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왜 기사문을 선택하는가

        제민경(Minkyeong Je),남가영(Gayeoung Nam),이관희(Kwanhee Lee),주세형(Sehyung Joo) 한국중원언어학회 2016 언어학연구 Vol.0 No.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uthors’ awareness of genres of news articles when compiling them into Korean language textbooks. Acknowledging that the primary criterion of selecting textbooks is their relevance to educational achievement standards, we assumed that authors would have a wide variety of intentions to select news articles in textbooks. Along with this assumption, we intended to interpret authors’ intentions in relation to the primary selection criterion. We examined news articles adop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used in primary schools or middle schools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09. After that, we classified the news articles into some categories such as contents, structures, and linguistic forms in regard to their uses for educational achievement standards. Next, on the basis of the classification, we attempted to understand the authors’ criteria for selecting news articles. Some significant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three categories. We believe that this study, performed by the procedure with seven steps, could establish a new methodology to interpret genre characteristics implied in textbooks.

      • KCI등재

        학습자의 탐구 활동과 문법 지식:

        제민경(Je Mink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7

        본 연구는 언어 규범에 대한 학습자의 탐구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자가 언어규범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비계로서 작용하는 문법 지식이 무엇인지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에 따라 실행연구의 관점에서 학습자를 3개의 소집단으 로 나누고 한글맞춤법에 대한 탐구 활동을 실행한 후, 이 중 2개의 소집단을 선택하여 30분가량의 탐구 대화와 조별 탐구활동지를 구체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맞춤법 대원리’의 인식이 탐구의 방향을 결정하는 거시적 조직자가 되고, ‘형 태소 분석, 단어 형성법과 접사의 생산성에 대한 논의, 품사의 형태적 인식’이 탐구의 비계로서 작용함을 밝혀내었다. 또한 ‘의미의 변화’에 대한 논쟁이 탐구의 내용을 좌우하는 중핵 비계가 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나아가 학습자의 탐구 활동을 위해 향후 ‘비계의 내용’뿐만 아니라, ‘비계의 제공 시점’과 ‘대상 학습자’에 대해 탐색해야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er s inquiry activity on the language norms and to find out what grammatical knowledge acts as a scaffolding in the course of constructing learner s knowledge of language norms. In this study, the learner is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from the viewpoint of the action research, and the subgroups of the two subgroups are specifically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recognition of first principle of the spelling system of Hangeul is a macroscopic organizer tha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inquiry, and it reveals that morpheme, word formation method, productivity of affix, morphological recognition of part of speech becomes a scaffold of inquiry. Also, we emphasized that the debate on change of meaning should be the core scaffolding that determines the content of inquiry. In addition, we suggested that we should go beyond what scaffolding and explore what scaffolds, at what point, and to which learners .

      • KCI등재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인지적 영역에 대한 국어교육전공자와 과학교육전공자의 해석 차이:설명하기를 중심으로

        송은정 ( Eunjeong Song ),제민경 ( Minkyeong Je ),차경미 ( Kyungmi Cha ),유준희 ( Junehee Yoo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2

        과학과 교육과정은 모든 독자가 집필자의 의도를 정확히 해석할 수 있도록 서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국어교육전공자의 해석을 살펴보고, 국어교육전공자와 과학교육전공자의 해석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를 분석함으로써, 교과 내용 전공자와 비전공자가 이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성취기준을 진술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국어교육전공자 3인은 `국어교육전공자의 과학과 성취기준 분석틀`을 이용했으며, 과학교육전공자 3인은 `TIMSS 인지적 영역 평가틀`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두 교과의 해석 차이가 나타나는 부분은 면담을 통해 그 이유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국어교육전공자와 과학교육전공자는 `설명`, `분석`, `정의`, `인과` 등의 용어에 대한 시각차를 가지고 있었다. 성취 기준이 포괄적 의미의 서술어로 진술된 경우 해석이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과학과 성취기준이 `설명할 수 있다`의 서술어를 자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어과의 해석에 따르면 이들 대부분이 설명하기의 하위항목보다 묘사하기의 하위 항목으로 분석되었다. 과학교육전공자는 부사어나 관형어 등으로 표현되는 과정적 지식을 강조하여 해석하는 반면 국어교육전공자는 목적어, 서술어 등 문장의 필수 요소에 강조점을 두어 해석하는 경우에 두 교과의 해석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한 과학교육전공자는 성취기준 문장에서 내용의 범위나 수준에 대한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은 경우 암묵적 지식을 기반으로 해석하였으나 국어교육전공자는 문장 구조에만 의존하여 표면적 의미를 해석하여 두 교과의 해석 차이가 발생했다. 교육과정에서 성취기준을 진술할 때 도달해야 할 목표 개념의 범위와 인지적 영역의 수준을 부사어 및 관형어를 포함한 행동 동사로 적확하게 기술하며, 국어교육전공자를 포함한 다양한 전공 영역의 전문가가 검토함으로써 집필자의 의도대로 해석되도록 문장 구조를 명료하게 진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성취기준이 나타내고자 하는 인지적 영역을 타 교과와 연계하여 분석하고 진술함으로써 교과 융합적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요구된다. The texts in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documents are expected to be interpreted in the same meaning as that of the authors. In this study, the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in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were examin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preta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and science education experts. Three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designed and utilized an analysis framework on science curriculum standards from their viewpoints while three science education experts utilized TIMSS cognitive domain framework to analyze the 2009 Korean revised scienc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he differences between interpretations of both group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rough interviews. First of all, the two groups seemed to have different meanings for terms such as “explain,” “analyze,” “define,” and “cause and effect.” The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described by general verbs like “explain” wer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The verb “explain” that appears many times in the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seem to be representing the “describe” subsections in the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 rather than the “explain” subsections of the framework of science education experts. Science education experts seemed to focus on prepositional phrases, which indicate inquiry process, while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seemed to focus on objective phrases. Moreover, the science education experts would interpret the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their background knowledge whil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would interpret them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sentences. This study suggests that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specifically indicate the levels and scopes of cognitive domain as well as the knowledge domain. Also, integration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cognitive domains of Korean language and science subjects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자기결정적 읽기 동기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박성석 ( Park Seongseog ),허모아 ( Heo Moah ),제민경 ( Je Minkyeong ) 한국독서학회 2021 독서연구 Vol.0 No.58

        기존 읽기 동기 척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자기결정성 이론에 입각하여 새로운 읽기 동기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자기결정성 이론의 제안에 따라 읽기 동기의 구인을 내적 조절, 통합된 조절, 동일시 조절, 주입된 조절, 외적 조절, 무조절의 여섯 가지로 설정하였다. 각 구인마다 6문항씩 총 36문항을 예비 문항으로 개발하고 두 명의 전문가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검토 받았다. 고등학생 467명의 응답 결과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동일시 조절을 제외한 다섯 가지 구인에서 총 22문항을 선별하였다. 새로 고등학생 429명을 표집하여 22문항에 응답하게 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형 적합도가 양호하고, 수렴 타당도와 변별 타당도가 양호하며, 다섯개 구인 간 상관행렬이 유사 심플렉스 패턴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5개 구인, 22문항을 자기결정적 읽기 동기 척도로 제안하였으며, 향후 척도 활용 시 검사 결과를 해석하고 피검자를 판별할 수 있는 준거를 마련하여 제시하였다.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ading motivation scales, we aim to develop new scale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and to demonstrate their validity. Following the suggestion of SDT, the following six constructs of reading motivation were set: intrinsic regulation, integrated regulation, identified regulation, introjected regulation, extrinsic regulation, and non-regulation. A total of 36 items, six for each construct, were developed as preliminary items and their content validity was examined by two experts. After analyzing the results of 467 high school students’ responses through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total of 22 items were selected from five constructs, excluding identified regulation. A new sample of 429 high school students was asked to respond to the 22 items, followed b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el fit was good, the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good, and the correlation matrix among the five constructs showed a quasi-simplex pattern. Consequently, five constructs and 22 items were proposed as the Self-Determinative Reading Motivation Scale, and criteria were suggested to interpret the test results and determine the subjects’ self-determination when using the scal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