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NU/CME CGCM을 이용한 엘니뇨/라니냐 장기 예측성 연구

        정혜인,안중배,Jeong, Hye-In,Ahn, Joong-Bae 한국해양학회 2007 바다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개발된 PNU/CME 접합대순환 모형(CGCM)을 이용하여 적도 태평양에서의 엘니뇨 및 라니냐 현상에 대한 장기 예측성을 해수면온도 상관관계와 숙련도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PNU/CME CGCM을 활용한 전구규모의 기후 예측을 위하여 1979년부터 2004년까지 매해 1월, 4월, 7월, 10월초를 초기조건으로 하여 12개월 후보 적분을 수행했다(각 적분은 APR RUN, JUL RUN, OCT RUN, JAN RUN 이라 명명한다). 또한 각 12개월 후보 적분은 5개의 앙상블로 구성되었다. 4계절로부터 출발한 모든 적분에서 12개월의 리드가 지난 이후에도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이 적도 태평양에서 유지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사용된 모형의 적도 해수면온도 아노말리 예측성은 6개월의 리드까지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엘니뇨와 라니냐에 대한 예측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Hit rate와 False alarm rate 등의 다양한 숙련도를 구해본 결과, PNU/CME CGCM은 적도 태평양 지역에서의 온난 아노말리와 한랭 아노말리를 예측하는데 있어서는 좋은 예측성을 보였다. 그러나 보통 상태에 대한 예측성은 상대적으로 다소 낮았다. 또한 본 연구에 사용한 모형 결과를 DEMETER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다른 접합대순환 모형들의 예측성과도 비교해 보았을 때, 본 연구에 사용한 모형은 DEMETER 사업에 참여한 모형들에 견줄 수 있는 장기 예측 능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Nino3.4 지역의 해수면온도 아노말리를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서 살펴볼 때 PNU/CME CGCM은 엘니뇨 및 라니냐 해에 대해서는 6개월까지는 높은 예측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최장 12개월 정도의 장기 예측 능력이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In this study, the long-term predictability of El Nino and La Nina events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Coupled General Circulation Model(PNU/CME CGCM) developed from a Research and Development Grant funded by Korea Meteorology Administration(KMA)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 between the model and observation and skill scores at the tropical Pacific. For the purpose, long-term global climate was hindcasted using PNU/CME CGCM for 12 months starting from April, July, October and January(APR RUN, JUL RUN, OCT RUN and JAN RUN, respectively) of each and every years between 1979 and 2004. Each 12-month hindcast consisted of 5 ensemble members.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as maintained throughout the 12-month lead hindcasts at the equatorial Pacific for the four RUNs starting at different months. It is found that the predictability of our CGCM in forecasting equatorial SST anomalies is more pronounced within 6-month of lead time, in particular. For the assessment of model capability in predicting El Nino and La Nina, various skill scores such as Hit rates and False Alarm rate a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PNU/CME CGCM has a good predictability in forecasting warm and cold events, in spite of relatively poor capability in predicting normal state of equatorial Pacific. The predictability of our CGCM was also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CGCMs participating DEMETER project. The comparative analysis also illustrated that our CGCM has reasonable long-term predictability comparable to the DEMETER participating CGCMs. As a conclusion, PNU/CME CGCM can predict El Nino and La Nina events at least 12 months ahead in terms of NIino 3.4 SST anomaly, showing much better predictability within 6-month of leading time.

      • KCI등재

        갱년기 여성을 위한 한의약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정혜인,김경한,Jeong, Hye In,Kim, Kyeong Han 대한예방한의학회 2020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24 No.1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ment of public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menopausal women us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Method : 4 domestic data bases were used to derive TKM intervention that could improve women's menopausal symptoms. Based on this, the program was organized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s from the academic community. Results : Program was composed of 3 categories, lecture, therapy and practical exercise. The lecture was made with 'Understanding of menopause', 'Understanding of meditation', and 'Dietary therapy on menopause'. In therapy, 少府(HT8), 合谷(LI4), 內關(PC6), 三陰交(SP6) and 加味逍遙散(Gamisoyo-san) were chosen by expert discussion. Meditation, aromatherapy, walking and palate test were selected for practical exercise. Conclusion : Programs could be used to improve women's health in menopause.

      • 아토피피부염 예방 및 관리법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정혜인(Hye-In Jeong),김경한(Kyeong-Han Kim),오용택(Yong-Taek Oh),조용호(Yong-Ho Cho),김홍준(Hong-Jun Kim) 임상약침학회 2019 대한면역약침학회지 Vol.7 No.1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he literature review on prevention and management with Atopic dermatitis. Method : By using a domestic and foreign database, this study found eligible research to study. Total 56 d were included. Results : By analyzing studies, there are several guidelines mentioned frequently. Do not eat an allergic food but vegetable and fruit. Apply a moisturizer periodically. Take a warm bath but do not use irritant cleansers like soap. Do not contact with tough fabric. Keep temperature and moisture appropriate and eliminate allergens. Stress should be managed well.Exercise is recommended if it does not make you sweat. Conclusion : There are many but unproven guidelines. To prove the guidelines, additional research is essential.

      • KCI등재

        강의평가 결과로 본 ‘추천하고 싶은 강의’의 특징

        정혜인(Hye In Jeong),김진영(Jin Young Kim)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3 지식과 교양 Vol.-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강의평가 결과를 토대로 ‘추천하고 싶은 강의’의 특징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대학에서 10학기 동안 강의평가를 실시한 강좌 중 14,879개 강좌의 강의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추천하고 싶은 강의 즉, ‘강의 추천 의사’를 예측하는 설명력이 가장 큰 변인은 ‘중간 강의평가 이후 강의 개선’이었다. 강의평가 집단별 강의 추천 의사를 예측하는 변인을 보면. 상위집단은 ‘해당 분야에 대한 이해도 증진’, 하위집단은 ‘중간 강의평가 이후 강의 개선’이 설명력이 가장 큰 변인이었다. 강의 성실성은 상·하위집단 모두에서 설명력이 가장 낮은 변인이었다. 강의평가 상·하위집단의 문항별 비교에서 집단 간에 점수 차이가 가장 큰 변인이 강의 추천 의사였으며, 강의평가 하위집단의 경우 이 문항의 평균 점수가 가장 낮았다. 강의평가 평균 점수가 높은 강좌일수록 강의 추천 의사가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형성적 평가로서 ‘강의 중간 평가’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강의평가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ty the factors related to a course becoming a ‘recommended course’ based on course evaluation results.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in the form of 14,879 course evaluations spanning 10 semesters from A University. The variable with the greatest explanatory power to predict the willingness to recommend a course was ‘Course improvement since the midterm course evaluation’. The predictors of willingness to recommend a course were analyzed by course evaluation group.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was found for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 field’ for the upper group and ‘Course improvement since midterm course evaluation’ for the lower group. Teaching sincerity was the least explanatory variable in both the upper and lower groups. The variable with the largest difference in scores between the groups was willingness to ‘recommended the course’, with the lowest mean score in the lower group. This shows that courses with higher mean scores are more likely to be recommended. This study confi rms the need for midterm course evaluation as a formative assessment and suggests the need for research on course evalu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 KCI등재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nd Experiences in Science Education

        Jeong, Hye In(정혜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과학교육에 대한 신념과 학습 경험에 대하여 알아본 질적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의 과학 학습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들의 과학 학습 경험은 그들의 과학교육에 대한 신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하여 미국 텍사스 주의 공립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4명의 교사들로부터 심층면접, 과학 수업 관찰, 수업 관련 자료 수집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드러난 결과에 의하면 유치원 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신념과 그들의 과학 학습 경험은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4명의 교사 모두 부정적인 과학 학습 경험을 가지고 있었으며 대부분 잘 기억하지 못하는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부정적인 과학 학습 경험에도 불구하고 모든 교사들이 유아 과학 교육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었으며, 이는 자신들의 부정적인 과학 학습 경험과는 반대로 자신의 학생들에게는 즐거운 경험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하는 신념을 보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교사들은 과학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유아의 흥미라는 신념을 가졌으며 이러한 신념을 실제 과학 활동에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science education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y. This research addresses these topics by exploring two key questions: First, what are a sample of kindergarten teachers’ learning experiences as students? Second, how do these kindergarten teachers’ learning experiences affect their beliefs toward teaching science? The qualitative data for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in two phases. The first phase had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four kindergarten teachers from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Texas, US. The second one included observations of the science lessons. Based on the data, this study fou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beliefs 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science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participant teachers’ personal learning history and their past schooling experiences along with more recent experiences influence their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For instance, the participant teachers recalled their negative experiences with traditional school science lectures and their desire to teach differently in their science lesson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이해,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다문화감수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혜인(Jeong, Hye In),김진영(Kim, Ji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이해,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최종 연구대상은 예비 유아교사 240명이었으며, 2주 동안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예비유아교 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이해는 모경환과 황혜원(2007)의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으로 측정하였으며, 다문화 감수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Chen과 Starosta(2000)가 개발하고 김옥순(2008)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최충옥과 모경환(2007)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이해,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서로 유의미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교육이해와 다문화 감수성은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감수성은 다문화 교육의 이해와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문화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다문화 감수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내었으며, 이는 예비 교사 및 교사들의 다문화 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sample for this study comes from 240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private university in South Korea. The data for this research was obtained through a surve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significantly influence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Secon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rual sensitivity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betwee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Such results address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as an educational intervention.

      • KCI등재

        조직구성원들의 정보보안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혜인(Jeong hye in),김성준(Kim seong jun) 한국경호경비학회 2018 시큐리티연구 Vol.- No.56

        최근 조직 구성원의 보안행동은 기업 차원의 정보보안에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정보유출 및 정보보안에 대한 연구는 보안 위협에 대한 개인행동이나 보안 기술을 사용하는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구성원들이 정보보안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계획된 행동이론과 보호동기이론의 통합을 중심으로 주요 변수들을 적용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기업에서 보안 경험이 있는 조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조직구성원들이 정보보안 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구전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기업에서는 조직구성원들이 정보보안 사고에 대해서 내 외부에서 발생 가능한 보안위험을 예방 및 대응하고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보안 솔루션 도입해야하며, 정보시스템에 대한 취약점 점검과 보인 패치 등의 보안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행동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security behavior of members of organizations has been recognized as a critical part of information security at the corporate level. Leakage of customers information brings more attention to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of organizations and the importance of a task force. Research on information breach and information security is actively conducted of personal behavior toward security threats or members of organizations who use security technolog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of influence on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of members of organizations and to empirically find out how these factors affect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through behavior toward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this study will present effective and efficient ways to foster information security activities of members of organizations. To this end, the study presented a research model that applied significant variables based on integrati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nd Theory of Protection Motivation (TPM). To empirically verify this research model,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members of organizations who had security-related work experience at companies. So, it is critical for members of organizations to encourage positive word of mouth (WOM) about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Results show that based on the integration of TPM and TPB, perceived vulnerability,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efficiency and perceived barriers of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of members of organization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mediating variables such as behavior toward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intention. They also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organization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indicates companies should introduce various security solutions so that members of the organizations can prevent and respond to potential internal and external security risks. In addition, they will have to take actions to inspect vulnerability of information system and to meet security requirements such as security patches.

      • KCI등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자유학기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개선방안

        정혜인 ( Jeong Hye-in ),서효정 ( Seo Hyo-jeo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1

        [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자유학기를 담당한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지적장애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상의 경험 및 개선방안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자유학기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 총 8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반구조화된 면담으로 진행되었으며, 면담내용은 모두 녹음과 전사의 과정을 거쳐 반복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 첫째, 지적장애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으로 인해 학생의 참여, 학생의 역량, 학교 구성원 간의 소통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유학기제의 장점과 더불어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학생 지도의 부담, 교사의 인식 및 전문성 부족의 아쉬움, 학교·환경·제도적인 측면에서 기본적인 자유학기제 운영 틀 부족 등의 자유학기제 운영 시 느끼는 어려움도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다 성공적인 지적장애 특수학교 자유학기제를 운영하기 위해서 학교와 교사 측면의 자유학기제 운영 제고 방안 마련 및 교육부·교육청·특수교육지원센터의 자유학기제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유학기제에 대한 시사점을 자유학기제 운영 시 수업개선을 위한 논의 및 자유학기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논의 두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special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free semester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and enhancement plans when operating the free semester syste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a total of eight special teachers in charge of free semesters at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ll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rough the recording and transcription proces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the capacity of students, and communication among school members were improve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t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 there were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free semester system, such as teachers’ burden when teaching students with diverse needs, the lack of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ofessionalism, and the lack of the fundamental framework with regard to schools, environment, and systems. Lastly, in order to operate the free semester at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t is necessary to make improvement plans for the schools and teachers and to establish support system made by Ministry of Education, the Offices of Education, and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free semester system were presented in two aspects: a discussion for class improvement in the oper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a discussion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free semester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