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영 연안 조간대의 조수웅덩이에 출현하는 점망둑 (Chaenogobius annularis)의 식성

        조갑자 ( Gab Ja Cho ),김현지 ( Hyeon Ji Kim ),박종혁 ( Jong Hyeok Park ),최희찬 ( Hee Chan Choi ),백근욱 ( Gun Wook Baeck ) 한국어류학회 2016 韓國魚類學會誌 Vol.28 No.4

        채집기간 동안 총 315개체의 점망둑 (Chaenogobius annularis)이 채집되었으며, 8.6%의 공복률을 보였다. 점망둑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상대중요성지수비 50.5%를 차지한 요각류 (Copepoda)였다. 요각류 다음으로 해조류 (Seaweed)가 우점하였으며, 그 외 곤쟁이류 (Mysidacea), 만각류 (Cirripedia), 단각류 (Amphipoda) 등도 섭식하였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점망둑은 성장함에 따라 요각류의 섭식은 감소하였고 해조류의 섭식이 증가하였다. The feeding habits of Chaenogobius annularis were studied based on gut contents analysis of 315 individuals, collected from September 2014 to August 2015 in the tidepools at the intertidal zone of Tongyeong, Korea. The size of C. annularis ranged from 17.0 to 54.0 mm in standard length (SL). C. annularis mainly consumed copepods (especially Tigriopus japonicus). Its diets included seaweeds, cirripeds, mysids and amphipods. C. annularis showed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Small individuals fed mainly on copepods. As body size increased, the portion of seaweed increased, whereas the consumption of copepods decreased.

      • KCI등재

        의령군 남강변의 식물상 및 외래식물 분포

        김정수,조갑자,이민숙,곽칠식,박삼봉,장원영,김봉규,추갑철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6 No.5

        본 연구는 의령군 남강하류 하천변의 식물상과 외래식물의 분포현황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식물상조사는 3구간(Ⅰ: 장박교∼정 암교, Ⅱ구간: 정암교∼백곡교, Ⅲ구간: 백곡교∼낙동강 합류지점)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조사지에서의 관속식물은 95과 279속 405종 1아종 38변종 7품종 451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양치식물은 7과 11속 14종 1변종 15분류군, 나자식물은 5과 7속 8종 8분류군, 피자식물은 83과 261속 383종 1아종 37변종 7품종 428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쌍자엽식물은 73과 200속 287종 1아종 23변종 7품종 318분류군, 단자엽식물은 10과 61속 96종 14변종 110분류군이 출현하여 피자식물이 약 95%로 가장 많은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희귀식물은 8과 8속 8종 8분류군으로 검팽나무, 낙지다리, 새박 등이 출현하였고, 한국특산식물은 2과 3속 4종 4분류군으로 은사시나무, 키버들, 능수버들, 오동나무 등이 출현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30과 38속 37종 2변종 39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일년생식물은 27분류군, 일년생식물(겨울형)은 17분류군, 지중식물은 4분류군, 반지중식물은 14분류 군, 지표식물은 3분류군으로 관목은 1분류군과 대교목 2분류군 이었다. 침입외래식물은 19과 54속 66종 2변종 68분류군으로 닭의덩굴, 소리쟁이, 큰석류풀 등이 출현하였고, 귀화율 약 15.1%, 도시화지수는 약 19.8%였다. 생태교란식물은 4과 7속 8종으로 8분류군이 출현하였다.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flora and influx of exotic plants along the riverside of the lower Namgang River in Uiryeong-gun. The flora survey wa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I: Jangbak Bridge∼Jeongam Bridge, Section II: Jeongam Bridge∼Baekgok Bridge, Section Ⅲ: Baekgok Bridge∼Nakdong River Confluence). As for the vascular plants in the survey site, 95 families, 279 genera, 405 species, 1 subspecies, 38 variants, 7 forma, and 451 taxa appeared. Among them, pteridophyta were 7 families, 11 genera, 14 species, 1 variety, 15 taxa, gymnospermae were 5 families, 7 genera, 8 species, 8 taxa, and angiospermae were 83 families, 261 genera, 383 species, 1 subspecies, 37 varieties, 7 forma, 428 taxa, and dicotyledons were 73 families, 200 genera, 287 species, 1 subspecies, 23 varieties, 7 forma, 318 taxa, and for monocotyledons, 10 families, 61 genera, 96 species, 14 varieties, and 110 taxa. Angiosperms accounted for the most significant number of taxa with about 95%, among which dicotyledons accounted for about 71% and monocotyledons with about 24%. Rare plants were 8 taxa of 8 families 8 genera 8 species, and Celtis choseniana, Penthorum chinense, Melothria japonica appeared, and Populus tomentiglandulosa, Salix koriyanagi, Salix pseudolasiogyne, Paulownia coreana, etc. appeared in 4 taxa of 2 families and 3 genera in Korea endemic plants, and for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 30 families, 38 genera, 37 species, 2 variants, and 39 taxa appeared. Invasive alien plants were investigated to be 68 taxa, including 19 families, 54 genera, 66 species, 2 variants.The naturalization rate of naturalized plants was about 15.1%, and the urbanization index was approximately 19.8%. As for Life-forms of naturalized plants, 27 taxa for annual plants, 17 taxa for annual plants (winter type), 4 taxa for Geophyte, 14 taxa for hemicrytophyte, 3 taxa for chamaephyte, and 1 taxon for nanophanerophyte and 2 taxa for megaphanerophyte appeared. Ecological disturba

      • KCI등재

        큰앵초의 자생지별 외부형태학적 변이 및 환경특성

        최현식,김정수,이민숙,정용주,김동후,김병부,김봉규,추갑철,조갑자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6 No.4

        The survey of Primula jesoana was conducted in 5 areas (Sobaeksan Yeonhwabong, Juholsan Jubong, Deogyusan Satgatbong, Gayasan Duribong, and Jirisan Nogodan) from 2018 to 2020. The height of Primula jesoana was 23.1∼31.3cm, with an average of 26.8cm. The number of leaves was 2.9∼4.7, and the average was 3.8. The length of the leaves was 6.2∼7.6cm (an average of 7.1cm). The width of the leaves was 7.8∼9.3cm, the average was 8.7cm, and the length of the petiole was 10.9∼16.5cm, with an average of 13.5cm. The ratio of the length and width of the leaf was 0.79∼0.82, and it was a wide oval. The lobe shape was dull and irregular and sharp, deep and regular. The root length was 5.9∼10.9 cm, and the average length was 7.2 cm. The number of roots ranged from 27.6 to 48.2, with an average of 37.7. The flowering period is from the end of May to the beginning of June. The number of flowers ranged from 5.4 to 10.1, and the average was 7.2. The width of the corolla ranged from 21.7 to 26.2 mm, and the average width was 23.4 mm. The fruit length ranged from 1.3㎜ to 2.0㎜, with an average of 1.8㎜. The number of seeds went from 10.0 to 18.2ea, with an average of 14.2ea. The dominant species in the upper layer of the survey site were Quercus mongolica, the middle layer Acer pseudosieboldianum, Symplocos chinensis f. pilosa, Magnolia sieboldii and the lower layer was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hododendron mucronulatum, Tripterygium regelii, Stephanandra incisa etc. The Species diversity (H´) of investigated groups were ranged from 0.7534 to 0.9950. The soil pH of the irradiated site was 4.1∼4.6, and the base saturation was 3.18%∼9.09%. EC was 0.18∼0.70 dSm-1, and NaCl was 0.003∼0.006%. 큰앵초의 특성조사는 소백산(연화봉), 주흘산(주봉), 덕유산(삿갓봉), 가야산(두리봉), 지리산(노고단) 등 5개 지역을 대상으로 2018년 4월부터2020년 11월까지 실시하였다. 큰앵초의 높이는 23.1∼31.3㎝이고, 평균 26.8㎝이며, 잎의 수는 2.9∼4.7개이고, 평균 3.8개이다. 엽신의 길이는6.2∼7.6㎝이고, 평균 7.1㎝이며, 엽신의 너비는 7.8∼9.3㎝이고, 평균 8.7㎝이며, 엽병의 길이는 10.9∼16.5㎝이고, 평균 13.5㎝이다. 잎의 길이와폭의 비율은 0.79∼0.82로 광타원형이다. 엽연의 형태는 결각이 둔하고 불규칙적인 것과 예리하고 깊으며 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뿌리의 길이는5.9∼10.9㎝이고 평균 7.2㎝이며, 뿌리 수는 27.6∼48.2개이고, 평균 37.7개이다. 개화기는 5월말∼6월 초이며, 꽃의 수는 5.4∼10.1개이고, 평균7.2개이다. 화관너비는 21.7∼26.2㎜이고, 평균 23.4㎜이다. 열매의 길이는 1.3㎜∼2㎜이고, 평균 1.8㎜이며, 종자의 수는 10개∼18.2개이고, 평균14.2개이다. 조사지의 상층우점종은 신갈나무이고, 중층은 당단풍나무, 노린재나무, 함박꽃나무 등이며, 하층은 철쭉, 진달래, 미역줄나무, 국수나무등으로 나타났고, 종다양도는 0.7534∼0.9950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의 토양 pH는 4.1∼4.6이고 염기포화도는 3.18%∼9.09%로 나타났다. EC는0.18∼0.7dSm-1으로 나타났고, NaCl은 0.003∼0.006%로 나타났다.

      • 거창군 우두산의 식물사회학적 식물상 분석

        곽칠식,조갑자,이민숙,정용주,김동후,장원영,김민호,추갑철,김정수 한국산림공학회 2022 산림공학기술 Vol.20 No.2

        본 연구는 경상남도 거창군 우두산의 식물상을 파악하고, 향후 기후 환경변화에 대한 식물상의 동태를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우두산의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90과 234속 313종 3아종 36변종 8품종 360분류군이 출현하였고, 귀화식물은 6과 15속 15종 15분류군이 출 현하여 귀화율은 4.16%로 나타났다. 한국특산식물은 7과 8속 8종 1변종 9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에서 Ⅳ등급은 세뿔투구꽃, 고로쇠나무, 흰참꽃나무, 외잎쑥 등의 4분류군이 출현하였다. Ⅲ등급은 개박달나무, 당조팝나무, 중나리, 광릉용수염 등 4분류군이 출현하였다. Ⅱ등급은 매발톱, 돌양지꽃, 꽃쥐손이, 노랑제비꽃, 큰참나물, 산앵도나무, 붉은병꽃나무, 말나리, 꽃창포, 지리대사초 등 10분류군이 출현하였다. Ⅰ등급은 전나무, 푸조나무, 투구꽃, 세잎꿩의비름, 산조팝나무, 노랑물 봉선, 대팻집나무, 오갈피나무, 들메나무, 애기쉽싸리, 일월비비추, 왕미꾸리광이 등의 12분류군이 출현하였다. 희귀식물은 위기종인 EN등급이 1분류군, 약관심종인 LC등급이 5분류군, 취약종인 VU 등급 2분류군으로 8과 8속 6종 2변종 8분류군이 출현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data to seize the flora of Mt. Udu, Geochang-gun, Gyeongsangnam-do, and to identify the flora condition for future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the flora of Mt. Udusan, 90 families, 234 genera, 313 species, 3 subspecies, 36 varieties, 8 types, 360 taxa appeared, in naturalized plants appeared 15 taxa with 6 families, 15 genera, and 15 species, the naturalized plants was 4.16%. For Korean endemic plant, 7 families, 8 genera, 8 species, 1 variety, 9 taxa, and in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appeared, such as 4 taxa Aconitum austrokoreense, Acer pictum var. mono, Rhododendron sobayakiense var. koreanum, Artemisia viridissima etc. for grade IV, 4 taxa for grade III Betula chinensis, Spiraea nervosa var. chinensis subvar. angustifolia, Lilium leichtlinii subsp. maximowiczii, Diarrhena fauriei etc. 10 taxa for grade II,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Potentilla dickinsii, Geranium platyanthum, Viola orientalis, Cymopterus melanotilingia,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Weigela florida, Lilium distichum, Iris ensataCarex okamotoi etc. and 12 taxa Abies holophylla, Aphananthe aspera, Aconitum jaluense, Hylotelephium verticillatum, Spiraea blumei, Impatiens noli-tangere, Ilex macropoda,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Fraxinus mandshurica, Lycopus maackianus, Hosta capitata, Glyceria leptolepis etc. for grade I. As for rare plants, there appeared 8 taxa with 8 families, 8 genera, 6 species, 2 variants, with 1 taxa for EN grade, 5 taxa for LC grade, and 2 taxa for VU grade.

      • 거창군 우두산의 식생유형 분류

        곽칠식,김정수,장원영,이민숙,정용주,김동후,추갑철,이재완,조갑자 한국산림공학회 2022 산림공학기술 Vol.20 No.2

        본 연구는 경상남도 거창군 우두산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21개의 방형구(400㎡)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1개의 조사구는 소나무-졸참나무-물오리나무군집, 소나무-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종다양도는 0.5613∼0.6138의 범위로 나타났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층층나무와 산조팝나무; 물오리나무와 개옻나무; 느티나무와 산조팝나무, 굴피 나무; 굴참나무와 굴피나무; 고광나무와 작살나무; 산초나무와 산조팝나무; 개옻나무와 신갈나무; 붉 나무와 참개암나무 사이에서는 강한 정의 상관관계가 성립되었다. 이들 수종 사이에는 같은 생육환 경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와 개옻나무; 졸참나무와 병꽃나무; 병꽃나무와 산벚나무 등 의 사이에서는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이들 수종 사이에는 같은 생육환경을 공유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seiz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Mt. Udu, Geochang-gun, Gyeongsangnam-do, 21 square spheres (400㎡) were set up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plant communities, the 21 survey districts were classified into the Pinus densiflora - Quercus serrata - Alnus incana subsp. hirsuta, and the Pinus densiflora - Quercus serrata -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The correlation between species was shown as follows. Cornus controversa and Spiraea blumei; Alnus incana subsp. hirsuta and Toxicodendron trichocarpum; Zelkova serrata and piraea blumei, Platycarya strobilacea; Quercus variabilis and Platycarya strobilacea; Philadelphus schrenkii and Callicarpa japonica;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Spiraea blumei; Toxicodendron trichocarpum and Quercus mongolica; Rhus chinensis and Corylus sieboldiana;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has been established between them. These species were found to share the same growing environment. Pinus densiflora and Toxicodendron trichocarpum; Quercus serrata and Weigela subsessilis; Weigela subsessilis and Prunus sargentii; A negative correlation was established between them. It was found that these species do not share the same growing environment between species.

      • 연구한려해상국립공원 소매물도(小每勿島)의 관속식물상

        안명덕,황준,이민숙,이재완,박삼봉,김봉규,조갑자,추갑철,윤용환 한국산림공학회 2022 산림공학기술 Vol.20 No.3

        관속식물은 95과 267속 382종 1아종 46변종 10품종으로 439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국화과가 53 분류군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우리나라 관속식물 4,881분류군의 약 8.99%가 출현하였다. 벼과 가 50분류군, 콩과가 22분류군, 백합과가 18분류군 등의 순으로 출현하였다. 희귀식물은 좀갈매나 무, 갯방풍, 야고, 초종용, 석곡 등의 8과 9속 8종 1변종 9분류군이 출현하였고. 한국특산식물은 5 분류군(점현호색, 해변싸리, 좀갈매나무, 섬초롱꽃, 신이대)이 출현하였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은 53과 82속 88종 7변종의 95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귀화식물은 10과 26속 34종 34분류군이 출 현하였다. 귀화율은 7.7%, 도시화지수는 10.59%였다. 염생식물은 갯씀바귀, 왕모시풀, 돌가시나무, 사철쑥, 해국, 갯장구채, 갯까치수염 등의 14과 25속 25종 3변종 28분류군이며, 생태계 교란종은 돼지풀과 환삼덩굴의 2분류군이 출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vegetation management plan of the Somaemuldo Island in the Tongyeong-si. Vascular plants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439 taxa including 95 families, 267 genera, 382 species, 1 sub-species, 46 varieties, and 10 forms. It accounted for 8.99% of vascular plants(4,881 species) in Korea. Gramineae was the most abundant as 50 taxa, followed by Leguminosae as 22 taxa, Liliaceae as 18 taxa. The survey showed 9 taxa of rare plants such as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Celtis choseniana,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etc. The endemic plants were 5 taxa including 5 families, 5 genera, 5 species. The floristic special plants were 95 taxa including 53 families, 82 genera, 88 species, and 7 varieties. Naturalized plant species were 34 taxa including 10 families, 26 genera, 34 species appeared. The naturalization rate and the urbanization index were 7.7% and 10.59%, respectively. The survey indicated 28 taxa of Halophytes such as Ixeris repens, Aster spathulifolius, Silene aprica var. oldhamiana etc. Ecological disturbance species were 2 taxa.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may has harmful effects on native plants, these plant must be completely removed.

      • KCI등재

        사천시 광포만의 식물상 및 외래식물 분포

        이민숙 ( Min-sook Lee ),김정수 ( Jung-soo Kim ),박삼봉 ( Sam-bong Park ),조갑자 ( Gab-ja Cho ),안종빈 ( Jong-bin An ),송진헌 ( Jin-heon Song ),곽칠식 ( Chil-sig Kwag ),김봉규 ( Bong-gyu Kim ),추갑철 ( Gab-chul Choo ) 한국산림과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3

        본 연구는 생태적·경관적 가치가 뛰어난 광포만의 관속식물, 염생식물, 침입외래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를 통해 이 지역의 식물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이 목적이다. 광포만에서 출현한 관속식물은 93과 299속 466종 3아종 41변종 10품종으로 520종이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중 LC등급은 검팽나무, 새박, 모새달 등의 3분류군, VU등급은 세뿔석위 1분류군, CR등급은 왕벚나무 1분류군, EN등급은 왕둥굴레가 출현하였다. 한국특산식물은 해변싸리, 오동나무, 병꽃나무 등의 9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44분류군으로 V등급은 왕벚나무 1분류군, IV등급은 산복사나무, 등나무, 검양옻나무, 갈사초 등의 4분류군, III등급은 바위손, 세뿔석위, 참조팝나무 등의 10분류군, II등급은 방기, 개산초, 새박 등 6분류군, I등급은 실고사리, 잣나무, 가래나무 등 23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침입외래식물은 돼지풀, 가시박, 털물참새피 등 62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염생식물은 갯장구채, 나문재, 해홍나물 등 27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생태계교란종은 7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특히, 돼지풀, 가시박, 털물참새피 등은 자생식물의 생육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인위적인 방제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flora management of vascular plants, halophytes, and naturalized plants in the Gwangpo Bay area in Sacheon city, Gyeongsangnam-do. The flora found in this area incorporated 520 taxa, including 93 families, 299 genera, 466 species, 3 subspecies, 41 varieties, and 10 forma, and accounted for approximately 10.6% of total vascular plants (4,884 species) in Korea. According to the survey, 76 species of Gramineae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14.6%), followed by 67 species of Compositae (12.8%), 34 species of Leguminosae (6.5%), 27 species of Cyperaceae (5.2%), and 22 species of Rosaceae (4.2%). Rare plant specie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were categorized into six taxa, including three taxa in the LC grade, one taxon in the CR grade, one taxon in the VU grade, and one taxon in the EN grade. Korea endemic plants belonged to nine taxa consisting of seven families, seven genera, and nine species. The special floristic plants included 44 taxa, including one taxon (Prunus yedoensis) in the V grade, four taxa in the IV grade, ten taxa in the III grade, six taxa in the II grade, and 23 taxa in the I grade. Naturalized plants included 62 taxa consisting of 15 families, 47 genera, 59 species and 3 varieties. Halophytes consisted of 27 taxa, including 13 families, 24 genera, 24 species, 2 varieties, 1 forma, which consisted of Atriplex gmelinii, Suaeda glauca, Suaeda maritima, and Lathyrus japonicus. Invasive alien species in the Gwangpo Bay area included seven taxa. Since Ambrosia artemisiifolia, Sicyos angulatus, and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may have harmful effects on native plants, these plants must be artificially control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