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혜욱(CHUNG HOE-W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5 육아지원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태도에 문화성향, 다문화 감수성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육태도의 관계에서 다문화 감수성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 유아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은 다문화 교육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문화성향의 하위변인의 영향력은 수평적 집단주의, 수평적 개인주의, 수직적 집단주의, 수직적 개인주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은 다문화 교육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 감수성의 하위변인 중 문화차이 존중도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갖고 있고, 두 번째로 상호작용 주의도가 높은 영향력을 나타냈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 교육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하위변인의 영향력은 인간관계 교수효능감, 일반생활 교수효능감, 수업기능 교수효능감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 성향과 다문화 교육태도의 관계에서 다문화 감수성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육태도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문화 성향,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육태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육태도의 관계에서 다문화 감수성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다문화 감수성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교육적 중재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attitud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 data from 211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cultural orientation influenced multicultural attitude. Among cultural orientation’s subvariables, horizontal collectivism was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 of multicultural attitude, and horizontal individualism and vertical individualism respectively. Second, early childhood prese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influenced multicultural attitude. Among multicultural sensitivity’s subvariables,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and interaction attentiveness were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 of multicultural attitude respectively. Third, early childhood prese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influenced multicultural attitude. Among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efficacy on interpersonal relations was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 of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on everyday situation and efficacy on instructional competency respectively. Fourth, multicultural sensitivity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attitude. Fifth,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has ful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attitude.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ed effects of multicultural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on the relationship of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attitude. Such results of this study address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intervention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혜욱(CHUNG-HOE-W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3 육아지원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 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12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은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 을 미쳤으며, 문화성향의 하위변인 중 수평적 개인주의가 높을수록 다문화 교수능력이 높았다. 둘째,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은 3단계로 이루어졌으며, 1단계에서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은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쳤고, 문화성향의 하위변인 중 수평 적 개인주의, 수직적 집단주의 및 수평적 집단주의가 높을수록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2단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세 하 위변인(일반기능 교수효능감, 수업기능 교수효능감, 인간관계 교수효능감) 모두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 향을 미쳤다. 3단계에서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 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 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문화 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다문화 교수효능 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이 유아교사의 다문화 특성을 설명하는 주 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al orientati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ultural orientation 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secon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n that relationship. Two research questions guided the study. First, does the cultural orient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sks if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 data from 125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cultur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ltural orientation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mong cultural orientation's sub-variables, horizontal individualism significantl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Second, cultural orientation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Vertical individualism and vertical collectivism among cultural orientation's sub-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mong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s sub-variables, general teaching efficacy, instruction teaching efficacy, and human relationship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Forth,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by verifying its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lso the research suggests that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can be significant variab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istics in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만족도 및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정혜욱(Hoe Wook Ch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놀이성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들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부모변인을 밝히고자 어머니의 기질만족도 및 양육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유아의 기질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만3∼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225명(남아 115명, 여아 11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부분의 주요변인 및 하위변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유아의 기질은 어머니의 기질만족도 및 양육효능감, 놀이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유아의 기질은 어머니의 기질만족도 및 양육효능감을 통해 유아의 놀이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직접효과가 간접효과보다 컸다. 또 놀이성에 대한 영향력 순위는 어머니의 기질만족도,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순이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놀이성 발달을 위해 유아의 기질에 적합한 지도, 어머니의 기질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temperament and playfulness and the influence of the parental variables on that relationship. The study was guided by four research question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temperament, mothers` satisfaction of child temperament, mothers` parental efficacy and child playfulness?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between child temperament, mothers` satisfaction of child temperament, mothers` parental efficacy and child playfulness? What is the predicted path from child temperament to child playfulness? And finally,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ajor variables?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survey data from 225 three-, four-, and five-year-olds and their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meaningful correlation among most of the variables and sub-variables. Second, child temperament influenced mothers` satisfaction with child temperament, mothers` parental efficacy, and child playfulness. Third, child temperament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child playfulness through mothers` satisfaction with child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al efficacy. Finally, mothers` satisfaction with child temperament wielded the greatest influence on child playfulness, followed by child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al efficacy.

      • KCI등재

        신문 사설에 나타난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유치원 방과 후 영어 금지’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정혜욱(Chung, Hoe wook),김유리(Kim, Yu ri) 한국육아지원학회 2020 육아지원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신문사 사설에 나타난 유아 영어교육담론과 그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7년 9월 1일부터 2018년 4월 30일까지 3대 주요 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에 게재된 사설 총 17건이며,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을 분석의 틀로 적용하여 신문 사설에 드러난 유아 영어교육의 의미화 과정, 담론 형성 과정, 사회·문화적 실천을 살펴보았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설 텍스트는 유아 영어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유치원 방과 후 영어 금지 정책"을 여론 수렴 과정을 거치지 않은 정부의 일률적인 통제로 의미화하였다. 둘째,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정부의 담론은 아동중심교육담론, 사회양극화담론이며, 이는 세계화담론, 역(逆)사회양극화담론, 공교육무용담론과 대립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담론은 사회·문화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변증법적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 영어교육 및 교육정책에 대한 논의가 ’유아‘와 ’교육‘을 중심으로 이뤄져야 하며, 보다 균형 잡힌 논의를 위해서는 담론을 형성하는 대중매체의 영향력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 및 사회·문화·역사적 맥락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scourses on Englis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newspaper editorials and its meaning. A total of 17 editorials published in the three major daily newspapers (Cho-Sun Ilbo, Joong-Ang Ilbo and Dong-A Ilbo) between September 1, 2017 and April 30, 2018 were selected for analysis. By applying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s the framework of analysis, we examined the signifying process of Englis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discourse formation process, and social and cultural practice revealed in the newspaper editoria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texts emphasized the need for Englis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described the ‘policy of banning after-school-English-education-programs in kindergarten’ as the indiscriminate control of the government that has not gone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public opinion. Second, the government’s discourses on Englis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based on the child-centered education discourse and the social polarization discourse, and these competed against the globalization discourse, the inverse-social polarization discourse and the uselessness of public education discourse. Third, the discourses on Englis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had dialectic relationships with the society and cultu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scussions on Englis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education policies should be centered on “child” and “educa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for more balanced discussions, critical attitudes toward the influence of the media that form discourses and consideration of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are needed.

      • KCI등재

        유아 흡연예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순환(Kim, Soon-hwan),정혜욱(Chung, Hoe-wook),김희영(Kim, Hee-young),김태영(Kim, Tae-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유아 흡연예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문헌고찰 및 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차시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차시는 유아 흡연예방교육의 소개 및 유아 흡연예방교육의 이론적 개념으로 구성되 었으며 이를 토대로 차시에서는 현장 적용을 위한 실제적인 안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차시에서는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 흡연예방교육의 실제에 대해 알아보고 차시에서는 가정과의 연계방법에 대해 탐색해 보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강의 토론 발표 협동학습 워크숍 및 동영상 시청 등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평가를 위해 저널쓰기 계획안 작성 브레인스토밍 역할극 등을 통해 학습자 간 교육내용을 재구성 및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 교사를 위한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본 프로 그램을 통해 유아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유아 교사의 역량이 증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and the survey of the teachers’ needs on the program, which was conducted with 278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rogram is composed of five sessions. Sessions 1 and 2 include the introduction and the theoretical concepts of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essions 3, 4 and 5 cover the practical guidelines for teachers. In particular, sessions 3 and 4 deal with the integration of the smoking prevention program into Nuri Curriculum. Session 5 shows the ways to bring home as a partner of this program. In terms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we use lectures, discussions, presentations, cooperative learning, workshops, and watching video clip. For the evaluation, we adopt self-checklists, role-plays, journals, lesson plans, brainstorming and individual feedback.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specified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 expect this program would strengthen the capabilit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running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