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先農祭儀 악장의 텍스트 양상과 의미

        조규익(Cho, Kyu-ick) 국어국문학회 2012 국어국문학 Vol.- No.160

        Seon-nong Je was a national memorial ceremony which had performed under physiocratism, the ruling ideology like the successive dynasties in China. They have performed Seon-nong, deifying Sin-nong ssi[The 2nd of the five ancient rulers]as a main God, also successive dynasties of our country accepted the spirit and method of the ritual ceremony. A serious matter indoctrinating physiocratic thinking into the mind of people and ruling class was the dynasty’s top policy priority. Therefore, the ritual ceremony of Seon-nong Je was the second important event following Jongmyo or Sajikje. Music played in the ceremony was A-ak, Seon-nong Akjang and Chin’gyeong-jeokjeon Akjang had been used. I made sure that Seon-nong Akjang borrowed some phrases, historical facts, spirit, motif from the Scriptures of the East and Chinese successive or contemporary preceding Akjangs, the other parts were made by the authors’ original idea. Praise for Seon-nong’s virtue and pious ritual processes[Jeonpye Akjang], praise for Seon-nong’s virtueㆍwisdom and praying for blessing[Cho-heon Jeong-wi Akjang], praise for Hoojik’s virtue and praying for blessing[Cho-heon Baewi Akjang], pride for the magnificent finish of ritual ceremony’s process and praying for the God[Cheolbyeondoo Akjang], etc. are themes of Seon-nong Akjang. And, praying for heaven’s virtue and emphasis about the meaning of ceremony of Royal Plowing[Gookwangchuldaecha Akjang], emphasis about authenticity of Royal Plowing and importance of encouragement of agriculture[Gookwang’gyeongjeok Akjang], emphasis about ruler’s diligence and praying for heaven’s compensation[Gookwang’gwan’gyeong Akjang], praise for ministers and praying for abundance and health[Baekgwan’ gyeongjeok Akjang], etc. are themes of Chin’gyeong Akjang. We can summarize them as praying for abundance to Sin-nong ssi, the main God, and Hoojik, the coordinate God, and showing the importance of labour to people and trying to unite the group of ruling class. Like this, Seon-nong Akjang has an important meaning politically, at the same time, it performed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Joseon Dynasty’s Akjang.

      • KCI등재

        고려인 소인예술단의 국문노래에 나타난 전통노래 수용 양상

        조규익(Cho, Kyu-Ick)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3 No.-

        고려인들이 소속되어 생산 활동에 참여했던 많은 꼴호즈들에는 소인예술단이 조직되어 있었고, 소인예술단은 增産이라는 현실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중 공연예술의 창조와 演行에 참여했다. 말하자면 그들 사회에서 대중예술은 집단생산 체제의 증산을 위해 활용되는 일종의 도구였다. 상당수의 노랫말들에는 ‘사회주의적 내용’이 들어 있었고, 집단화 정책에 직결되는 ‘농업의 선진기계화, 사회주의 혁명 찬양, 문맹퇴치’ 등이 그 주된 내용으로 되어 있었다. 통치이념의 선양이나 체제 보위를 고창하는 계몽은 노랫말의 주된 성향이었고, 대부분의 후렴구 또한 공산주의 체제와 이념의 선전구호와 방불했다. 바로 이런 것들이 우리의 전통 노래들로부터 현격하게 바뀐 고려인 노래들의 양상이었다. 고려인들의 노래에 구체화된 변이는 체제나 이념의 규제에서 나온 것이고, 소련당국의 물리적 통제는 그러한 규제의 주된 부분이었다. 조명희의 논설 [「조선의 놀애들을 개혁하자」]에서 소인예술단의 노래들에 적용되던 미학을 찾을 수 있다. 소련은 고려인들의 운명적 공간이었고, 구세계인 조선과 절리된 ‘새로운 공간’이었다. 구세계를 지배한 힘의 중심이 자본가였다면 신세계의 주인은 프롤레타리아 계급이었으며, 새 질서에 기여해야 할 노래 역시 프롤레타리아 중심의 혁신적 원리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 그들의 관점이었다. 여기서 대두된 미학이 바로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다. 따라서 ‘민족적 형식에 사회주의적 내용을 담아야 한다는’ 사회주의 리얼리즘 미학은 사회주의의 집단이념이 요구하는 예술적 표현의 유일한 방향이자 방법이었으므로, ‘힘차고 흥겹고 진취적인’ 민족적 형식만이 프롤레타리아 건설의 현장에 수용될 수 있었다. ‘핏빛같이 붉은 정신․햇볕같이 뜨거운 마음․쇠를 치는 듯 힘 있고 싱싱한 말들을 올려 부르는 것’이 진정한 고려인들의 노래일 수 있다고 보는 관점은 사회주의 종주국 소련에서 고려인들의 노래가 접어들어야 할 새로운 방향이었다. 그러나 소인예술단은 예술과 삶의 불가분리성을 보여주는 순기능을 수행하기도 했지만, 생산증대에 기여하는 도구로서의 예술이 갖는 종속성을 강조하는 역기능을 발휘하기도 했다. 스탈린이 주도한 언어와 문화의 동화정책은 폭력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려인들이 우리 전통예술의 한 부분이나마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그 ‘민족적 형식’이란 언명 덕분이었다. 그들 대부분이 아마추어 예술인들이었다는 사실도 그들이 담당하던 예술이 대중으로부터 나왔으며, 예술 속에 대중미학이 오롯이 담겨 있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주는 근거다. 중앙아시아 고려인 사회 소인예술단의 국문노래와 미학이 갖는 의미도 바로 여기에 있다. Soin Art Troupes were organized in many kolkhozes which Kareiskies belonged to and worked for, the troupes participated in making and playing popular performing arts to reach their real goal, that is, a production increase. That is to say, the popular performing art was a sort of tool made use for production increase of collective production system in their society. Socialistic contents were in the lyrics, and ‘advanced mechanization of agriculture’ related directly to the policy of collectivization, praise of socialistic revolution, campaign to abolish illiteracy, etc. were its main contents. Enhancement of ruling ideology or enlightenment emphasizing loudly to protect their ruling system were the main inclination of the lyrics, and most of the refrains were also similar to catch phrases. The very something like this was the feature of Kareisky songs changed sharply from our traditional songs. The changes crystallized in Kareisky songs were from regulation about ruling system or ideology, and then physical regulation by authority of Soviet Union was a main part of it. We can find out the aesthetics applied to Soin Art Troupes in Cho, Myeong- Hee's article[“Let's reform Korean songs”]. USSR was a fateful space for Kareiskies as well as ‘a new space’ separated from their old world, Joseon. If center of power ruled the old world was capitalists, the owner of new world is proletariat class. Also, their songs having to contribute to the new order have to be based on revolutionary principles of proletariat. They thought like this. The aesthetics come to the front is the very social realism. Because social realism that we must put socialistic contents in socialistic form was only a method or direction of artistic expression which socialistic collective ideology demands, only the powerful, delightful, and progressive national form was accepted into the proletariat constructing site. The viewpoint that singing with red spirit like blood color, hot mind like sunshine, vivid words like tapping iron can be a true Kareisky song was a new direction having to be on the right track in the suzerain state of socialism, USSR. However, Soin Art Troupes executed good function showing the inseparability between art and life, on the contrary sometimes dysfunction emphasizing the subordinacy of art as a tool contributing to production increase executed. Assimilation policy led by Stalin was violent. None the less, Kareisky's maintenance of even some part of our traditional art owed to the mention ‘national form’ of social realism. Also, the fact that most of them were amateurs shows that their art was from the masses, and popular aesthetics is put in their art perfectly. The meaning of Kareisky Soin Art Troup's Korean songs' aesthetics in Central Asia is right in this fact.

      • KCI등재

        태종 조 樂調에 반영된 唐 · 俗樂 악장의 양상과 중세적 의미

        조규익(Cho, Kyu-Ick)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5

        조선 초기의 대표적인 賓禮라 할 수 있는 태종조의 사신연이나 종친형제연 등에서 음악이 연주되고, 정재가 공연되었다. 고려 당악정재 5종 중 오양선 · 연화대 · 포구락등 3종, 속악정재 3종 중 아박 · 무고 등 두 가지가 이들 의례에서 사용되었다. 각각의 정재들에는 언어적 메시지라 할 수 있는 악장들이 당연히 포함되는데, 고려 당악정재에 속하는 것들은 <碧烟籠曉詞> · <縹緲三山詞>(이상 오양선), <微臣詞> · <日暖風和詞> · <閬苑人閒詞>(이상 연화대), <三臺詞> · <洞天景色詞> · <兩行花竅詞> · <滿庭羅綺詞>(이상 포구락)등 9편의 악장들과 고려 속악정재에 속하는 <動動>(아박정재) · <井邑詞>(무고 정재)등 두 편의 악장들이고, 조선조 창작 당악정재에 속하는 것들은 <受寶籙>(수보록 정재), <金尺詞> · <君王萬壽>(금척 정재)등 세 편이다. 고려의 속악정재들은 형식이나 절차, 주제의식의 면에서 고려 당악정재들을 본뜬 것들이다. 특히 속악정재 아박의 악장인 <동동>은 ‘송도의 말’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仙語’를 본떴다고 했다. 고려 당악정재의 舞妓들은 서왕모 등 신선으로 등장하여 임금에게 不老長壽를 헌상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경우 그들이 구사하던 말이 선어이고, 그 말들을 송도로 엮어낸 것이 당악정재 악장들의 문법이다. 이처럼 고려 당악정재 악장들의 경우 임금에 대한 조건 없는 송도로 일관한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수보록>이나 <금척> 등 조선조 창작 당악정재들의 경우는 ‘천명에 의한 조선의 건국과 왕조영속의 당위성 과시’라는 분명한 현실인식과 목표를 주제의식으로 드러내고 있다. 즉 ‘왜 임금이 오래 살아야 하며, 왜 왕조는 영속되어야 하는가?’라는 물음과 답을 작품에 드러내고자 한 것은 예악국가의 중세적 이데올로기를 구현하기 위해 임금의 능력과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조선의 건국에 원용된 논리는 주나라의 천명사상이었고, 敬天 · 保民 · 明德은 그 핵심이었다. 창업주가 천명을 받은 것과 그를 도울 유능한 신하들이 있다는 것은 왕조 영속의 절대적 조건들이었다. 그런 조건들을 갖춘 임금이야말로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풀 수 있는 것이고, 선정을 베푸는 임금의 장수를 축원하는 것은 臣民들의 자연스러운 소망일 수밖에 없었다. <수보록>의 ‘奠于新都傳祚八百’이나 <금척사>의 ‘傳子及孫彌于千億’은 창업주가 받은 천명을 전제로 왕조의 영속을 단언한 예언들이다. ‘이성계가 천명을 받아 새왕조를 개국하고 한양으로 천도하면 자자손손 무궁하게 이어지리라’는 예언 즉 ‘천명으로 개국한 왕조가 무궁하게 이어짐’은 천명론을 통해 이들이 발견한 논리적 귀결이었고, 악장을 통해 반복 · 주입시키고자 한 정치적 표어이기도 했다. 아박정재 악장 <동동>의 경우 그 문법 자체가 당악정재들의 ‘선어’를 본뜬 것인 만큼 주제의식 또한 고려당악들이 표상하던 ‘임금에 대한 송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다시 말하여 속악을 정비해가던 당시 속악정재나 악장은 이미 체제가 확립되어 있던 당악정재 및 그 가사들과 상호텍스트적 관계를 맺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고, 당악정재와 속악정재가 ‘임금에 대한 축수’라는 동기와 목적을 공유하고 있었으므로, 두 악장들은 표현문법을 공유하게 된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고려의 속악정재들 가운데 가장 인기가 높던 무고의 악장 <정읍사>는 악조에서 약간 예외적인 경우다. 중종 조에 이르러 <정읍사>는 ‘淫詞’의 판정을 받아 효자의 노래 <오관산>으로 대체되었지만, 적어도 악조가 완성된 태종 조까지는 그것이 ‘행상 나간 남편에 대한 부인의 걱정’을 그려냄으로써 유교의 ‘㤠 윤리’에 충실한 노래로 간주된 것이 사실이다. 무엇보다 중국의 사신들을 위한 잔치자리에서 속악정재 무고와 그 악장 <정읍사>를 통해 중세왕조 조선의 이념적 정체성을 대외적으로 과시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 KCI등재

        북한문학사와 향가

        조규익 ( Kyu Ick Cho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5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5

        『조선문학통사(상)』(1959)·『조선문학사(고대중세편)』(1977)·『조선문학사1』(1991) 등이 본고에서 사용한 텍스트들인데, 전자는 주체사상 등장 이전의 저술, 후2자는 주체사상 정립 이후의 저술들이다. 『조선문학통사(상)』은 맑스-레닌주의적 방법과 역사주의에 기초하여 문학사를 서술했음을 밝혔고, 후2자들은 그와 함께 주체미학적 관점을 강조했다. 향가가 ‘인민대중의 집단적 노동요’ 즉 ‘두레노래’에서 나왔다는 관점은 북한의 모든 문학사들에 공통된다.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의 필수요건인 ‘인민성·당성·노동계급성’ 가운데 인민성과 노동계급성을 강조할 필요 때문이었을 것이다. 노동계급으로서의 인민대중 속에서 불리던 생활가요들이 상당기간 후에 고안된 향찰 書寫法으로 기록되면서 구체적인 시 형식으로 나타난 장르가 향가라는 것이다. 따라서 그 書寫의 과정은 형식적 整齊를 이루어 나가던 加工의 과정이었다. 그리고 노래 즉 ‘읊던 시가’에서 시문학 즉 ‘쓰는 시가’로의 전환을 향가에서 찾아낸 점은 시가사 전개 양상의 합리적 발견이었다. 개별 노래들의 해석에서 이념적 과잉의 모습을 보여준 것은 문학을 ‘사회주의 혁명을 보조하는 수단’으로 인식하던 그들의 입장에서는 당연한 결과였다. 비록 고전시대의 향가라 해도 사회주의적 리얼리즘 이론의 합목적적 기준에 맞도록 해석해야 했고, 그 핵심 내용인 ‘인민성에 기반을 둔 집단성, 계급투쟁, 반외세 투쟁’ 등에도 부합되어야 했다. 주체사상의 시기에도 문학사 서술의 기조는 앞 시기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주체사상 자체가 정치·외교적 현실의 변화를 반영한 삶의 노선이었기 때문에, 그들이 견지해오던 사회주의적 리얼리즘 미학의 근본까지 변화시켜야 할 이유는 없었다. 주체미학을 문학사의 강령으로 내세웠음에도 앞 시기의문학사에 제시한 작품 해석의 경향이 지속된 이유를 바로 여기서 찾을 수 있다. 향가에 대한 북한문학사들의 해석이 비교적 정돈된 느낌을 주는 것은 향가들이 향찰이라는 우리 독자적 표기체계로 정착된 최초의 노래라는 점에서 부정적인 면을 찾기 어렵기 때문이었다. 무엇보다 작품에서 읽어낼 만한 계급이나 이념투쟁 혹은 외세와의 투쟁적 요소 등이 적었기 때문이다. 향가 장르의 역사적 전개나 작품의 해석에서 이념 과잉으로부터 생겨나는 작위성이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부분적으로나마 그들 논리의 합리성을 인정하게 되는 이유 또한 여기에 있다. Joseonmunhaktongsa(Sang), Joseonmunhaksa(Godae-Jungse pyeon), Joseonmunhaksa 1 are the texts that I used in this paper. The former is the book written before appearance of Juche Idea, and the latter two are the books written after establishment of Juche Idea. The authors of the former declared that they narrated their literary histories on the basis of Marxism-Leninism and historicism, the authors of the latter two emphasized the aesthetic view of Juche Idea with it. The viewpoint that Hyangga was originated from the people`s collective work folk songs i.e. Dure songs is common in all the literary history books of North Korea. It might be necessary to emphasize the tendency of people and working class of the mandatory requirements of social realism. Hyangga was a genre that emerged as a concrete poetic form, being written in Hyangchal as the writing means created after long time when the working class had sung them as their living songs. Therefore, the process of writing the songs was a process of manufacture that had been refined formally. And, to find out the changeover from song i.e. ‘poem reciting’ to poetry i.e. poem writing was a reasonable discovery of aspect of developing the poetry history. It was a natural result to the people who recognized literature as the means of assistance for socialist revolution that showed the appearance of ideological exces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individual songs. They had to interpret the songs reasonably even in the realm of the Hyangga of Classic age, and the result of interpretation had to coincide with collectivity, class strife, and strife against foreign power on the basis of people tendency. The keynote for narrating literary history was not changed so much even in the time of Juche Idea. There was no reason that they had to change the aesthetic basis of social realism which North Korea have reassured itself for a long time. We can find out the reason that the tendency of interpreting works in the former literary histories held out, despite they rendered Juche aesthetics as their own doctrine. Because it is not easy to find out the negative points in that Hyangga works were the first stage`s songs written in our own writing system i.e. Hyangchal, the interpretation of Hyangga in the North Korea`s literary histories seems to be rather a little neat. And, it is because Hyangga works have a little element of class, ideology strife or strife against foreign power. Despite we can`t deny the mendacity from excess of ideology in Hyangga`s historical development or interpreting works, also there is a reason to recognize their own rationality partly in this point.

      • KCI등재

        〈江湖戀君歌〉와 時調史 전개의 한 단서

        조규익(Cho Kyu-Ick) 한국시조학회 2010 시조학논총 Vol.32 No.-

        사촌의 〈강호연군가〉는 퇴계의 〈도산십이곡〉을 모방하여 지은 노래다. 퇴계의 〈도산십이곡〉은 이별의 〈육가〉를 바탕으로 지은 노래다. 따라서 세 작품은 계승과 수용의 분명한 단서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時調史的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퇴계는 이별의 〈육가〉에 ‘玩世不恭之意’가 많고, ‘溫柔敦厚之實’이 적어서 문제라고 했다. 퇴계의 비평적 언급을 바탕으로 한다면, 이별 〈육가〉의 시정신은 ‘완세불공’, 퇴계 〈도산십이곡〉의 그것은 ‘온유돈후’에 있다. 사촌은 퇴계의 〈도산십이곡〉을 본떠 〈강호연군가〉 전 후 여섯 곡 도합 12곡을 지었다. 그 자신이 말하길, 전육곡은 애군우국의 정성을 부친 것이고, 후육곡은 학문의 올바름을 발현한 것이라 했다. 퇴계가 비판한 이별 〈육가〉의 시 정신 즉 ‘완세불공지의’는 ‘주객대응의 구조’를 암시한다. 서정적 자아인 ‘나’를 대상인 세상이나 세상 사람들에 비해 우월하게 그려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그에 비해 〈도산십이곡〉의 어느 노래에도 대응구조라 할 만한 것이 들어 있지 않다. 말하자면 그림에 가까운 경물의 묘사와 그로부터 읽어낸 의미가 담담하게 기술되어 있을 뿐이다. 나와 너의 대응으로부터 서정적 긴장이 유발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퇴계의 시들은 지나치게 평면적인 시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도학자 퇴계는 그것을 좋은 시라 생각했고, 그것을 온유돈후로 파악하고 있었다. 표면적으로 사촌은 퇴계의 〈도산십이곡〉을 전폭 수용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노래의 내용을 자세히 뜯어보면 그렇지 않다. 노래 전체를 전육곡과 후육곡으로 나누었다거나 퇴계가 질타해 마지않았던 ‘완세불공지의’를 누그러뜨리기 위해 애쓴 점은 퇴계의 정신을 얼마간 계승한 부분이다. 그러나 이별보다는 덜하지만, 노래들의 이면에 분명히 ‘나’가 우월한 대응의 구조가 들어 있고, 강한 현실비판 의지 또한 읽어낼 수 있다. 격화된 당쟁 속에서 타의에 의해 밀려난 사촌이었으므로 퇴계와 같은 입장을 취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퇴계가 비판한 이별의 작풍도 얼마간 수용하여 자신만의 시세계를 구축하게 된 것도 그 때문이다. 따라서 퇴계의 〈도산십이곡〉을 正으로, 이별의 〈육가〉를 反으로 하는 合이 사촌의 〈강호연군가〉일 수 있고, 이들 3인은 시조사 전개 원리의 한 단서를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Ganghoyeon'gun'ga is a song written by Sachon, imitated Toegye's Dosansibigok. Toegye's Dosansibigok is a song made with being based on Lee, Byeol's Yukga. Therefore, the three songs have an important meaning on the point that they show a clear clue of succession and acceptance. Toegye said that Lee, Byeol's Yukga has a problem of much 'Wansebulgongjieui'[wish looking down on society arrogantly], less 'Onyudonhujisil'[substance of gentleness and sincere]. Based on Toegye's critical saying, we can say that poetic spirit of Lee, Byeol's Yukga is Wansebulgong, Dosansibigok's spirit is Onyudonhu. Sachon made 12 stanzas of Ganghoyeon'gun'ga, front 6 stanzas and rear 6 stanzas. He said the front 6 stanzas about love for his King and Dynasty, the rear 6 stanzas about uprightness of scholarship. Wansebulgongjieui, the spirit of Lee, Byeol's Yukga which Toegye criticized hints the structure of 'correspondence of host and guest'. The saying means that Lee, Byeol described lyrical self 'I' superiorly comparing to the other people. As compared with it, Toegye's Dosansibigok has no similar to correspondence of host and guest. So to speak, depict of scenery of the season similar to pictures and some meaning derived from it are plainly described in Toegye's Dosansibigok. If we take into account for lyrical tense being induced from correspondence of host and guest, Toegye's poems show an excessively plain idea. However, Toegye, the moralist, thought it as a good poem and understood it as Onyudonhu. To all appearances, it seems that Sachon fully accepted Toegye's Dosansibigok. Yet, it is not true, if we observe the content minutely. The points that he divided the song into front-rear, or made an effort to soften Wansebulgongjieui Toegye criticized bitterly are the parts accepted Toegye's spirit to some extent. However, there is the structure of correspondence of host and guest, and we can read his idea powerfully criticizing reality. Because Sachon was pushed out in the intensified party strife, he could not take a position like Toegye. It was the reason why he accepted Lee, Byeol's literary style Toegye criticized, and constructed hisown poetic world. Accordingly, Toegye' Dosansibigok can be thesis, Lee, Byeol's Yukga can be antithesis, Sachon's Ganghoyeon'gun'ga can be synthesis. We can say that these three persons showed a clue in the principle about the history of Sijo development.

      • KCI등재
      • 악장과 정재의 미학적 상관성 -그 통시적 흐름을 중심으로-

        조규익 ( Cho Kyu-ick )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03 민족무용 Vol.4 No.-

        악장과 정재의 미학이 통시적으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밝힌 것이 이 논문이다. 지금까지 악장은 문학적 기준만으로 저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악장-음악-춤’이 함께 어우러지는 종합예술적 바탕 위에서 분석·고찰되어야 악장의 본질은 제대로 파악될 수 있다. 사계의 원활한 순환이나 우순풍조의 기원과 같은 풍요제의에 근원을 둔 종합예술로서의 정재는 국태민안이나 태평성대의 실현 등 相生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다. 그 연원이나 동기야 여하간에 정재의 바탕은 풍류다. 물론 그 풍류의 성향이나 성격은 흥취에 바탕을 두는 경우도, 이취에 바탕을 두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흥취와 이취 사이를 오고가는 풍류의 양상은 시대적 이상이나 지향점과 밀접한 상관성을 갖는다. 대부분 정재가 이루어지던 배경은 흥청대는 연향의 자리였다. 그 배경이 시 공간적 요인으로서의 가무악과 만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로 흥이고, 이것을 언어로 구체화시켜주는 것이 악장이다. 정재나 악장은 예악정치라는 이념과 그것을 구현하기 위한 인위적·현실적 시스템에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는 점에서 민간의 예술에 비해 부자연스러웠다. 그러나, 그 나름대로 놀이적 본질과 그 효과로서의 興을 구현할 수 있었다는 점, 제의적 연원과 그 獻身의 구현 양상인 忠을 정서적으로 구현했으며 결과적으로 그러한 덕목들이 집약되어 이룩된 집단 이념을 드러낼 수 있었다는 점, 전·후자를 하나로 통합하는 미학이 시기별로 편차를 보이며 전개되었다는 점 등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조선조 말기까지 전개된 정재나 그 악장의 흐름은 고려의 그것들을 바탕으로 ‘수용-변이-창작’의 과정을 거듭하면서 양적으로 확장되어가는 양상을 보여준 과정이었다. 어느 시대의 정재이든 풍류를 미학적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는 점은 공통되나 고려의 정재들은 흥취를 압도적으로 드러냈고, 조선 초기 정재들은 이취를 압도적으로 드러냈으며, 조선조 말기의 정재에 이르면 다시 흥취지향의 풍류로 복귀한다. 공연예술의 현장적 맥락을 전제로 할 때 비로소 악장의 본질 또한 명확하게 드러난다고 보는 관점은 이 점에서도 자명해진다. The Chosun Dynasty's Akjang is a literary genre, but, on the other hand, it is not. We have to judge it's artistic completion degree in the correlative context of the music, dance, and lyric lines. It is not a self-sufficient literary structure that can be completed in the words. It needs to approach to it from the view of a composite art to understand the true nature of the Akjang. Jongjae is a composite art of the music, dance, and lyric lines. Jongjae was a stage art only for the King and the ruling classes at that time. It's nature is Pungryu(artistic refinement), no matter what it's motive or origin may be. Of course, the inclination of the Pungryu can be founded on the mirth as well as the reason. The appearance of the Pungryu has a close relation with the fashion and spirit of the day. Akjang is a lingual form being premised on the music or dance. The court dance is differentiated from the folk dance in repects of sending message through the dance action and order in the restricted space. Naturally, it has a weakness of artificiality comparing to the folk dance for the restriction of the real system. Viewing from the record, the starting point of the Jongjae existing nowadays is the Tang-ak and Sok-ak in the Koryosa-Akji. Tang-ak-Jongjae is prevails in the scale and the artistic refinement. Although it is art form coming from abroad(old China), it is reasonable to think it as a standard of the thematic and aesthetic consciousness. The main stream of the Jongjae and Akjang from the Koryo Dynasty to the late Chosun Dynasty was the process to enlarge their quantity through the repeated 'reception-changecreation'. Most of them is founded on the Pungryu. The Koryo Jongjae showed the overwhelming mirth, the early Chosun Jongjae showed the overwhelming reason, and the late Chosun Jongjae showed the inclination of mirth again. The value of Akjang can be resuscitated only when we think over the actual meaning as the stage art. We have to start the new study about Akjang at this point from now on.

      • KCI등재

        시조와 궁중 악장의 관계

        조규익(Cho Kyu-Ick) 한국시조학회 2006 시조학논총 Vol.25 No.-

        이 논문은 시조와 궁중악장의 관련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본 결과다. 조선시대에도 민간음악과 궁중음악의 교섭은 활발했다. 정치적 목적이 전제된 일이긴 하나 순조 대에 대거 시행된 각종 진연ㆍ진작 등 예연의 정재들에 민간음악의 대표 격인 가곡이 도입된 것은 괄목할만한 일이었다. 가곡의 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노랫말은 시조였다. 조선조 후기의 각종 예연에 명시적으로 사용된 시조는 분명 ‘민간음악이 궁중악으로 도입된’ 모범적 사례로 들 수 있을 것이다. 고려 시대의 각종 정재들이 조선조에도 거의 그대로 수용되었고, 자연스럽게 그것들에 올려 부르던 대부분의 속악가사들도 답습되었다. 그 가운데 〈북전〉은 〈정과정〉을 올려 부르던 진작조로 가창되었다. 그런데 『악학궤범』에 실린 〈북전〉은 3강 8엽의 ‘장가’이나, 『금합자보』나 『양금신보』에 실린 그것들은 시조 형태의 비교적 ‘짧은 노래들’이다. 조선 초기 어느 시점부터는 시조시형이 궁중악의 노랫말로 도입되었음을 암시한다. 특히 〈북전〉은 시조 형태의 노랫말로 교체된 후 조선조 후기까지 지속되었다. 이렇게 〈북전〉은 고려조 이래 최소한 조선조 전기까지는 궁중에서 사용되던 노래였고, 이것이 민간으로 번져 나가 가곡의 레퍼터리 안에 정착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장가 북전〉이 〈단가 북전〉으로 바뀐 것은 사실상 민간의 음악이 궁중 음악에 영향을 준 결과로 보아야 한다. 御前風流의 頌禱之詞였던 〈북전)(〈후정화〉)이 조선 전기에는 曲宴ㆍ觀射ㆍ行幸에는 물론 정전에서 임금과 신하가 만날 때에도 사용되었다. 이런 점은 가곡으로 편입, 조선조 후기까지 지속된 우리말 노래가 원래 궁중악으로도 쓰였다는 사실의 단서라고 할 수 있다. 엄격한 틀을 벗어날 수 없었고, 궁중악과 민간 음악은 확연히 구분된다고 생각해왔던 종래의 상식과 다른 점을 시조시형과 악장의 관계에서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orrelation of Sijo with Akjang. In Joseon Dynasty, the contact of folk music and court music was brisk. Although they had some political premises, many Jeongjaes presented in the royal court parties accepted Gagok, one of the representative folk song genres. It was an eye-opening matter. The song words sung by Gagok music accompaniment were the lyrics of Sijo, We can give Sijo that was used in diverse royal court parties as an typical example about introduction of folk music to the court music. A lot of Goryeo Dynasty's Jeongjaes were introduced to Joseon Dynasty nearly as they are. Naturally so most Sokak-gasas were. Bukjeon was sung to Jinjak tune which Jeong-gwajeong was sung. Bukjeon in the music book Akhak-Guebum is a long song, but instead Bukjeons in the music book Geumhapjabo and Yang'geurn-sinbo are short. It suggests that the poetic form of Sijo was introduced to the lyric of royal court music from a point of tim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Especially. Bukjeon had been continued to the late Joseon Dynasty after exchanging to the lyric form of Sijo. Bukjeon had been used in the royal court to the first half of Joseon Dynasty. It became established in the repertory of Gagok after spreading to people out of court. Turnover from the long Bukjeon to the short was a result that the folk music influenced royal court music. Bukjeon, song words praying King's longevity, was used in the diverse situations such as a small royal parties, royal archery, and King's outing. It can be a clue that the Korean song words continued to late Joseon Dynasty were used for the lyric of royal court music. In the correlation of the poetic form of Sijo and Akjang, we can find out some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our common sense to distinguish royal court music from folk music.

      • KCI우수등재

        박순호 소장 〈궁즁도회가〉의 자료적 가치와 의미

        조규익(Cho Kyu-ick) 국어국문학회 2011 국어국문학 Vol.- No.157

        〈Gungjung'dohoega〉 owned by Park, Sunho is a written script nearest from Mr. Sagong's 〈Wangjo'hanyang'ga〉 excavated and introduced by Choe, Ganghyeon. 〈Gungjung'dohoega〉 written in hard Gyeongsangdo dialects 〈Wangjo Hanyang'ga〉's Gyeongsangdo version, it is considerably unusual in the method of text production. 〈Gungjung'dohoega〉 is a text criticized half period of Joseon Dynasty's historical traces, it was finished with didactic contents. 〈Gungjung'dohoega〉 is a Gasa work suggested each King's misgovernments and criticized. As time goes by to the last stage, politics was confused and people's life fell into extreme distress. In the end, the whole dynasty was collapsed. Especially, negative phenomena during the under stage of Joseon Dynasty downward to ending point centering on Imjinwaeran[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ere serious. The author[or scribe] wanted to hand down messages in his own words. That when the king and his subjects can't keep their fundamental rules and perform their own business, country is be confused, that when they indulge in carnal pleasures or greed, people fall into extreme distress, that when the order of social status is collapsed, country is in turmoil and peoples are locked in struggle, etc. This work is the result that the writer as an intellectual spoke what he wanted to say about defunct dynasty. As it were, the writer expressed his desire to denounce those days' irrationality to his hearts content. With harshly criticizing the irrationality of the individual king's age, he is emphasizing that the irrationality's root is so deep and distant. The writer gave a new title 'Gungjung'dohoega' to the last part, after cutting out the half of the work described the period of 500 years or more with 6000 phrases or more. The reason why the writer did like it was his desire to give his clear message to the people. The significance of its existence is in this point. In the point that it is a part of the original text, this written text is clearly a different version, in the point that he omitted over than half from the original text, it is obvious a problematic version. Moreover, he copied not different contents from the original text in Gyeongsangdo dialects, it is an evidence how big his desire to make it his own property was. Gungjung'dohoega read as 'a song deplored Joseon Dynasty's glory disappeared to collapse' can be said as a good example to show how Gasa genre accepted to the people of those days than a simple written text.

      • KCI등재

        조선조 악장문학과 성리학적 이념

        조규익(Cho. Kyu-ick) 우리문학회 2002 우리文學硏究 Vol.15 No.-

        The Chosun Dynasty's Akjang is the most useful genre in expressing the collective Ideology or worldview of an era. The essential worldview is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a nation and an private person, a community and an individual. Chong, Do-Jun, Kwon, Geun, and Ha, Ryun established the paradigm of the early stage's Akjang. Their worldview represents the era. It met the best days in the stage of Song of Flying Dragon(Yongbi-ouh-tson-ga). The rationality or the collective consent of the Akjang was originated from the Sung Confucianism, the ideological base of the high ranking official class. It's essence is the Heaven. The Heaven in this case is a concept of not a space but an origin that all things are originated from. Zhu Xi's view about the Heaven's decree is the framework of the worldview in the Chosun Dynasty's Akjang, the concrete items are the Propriety and the Loyalty between the King and the Lieges. The concept of the public order is it's justification, and it is an order from the Heaven's decree. The viewpoint to be able to exchange their king as a man of virtue is from the theory of political revolution based on the Heaven's decree. The Heaven's decree expressed in the Chosun Dynasty's Akjang coincided with the Zhu Dynasty's ideology about it. And, it is based on the human nature and the natural law. The right and reason we have to<br/> follow is the Heaven's decree. Naturally, the concept of the Heaven's decree is originated from the governor's mind based on the Heaven's principle, rewarding the good and punishing the evil. Song of Flying Dragon(Yongbi-ouh-tson-ga) is one of the songs that the essence of lhe Heaven's decree and warning is expressed most substantially. The main stream of Akjang Can be seen in the works lliat the leading transcendental rationality and the subordinate theses established a 9:1 consistent concept of order. The transcendental rationaliy is rdated will. the human mind, and it is based on the moral justice. We can make sure of the Heaven's decree as the result of the human's practical behavor about the inth from the Heaven's Law. This is the worldview of the Chosun Dynasty's Akjang.<br/> <b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