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 여성노인의 신체수행력, 근력, 균형능력 향상을 위한 창작무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정희정 ( Hee-joung Joung ),김수경 ( Sookyung Kim ),김영신 ( Young Sin Kim ),노웅래 ( Woong-rae Rho ),이용호 ( Youngho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농촌 여성노인의 신체수행력, 근력, 균형능력 향상을 위한 창작무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스트레칭 그룹을 비교군으로 설정한 통제집단 전후비교 연구로 설계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만 65세 이상 순창지역에 거주하는 농촌 여성노인 99명으로 창작무용그룹 49명, 스트레칭 그룹 50명으로 편의표집(convenient sampling)하였다. 창작무용 프로그램은 중재 매핑모델(intervention mapping model)을 기반으로 개발되었고, 창작무용과 스트레칭 프로그램은 1회 90분, 주2회, 8주 동안 총 16회 실시하였다. 신체수행력은 간단신체수행력 검사(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SPPB)로 측정하였고, 상지근력은 악력으로, 하지근력은 등척성 하지근력기로 측정하였다. 균형은 족저압 분석장비 Gaitview를 사용하여 30초 동안 기립상태에서 압력중심점(Center of Mass; CoP) 이동 면적을 측정하였다. 측정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집단 간 프로그램 효과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석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였집단별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 차 검증을 위해 대응표본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신체수행력에서는 균형능력과 총점에서 창작무용 그룹이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시점에 따른 그룹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악력과 등척성 하지근력에서는 창작무용 그룹이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시점에 따른 그룹 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CoP 이동 면적에서는 창작무용, 스트레칭 그룹 모두 사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시점에 따른 그룹 간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수행력, 근력, 균형능력은 스트레칭 그룹 보다 창작무용 그룹에서 더 향상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창작무용 프로그램은 농촌노인들의 신체적 건강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새로운 활동이 될 수 있다고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노인들의 신체 기능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활동으로 창작무용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e investigation was to develop creative dance program and examine the effect on physical performance, strength and balance. For this purpose, the study was designed as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in which the stretching group was set as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nts were 99 elderly rural women, aged 65 years and over, living in Sunchang area, and were recruited separately as creative dance group(N=49) and stretching group(N=50) by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Creative danc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intervention mapping model. Each program that creative dance group(CDG) and stretching group(SG) participated in is consist of 16 sessions(8 weeks, with a frequency of 2 times/week for 90 minutes per session). Physical performance was measured by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SPPB), upper-extremity strength was measured by grip strength and lower-extremity strength was measured by isometric knee extension. Balance ability was determined as the mean surface area of Center of Mass(CoP) of 30 seconds stance state, and this was measured by using Gaitview.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18.0.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program by group and paired t-test was additionally conducted to examine pre-post mean score difference within group.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n balance and total score of SPPB in CDG, and significant group × time interaction. Second, grip strength and lower-extremity strength were enhanced significantly in CDG, and significant group × time interaction. Third, the mean surface area of CoP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CDG and SG, and significant group × time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shown in the study, physical performance, strength and balance were improved more on CDG than SG. To conclude, creative dance program is expected as a new approach to improve physical health of rural elders. Thus, this study suggests creative dance program as health promotion activity to enhance physical function for rural elderly people.

      • KCI등재

        한국무용이 노인의 체력 및 운동수행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정희정 ( Hee Joung Joung ),한범석 ( Byumsuk Han ) 한국무용과학회 202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무용이 노인들의 체력 및 운동수행력에 미치는 효과성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AMSTAR 11가지 기준을 토대로 2000년 1월부터 2021년 1월까지 국내에 보고된 연구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21편 선행연구를 Comprehensive Meta-Analysis(CMA) version 3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노인 570명을 대상으로 전체효과크기, 평균연령, 프로그램 시간, 빈도, 총 회차수,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순발력, 협응력, 평형성, 유연성, 보행속도, 신체수행력을 변인으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고 출판편향과 진단검사를 통해 내적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전체효과크기는 중간 효과크기(0.627)가 나타났고, 한국무용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집단이 비 참여집단에 비해 24.8%이상 체력 및 운동수행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연령은 75~79세(1.169, 37.7%), 시간은 60분(0.754, 27.3%), 빈도는 주당 3회, 총 36회(0.847, 29.9%)가 다른 변인에 비해 더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건강체력에서는 상지유연성(1.347, 40.9%)이, 운동체력에서는 정적균형(눈뜨고)(0.864, 30.5%)이, 운동수행력에서는 신체수행력(1.054, 35.3%)이 다른 변인에 비해 더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무용이 노인의 체력 및 운동수행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고, 하위변인별 효과크기 및 프로그램 실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노인을 위한 한국무용 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Korean Dance program for improving Physical Fitness in the Elderly. 21 studies based on 11 criteria of AMSTAR were analyzed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version 3 among the studies reported in Korea by January 2021. For 570 elderly people, overall effect size, age, program time, frequency, total number of rounds, strength, muscular endurance, cardiopulmonary endurance, flexibility, BMI, power, balance, coordination, walking speed, physical performance were determined through publication bias and diagnostic tes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verall effect size was medium (0.627), and the elderly group participating in the Korean Dance program was more than 24.8% more effective in Physical Fitness than the non-participating group. Age 75-79 (1.169, 37.7%), 60minutes (0.754, 27.3%), 3times per week (0.847, 29.9%), upper limb flexibility (1.347, 40.9%), static balance (0.864, 30.5%), physical performance (1.054, 35.3%) was more effective than other variables in each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Korean dance is an effective mediation program to improve the physical strength and athletic performance of the elderly, and provided the effect size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 for each variable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Therefore, our findings suggest considering Korean Dance Program to improve physical fitness as a basic strategies for the elderly.

      • KCI우수등재

        창작무용 프로그램이 성인 근긴장이상형 뇌성마비 장애인의 보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정희정 ( Hee Joung Joung ),박문석 ( Moon Seok Park )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창작무용 프로그램이 성인 근긴장이상형 뇌성마비 장애인의 보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단일 집단 사전-사후 비교 연구(A single cohort pre-and post- test comparative study)로 설계되었다. 연구참가자는 독립보행이 가능한 사람 8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프로그램은 중재 매핑 모델(intervention mapping model)을 바탕으로 개발되었고, 신체 자각, 공간 지각, 힘 지각 활동을 중심으로 자신만의 고유한 움직임을 창작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프로그램은 1회 120분, 주2회, 12주 동안 총 24회 실시하였다. 보행기능은 대학 병원 보행 분석 실험실에서 사전, 사후 각각 1회씩 실시하였다. 측정 변인은 선형 보행 변인(linear gait parameter)과 운동 형상학적 변인(kinematic gait parameter)이다. 통계적 분석은 중재 전ㆍ후 보행기능 차이를 Wilcoxon signed rank-sum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p<0.05). 분석 결과 보속(p=0.025)과 활보장(p=0.036)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고관절 굴곡 범위(p=0.028), 고관절 회전 범위(p=0.012)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입각기에서 최대 족저굴곡 각도(p=0.043)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창작무용 프로그램은 성인 근긴장형 뇌성마비 장애인의 보행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활동이 될 수 있다고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reative dance program(CD) on gait performance in people with cerebral palsy(CP). Participants were 8 people with dystonic CP who can walk independently. The CD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intervention mapping model. CD was provided in 2-hour classes, twice weekly, for 12 weeks, during which participants learned movement concepts and developed their own movement. Gait performance was measured in Gait Analysis Laboratory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Outcome measures included the linear and kinematic gait parameters. Non-parametric tests, using the Wilcoxon singled-rank test for pairwise comparisons, were performed to evaluate pre- and post-intervention changes in the linear and kinematic gait parameters. As a result, walking speed(p=0.025), stride length(p=0.036), hip flexion range(p=0.028), hip rotation range(p=0.012)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Peak dorsiflexion in stance(p=0.043)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o conclude, CD is expected as a new approach to improve gait performance for people with CP.

      • KCI등재

        창작무용이 노인 지체장애인의 신체수행력, 균형,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

        정희정 ( Hee-joung Joung ),이용호 ( Yong-ho Lee ),김동민 ( Dong-min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노인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창작무용을 실시하여 신체수행력, 균형,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단일 집단 사전-사후 비교 연구로 설계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편의표집(convenient sampling)하여 65세 이상 A지역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 지체장애인 25명이다. 창작무용 프로그램은 1회 90분, 주2회, 12주 동안 총 24회 실시하였다. 신체수행력은 간단신체수행력 검사(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SPPB)로 측정하였고, 균형은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BBS)로, 이동성은 Timed Up and Go(TUG)로 측정하였다. 측정 자료는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 차 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신체수행력에서는 총점, 보행속도, 하지근력이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균형에서는 총점이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동성에서는 이동시간이 사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창작무용 참여 후 노인 지체장애인의 신체수행력, 균형, 이동성은 향상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창작무용 프로그램은 노인 지체장애인의 건강 이중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신체 활동이 될 수 있다고 기대된다.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n physical performance, balance and mobility by the creative dance for the elderly with physical disability. The study was designed as a single group pre-post-comparative study.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25 women aged 65 years and older, who have physical disability. The creative dance program was conducted for 90 minutes, twice a week, and a total of 24 times during 12 weeks. Physical performance was measured by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SPPB), balance was measured by the BBS (Berg Balance Scale), and mobility was measured by Timed Up and Go (TUG). For the measurement data,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was performed for verifying the mean difference in the pre-post examina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otal points, walking speed and lower leg strength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death in body performance, total point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death in balance, and movement tim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wards in mobility. Thus, the physical performance, balance and mobility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improved after participating in creative d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creative dance programs can be a new physical activity that can prevent and manage the double health difficulty of the elderly with physical disability in advance.

      • KCI우수등재

        한국무용의 3단 디딤보행과 일반보행의 운동역학적 비교 분석

        정희정 ( Hee Joung Joung ),김기태 ( Kitea Kim )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5

        굴신과 3단 디딤을 동반한 3단 디딤보행은 노인들의 하지 기능 향상에 미치는 주요인 중 하나로 거론되지만 3단 디딤보행의 운동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무용 3단 디딤보행과 일반보행의 운동학적 특징을 비교하여 3단 디딤보행의 운동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참가자는 한국무용 경력 10년 이상의 전공 대학생 7명이다. 3단디딤보행과 일반보행의 운동학적, 운동역학적 특징을 비교하기 위해 3D 동작분석, 지면 반력, 근전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보행속도 차를 통제하기 위해 연구참가자들은 일반 속도(80 beat/s), 빠른 속도(95 beat/s)에 맞추어 3단 디딤보행과 일반보행을 수행하였다. 보행형태별 속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3단 디딤보행은 일반보행보다 족관절에서 증가한 관절가동범위를 보였고, 속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둘째, 3단 디딤보행은 일반보행보다 외측광근, 전경골근, 대퇴이두근, 가자미근이 더 활성화되었다. 대퇴이두근은 일반속도 3단 디딤보행에서 더 활성화되었다. 셋째, 3단 디딤보행은 일반보행 보다 고관절·슬관절 압박력과 족관절 전단력에서 더 높은 힘값을 보였고, 슬관절 전단력에서는 더 낮은 힘 값을 보였다. 속도는 하지 관절의 압박력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전단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3단 디딤보행은 일반보행보다 슬관절 신전과 고관절 외전에서 증가한 토크를 보였고, 족관절 저측굴곡에서는 일반보행의 토크가 더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한국무용의 3단 디딤보행은 일반보행 보다 관절가동범위와 하지 근력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무용을 실시할 때는 하지 관절에 부하되는 힘을 고려하여 한국무용 수행 시 하지관절의 압박력과 전단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stage didim(DG) gait including gul-sin and 3 stage didim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ain factors in improving the physical function of the elderly. However, studies that quantitatively analyze the exercsie effect of 3 stage gait are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kinematic differences of DG and the normal gait(NG) to analyze the exercise effect of DG. The participants were 7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dance with more than 10 years Korean dance experience.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performed 3D Motion Analysis, Ground reaction force, and EMG analysis and participants walked at 80 beat/s as normal speed and 95 beat/s as fast speed for control gait speed.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As a result, DG showed increased ROM in the ankle than NG, and showed a difference in speed. DG showed higher EMG activities in rectus femoris, vastus lateralis, biceps femoris, tibialis anterior, and soleus than NG. DG showed increased compression force in hip and knee joint and shearing force in ankle joint and decreased shearing force in knee joint. DG showed increased torque in hip extension and hip abduction than NG. In conclusion, DG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ROM and lower limbs strength than NG. However, when performeing Korean dance for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force on the lower limb joint.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지속적 체육활동 참여 과정 탐색 : 발달장애인 부모 포커스인터뷰를 중심으로

        정희정 ( Hee-joung Joung ),김동민 ( Dong-min Kim ),조가람 ( Ga-ram Jo ),이용호 ( Yong-ho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6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4 No.4

        2014년 발달장애인 지원 및 권리보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각계의 발달장애인 활동지원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생애주기에 따른 지속적 서비스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기존의 단기적 서비스 한계를 극복해 나가고 있다. 특수체육학계에서도 발달장애인 전 생애에 걸쳐 지속적인 체육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들의 지속적인 체육 활동 참여 촉진을 위해 체육 활동이 지속되는 과정과 조건을 분석하고 향후 발달장애학생들의 지속적 체육 활동 참여 활성화 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부모 23명(자녀나이: 8세~24세)을 대상으로 나이에 따라 3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2개의 주제, 5개의 범주, 13개의 하위범주와 1개의 발달장애인의 체육 활동 참여 흐름 도식을 도출하였다. 체육 활동이 지속되는 과정은 부모의 다양한 노력과 시행착오로 시작하여 체육 활동의 효과를 체험하게 되고, 발달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사회· 심리적 욕구들이 충족되는 경험을 하면서 체육 활동이 지속된다. 이 과정을 겪으면서 체육 활동 참여는 교육 및 여가 활동 등 도구적 가치에서 참여 그 자체로 자신의 존재감을 확인할 수 있는 본질적 가치로 변화된다. 또한, 발달과정에 맞는 체육 프로그램, 심성적 자질을 갖춘 교사, 부모와 교사간의 협력관계는 이러한 참여과정과 역동적 상호작용을 일으켜 학생들이 체육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활성화 방안 구축을 위한 시사점은 조기 체육을 시작할 수 있는 체계적 시스템 구축, 발달과업에 따른 체육 활동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성인기 발달장애인이 참여할 수 있는 체육동호회 확립, 심성적 성숙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이다. With the enactment of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Rights and Suppor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2014, efforts to support the right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de in various relevant disciplines. Particularly, they emphasized consistent participation in services which in many cases have resulted in lack of adherence to participation. This also is the case in the field of adapted physical activity(APA) that continuous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mo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of concern. Thus, the current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process and contexts to facilitate continuous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mo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provide meaningful suggestions for the service providers and policy makers. Participants were 23 parent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between 8-24. Focus group interview was performed in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age of their children. At the conclusion of data analysis, 2 themes, 5 categories, 13 sub-categories, and 1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flow model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merged. For future implications, there is a need to: construct systematic system for early physical activity, develop developmental appropriate physical activity programme guidelines, establish physical activity club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ovide teacher training programme for humane-maturation.

      • KCI등재

        영산강·섬진강 수계 효율적 물관리를 위한 유역관리 시스템 구축

        정희정 ( Hee Joung Joung ),재운 ( Jae Woon Jung ),김갑순 ( Kap Soon Kim ),박하나 ( Ha Na Park ),임병진 ( Byung Jin Lim ),허유 ( Yu Jeong Huh ),이준배 ( Jun Bae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12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1 No.2

        BACKGROUND: Recently, the project for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d preservation of the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 was actively promoted. However, the publicity for many results of the project is not actively done, thus they are rarely used. Furthermore, there are not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projects preformed by other research institutions, Therefore, the watershed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 water management is needed in the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 CONCLUSION: Firstly, establishment of the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 management research center, Secondly, construciton of wed-based water management research network. These results will serve as a basic data for efficient water management.

      • KCI우수등재

        무용 프로그램이 중·노년 여성의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정희정 ( Hee Joung Joung ),노정식 ( Jung Sik Roh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사용하여 무용 프로그램이 중·노년 여성의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2000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 국내에 발표된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총 1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 3.0을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변인은 혈중지질 변인 중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중성지방(triglyceride: TG),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무용 프로그램이 중·노년 여성의 혈중지질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는 0.743으로 중간 정도의 효과를 보였다. 둘째, 혈중지질의 하위분석 결과 LDL-C(0.894), TC(0.783), HDL-C(0.704), TG(0.696) 순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에 따른 효과크기에서는 70대(0.91)는 큰 정도의, 50대(0.667)와 60대(0.607)는 중간 정도의 효과를 보였다. 넷째, 프로그램 시행 변인에서 무용 프로그램 유형은 발레(0.928)에서 큰 정도의, 한국무용(0.715)과 생활무용(0.43)에서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프로그램 시행은 1회기 진행 시간은 40분 이상 60분 이하, 주당 회기 수는 주 3회, 지속 기간은 12-24주, 총회기 수는 총 24-36회로 실시하는 것이 중·노년 여성의 혈중지질을 개선에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무용 프로그램은 중·노년 여성의 혈중지질 개선에 효과적인 활동이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하위변인과 무용 프로그램 수행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추후 관련 연구와 중·노년 여성을 대상으로 한 무용 프로그램 현장 적용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ance intervention on variables of blood lipid in middle-aged women and elderly women using the meta-analysis. 15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among the studies published in Korea from January 2000 to June 2021 by using the CMA 3.0 program. The outcome cluster included total cholesterol(TC), triglyceride(TG),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C),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LDL-C). Effect size was calculated using Standardized mean difference(SMD).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dance program on blood lipid was medium(0.743). Second, as a result of the sub-group analysis, it was found that LDL-C(0.897) was the largest effect, TC(0.783), HDL-C(0.704), TG(0.696). Third, as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age, the 70s(0.91)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the 50s(0.667) and the 60s(0.607) the medium. Forth, as variables on a intervention implement, Ballet(0.928)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and Korean dance(0.715) and other dance type(0.43) a medium effect size. More than 40 to less 60 minutes per a class, three times per a week, 12-24 weeks for the duration, and over 24-35 times for the total frequency has been effective for improving blood lipid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on the dance intervention to implement for the improvement of blood lipid in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