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세기 라틴아메리카의 폭력과 평화

        차경미(Cha, Kyungmi) 국제언어문학회 2017 國際言語文學 Vol.- No.38

        탈 냉전 이후 국내갈등은 국제사회의 안보를 위협하는 주요 요인으로 등장하였다. 특히 세계 주요 폭력발생 국가인 콜롬비아의 경우 21세기 접어들어 더욱 확산된 무력분쟁으로 인해 다양한 사회적 갈등에 직면에 있다. 이러한 상황아래 지난 2016년 10월 콜롬비아 정부는 국내 최대 불법무장조직과 평화협정을 체결하며 무력분쟁종식을 선언 하였다. 그러나 콜롬비아의 평화협정은 또 다른 형태의 폭력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서 21세기 라틴아메리카의 폭력과 평화에 대한 논의는 그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 시점에 머물러있다. 폭력과 평화에 대한 연구는 폭력 해당지역 공동체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전제로 하지 않는다면 현상적 연구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 소수 백인 엘리트에 의한 독점과 배제에 기초한 사회적 불평의 결과로 나타나는 구조적 폭력 그리고 타인의 신체에 물리적 힘을 가하는 직접적 폭력 유발 원인은 라틴아메리카 사회의 특수한 문화적 요소에 대한 고찰 없이는 근본적인 논의를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우리는 라틴아메리카 지역 폭력 유발의 사회문화적 기원 및 배경에 대해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지난 2016년 반세기 이상 지속되어온 국내 무력폭력 종식을 선언하며 국내 최대 불법무장조직 FARC(Fuerzsa Armadas Revolucionario de Colombia:콜롬비아 무장혁명군)와 평화협정을 체결한 콜롬비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 폭력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수용되어왔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콜롬비아 불법무장조직에 의한 폭력전개 과정 및 폭력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폭력을 정당화하는 콜롬비아 사회의 특수한 문화적 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cultural violence that justifies the structural violence and direct violence in Latin America, based on a case of Columbia. Through this process, it will examine how violence is socially accepted in Latin America which is the major source of world violence. A research on violence without in-depth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culture of the relevant community is no better than a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 reason wh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cultural violence is that cultural elements play roles in justifying or legalizing violence. The structural violence of Latin American region based on the suppression and exploitation originated from the colonial experience by Spain was reproduced through diverse values and beliefs to strengthen the power of white elite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new country after independence. In the results, the gradual change of culture was caused for a long time, which was led to the solidification of cultural violence justifying violence. As a main source of violence in Latin America, Columbia has a history filled with violence between government troops and left/right-wing illegal armed groups for last 60 years. Violence was generated/spreaded in the process of reducing others" value based on self-superiority of white ruling class. The minority of elite-centered political system with the mobilization of violence legalized the political monopoly and exclusion. In the results, violence was used as a tool for self-defense and protection of rights. In this process, the cultural violence of Columbia was consolidated.

      • KCI등재

        강제실향민의 불평등 개선을 위한 라틴아메리카지역 국가의 공동대응: 카르타헤나 선언에서부터 브라질 행동강령까지

        차경미 ( Cha¸ Kyungmi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0 비교문화연구 Vol.59 No.-

        라틴아메리카 지역은 1970년대와 1980년대 중앙아메리카를 중심으로 확산된 내전으로 인해 강제실향민이 팽창했다. 이를 계기로 지역 국가 정상들은 1984년 콜롬비아에서 개최된 미주기구 정상회담을 통해 난민에 관한 카르타헤나에서 선언문(la Declaración de Cartagena sobre los Refugiados)을 채택하였다. 카르타헤나 선언문은 기존의 난민범위를 확대하여 내전 또는 대규모의 인권침해 피해자까지 난민으로 정의하였다. 이후 1994년 산호세 선언(la Declaración de San José) 그리고 2004년 멕시코 선언과 행동강령 (la Declaración y Plan de Acción de México)을 통해 지속적으로 양산되는 강제실향민의 인권보호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책과 협력강화를 모색하였다. 2000년 접어들어 강제실향민 문제는 심화되었고 이전과 다른 특징으로 전개되었다. 콜롬비아와 멕시코 및 중앙아메리카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된 마약테러, 과테말라와 온두라스의 보호자를 동반하지 않은 아동실향 그리고 베네수엘라의 정치와 경제적 위기로 강제실향민은 확대되었다. 브라질에서는 아마존 그리고 페루에서는 광산지역 개발을 둘러싸고 원주민의 실향이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아래 2014년 12월 카르타헤나 선언 30주년을 맞아 라틴아메리카 지역 정상들은 카르타헤나 선언문 이행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강제실향민의 인권보호 및 불평등 완화를 위한 새로운 방안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영구적인 난민감소를 위해 향후 10년간 지역차원에서 공동으로 추진할 브라질 행동 강령(Plan de Acción de Brazil: PAB)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는 카르타헤나 선언을 시작으로 브라질 행동강령까지 지난 30년간 그 어느 대륙보다도 강제실향민의 인권과 불평등완화를 위해 지속적인 방안을 마련해온 라틴아메리카 지역국가의 공동 노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그동안 논의된 난민 및 강제실향민에 관한 주요 쟁점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항구적인 난민문제 해결을 위한 라틴아메리카지역 국가의 공동대응 방안을 살펴본다. The civil war, which spread across Central America in the 1970s and 1980s, led to the expansion of forced displaced persons, so Latin America faced various problems. And so, the local countries adopted the Declaration at the Summit of the Organization of American States held in Cartagena, the Caribbean coastal city in Colombia. The Cartagena Declaration extended the range of existing refugees and defined even victims from civil wars or massive human rights violations as refugees. After this, the Latin American local government established the San Jose Declaration in 1994 and the Mexico Declaration and Plan de Acción in 2004 to establish policy efforts for the continuously growing forced displaced persons. In Latin America, the forced displaced people were growing constantly due to armed conflict over drug terrorism, economic and political crises, and conflict over the development of mines and the Amazon since 2000. The forced displaced people were mainly from the area of indigenous people and African-ethnic groups. In considering this, the issue of forced displacement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inequality in the Latin American society in which various conditions overlapped. On the occasion of the 30th anniversary of the Cartagena Declaration in December 2014, the governments of 31 countries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discussed the cooperation schemes regarding the refugees and forced displaced persons with an assessment of the Declaration’s implementation. And they adopted the Plan de Acción de Brazil for the next decade under the goal of mitigating stateless persons. This study examined the efforts and future tasks of the Latin American local government to improve the inequality of forced displaced people based on the building process of the Plan de Acción de Brazil from the Cartagena Declaration.

      • KCI등재

        국어 어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어휘 문식 환경에 대한 연구

        차경미 ( Cha Kyungmi ),이기연 ( Yi Kiyoun ),신명선 ( Shin Myungsun ) 국어교육학회 2021 國語敎育學硏究 Vol.56 No.3

        어휘 문식 환경이란 ‘어휘 능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 문식 환경’으로서, 이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어휘 능력과 어휘 문식 환경과의 관계를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인과적으로 밝힌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국어 어휘력 검사지와 어휘 문식 환경 조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전국 24개 중학교 약 2,000명 학습자를 표본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어휘 학습 적극성, 부모의 학력, 읽기를 즐김, 어휘 능력에 대한 태도’는 학습자의 어휘 점수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자가 ‘학교의 어휘 교수학습 상황’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어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남녀 집단 간 분석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의 구조 방정식 경로계수의 차이는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어휘 능력에 대한 태도’는 여학생 집단에서 그 영향력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그동안 이론적, 경험적 차원으로만 이루어졌던 어휘 능력의 변인에 대한 연구를 통계적, 실증적 방법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의를 가진다. The lexical literacy environment refers to the ‘language literacy environment that affects the development of lexical competence’. This study causally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lexical competence and lexical literacy environment through SEM analysis. About 2,000 learners(third year) from 24 middle schools across the country were analyzed as a sampl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vocabulary learning activeness, parents’ academic background, enjoyment of reading, attitude toward lexical compet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vocabulary scores, and the more negative the learners perceived the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at school’, the higher the vocabulary sco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etween the male and female group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ructural equation path coefficients was mostly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attitude toward lexical competence’ had a much greater effect in the female group.

      • KCI등재

        국어 사고도구어 능력과 교과서 읽기 능력의관계에 대한 연구

        신명선 ( Shin Myungsun ),차경미 ( Cha Kyungmi ),이기연 ( Yi Kiyoun ) 국어교육학회 2020 國語敎育學硏究 Vol.55 No.4

        본고는 중학교 3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국어 사고도구어 능력’과 ‘교과서 텍스트 읽기 능력’의 관계를 탐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사고도구어 검사지를 개발하여 학습자의 사고도구어 능력을 양적으로 평가하였으며 하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들의 교과서 읽기 능력 정도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중학교 3학년 국어, 사회, 과학 교과서를 말뭉치화한 후 기초어휘와 사고도구어의 비율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기초어휘는 개별 어휘 비율로는 전체의 6.54%밖에 되지 않지만, 교과서 전체 어휘의 41%를, 사고도구어는 개별 어휘 비율이 7.3%밖에 되지 않지만 전체의 20%를 커버하였다. 사고도구어 검사 결과 학습자의 평균 점수는 16.97점(25점 만점)으로 나타나 평균 점수가 만점의 70%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사고도구어는 중학교 3학년 교과서에서 20% 정도의 텍스트 점유율을 보였다. 학습자들의 사고도구어 능력을 임계치 이론(Threshold Hypothesis)으로 해석한 결과, 사고도구어 능력은 교과서 읽기 여부를 결정하는 핵심 능력이었다. 사고도구어 능력이 하(下)에 속하는 학습자들은 사고도구어에 주목하여 교과서를 읽지 않아 교과서의 내용을 섬세하게 이해하는 데 실패하고 있었다. This paper developed academic vocabulary test to quantitatively evaluate learners’ academic vocabulary ability, and qualitatively analyzed learners’ reading ability. First, textbook for 3rd grade middle school were made into a corpus, and the ratio of basic vocabulary and academic vocabulary. As a result, basic vocabulary accounts for only 6.54% of the total individual vocabulary, but covered 41% of the textbook. Academic vocabulary only account for 7.3% of the total individual vocabulary, but covered 20% of the textbook. As a result of the academic vocabulary test, the average score of learners was 16.97 points, and the average score did not reach 70% of the perfect score. Academic vocabulary showed a 20% coverage of textbooks. As a result of interpreting the learners’ academic vocabulary ability as Threshold Hypothesis, the academic vocabulary ability was the core ability to decide whether to read textbooks. Learners whose academic vocabulary ability are lower can not read the textbook by paying attention to academic vocabulary, failing to understand the details of the textbook.

      • KCI등재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인지적 영역에 대한 국어교육전공자와 과학교육전공자의 해석 차이:설명하기를 중심으로

        송은정 ( Eunjeong Song ),제민경 ( Minkyeong Je ),차경미 ( Kyungmi Cha ),유준희 ( Junehee Yoo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2

        과학과 교육과정은 모든 독자가 집필자의 의도를 정확히 해석할 수 있도록 서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국어교육전공자의 해석을 살펴보고, 국어교육전공자와 과학교육전공자의 해석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를 분석함으로써, 교과 내용 전공자와 비전공자가 이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성취기준을 진술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국어교육전공자 3인은 `국어교육전공자의 과학과 성취기준 분석틀`을 이용했으며, 과학교육전공자 3인은 `TIMSS 인지적 영역 평가틀`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두 교과의 해석 차이가 나타나는 부분은 면담을 통해 그 이유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국어교육전공자와 과학교육전공자는 `설명`, `분석`, `정의`, `인과` 등의 용어에 대한 시각차를 가지고 있었다. 성취 기준이 포괄적 의미의 서술어로 진술된 경우 해석이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과학과 성취기준이 `설명할 수 있다`의 서술어를 자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어과의 해석에 따르면 이들 대부분이 설명하기의 하위항목보다 묘사하기의 하위 항목으로 분석되었다. 과학교육전공자는 부사어나 관형어 등으로 표현되는 과정적 지식을 강조하여 해석하는 반면 국어교육전공자는 목적어, 서술어 등 문장의 필수 요소에 강조점을 두어 해석하는 경우에 두 교과의 해석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한 과학교육전공자는 성취기준 문장에서 내용의 범위나 수준에 대한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은 경우 암묵적 지식을 기반으로 해석하였으나 국어교육전공자는 문장 구조에만 의존하여 표면적 의미를 해석하여 두 교과의 해석 차이가 발생했다. 교육과정에서 성취기준을 진술할 때 도달해야 할 목표 개념의 범위와 인지적 영역의 수준을 부사어 및 관형어를 포함한 행동 동사로 적확하게 기술하며, 국어교육전공자를 포함한 다양한 전공 영역의 전문가가 검토함으로써 집필자의 의도대로 해석되도록 문장 구조를 명료하게 진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성취기준이 나타내고자 하는 인지적 영역을 타 교과와 연계하여 분석하고 진술함으로써 교과 융합적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요구된다. The texts in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documents are expected to be interpreted in the same meaning as that of the authors. In this study, the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in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were examin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preta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and science education experts. Three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designed and utilized an analysis framework on science curriculum standards from their viewpoints while three science education experts utilized TIMSS cognitive domain framework to analyze the 2009 Korean revised scienc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he differences between interpretations of both group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rough interviews. First of all, the two groups seemed to have different meanings for terms such as “explain,” “analyze,” “define,” and “cause and effect.” The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described by general verbs like “explain” wer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The verb “explain” that appears many times in the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seem to be representing the “describe” subsections in the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 rather than the “explain” subsections of the framework of science education experts. Science education experts seemed to focus on prepositional phrases, which indicate inquiry process, while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seemed to focus on objective phrases. Moreover, the science education experts would interpret the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their background knowledge whil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would interpret them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sentences. This study suggests that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specifically indicate the levels and scopes of cognitive domain as well as the knowledge domain. Also, integration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cognitive domains of Korean language and science subjects should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