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네일아트의 조형성과 오브제 확장에 관한 연구

        조미 光州女子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1919

        대량생산과 소비로 물질적 풍요를 구가하고 있는 오늘, 현대의 예술가들은 그 같은 풍요로운 삶과 다양성을 배경으로 창의적 예술세계를 한껏 펼치고 있다. 이 가운데서도 주변과 주위환경의 일상적이고 사소한 많은 경험들과 관련된 대상물들을 매개체로 한 예술 영역 역시 순수 예술 분야 못지않은 새로운 세계를 지속적으로 열어가고 있음을 본다. 예술계 전반의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오랜 미술사를 관통하며 증명되어 온 주요한 사실 중 하나는 인체(人體)란 그 자체가 예술적 완성도를 갖고 있는 동시에 작가들에게는 창조와 아름다움의 시작이자 종결의 그것으로서 최고의 오브제란 점이다. 특히 미술가들에게 있어 사람의 몸을 표현하는 방식은 작가와 시대에 따라 유감없는 독창성을 발휘하면서 고정관념을 깨뜨려왔다. 그리고 신체의 연장이자 하나의 상징화된 문화 언어로서 독창적 예술세계를 인정받고 있는 패션과 헤어디자인, 메이크업, 네일아트의 분야 역시 각각의 역할과 기능을 부여받은 가운데 영역별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다. 이들은 인체의 아름다움을 최대한 돋보이게 한다는 고유의 목적을 예술성과 독창성으로 합일화해 가는 과정에 놓여 있다. 지난(至難)한 예술의 역사에 비한다면 아직까지 일천한 수준에 머물러 있긴 하지만 네일아트 역시 이러한 원리에 그대로 적용되면서, 다양한 예술적 표현을 통한 궁극적 미의 추구란 점에서 예술의 전통을 이어받고자 노력해 가고 있다. 본 연구가 시도한 네일아트의 조형성과 오브제 확장에 관한 고찰은 관련 분야에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갖고 있다. 우선 작품을 통해 일상의 주변 환경에서 볼 수 있는 사소한 사물과 미용에서의 다양한 소재와 재료들을 일관된 시각에서 분석, 파악해 본다는 점이다. 이는 네일아트가 단순히 신체 일부에서 행해지는 평면적 행위가 아니라는 점을 명확하게 가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기본적인 접근이라 할 것이다. 다음은 네일아트의 기법과 관련된 것으로, 반드시 손톱 위에 나타내어야 한다는 고정 관념에 기반한 기존의 단순사고를 탈피하고 그럼으로써 종래의 표현재료의 한계를 극복하는 동력을 확보하게 된다는 점이다. 특히 네일아트 오브제 확장에 관한 다양한 분석과 연구는 네일아트가 예술의 한 분야로 확실한 위치를 점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갖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오브제 확장의 표현은 네일아트의 평면성에 입체감이 돋보이는 독창적인 조형세계를 표출할 수 있게 만들어 네일아트를 조형예술의 한 장르로 한 차원 뛰어 올려 발전시켜 나가게 한다. 이 같은 연구를 위한 이론적 터전으로 미학, 미술, 건축, 패션, 미용 등의 분야에서 선행 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고찰하게 되었다. 다만 네일아트의 범주를 미술사조에 근거하여 전체적으로 다루기에는 너무 광범위하여 오브제의 개념과 연관하여 큐비즘(Cubism)에서 팝아트(Pop Art)까지로 범위를 제한하였다. 시대적으로는 큐비즘이 태동한 20세기 초반부터 중반까지를 다루게 된다. 연구 절차로 현대미술의 오브제 출현에 있어서 조형예술로서의 오브제에 대한 개념 및 도입과 오브제 유형의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오브제 개념의 활용으로 공간과 오브제의 상호작용 등을 살펴보았다. 이어 미용예술의 큰 범주 가운데 하나인 네일아트에서 오브제 역할로 네일아트 조형에 있어서 형태(Form), 공간(Space)을 밑거름으로 네일아트에 대한 개념과 예술성을 이해하고, 네일아트에 표현된 오브제를 중심으로 유형과 그 역할을 살펴보았다. 오브제와 네일아트의 연계성에 있어서는 평면에서 3차원의 물질이 혼용되는 3D 오브제 작품들을 타입별로 구분하여 작품을 살펴보았고, 현대미술에서 오브제로 큐비즘과 오브제, 초현실주의와 오브제를 중심으로 연구자의 작품과 연관된 이론들을 도출하여 이들 대표 작가들의 작품 비교를 통해 그 유형을 분석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마지막으로 위의 내용을 토대로 연구자의 네일 조형 작품을 큐비즘과 초현실주의 성향별로 크게 구분하여 제시하면서 이미지 분석에 있어 몽환적이고 은유적인 이미지의 작품에 대한 구도, 기호학적 형태, 색채, 질감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현대 회화에서 나타난 오브제 환경은 그 변화에 있어 매우 큰 발전을 모색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바탕으로 한 미용분야의 네일아트 적용과 응용은 조형적인 상호 상관성을 긴밀하게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브제 연구의 출발지점으로 삼았던 큐비즘의 조형적 특성은 피카소와 브라크에 의해 단순히 화면에 풀로 붙이는 과정의 파피에콜레와 더 나아가 화면에 부착하는 콜라주 기법의 추상적 표현을 들 수 있다.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의 영향으로 시도되었던 초현실주의는 무의식과 꿈, 환상의 세계를 배경으로 오토마티즘과 아상블라주로 표현되었으며, 사물과 사물간의 이질적인 물체들의 결합을 통한 콤바인 페인팅 탄생으로 이어졌다. 뒤이어 미국의 대량소비 시대를 의미하는 대량생산적인 이미지를 재현하는 팝아트도 주요한 한 축을 형성했다. 이러한 미술사조가 네일아트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예컨대 지난 시기 동안 네일아트 조형은 반드시 아크릴릭 파우더(Acrylic powder)를 이용한다라는 고정관념을 탈피하게 되었고 입체주의와 초현실주의 기법을 다양하게 활용하게 되었다. 즉 상호 이질적인 물체들의 결합을 통해 입체적으로 올리거나 붙여서 표현할 수 있게 됐었으며, 한발 더 나아가 이 기법은 손톱을 3차원적 조형 공간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창출해 냈다. 미용예술분야에서 표현된 오브제 연구는 인간의 외적․내적인 심상의 이미지와 연결하여 평면상에 입체감이 돋보이도록 3D 일러스트레이션을 활용한 디자인 창조로 이어졌다. 결론적으로 네일아트는 기존의 네일아트의 단순한 기법에서 탈피하여 종래의 표현재료의 한계를 극복하여 어떤 예술 분야와도 접목하여 새로운 조형예술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예술성이 가미된 네일아트의 무한한 가능성의 모색은 네일아트가 미용예술의 한 장르로서 네일미용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줌과 동시에 역으로 네일아트의 발전이 여타 예술세계에 영향을 미쳐 새로운 예술을 창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다할 것이다. 주제어 : 네일아트, 오브제, 조형성, 큐비즘, 초현실주의 Today when we enjoy material prosperity with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contemporary artists have fully developed their creative world of art based on abundant life and diversity. Among others, the art field which uses object related with daily and minor experience in surroundings as a medium has continuously opened new world just as fine art fields. In addition to such changes in art at large, one of important facts which has been long demonstrated in the history of art is that the human body itself has artistic integrity, as well as is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creation and beauty and the best object to artists. In particular, artists have broken with our stereotypes in ways to express the human body, fully displaying originality according to artist or times. Moreover, such fields as fashion, hair design, make-up, and nail art which receive much recognition as unique world of art as the extension of the body and one symbolized cultural language have repeated growth while they are given their own role and function. They are in the process of unifying their inherent aim to make the beauty of the body look better into artistry and originality. Although nail art is only a short time compared with difficult history of art, it is applicable to this principle and has made efforts to take over the tradition of art in the sense of pursuit of ultimate beauty through a variety of artistic expression. A study on the formative feature of nail art and the extension of object attempted by this study has some important suggestion in related fields. First of all, it analyzes and grasps minor objects we can see in daily surroundings and a variety of themes and materials in beauty art from a consistent view through works. It can be the most fundamental approach to clearly see that nail art is not an only flat act which is done in the part of the body. Next is related with the technique of nail ar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breaking with a prevalent simple idea based on a stereotype that nail art must be represented on the nail and securing a power sourc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conventional expression materials. In particular, the various analysis and research on the extension of nail art object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will provide a theoretical basis to establish a firm position of nail art as one field of art. The expression of extended object will help express unique formative world which adds solidity to flatness of nail art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ail art at a higher level as one genre of formative art. Reveiw on previous researches was conducted on aesthetics, art, architecture, fashion, and beauty art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sis of study. But since the history of art was too broad to apply to nail art, the range was limited range from cubism to pop art(in early-to-mid 20th century) in relation to object concept. For the study procedure, the concept and introduction of object as formative art and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 types were analyzed in the aspect of emergence of object in contemporary art. Also, interaction between space and object was examined as the use of object concept. Next, the roles of object in nail art which is one of major categories of beauty art were considered. The concept and artistry of nail art was grasped on the basis of form and space in nail art formativeness and the types and roles of object expressed in nail art. To analysis connection between object and nail art, 3D object works which are mixed by 3D materials in the plane were divided by type first. Then, theories related with this researcher's works were derived from cubism of contemporary art and object of surrealism, and type analysis was conducted by comparing works by representative artists. Finally, based on this analysis, this researcher's nail art works were largely divided into cubist and surrealist styles and analysis was made in composition, semiotic form, color, and texture of fantastic and metaphorical images. The results suggest that object environment in contemporary painting has explored great development in its change and the application of nail art is closely correlated with formativeness. Formative characteristic of cubism which was the starting point of object research is abstract expression of papiers colles by Picasso and Braque which pastes the canvas simply and collage which is attached to the canvas. Surrealism which was attempted under the influence of psycho-analysis by Freud was expressed as automatism and assemblage based on unconsciousness, dream, and fantasy and led to combine painting which combines heterogeneous materials. Subsequently, pop art which reproduces the image of mass production that means the period of mass consumption in USA plays one part. Nobody can deny that such history of art has influenced the nail art field. For example, it was possible to break with a stereotype that nail art must use acrylic powder(sculptured nail) and apply cubist surrealist skills in various ways. In other words, it was possible to place and attach solidly through combining heterogeneous materials and further this technique created an idea that a nail can be expressed as 3D formative space. The study on object expressed in the beauty art field is connected to design creation using 3D illustration which highlights solidity in the plane in association with internal and external image of human beings. In conclusion, it is confirmed that nail art can graft into all art fields to create new formative art by getting out of the existing simple technique and overcoming limitation of conventional expression materials. Accordingly, exploring limitless possibility of nail art which adds artistry not only indicates its contribution to development as one genre of beauty art, but also opens possibility that the development of nail art can lead to creation of new art by influencing other art fields. Key words: Nail art,

      • POP광고의 유형과 구매상황 관여도에 따른 소비자 태도 연구 : 저가 화장품 브랜드샵의 POP광고 중심으로

        조미나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POP광고는 현장성과 소비자 지향성이 강한 매체로서 새로운 관심을 갖고 연구되어져야 할 분야이다. 또한 상품에 대한 매스미디어 광고의 기억을 환기시킬 수 있으며 매스미디어와 POP광고를 효율적으로 믹스시킴으로써 광고효과의 극대화 및 예산의 효율적 집행을 기대할 수 있다. 이처럼 POP광고가 현장의 마케터들뿐만 아니라 광고학 연구자들에게도 그 중요성에 대한 확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변수들이 존재하는 구매접점에서 집행되는 POP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 특히 상황적 변수들을 고려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POP광고가 주목받는 배경이 바로 ‘구매시점’에 이루어지는 광고라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POP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구매상황 변수들을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POP광고에 대한 소비자 태도를 인지, 정서, 행동 요인으로 세분화하여 POP광고 유형별로 소비자들은 어떠한 태도를 보이는지 측정하고 다음으로, 구매시점에서 조절요인으로 작용하는 ‘일시적 상황차(구매상황 관여도)’와 ‘지속적 개인차(브랜드 태도)’를 적용하여 실제 구매환경에 놓여있는 소비자의 태도를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성 있게 알아보고자 한다. 실증적 연구는 POP광고에 대한 혼잡률을 줄이기 위해 POP광고의 경쟁이 심한 대형할인마트 보다는 가격저항이 낮아 구매율이 높은 저가화장품 브랜드샵을 실험장소로 선정하고 252명의 매장방문 여성고객에게 출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는 제품의 정보와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정보형 POP와 가격할인, 이벤트, 무료증정 등의 가격적 혜택을 얻을 수 있는 프로모션형 POP를 인지하고 지지했다. 이것은 POP광고가 구매현장에서의 실질적 조력자로서 인지적, 행동적 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호감을 형성하는 정서적 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개인의 일시적인 필요나 관심 또는 과업의 달성으로 정의되는 구매상황 관여도가 높을수록 소비자의 태도 또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갑작스럽게 생긴 필요에 의한 구매나 선물로 사용될 때와 같은 특별한 상황에서는 의사결정과정에서 높은 관여도를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제품의 구매자는 비구매자에 비해 소비자의 행동적 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구매의사결정과정에도 순응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조절변수인 구매상황 관여도와 브랜드 태도가 유형별 POP광고와 소비자 태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 결과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소비자가 POP광고를 메시지나 비주얼에 의해 유형을 구분하기는 하지만 이 유형의 구분이 큰 의미가 없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는 POP광고가 구매접점에서 소비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매상황에서 발생 가능한 상황적 변수들과의 관계를 통해 접근해 봄으로써 POP광고에 대한 소비자 태도를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접근을 통해 측정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소비자의 인지, 정서, 행동적 태도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어떠한 POP광고를 제작하는 것이 효율적인가의 판단 근거가 될 수 있는 실무적인 접근에서도 의미가 있다. 결국, POP광고의 중요성을 모두가 인식하는 현시점에서 유의미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조사상의 어려움이 있지만 본 연구가 그러하듯 다양한 시도와 연구만이 종국에는 POP광고 효과 측정의 틀을 마련하는데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must와 have to의 비교 분석

        조미나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Modals represent a well-documented feature of both spoken and written discourse and an important communicative resource because they play a significant role in pragmatic functions. But modals still represent a complex feature of English for even advanced English language learners to acquire. Given the complexity of defining the precise meanings expressed by the modals, several classification systems of modal meanings have been proposed. This study adopts the bipartite classifications of the modals and divides modal meanings into epistemic and root, the former imputes a state of belief to the speaker regarding the truth of some proposition", whereas the latter "refers to a phenomenon". Among the English modals, no other modals have received quite the attention showered on the modals and quasi-modals of obligation and necessity. Therefore, this study chose must and have to among the various modals and quasi-modals of obligation and necessity and investigated the use of must and have to in highschool English textbooks in Korea and show their differences in meaning and usage. The study also compares the results with a corpus of native English speakers in terms of token accounts and semantic distributions. This study aims to gauge which meanings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prefer for expressing obligation through the use of must and have t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st was used more frequently than have to in highschool English textbooks in Korea. Second, must was used more frequently than have to in written English in the corpus of native English speakers, while have to was more frequently used in spoken English. Third, the use of have to is increasing in both American and British varieties of English. The results of the study must be considered exploratory due to the fact that the limited volume of English textbooks in Korea was analysed and the corpus of native speakers compared does not belong to the exact same category with the English textbooks in Korea. For the limitations, this study still has pedagogical implications. One important principle might be to discard distinctions that do not reflect current usage of the modals and quasi-modals in Standard varieties of English. And English language teachers would help their students by exposing them to the variety forms they might encounter in different English speaking contexts.

      • 신규 T-타입 칼슘채널 억제제의 합성 및 생리활성 연구 : 디옥소퀴나졸린 카복사미드 유도체

        조미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T-type 칼슘채널은 심장혈관 질환과 신경성 통증 치료와 관련있고, T-type 칼슘채널 억제제로 처음 시판된 Mibefradil (Posicor?)의 출시 이후에 T-type 칼슘채널 억제제를 개발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그러나 Mibefradil이라는 약물이 항히스타민제와 항생제 등의 다른 약물과 Drug-Drug interaction을 함으로써 부작용을 보여 시장에서 회수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치료제에서 보이는 부작용이 없고, T-type 칼슘 채널에 대해 선택성이 높으며 강한 생물학적 활성도를 지닌 새로운 구조를 갖는 저분자 화합물을 발견하는 일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Ligand-Based Drug Design(LBDD)을 통하여 얻어진 3D-Pharmacophore의 화학적 특성 연구를 통해 디옥소퀴나졸린 카복사미드 유도체를 설계하였고, Pharmacophore 특성을 만족시키는 치환체로 구성된 Building Block을 선정하였다. 후에, 용액상 평행 조합 화학을 통해 라이브러리를 합성 및 구축하였다.

      • K-MOOC 환경에서 학습분석학 기반 학습유형별 대시보드 개발 연구

        조미나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학습분석학 절차에 따라 K-MOOC 학습자의 중도 탈락 예측 요인과 시점을 탐색하고, 학습자별 학습활동 요인과 시점에 따라 집단을 군집화하여 중도 탈락이 예측되는 학습자에게 교수자와 운영자의 처치와 개입이 가능하도록 적응형 교수-학습 전략과 대시보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2021년 3월부터 5월까지 운영한 A 대학의 K-MOOC 4개 강좌의 학습자 총 797명을 대상으로 학습활동 및 학습 시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랜덤 포레스트, K-Means Cluster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분석학 기반 K-MOOC 학습자의 중도 탈락 예측 요인과 시점은 퀴즈 평균 점수 48점 미만에서, 퀴즈 풀이 첫 번째 시도 횟수 8회 미만에서, 퀴즈 정답 횟수 8회 미만에서, 퀴즈 페이지 뷰 횟수 16회 미만에서, 주차별 학습활동 3주차와 4주차 사이에서, 머무른 시간 330분 미만에서 중도 탈락을 예측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수자와 운영자는 학습자가 중도 탈락하기 전 시점에서 학습을 독려하는 등 개입을 진행하여 학습자가 꾸준히 학습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둘째, 예측 요인을 활용하여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 1 집단(중도 탈락 위험형)은 학습 패턴이 일정하지 않고 꾸준히 학습하지 않았으나 이수증을 받은 학습자들과 머무른 시간이 길고 비디오 재생 횟수가 꽤 있으나 이수증을 받지 못한 학습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군집 2 집단(이수 무관심형)은 학습 활동이 거의 없고 머무른 시간도 짧아 거의 대부분 이수증을 받지 못한 학습자 집단이다. 군집 3 집단(이수 완료형)은 꾸준히 학습활동에 참여하여 이수증을 받은 학습자 집단이다. 군집별 학습 변인 패턴에 따라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군집별 적응형 교수-학습 전략을 제안하였다. 셋째, 학습자의 학습활동 개입을 위한 교수-학습 대시보드는 교수지원과 학습지원으로 나뉘어 대시보드를 개발하였으며, 교수지원 대시보드는 학습자의 현재 학습활동을 기반으로 중도 탈락의 위험성을 예측하여 적절한 시점에 개입 및 처치가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학습지원 대시보드는 학습자가 학습을 계획할 수 있고, 다른 학습자와의 학습 진도율을 비교하여 학습 동기 부여 및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K-MOOC 학습자들의 중도 탈락 위험 집단을 조기에 예측하고, 집단별 교수-학습 대시보드를 통해 교수자와 운영자가 학습자들의 학습을 독려하거나 적절한 방안을 처치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K-MOOC 학습자의 학습을 지원하여 학습만족도 및 이수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ors of learner dropout in Korean Massive Open Online Courses(K-MOOCs) using learning analytics, and to develop an adaptiv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dashboard that groups learners based on their activity factors. The aim of this is to provide timely intervention and support for learners at risk of dropping out. Random forest and K-Means clustering analyses were applied to data from 797 learners across four K-MOOC courses that took place from March to May 2021. This data encompassed learning activity and study time. The study's findings are threefold. Firstly, based on learning analytics, the predictors and timing of dropout for K-MOOC learners were identified as follows: a quiz average score less than 48, less than 8 first attempts at the quiz pool, less than 8 answered quizzes, less than 16 quiz page views, engagement in learning activities between week 3 and week 4, and total study time less than 330 minutes. To ensure that learners perform well in their studies, instructors need to intervene and provide support before the predicted dropout point. Secondly, a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se predictors. Cluster 1 contained learners exhibiting mixed learning patterns, including learners who were inconsistent in their study yet still achieved a certificate, and learners who invested substantial time and played many videos but failed to earn a certificate. Cluster 2 comprised learners who did not receive a certificate due to minimal learning activity and limited time investment. Lastly, Cluster 3 included learners who consistently engaged in learning activities and consequently earned a certificate. Based on these clusters, adap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were proposed to maximize learning efficiency. Each strategy was tailored to the specific learning patterns observed within each cluster. By implementing appropriate learning strategies for each cluster, instructors can help learners sustain their learning progress. Finally, adaptive teaching-learning dashboards were developed for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The instructor dashboard was designed to predict a learner's risk of dropout based on their current learning activities, thus facilitating timely intervention and support. The learner dashboard, on the other hand, was designed to aid learners in planning their studies and tracking their progress in comparison to their peers, with the intention to boost motivation and promote sustained learning. These dashboards visualize learners' learning activities, allowing instructors and administrators to have a comprehensive view of the data. With the aid of dashboards, instructors and administrators can intervene promptly with cluster-specific support strategies. Through this iterative process, it is expected that the completion rate of learners will increase.

      • 영어 양화사 작용역의 중의성에 대한 연구

        조미나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a plausible interpretation theory on the quantifier scope ambiguity phenomenon between complex quantified noun phrases(QNP) in a single sentence. May(1977, 1985) treats quantifier raising(QR) within the theory of government binding(GB) while their syntactic representations are not identical with their semantic representations in logical form(LF). To interpret the ambiguity of quantifier scope with QR, May let quantificational phrases adjoined to IP(VP) and moved to non- argument position with empty category principle(ECP) on GB theory. However, the distinct chains formed by feature-checking motivation based on the minimalist program give clear ways of interpretation on the scope ambiguity without recourse to the rule of QR. The movement of quantifiers and their scope ambiguity are investigated with theories from GB to minimalist program. Fox(2000) interprets a subject QNP and an object QNP in one sentence by applying scope economy principles, when the object cross the subject and has a distinct semantic interpretation. Bruening(1999, 2001) explains that once ν has [quant] feature it has an feature agreement and attracts with any objects, then it could attract both two objects to multiple spec positions with shortest move by keeping their origin hierarchical order. Antecedent contained deletion(ACD) gives a support to QR. In the ACD sentence, VP of main clause is copied to fill the VP of subordinate clause, then copied VP has an empty VP constantly. The empty VP is moved to out of the area of copy before the copy happens. QR leads properly filled the VP of a subordinate clause. The scope ambiguity of wh/QNP is explained with Williams(1998)'s Q- superiority condition. The ambiguity of wh-word and QNP happens when QNP c-commands wh-word including its traces. However, the wh/QNP sentence has a narrower interpretation scope, a functional interpretation scope, and a pair-list interpretation because two constituents interact and the wh-word has grammatical features. There is a 'weak crossover' configurations which pronouns cannot have a 'bound-variable' interpretation after certain kinds of wh-movement. However, we would try to force a bound-variable interpretation by using his/her, the 'inclusive language' test also gets the same results as it did with wh- movement what we see is quantifiers patterning with wh-words in the form of QR at LF. It seems not only that quantifiers semantically function as operators, but also that the operator-variable structure of quantifiers is syntactically represented. Quantificational feature [quant] is proposed by Chomsky(1995: 377). It is interpretable and its movement is triggered by an 'optional affix feature' in LF. To integrate [quant] into the present framework, 'optional affix feature' may be the QU-feature(probe), which triggers movement of quantifiers that bear [quant](goal). Relative scope ambiguity relations without QR could be supported by this kind of feature-checking approach to the scope ambiguity between quantifiers in the minimalist theory. The structural-analysis has been derived economically by reflecting semantic character of the quantifier scope to a syntactic structure. A further study on quantifier scope analysis should be continued to apply a syntactic analysis model based on GB theory to systematic semantic features.

      • 집단음악치료가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조미나 한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음악치료가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서울에 위치한 장애인복지관 주간보호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지적장애 2, 3급 진단을 받은 성인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무선배치 후 실시하였다. 연구 기간은 2008년 1월 10일부터 7월 9일 까지 7개월간, 주 1회, 회기 마다 50분씩 총 28회기의 집단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치료 시 사회복지사 1명과 보조 선생님 1명이 참석해 주셨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이용한 실험집단의 자기표현 향상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설계로는 사전과 사후 전반적인 기술 통계량 분석을 하였고 집단 간 사전 동질성 측정을 위해서 t 검증을 하였다. 또한 사후 평가 시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 간의 프로그램의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2(집단 : between - subject variable) × 2(검사시기 : within - subject variable)의 혼합 요인설계를 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자기표현에 대한 사후 검사의 비교에서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평균이 68.43,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평균이 53.57로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제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아졌다(p<.05). 이상의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자기표현 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하게 높을 것이다"는 가설은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group music therapy influences on the self expression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 and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adults determined with the second or the third grade of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residing in Seoul. For the research the group music therapy has performed for 50 minutes every week during 7 months from January 10, 2008 to July 9. 2008, composed of total 28b sessions and each time 7 participants joined the therapy with one social worker and one teaching assistant. In order to verify the impro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s self expression, the experiments were designed with analysis of pre/post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pre-homogeneousness between groups. In addition, ANOVA with 2 combined factors design (group: between - subject variable) n - subject variable)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in effect of program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performing post assessment and to check whether there exist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p<.05. In consequence, comparison of post examination on self expression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that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music therapy recorded 68.48 in average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recording average 53.57(p<.05). As seen above, hypothesis established in this study that experimental group undergoing the group music therapy would show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control group in post examination of self expression was ver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