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특수교육요구(SNE)를 지원하기 위한 특수교사의 교수역량 및 교원연수 교육과정 요구도 분석

        조민균 ( Cho Min-gyun ),손승현 ( Son Seung-hyu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요구(Special Needs Education, SNE)를 가진 학생들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특수교사 교수역량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고, 특수교사 교수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여 특수교육 교원연수 시 우선적으로 필요한 교육과정의 내용을 중심으로 향후 체계적인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방법은 유치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특수학교(급) 교사 377명, 교육전문직 11명, 총 38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특수교사 교수역량의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구성요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특수교사 교수역량의 교육요구도(우선순위)를 분석하고, 특수교육 교원연수 시 필요한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다. [결과] 첫째, 특수교사 교수역량의 구성요인은 개별적 수업 지원, 교수태도 및 협력, 학생지도 및 의사소통, 교육환경 조성 및 전문성 신장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 교수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에 따른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학생지도 및 의사소통이 1순위로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개별적 수업 지원, 교수태도 및 협력, 교육환경조성 및 전문성 신장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교수역량을 강화하는데 필요한 교원연수 교육과정은 개별적 수업 지원과 장애학생 온라인 학습지원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고, 운영방법은 협력학습 형태의 실습 위주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특수교육요구(SNE)를 가진 모든 학생의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서 특수교사의 교수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특수교육 교원연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현장 중심의 다양한 연수운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mands for the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quired to teach students with Special Needs Education (SNE), and to propo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raining course contents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of 388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verified the componen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etency. The requirements for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nalyzed and the necessary training course contents were derived. [Results] First, the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etency to support for students with SNE showed that needs for education in “student guidance and communication”, “individualized instructional support”, “teaching attitude and cooperation”, “creation of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priority order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mand for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re were high demands for “individualized instructional”, “online learning support for disabled students” and “practice in the form of cooperative learning”.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in order to support students with SNE, a teacher training curriculum and various operational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enhance the teaching capac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담수유입으로 인한 아산만 해양수질의 계절적인 변동

        정용훈,조민균,이동기,두선민,최현수,양재삼,Jeong, Yong Hoon,Cho, Min Kyun,Lee, Dong Gi,Doo, Sun Min,Choi, Hyun Soo,Yang, Jae Sam 해양환경안전학회 2016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2 No.5

        아산만의 해양수질의 계절적인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2011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 4계절 동안 수질을 관찰하고, 담수유입으로 인한 해양수질 변화 관계를 통계적인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아산만의 해양수질 자료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는 해양수질 변화를 주도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담수유입(37.7 %)이며, 그 다음으로는 외해수의 영향(24.4 %)으로 나타났다. 아산만에서 담수의 주요 공급원은 만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아산호와 삽교호이며, 이들의 방류로 인해 아산만의 전체적인 수질의 공간 분포가 결정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담수 방류가 적은 겨울철에는 저층 재부유에 기인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중요해진다. 전체적으로 담수 방류량의 계절적인 변화가 아산만 전체의 환경변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DIP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제한하는 요소로 나타났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of seawater in Asan Bay, the quality of this water was observed over four seasons form December 2011 to February 2013, and correlations between seawater quality variations and freshwater input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method. The results, based on factor analysis, indicate that the two most important factors in understanding variation are freshwater input (37.7 %) and seawater exchange (24.4 %). Asan-ho and Sapgyo-ho are two major freshwater sources that affect inner (eastern) Asan Bay. Discharged freshwater from the inner bay strongly affects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seawater in the bay overall during the summer rainy season. On other hand, water re-suspended from the bottom of the bay overwhelmed the water quality during the dry winter season. In conclusion, seasonal freshwater discharge dominated the water quality of the bay, and, consequently, DIP limited the growth of phytoplankton in the bay.

      • KCI등재

        아산만 내 방조제 배출수와 영양염의 물질수지

        정용훈,조민균,이동기,두선민,최현수,양재삼,Jeong, Yong Hoon,Cho, Min Kyun,Lee, Dong Gi,Doo, Sun Min,Choi, Hyun Soo,Yang, Jae Sam 해양환경안전학회 2016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2 No.5

        아산만의 해양수질을 이해하기 위하여 2011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아산만과 주변 방조제 호수의 수질을 계절별로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아산만을 3개의 해역(Bay1, Bay2, Bay3)으로 구분하여 물질수지를 분석하였다. 현장 조사 결과 여름철인 2012년 7월에 아산만의 중앙해역(Bay2)에서 영양염이 증가하는 현상이 관측되었으며, 물질수지 결과에서도 동일시기에 중앙해역에서 영양염이 생성됨을 보였다. 이렇게 중앙해역에서 영양염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공급원은 노후한 방조제 호수의 배출수와 미처리된 도시하수 등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한 배수로의 배출수로 추정되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중앙해역의 높은 영양염이 외만으로 확장되는 과정 중 식물플랑크톤에 이용되면서 외만에서 높은 Chl-a의 농도가 관측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아산만의 건강한 해양생태계 유지를 위해서는 방조제 호수의 배출수와 비점오염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To understand variations in the seawater quality of Asan Bay over four seasons form December 2011 to February 2013, we applied two methods: an in-situ observation of water quality and a comparison study of nutrient budgets among three parts (No. 1, 2, and 3) of Asan Bay. We found a significantly high nutrient concentration in the central part of the bay (No. 2) in July 2012 both in the mass balance study and in situ observation. We presumed the source of these nutrients to be both benthic effluence from old dam reservoirs and incompletely-treated municipal waste-water. This elevated nutrient concentration in the central part of Asan Bay (No. 2) expended to off-shore area and eventually triggered an intense Chl-a concentration in Asan Bay. Based on this result, we suggest improved waste-water quality control around the drainage area of Asan Bay.

      • KCI등재

        교사 수어능력 평가항목과 준거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최상배(Choi Sang bae),원성옥(Won Sung Ok),이하영(Lee Ha Young),조민균(Cho Min Gyun)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9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생 담당교사의 수어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항목과 평가준거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수어능력 항목과 준거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어 전문가 19명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 델파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수어능력을 평정하기 위한 평가항목의 주요 범위는 수어 표현, 수어 이해, 수어 담화 영역이 추출되었다. 둘째, 수어 표현 영역에서는 비수지신호, 수어 공간 사용, 유창성, 정확성, 교사 역할 수행의 11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수어 이해 영역에서는 어휘, 지화, 비수지신호, 수어 문장의 4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수어 담화 영역에서는 시선, 메시지명료성, 화용 능력의 3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수어 표현, 수어 이해, 수어 담화 영역에서 도출된 평가항목은 모두 18개였다. 이 연구 결과는 청각장애학생 담당 교사의 수어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와 준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수어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aluation items and criteria for the sign language ability of teachers in charge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We conducted the Delphi analysis twice for 19 sign language exper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pression, understanding and discourse of sign language were extracted as the main scope of the scale for assessing the teacher’ sign language ability. Second, eleven items such as the nonmanual signals, the use of space, fluency, accuracy, and role performance of teachers were derived in the expression. Four items such as vocabulary, fingerspelling, nonmanual signals, and sign language sentences were derived in the understanding. Three items such as eye gaze, message clarity, and pragmatic competence were derived in the discourse. There were 18 items in the expression, the understanding, and the discourse of sign langu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raining to improve the proficiency of teachers using the sign language should be considered as an essential element. The results can be also used as the scale to assess sign language ability of teacher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