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Sternberg의 사고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비교 : Based on Sternberg's thinking styles classification

        진석언,고혜 국립특수교육원 2004 특수교육연구 Vol.11 No.2

        Sternberg의 정신자치제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Sternberg와 Wagner(1991)의 사고유형 검사도구를 참고하여 초등학생용 사고유형 검사도구를 개발하고(신뢰도계수 .83), C대학과 A대학 과학영재교육센터의 초등 5, 6학년 수학 과학영재 102명과 C도시 초등학교 5-6학년 일반 학생 131명을 대상으로 사고유형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영재학생은 사고유형간의 점수차이가 크며(2.71-3.86점), 사고유형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주로 입법형, 사법형, 지엽형, 내향형, 자유형의 사고 유형을 지니는 학생이 많았다. 일반 학생은 사고유형간의 점수 차이가 작으며(2.9-3.49점), 사고유형이 뚜렷하지 않았다. 영재학생은 일반학생보다 입법형, 사법형, 군주형, 위계형, 무정부형, 전체형, 지엽형, 내향형, 자유형의 9가지 사고유형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p<.01). 일반학생은 영재학생보다 행정형과 보수형의 사고유형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p<.01). 여학생은 전체형과 지엽형의 사고유형을 더 많이 가지지만 영재성과 성별에 의한 상호작용효과는 있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 유형의 차이에 대한 원인과 일반학교에서 영재학생의 부적응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in terms of thinking styles, which is based on Sternberg(2000)'s self-government theory and Sternberg & Wagner(1991)'s Thinking Style Questionnaire. Results showed that gifted students have more apparent thinking styles than nongifted students.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legislative, judicial, local, internal, and liberal styles. On the other hand, Non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executive and conservative styles. Based on the results, the causes of the group differences and the possibilities of maladaption of gifted students, which is caused by their unique thinking styles.

      • KCI등재

        중학교 영재학생의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재방안으로서의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 개발

        진석언,최선일 韓國英才學會 2015 영재교육연구 Vol.25 No.4

        This study handled underachievement issue of gifted students by developing and validating educational programs as a solution, or relief, of their academic underachievement problems. The proposed educational program was designed to enhancing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of gifted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Based on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found that key issues of underachievement have to do with learning strategy, and also that learning strategy was established as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y.’ Considering diverse reading comprehension models and strategies suggested by preceding studies, the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y program in Korean was customized for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on the middle school level. The effectiveness of the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y program as a solution to underachievement of gifted students was explored by applying the developed program to 36 identified students after school twice a week for 6 weeks, conducting pre- and post-tests that were selected to measur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collecting their academic achievement data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by this study, and interviewing student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ading metacognition ability,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nd school grades of gifted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were meaningfully improved as a group. On the individual level, 12 identified students, exactly one third of the whole group of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showed so improved academic achievement as we can say they overcame underachievement based on the Supplee’s defini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미성취 영재학생의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 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함으로써,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 원리와 교육 방안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읽기 이해 구성주의 모형과 읽기 이해 전략 모형에 따라 미성취 영재학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미성취 영재의 조작적 정의에 근거하여 36명의 미성취 영재학생을 판별하였다. 판별된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 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프로그램 전·후 읽기 이해 능력, 읽기 메타 인지 능력, 학교 성적 등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읽기 이해 전략을 이외의 다른 미성취 요인들로 인한 미성취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든 미성취 영재 학생과 그들의 선생님을 면담하 였다. 연구 결과,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은 중학교 미성취 영재학생의 읽기 메타인지 능력과 읽기 이해 능력을 신장시켰으며, 그들의 학업 성취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특히 미성취 영재로 판별된 36명의 학생들 중 3분의 1에 해당하는 12명이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통하여 미성 취 수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할 때, 중학교 미성취 영재학생들에게 읽기 이해 전략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학습전략을 체득하도록 하는 것은 그들의 미성취 문제를 해결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K-CBCL을 통한 성취 영재와 미성취 영재의 문제행동 비교

        진석언,이수 국립특수교육원 2006 특수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K-CBCL을 이용하여 성취 영재와 미성취 영재의 문제행동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성취에 장애가 되는 문제행동 특성을 분석하여 미성취 영재의 성취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교육적 처방에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문제행동의 정도에 있어서 미성취 영재가 성취 영재에 비해 높았으며, 그러한 경향은 위축, 신체증상, 우울/불안 영역, 공격성, 비행의 영역, 사회적 미성숙, 주의 집중 영역 등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한편, 임상적 수준의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의 빈도를 살펴본 결과 성취 영재집단에서는 임상적 수준의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이 한 명도 나타나지 않았으나, 미성취 영재 집단에서는 내재화 문제행동 2명, 외현화 문제행동 3명, 총 문제행동 3명이 임상적 수준의 문제행동을 보였으며 문제행동의 한 영역에서라도 임상적 수준의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은 총 4명으로 나타났는데, 이 인원수는 미성취 영재 집단의 22.2%에 해당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문제행동 또는 문제행동과 관련된 원인이 미성취 영재를 발생 시키는 원인들 중 하나일 가능성이 높은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미성취 영재의 미성취 현상을 치료하기 위해 문제행동 형태에 따른 교육적 혹은 임상적 조처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problem behaviors of gifted achievers and underachievers by K-CBCL, and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roblem behaviors that are supposed to obstruct gifted students from achieving to the level of their potential. The results showed that gifted underachiever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problem behaviors in most aspects, including withdrawal, somatic symptom, depression/anxiety, aggressiveness, delinquency, social withdrawal, attention getting and so on.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frequencies of clinical levels of problem behaviors. While none of gifted achievers was found in the category, four(22.2%) of gifted underachievers were classified as cases of clinical level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 re discussed.

      • KCI등재

        현장 중심 교사교육 연구 -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와 캐나다 퀸즈 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진석언(Sukun Jin),곽덕주(Duck-joo Kwak),조덕주(Duck-joo Jo) 한국비교교육학회 2007 比較敎育硏究 Vol.17 No.3

          본 논문은 이론 중심적이고 지식평가 중심적인 우리나라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하여 현장 중심적이며 반성적 실천성에 초점을 둔 것으로 잘 알려진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교와 캐나다의 퀸즈 대학교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면밀히 검토하였다. 이때 분석의 요소는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먼저 현장 중심성의 확인을 위해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교육목적과 교육내용, 그리고 전체적 구성을 살펴보았고, 반성적 실천성의 확인을 위해 프로그램의 실제적 운영 양상, 즉 교사교육 담당자들 간의 협력관계와 학생 평가의 방식을 살펴보았다.<BR>  분석의 결과는 우리나라 교사교육의 변화 방향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대표적인 것으로 먼저 예비교사들의 현장실습 기간을 늘리되, 이 기간을 현장실습에 대한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적절히 구조화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때 교사교육의 목적으로 ‘반성적 실천인’을 들 수 있다. 둘째, 대학과 협력학교의 교사교육 담당자들 간의 명확한 역할 분담과 함께 이들 간의 상호작용이 적극 유도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in detail two well-know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t Oxford University in UK and Queens University in Canada, as a way to find some realistic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 which is usually criticized as theory-oriented and knowledge test-directed. The category of the analysis is two-folded. One is the overall structures of the programs, including their educational purpose and curriculum; the analysis of them is expected to reveal how well the programs are designed in terms of their relevance to the school demands and concerns. The other is the ways the programs are run, i. e., the roles of and relations among teacher educators and school teachers; the analysis of them is expected to show how well they are operating in terms of their effectiveness in encouraging student teachers to be more reflective upon their field experiences.<BR>  This examination brings to us a few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Korea. One is, among others, that, while extending the period of practicum, we should be able to structure student teachers" field experience under the clearly set-up purpose of teacher education, such as “reflective practitioners.” Another is that we need to develop a clear idea about the role division between teacher educators and school teachers as well as to encourage both the parties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educating student teachers.

      • KCI등재후보

        미국 규준에 비추어 본 우리나라 중학교 영재학생들의 리더십 기술 수준

        진석언(Jin Suk-Un),차주환(Cha Ju-Hw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4 比較敎育硏究 Vol.14 No.3

        영재교육이 극소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가적 재원을 투여하는 일임에도 대다수 국민들이 큰 저항을 느끼지 않는 것은 영재학생들을 교육함으로써 이 나라의 미래 지도자를 양성하고 있다는 것에 공감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재학생들이 미래 사회의 리더가 될 수 있도록 그들이 리더로서 갖추어야 할 소양들을 키워주는 적절한 리더십 교육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에서 영재학생들을 위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과 함께 개발된 리더십 기술 검사는 학생들의 리더십 관련 기술의 장단점을 진단해 주는 유용한 도구로서 우리나라 영재학생들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 검사도구를 한글로 번안한 후 우리나라 중학생들에게 실시한 결과, 본 도구가 매우 신뢰로운 진단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한편 본 검사도구를 미국 학생들에게 실시하여 제작된 규준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영재 중학생 및 일반 중학생의 리더십 기술 수준을 살펴 본 결과, 우리나라의 일반 중학생들은 미국의 학생들에 비하여 모든 영역에서 낮은 수준의 리더십 수준을 보여주었고, 우리나라의 영재학생들의 경우에는 미국의 일반학생들과 비교하여 결코 리더십에 있어서 우위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미국 규준과 비교해 본 결과에 근거할 때 우리나라 학생들의 리더십 계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Recently, Korean society started to spend a lot of national resources on educating gifted students. Korean society seems to expect that, by educating gifted students, it is bringing up tomorrows' national leaders. However, many researchers in the areas of gifted education and leadership education claims that gifted education programs include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s to foster genuine leaders. This study found that Leadership Skills Inventory(LSI) is a very promising diagnostic tool which can be easily linked with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s. In order to utilize LSI as a leadership diagnostic tool for Korean students. LSI was translated into Korean. Koreanversion LSI also showed it is a reliable measurement in evaluating leadership skills of Korean students. When Korean students were compated to the American norms, which was developed by applying original LSI to American student samples.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leadership skills than American samples. On the other hand, gifted student samples, who were classified as gifted in Korea, did not show higher levels of leadership skills than American samples, who were not just general students. Results imply that Korean education, as well as Korean gifted education, should develop and apply leadership programs for its young students if Korean society intends to bring up its youngsters to the international leaders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예측타당도를 중심으로 한 관찰·추천 영재판별용 행동특성 평정척도의 유용성 탐색

        정현민,진석언 韓國英才學會 2013 영재교육연구 Vol.2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dictive validity of behaviroal characteristics checklists that are widely used in Korea for identifying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Three most widely used checklists were selected and implemented to classroom teachers who could teach and observe gifted students in regular classes.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tree checklists were explored by generat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ir ratings using those three checklists and the performance levels of gifted students, which were measured by teachers in gifted classes.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all three checklists coul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redict the performance of gifted students in gifted programs, and the checklist B showed the highest predictability. Secondly, without the assistance by those checklists, teachers could not predict the performance level of gifted students. Lastly, teachers that were trained for educating gifted students could very effectively predict the performance of gifted students with the aid of those checklists while teachers without appropriate training could not at all even with the aid of those checklists. 우리나라의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식은 기존의 지필검사 방식에서 현장 교사에 의한 관찰·추천제로 전환되고 있다. 교사들이 영재 판별에 있어 가질 수 있는 편견을 최소화하고, 타당한 판별을 하도록 돕기 위한 도구로서 영재 행동 평정 척도가 널리 사용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평정 도구들을 실제 영재 판별과정에 투입하였을 때 그 결과가 영재 학생의 영재 프로그램에서의 수행 수준을 얼마나 잘 예측하여 주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가 선정한 세 가지 영재 행동 특성 평정 척도는 모두 영재학생들의 영재성 수준을 유의미하게 예측해내었다. 이들 중 B 척도의 예측력이 전반적으로 가장 우수하였다. 둘째, 담임교사들의 주관적인 영재성 평정은 영재학생들의 영재성 수준에 대해 거의 예측해 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담임교사들에게 영재교육 대상자를 추천하도록 할 때에는 담임교사들의 주관적 판단에 맡기기보다는 영재 행동 특성 평정 척도와 같은 객관적 도구를 활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영재교육 관련 교육·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영재 행동 특성 평정 척도를 통해 영재학생의 영재성 수준을 매우 훌륭하게 예측해 낸 반면, 해당 경험이 없는 교사들은 같은 척도를 활용하더라도 영재학생의 영재성 수준을 거의 예측해 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아무리 훌륭하게 고안된 척도가 제공되더라도 해당 교사가 영재교육에 관해 적절히 훈련되어 있지 못하면 전혀 타당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관찰·추천에 의한 영재 판별을 수행하기 위해서 일반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훈련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하겠다.

      • KCI등재

        기독교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 사회적 지지 및 정신건강 비교

        장성화,진석언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09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1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level of Cellular phone addiction, as well as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of Christian teenagers, compared to non-Christian teenagers. 267 junior-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a city in Korea were sampled and question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ree main findings. First, Christian teenagers demonstrated less cases of Cellular-phone addiction than non-Christian teenagers. Second, Christian teenagers recognized a higher level of support by their parents than non-Christian teenagers. Thir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of mental health between Christian and non-Christian teenag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