Latent topics in the news articles were explored in association with the six policy goal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lassification of news articles revealed a disproportionately large number of news articles published regarding benefit support for vulnerable children. Second, some of the topics drawn from the analysis aligned closely with the current child policy, indicating that those topics are currently being discussed and implemented in Korea. Third, some topics highlighted negative incidents in Korea. In addition, some policy goals were seldom dealt with in news articles. Fourth, children’s opinions were exclud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policies for their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to enhance children’s happiness.

      • 소프트웨어 제어 메모리를 위한 데이터 재사용 분석 기법

        조중석 ( Jungseok Cho ),조두산 ( Doosan Cho ),정유진 ( Youjin Jung ),박소라 ( Sora Park ),조수민 ( Soomin J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2

        멀티미디어 응용을 비롯한 스트리밍 응용들에서는 메모리와 CPU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상당한 비율의 에너지 소모를 차지한다. 데이터 재사용 분석은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데이터를 고속의 저전력 메모리에 복사하도록 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의 재사용 분석을 통하여 프로그램이 최적화되도록 자동화된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하는 기법을 사용할 경우 메인 메모리만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절반 정도의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 KCI등재

        알코올중독자의 A.A.몰입과 회복과의 관계에서 단주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성별 및 연령의 차이를 중심으로

        백형의(Hyungui Baik),조수민(Soomin Cho),김선희(Sunhe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중독자의 A.A.몰입이 회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단주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A.A.에 참여하고 있는 알코올중독자 554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A.A.에 참석하는 사람들의 A.A.몰입도가 높아질수록 그들의 회복 정도도 큰 것으로 나타나 A.A.몰입이 회복에 미치는 직접 효과가 존재하였다. 둘째, A.A.몰입도는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단주자기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가 존재하였다. 셋째. A.A.몰입도가 단주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회복에 이르는 경로에서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을 때, 남녀 집단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알코올중독자의 A.A.참여를 통해 회복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사회복지적 방안들에 대해 제시하고 특히,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별화된 개입전략을 논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lcoholics Anonymous affiliation and alcohol recovery.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recruited 554 abstinent alcoholics participating in Alcoholics Anonymous. Based on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lcoholics Anonymous affiliation and alcohol recovery was partially mediated by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In particular, age difference was found in the mediating relationship.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on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또래관계가 학교적응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

        안은미 ( An Eunmi ),조수민 ( Cho Soomin ),정익중 ( Chung Ick-joo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6 청소년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또래관계가 학교적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지원센터를 군집표집한 5년간의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분할함수 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에 대한 분석모형은 분할함수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 추세는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에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교적응 수준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중학교 입학 후 중 1, 2학년을 기점으로 학교적응 수준이 향상되는 추세로 V 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또래관계와 부정적 또래관계 모두 학교적응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함의 및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peer relationship has an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rajectories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To analyze discontinuous changes, we applied the piecewise growth modeling to the five waves of data collected from adolescents living in residential institutions, group homes or foster homes by using cluster sampling methods. The results of growth-curve longitudina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piecewise growth function was most adequate to explain changes of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Second, levels of school adjustment had decreased through the high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rebounded back in middle school. Third,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s of peer group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itial status and slope of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discussed further suggestions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propos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마스크 정책의 딜레마: 딜레마에 대한 대응과 제도 그리고 표준

        김동환 ( Donghwan Kim ),조수민 ( Soomin Cho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21 정부학연구 Vol.27 No.1

        2020년 전지구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이 확산되면서 세계 모든 정부가 전염병 확산이냐, 경제사회적 마비냐의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정책 딜레마 상황에서 정부의 방역 정책이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 특히 마스크 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초기에 마스크 착용 의무화 정책을 시행했다면 방역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었지만, 마스크 공급 부족으로 인해 마스크 대란이 발생했기 때문에 섣불리 정책적 결정을 내릴 수 없었다.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통한 방역과 마스크 대란의 사회적 비용 사이의 딜레마 속에서 정부는 공적 마스크 유통, KF-AD 마스크 표준 제정을 통해 대응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전염병 딜레마에 대한 정책은 단기적 대응과 장기적·제도적 대응으로 구분되기 보다는 단기적이면서 동시에 제도적인 대응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제도적 대응에 있어서 표준의 역할을 제시한다. With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worldwide in 2020, all governments over the world have experienced the dilemma between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nd economic and social retreats.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nges in mask policies, especially on how the government’s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policy has been achieved in these policy dilemmas. If the government had implemented a policy to make it mandatory to wear masks in the early stage of the spread of COVID-19, it could have maximized the effectiveness of the measure. However, due to the shortage of masks, a policy decision could not be made prematurely. Amid the dilemma between quarantine through mandatory mask wearing and the social cost of the mask crisis, the government responded by distributing public face masks and enacting the KF-AD mask standards. In this paper, we discuss that policies on these pandemic dilemmas have been made in short-term and institutional response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t the same time, without categorizing them into short-term and long-term responses, as in conventional dilemma discussions.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s the role of standards in this institutional response.

      •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또래관계가 학교적응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

        안은미(An, Eunmi),조수민(Cho, Soomin),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또래관계가 학교적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지원센터를 군집표집한 5년간의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분할함수 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에 대한 분석모형은 분할함수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 추세는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에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교적응 수준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중학교 입학 후 중 1, 2학년을 기점으로 학교적응 수준이 향상되는 추세로 V 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또래관계와 부정적 또래관계 모두 학교적응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함의 및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at peer relationship would have an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rajectories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To analyze discontinuous changes, we applied the piecewise growth modeling to the five waves of data collected from adolescents living in residential institutions, group homes or foster homes by using cluster sampling methods. The results of growth-curve longitudina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piecewise growth function was most adequate to explain changes i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Second, levels of school adjustment had decreased through the high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rebounded back in middle school. Third,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s of peer group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itial status and slope of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further suggestions to increas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