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천 지역 자연 발생 마을의 생태계 문화서비스 고찰 : 청주 권역 미호천 주변 마을을 대상으로

        서자유,김승회 충북연구원 2022 지역정책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미호천을 충북지역 자생문화의 근원으로 이해하고 그 가치를 재조명하기위해 시작되었다. 한국인의 자연관에 바탕한 생태계 문화서비스를 찾고자, 지역의 중심이 되는 하천과 그원류, 그리고 하천을 따라 형성된 자연 발생 마을의 유산을 수행적 리서치하였고, 참여형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참여자들과 함께 미호천의 생태계서비스의 가치를 생각하였다. 대상지의 범위는 미호천의 발원지와 청주권역 미호천 주변 마을로 하였다. 발원지로서 마이산, 칠장산, 보현산을, 주변 마을로서 청주시 청원군 북이면 송정리부터 흥덕구 강내면 사곡리까지 열여덟 곳을 대상으로 하였다. 리서치 결과를 통해 하천이 주는 생태계 문화 서비스와 한국의 자연관 및 마을 문화를 살펴보았다.. 각 마을들의 가장 큰 상징적 요소는 마을 이름과 그 유래에서 발견되었다. 미호천이 빚어낸 경관미, 미호평야에서 이루어진 농경 생활, 자연물에 부여한 상징성과 그것을 경외하는 전통신앙이 미호천의 마을문화를 만들어가고 있었다. 마을의 문화유산은 하천이 주는 생태계 문화 서비스에서 ‘유산 및 신성시하는 유산’에 해당한다고 볼수 있다. 하천 생태계는 지역 문화 발생의 영향력을 가지 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우수등재

        한반도 자생식물로 조성한 해외 한국정원 연구 - Das Dritte Land(제3의 자연)를 사례로 -

        서자유,Seo, Jayoo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4

        이 연구는 독일 베를린에 조성된 예술정원 작품인 「Das Dritte Land(제3의 자연)」를 사례로 한반도 자생식물을 이용한 해외에 정원을 조성하는 기법을 고찰한 연구이다. 한국의 정원 작가들이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고, 한국정원의 세계화를 계획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정원가가 활동력을 넓혀갈 수 있는 현실적인 정보를 공유하고, 한반도 자생식물의 활용과 가치를 재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작품은 베를린 장벽 붕괴 30주년을 기념하는 기획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인왕제색도를 모티브로 우리나라의 산수화적 풍경을 구현하고자 백두대간의 지리적 형태를 검은 기암괴석으로 재현하고, 한반도의 자생화를 베를린으로 가져가 정원을 조성했다. 분단 이후 통합될 수 없는 한반도에 생물군들이 어우러져 만개하는 초현실적 바이오톱(biotope) 유토피아(utopia)이다. 본 연구는 남과 북의 화합과 어우러짐의 상징 주체인 한반도의 자생화를 대상으로, 식물 조사 분석, 운반 및 안정화, 식재계획, 조성, 모니터링의 일련의 과정을 고찰하였다. 한반도 자생식물이 해외의 정원에서 해석되는 의미는 한반도의 생태계를 하나로 묶는 메시지로 작용하였다. 독일의 분단 경계지에서 한반도의 어린식물이 뿌리내리고 꽃을 피우고 씨앗이 번져가는 과정은 한반도 통일의 염원을 은유적으로 전달한다. 정원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예술 프로그램들은 남북의 문화적인 대화와 소통의 기반을 만들어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해외에 정원을 조성하는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식물 연구 기관의 협조가 식물의 이송과 생명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과 한국정원가의 해외 진출은 우리나라 정원 문화의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chniques of creating gardens overseas using native plants from the Korean peninsula, focusing on the case of 'Das Dritte Land', an art garden created in Berlin, Germany. While Korean garden artists are recognized worldwide and are planning to globalize Korean garde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are information so that Korean gardeners can expand their activities and rediscover the utilization and value of plants native to the Korean peninsula. The work began as part of a project to mark the 30th anniversary of the collapse of the Berlin Wall. To realize the landscape of Korea with the motif of Inwang Jesaekdo, the geographical shape of the Baekdu-Daegan trail was reproduced with black stone, and the naturalization of Korean peninsula species was utilized in the creation of a garden Berlin. It is a surreal bio-top utopia that blooms with the bio-groups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plant survey analysis, transportation and stabilization, planting planning, composition and monitoring, and targeting the self-growth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a symbol of harmony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The planting of Korea's native plants in overseas gardens symbolizes the uniting of the ecosystem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process of the Korean peninsula's young plants taking root, flowering, and spreading along Germany's previously divided border metaphorically conveys the desire fo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various art programs in the garden space suggest a foundation for cultural dialogue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Moreover, creating gardens overseas implies that the cooperation of plant research institut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transfer of plants and the maintenance of life, while the advancement of Korean gardens overseas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spread of garden culture in our country.

      • KCI우수등재

        소쇄원의 수용미학적 해석

        서자유,Seo, Jayoo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3

        이 연구는 수용미학의 관점에서 한국전통정원인 소쇄원을 해석한 연구이다. 수용미학의 '틈'이란 '작가와 독자 간의 지평의 어긋남을 통해 생기는 틈새'이다. 작가가 의도하는 것과 독자의 기대 지평이 달라 생기는 틈을 독자가 작품의 의미를 다양하게 해석하여 작품을 구체화시킨다. 공간의 경계를 한정하지 않고, 공간의 성격을 한정하지 않으려는 것은 한국 전통공간에서도 나타나는 같은 성격이다. 작가-작품-독자의 삼중 구조를 중심으로, 작가의 측면에서 정원의 조영가의 생애와 사상, 정원에 내재한 철학을 살피고, 작품의 측면에서는 정원의 형태적 특성을 찾아보았다. 독자의 측면은 정원 안에서 풍류를 즐기는 당대의 사람들의 감상행위와 현재에 그 공간을 조명하는 현대인의 감상으로 나누어 살폈다. 먼저, 작가적 측면의 생소화는 조영가 양산보의 철학을 알 수 있었다. 소쇄원은 양산보의 삶의 철학이 장소의 이름들로 묻어나는 정원이라 할 수 있다. 둘째로, 작품의 측면에서 이원적이며 미확정적인 성격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인공의 문양이 자연의 질서에 맞춰 배치되어 자연스러움을 연출하는 이원성이 있는 정원이며, 열린 경계로 인한 억지스런 방향의 강요가 없어 흐름이 자유롭고 관념에 따라 확장하거나 나눌 수 있는 자유로움이 있는 미확정적인 공간이다. 마지막으로 독자의 측면에서 구체화는 풍류활동을 통한 감상과 현대의 시각에서 기인한 감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곳은 시서화를 통해 시적 표현으로 승화되는 풍류의 정원이다. 현대의 감상에는 소쇄원과 양산보의 삶을 일체화하고, 선인들의 예술성에 감탄하며, 동시에 현대인의 자세에 대한 반성을 보이고 있다. 한국 전통정원은 관념에 따라 자유롭고 감상자의 참여를 통해 그 의미가 풍부해지는 열린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nterpreted a traditional garden of Korea through reception aesthetics. The 'gap' of acceptable aesthetics is found in the 'distance that occurs between writers and readers'.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is gap between what the writer intends and what the reader expects. Boundaries do not limit traditional spaces in Korea and, therefore, are not limited by characteristics. These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author, the work, and the reader. The aspect first looked at the life and ideas of the gardener, the second analyzed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garden, and the last examined writings, from the past and present, of those who appreciated the garden. From the author's perspective, Sosoewon was understood as a garden that embodied the philosophy of Yang Sanbo. Second, the duality and indeterminateness were recognized as two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artifacts in the garden were arranged in a natural form, and the gardens have indefinite boundaries, so they can be freely expanded and reduced. Finally, from the reader's perspective, it was noted that the beauty of this garden is enhanced through poetry, painting, and writing. Thus, historic gardens of Korea can be open spaces where the meaning of the garden is enriched through the free participation of viewers based on their own ideas.

      • KCI등재

        조경 공종에서의 온실가스 고려 사항 및 어린이공원 시공 단계의 배출량 산정

        서자유,박찬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2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8 No.1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어 산업현장에서 온실가스 배출이 실질적인 문제로 다가왔다. 조경 및 정원이 건설공사의 한 부분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등 온실가스 연구 주제의 확대가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조경 및 정원 사업 중 발생 가능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해 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조경 및 정원 공사 전반에서 온실가스 배출이 발생 가능한 부문을 검토하고, 실제 시공과정에서의 배출량 시범 산정 결과를 통해 공종별 시공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억제할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조경 공사의 전체 과정의 프로세스를 아우르는 조경설계기준, 조경공사 표준시방서를 검토하여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된 기술적 부분과 주요 원인을 분석하였다. 검토된 부문 중 주요한 온실가스 발생 요인을 중심으로 조경시공 과정의 온실가스 배출량 단계를 구분하였다. 이후 서울의 한 어린이공원 조성 사업을 대상으로 국토부 시설물별 탄소배출량 산정 가이드라인을 준용하여 시공단계의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결과를 통해 알수 있는 점은, 조경설계기준과 조경공사 표준시방서에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문제와 탄소저감의 중요성을 매우 강조하고 있음에도 저탄소, 저에너지의 설계적용방식에 관한 설명이 부족한 실정이다. 다른 기능 수종을 상세히 제시한 것과 같이 수종별 탄소흡수능력 관한 제시도 필요하다. 어린이공원 시공 과정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한 결과, 총 58.368tCO2으로 산출되었다. 자재투입으로 발생되는 양이 54.900tCO2, 중기사용으로 발생하는 양이 3.250tCO2, 에너지원에서 발생하는 양이 0.218tCO2이다. 온실가스 배출계수별로 살펴보았을 때, 단위사용량 대비 배출계수가 매우 높은 재료는 합판, 레미콘이다. 일위대가 단위 시설로 분석할 경우, 장비사용율이 높은 바닥포장, 시설물 설치, 식재공사 순으로 온실가스 배출이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온라인에 나타나는 공간 정보와 장소경험 - 서울식물원의 온라인 정보의 전달과 수용을 대상으로 -

        서자유,김한배,하혜경 한국경관학회 2020 한국경관학회지 Vol.12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haring and distribution of information regarding private locations and public spaces in online systems.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available data and the perceptions of the data recipients were examined. Data was collected on the Seoul Botanical Park from October 1, 2018 to June 25, 2019 through the official website as well as through online newspaper articles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The data encompassed information including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the intentions of the design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space and the response of the audience. Based on this data, the sharing and spreading of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subject was analyzed. It was determined that spatial information regarding Seoul Botanical Garden is delivered through various conversations on social network services rather than by unilateral delivery methods.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of Seoul Botanical Garden were best discussed through free and open online communication to encourage the sharing of positive experiences. 본 연구는 온라인에 나타난 장소 정보와 이용자의 장소경험의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최근 정보통신의 확대에따른 온라인에서의 공간 정보, 수용자의 인지 방향, 그 정보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피었다. 연구의 공간 대상은 서울식물원이며, 분석의 대상은 설립취지와 설계자의 의도 및 물리적 공간 특성 등을 포함한 장소의 정보이며, 이 것이 온라인에서 공유⋅전파 되는 현상과 수용자의 반응을 함께 분석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서울식물원의 2018년 10월 1일부터 2019년 6월 25일까지(분석일)며, 자료의 범위는 공식 홈페이지, 포털사이트에 공유된 온라인 신문기사와 사회적 연결망 서비스(SNS)로 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식물원의 공간 정보는 일방적 전달보다는 소통이 가능한 사회적 연결망 서비스에서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가 전달되고 있었다. 익명성보다는 실명의 장점이 강하게 보여진다. 서울식물원의 경험을 바탕으로 온라인에서 나타난 장소 경험의 주요 특징은 다양한 정보와 자유로운 소통이 전제된 온라인 공간에서 실제 장소를 체험하려는 의지가 장려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국립수목원 교육의 지속가능발전교 육(ESD)을 위한 방향

        서자유,김승회,이강현,박찬,김수련,진혜영,정성희 한국경관학회 2022 한국경관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conducted a big data analysis of the curriculum of the Korea National Arboretum’s (KNA) plant ecology education programme and considered the direction of education of the Botanical Garden Arboretum according to ES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e major topics that were referenced in the Forest Education Master Plan. The study design consisted of three phases. First, the important topics regarding plant ecology education were identified by examin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key issues in related fields. Second, the KNA curriculum was analysed and any trends and themes were identified. Second, the KNA curriculum was analysed and any trends and themes were identified. Finally, by comparing the themes identified in the previous phase with the second Forest Education Master Plan, a topic was suggested that could be reflected in the new plan. Our study showed that the public’s perception of arboretums and botanical gardens has changed since COVID-19. They see arboretums as an important part of botanical education, and public interest i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s also increasing. The direction of education of the KNA also confirmed that both sustainability and convergence education were also being strengthened. When compared against the Forest Education Master Plan, this study showed that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ocial contributions’, ‘big data’, ‘the new normal’,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revitalisation of forest education’ were all identified as topics that can be expanded on in the future. 이 연구는 국립수목원의 교육 커리큘럼과 교육 계획을 위한 연구 문서를 빅데이터 분석하여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수목원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 연구이다. 특히 제3차 산림교육종합계획을 수립하기위해 반영되어야 할 중요한 주제를 발굴하는 것을 주 목표로 한다. 연구는 세단계로 구성하였다. 먼저 관련 분야의 내⋅외부 핵심 이슈를 검토하여 수목원 교육에서의 중요한주제를 파악한다. 이후 국립수목원의 커리큘럼을 분석하여 동향과 주제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의 과정에서 도출된 주제와 제2차 산림교육 종합계획을 비교하여, 새로운 계획에 반영되어야 할 주제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수목원 교육의 중요 주제로서 코로나19로 이후 수목원⋅식물원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이 변화하였으며,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국립수목원의 교육의 방향성 또한 지속가능성과 융합교육을 강화해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산림교육종합계획과 비교한 결과 지속가능발전목표, 사회적 기여, 빅데이터, 뉴노멀, 융합교육, 산림교육 활성화가 앞으로 반영되어야 할 주제로 도출되었다.

      • KCI등재

        탄소정원 설계를 위한 정원분야의 기후 행동 프레임워크

        서자유,박병훈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3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9 No.3

        이 연구는 정원분야의 기후 행동을 목표로, 탄소 정원 설계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된 연구이다. 총체론적 접근으로서 정원이 자연기반해법으로 기능을 할 수 있는 설계 방향, 재료, 시공 방식, 관리 유의점 등을 종합하고, 이러한 활동이 정원분야의 기후 행동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탄소 정원의 정의와 개념을 세우고, 정원 설계와 관리에 고려해야 할 기후 행동을 상세화하며, 확산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개념의 구체화 과정과 적합한 활동을 선별하기 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정원의 생애주기를 구분하여 각 과정별 정원 요소와 기후행동의 주안점을 도출하였다. 정원요소와 주안점은 대표성 있는 단체에서 제시한 행동을 참고하였으며, 관련 연구 참조를 통해 더욱더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로써 정원에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문화운동의 선언적 의미로서 탄소 정원 프레임워크를 다음의 네 단계, 여덟 가지 요소로 구축하였다. ① 기반 조성하기(토양, 물), ② 정원 만들기(식물, 정원 시설), ③ 정원 관리하기(비료, 저관리), ④ 정원 이용하기(먹거리, 문화확산). 이 연구는 정원에서 할 수 있는 조치로서 기후 행동을 선언하는 것, 그리고 탄소중립 목표를 향한 탄소 정원 활동을 알리고, 문화로 확장될 수 있도록 견인차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탄소 정원을 개념화하고 생애주기에 따른 탄소 관련 이슈에 집중하여 정원의 탄소중립 기능을 정리한 점은 이 연구가 국제사회의 기후 행동 제시보다 진일보한 차별성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carbon garden design with the aim of promoting climate action in gardening. Proposing a holistic approach, it synthesises design directions, materials, construction methods, and management considerations for designing gardens to function as nature-based climate solutions and presents a framework for these activities to function as climate action in the gardening sector. Our research methodology defines and conceptualises carbon gardens, details climate actions that can be considered in garden design and management, and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s for dissemination. We accepted the opinions of a focus group for refining the carbon garden concept and selecting appropriate activities for the process. Then we divided the carbon garden life cycle and derived garden elements and key points for implementing climate action at each stage. The main climate actions presented in the course were based on actions proposed by representative organisations that are supported by scientific evidence, and the course provides references to relevant research. In particular, the course emphasised practical techniques with proven effects to enhance implementation. As a declaration of the cultural moveme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gardening, the Carbon Garden Framework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following four stages and eight elements: creating the foundation (soil and water), creating the garden (plants and garden facilities), managing the garden (fertiliser and low maintenance), and using the garden (food and commun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clares that climate action can be taken in gardens and serves as a catalyst to inform and expand carbon garden activities as a path towards our goal as a culture of carbon neutrality. In addition, this study goes further than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climate action proposals in its conceptualisation of carbon gardens and its summarisation of their carbon-neutral function by focusing on carbon-related issues along the carbon garden lifecycle.

      • KCI등재후보

        보행환경에 관한 국내 연구와 정책 흐름 고찰

        서자유,김한배 한국경관학회 2019 한국경관학회지 Vol.11 No.1

        Walking in the city is the walking and rights of people passing through the sidewalk in the automobile-centered society. This action has the power to change urban space and system. This study is about the flow of domestic policies and research on the walking environment. The subjects and methods of the study were time series of changes in domestic policies and researches from the time when automobile traffic became common. In the 1960s and 1970s, walking is an end of walking that is not protected by cars. There is only automobile-oriented law and research, but awareness and research on walking is a rare period. In the 1990s, when the right to walk is recognized, walking is revived. The seriousness of the pedestrian activity and the demands of civil society have led to the enactment of ordinances and policy projects. Since 2000, various policies and projects have been activated and the walking culture has spread. Until now, walking has been recognized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and a consensus on the need to improve the walking environment, but there is a continuing movement to reduce the number of cars and encourage more walking. Whether it has been claimed as a side effect of modern city form and automobile-centered culture, half a century of European society and half of the time spent by Europe in Korea. The spread of the walking culture has succeeded, but walking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has not gained sympathy. However, this era, which has urban traffic problems, environmental problems, and human safety issues, calls for continuous expansion of walking policy. 도시를 걷는다는 것은 자동차 중심의 사회에서 보도로 통행하는 사람들의 걷기 행위와 그 권리이다. 이 행위는 도시 공간과 제도를 변화시키는 힘을 갖는다. 이 연구는 보행환경에 대한 국내의 정책과 연구의 흐름을 살펴본 것이다. 연구의 대상과 방법은 자동차 교통이 보편화한 시기부터 국내의 정책과 연구들의 변화과정을 시계열적으로 살폈다. 1960~70년대는 보행은 자동차에 밀려 보호받지 못하는 보행의 종말 시대이다. 자동차 위주의 법과 연구만 있을 뿐 보행에 대한 인식과 연구는 희박한 시기이다. 1990년대에는 보행의 권리가 인식되면 보행이 부활하는 시기이다. 보행사고의 심각성과 시민사회의 요구로 인해 조례 제정과 정책사업이 시행되었다. 2000년대 이후는 다양한 정책과 사업이 활성화되고 걷기 문화가 확산하였다. 현재까지는 보행을 하나의 이동수단으로 인식하고 보행환경의 개선 필요에 대한 공감대를 이룬 수준이지만, 자가용을 더 축소하고 보행을 더욱 장려하는 전환의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다. 근대도시의 형태와 자동차 중심 문화의 부작용으로 보행권을 주장해 온 지, 유럽 사회는 반세기, 우리나라는 유럽의 반이 흘렀다. 보행문화 확산은 성공하였지만, 교통수단으로서 보행은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도시의 교통문제, 환경문제, 사람의 안전문제를 안고 있는 이 시대는 보행정책의 지속적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 KCI등재

        에벤에저 하워드의 가든시티 철학에 의한 레치워스 가든시티 조성과 변화 연구

        서자유,권윤구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9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3 No.1

        본 연구는 에벤에저 하워드가 주창한 가든시티의 철학을 살피고 그가 설립한 최초의 가든시티인 레치워스의 조성과 경관 변화를 살핀 연구이다. 노동자들이 대도시의 빈곤과 열악한 생활을 벗어나 안정된 환경에서 지역공동체를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한 하워드는 도시와 농촌의 결합한 형태로 가든시티라는 이상향을 제시하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하여 레치워스 가든시티를 조성했다. 당시로써는 혁신적인 저가 주택, 임대주택의 보급, 우수한 근로 환경, 실용적인 진보 교육이 시행되었다. 레치워스의 유지과정에서 자본의 분배에 따른 갈등, 정부의 개입에 의한 위기가 있었으나 현재는 주민들이 만든 협동조합이 공동체의 지속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현재의 주거는 교외의 전원주택지 성격이 강해졌고, 산업은 경제활동이 우수하지 않은 편이며 수입이 낮은 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레치워스 가든시티는 자체적으로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최초 가든시티의 정신을 유지하고자 뉴가든시티 운동으로 전개하고 있다. 내일의 도시를 지속해서 만들고자하는 노력은 현재 도시의 자족성에 관한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는 우리나라 도시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판단된다. This is a study of the creation and landscape changes of Letchworth, the first Garden City founded by Ebenezer Howard. Howard believed that workers should move out of the poverty and harsh life of large cities and establish a community in a stable environment. Howard proposed the ideal of Garden City as a combination of urban and rural areas and created the Letchworth Garden City to realize it. At the time, innovative low-cost housing, rental housing, excellent working conditions and practical progress education were implemented. In the process of maintenance of Letchworth, there was a conflict due to the distribution of capital and a crisis caused by the intervention of the government. Currently, the cooperatives made by the residents are trying to maintain the community. Based on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the current residential area has stronger rural residential area, and the industry is not economical and has low income. Notwithstanding these results, Letchworth Garden City has been working on its own continuous improvement and has been developing into the New Garden City movement to maintain the spirit of Garden City for the first time. It is thought that the efforts to make the city of tomorrow continuously have a great impact on the urban policy of our country which has various problems about the self-sufficiency of the present city.

      • KCI등재

        전통조경 관련 국제통용 용어 고찰 - 정원·공원·도시경관에 관한 국제 문서와 연구 빅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

        서자유 ( Seo Ja-yoo ),정해준 ( Jung Hae-joon ) 한국전통조경학회 202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9 No.4

        이 연구는 전통 조경의 개념 정의와 적절한 영문표기를 확인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적절한 개념의 확인을 위해 국제 문서에서 쓰인 관련 용어를 종합하고, 국제권 연구에서 쓰이는 용어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ICOMOS의 ‘역사적 정원에 관한 헌장(플로렌스 헌장, 1981), ICOMOS와 IFLA의 ‘역사적 도시공원에 관한 문서(뉴델리, 2017)’, ‘역사도시경관에 관한 유네스코 권고(파리, 2011)’를 분석하여 개념을 고찰하고, 정의, 공간과 대상, 가치와 활동을 설명하는 용어를 정리하였다. 전통조경 관련 국제권 연구는 ScienceDirect에서 역사 문화와 관련된 traditional, historic, cultural, classical, vernacular와 조경 관련 garden, park, landscape를 포함하는 연구 논문을 취합하여 각 용어가 어떤 성격으로 사용되는지를 살피고, 조경의 역사문화성을 표현하기 위한 적합한 명칭이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국제 문헌에서는 ‘역사적(historic)’ 정원ㆍ공원을 명시하고 있었으며, 전통(traditional) 조경은 한국만의 독창적인 디자인과 조성기법, 생태적 의미를 표현하는데 적합하며, 역사(historic) 조경은 조경사적인 의미의 정원ㆍ공원을 설명할 때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efinition of traditional landscape and the appropriate English notation. To confirm the appropriate concept, the charter’s relevant terminology was synthesised and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used in international studies was examined. ICOMOS The Charter on Historic Gardens(The Florebce Charter, 1981), ICOMOS-IFLA Document on Historic Urban Parks(New Delhi, 2017), and UNESCO Recommendation on The Historic Urban Landscape(Paris, 2011) were analysed to examine the concept, and the words describing definitions, space, objects, value, and activity were arranged. Big data was used to analyse the research literature related to overseas traditional landscape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ord and examined the appropriate name for expressing the histor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in research literature, which included traditional, historic, cultural, classical, vernacular, landscape-related gardens, parks, and landscape words related to historic culture. Consequently, the International Charter declared the suitability of 'historic' gardens and parks, as well as traditional landscape for expressing unique designs, composition technique, and ecological meaning of Korea, while historic landscape was deemed suitable for explaining gardens and parks in landscape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