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실습 지도교수(수퍼바이저)의 경험 탐색: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정혜영 ( Chung Hye Yo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2 초등교육연구 Vol.35 No.4

        This study identifies the experiences of university supervisors for student teachers to assist to meet the teaching performance standards in us cases. The two participants who had had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s of university supervisor in California, Michigan, and Maryland were interviewed in depth and the State documents were referred to the guidance on clinical practice and supervi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university supervisors to provide supervision for pre-service teachers and strengthen their field capabilities require sufficient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the orienta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context of the practice operating system. In addition, the experiences as university supervisors were explored in the areas of selection of university supervisor, orientation by university, guidance and evaluation of pre-service teachers, application of teaching performance standards, psychological support, and relational difficulties and rewards. Points to consider when applying the educational practice advisory system to Korea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한 갈등상황과 대응방안 탐색

        정혜영 ( Chung Hye Yo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3 초등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이 교직생활을 통해 가장 기억에 남는 갈등 유형은 무엇인지, 그 갈등에 어떻게 대응하였는지 탐색하고자 교사경력을 네 단계로 구분하여 초등교사 21명으로부터 갈등사례 및 그 대응방식을 기술해주도록 요청하여, 총 198건의 갈등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가 경험한 갈등 유형은 학생, 교직원, 학부모, 업무, 수업, 기타 순으로 도출되었고, 학생 및 학부모, 교직원 및 업무 갈등유형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초등교원들은 갈등상황에 직면했을 때 협력>경쟁>순응>타협>회피 순으로 대응방안을 채택하였다. 교사들은 특히 학생 유형에서는 협력으로, 학부모 관계에서는 갈등으로, 교직원 갈등에서는 협력과 경쟁으로, 업무에서는 협력과 순응으로, 수업에서는 협력으로, 기타 영역에서는 타협으로 대응하였다. 초등교사들은 갈등 유형에 교육경력별로 다르게 대응하였다. 이는 교직사회의 맥락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types of conflict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st remember through their teaching careers, and how they responded to those conflicts. The study classified teacher careers into four stages and requested 21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describe their conflict cases and coping strategies, collecting a total of 198 cases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flict types experienced by teachers were students, faculty members, parents, work-related, class-related, and others, in that order, with student-parent, faculty-work, and work-related conflicts being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When facing conflict situation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dopted cooperation, competition, compliance, compromise, and avoidance in that order of preference. Specifically, they used cooperation for student conflicts, conflict for parent relationships, cooperation and competition for faculty member conflicts, cooperation and compliance for work-related conflicts, cooperation for class-related conflicts, and compromise for other are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ded differently to conflict type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indica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that reflects the specificity of the teaching profess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가수준 초등 기초학력 학업성취도 평가의 운영 및 논점: 미국, 영국, 캐나다, 프랑스, 일본을 중심으로

        정혜영 ( Hye Young Ch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4

        연구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몇몇 선진국(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일본)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가적 차원의 초등 기초학력 및 학업성취도 평가의 목적, 내용 그리고 방식, 활용방안 등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논점, 그리고 그 시사점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는 초6, 중3, 고1을 전 학생을 대상으로 5개 교과목 평가를 실시하며, 미국은 3~8학년 대상의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뿐 아니라 선별표집의 교육성취도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영국은 초2, 초6, 중3를 대상으로 캐나다는 초4, 중1을 대상으로 문해능력과 수리능력 평가를, 프랑스는 초2, 초5, 중1을 대상으로 모국어와 수학을, 일본은 초6, 중3을 대상으로 일본어와 산수 과목을 평가하고 있다. 초등 기초학력 평가에 대한 개념과 목적, 대상과 평가과목, 결과활용을 중심으로 논의를 살펴보고, 평가에 대한 정치적 관점과 교육적 시각을 함께 살펴보았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purpose, content, administration, and application of the national basic academic assessment for elementary students, and compares the Korean case with US, UK, France, Canada, and Japan ones, and covers the issues and implications of the basic academic assessment. In Korean case, it is administered the assessment of five subject matters for Grade 6, 9, and 10, however, other countries (e.g., US, UK, Canada, France, and Japan) execute the assessment of the national level in other ways and minimize the testing areas to literacy and numeracy. In conclusion, it is covered the issues and criticism on the assessment, and analyzed the polit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on the assessment.

      • KCI등재
      • 공공디자인을 위한 사례조사 연구

        정혜영(Chung, Hye You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9 디자인지식저널 Vol.11 No.-

        ?;?;21세기 공공디자인은 도시의 경쟁력이자 국가의 경제적, 문화적 지표가 되어 버렸다. 공공 디자인의 개념이 우선 도입된 유럽, 일본 등 선진 국가들의 사례-박물관(미술관) Musium, 공공 건축물 Public Architectures, 공공 공간 Public Space, 공공 시설물 Public Facilities, 공공 시각 매체 디자인 Public Sign Design 등-들을 차례로 살펴보면서 미정비된 서울의 도시 미관을 정비하고, 나아가 우리나라의 대도시 및 중소도시들이 각각의 특색있는 도시의 역사적 맥락을 살려 더욱 가치있는 도시로 거듭나게 하고, 나아가 그러한 시설들이 철저히 유지관리 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여기서 공공디자인의 가치를 고유성 (Characteristic), 일관성 (Consistency), 유인성 (Attraction), 복원성 (Restoration), 친환경성 (Eco-frendliness), 단순성 (Simplicity)으로 나누어 구분하여 공공디자인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공 디자인이 화두가 되고 있는 요즘 더욱 확고하고 정비된 디자인 가이드 라인을 법제화하여 경제적 위상 만큼 문화적, 질적으로 선진국민의 자부심을 갖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public design has become not only a city"s competitiveness and, but also a country"s economic and cultural barometer. In the era of the public design, the cases (museum, public architectures, public space, public products, sign design, and etc.) from the countries where the concept of public design was introduced, such as European countries and Japan, demonstrates us critical needs for reconstructing and redesigning the city view for cities like Seoul. Cities that vary in size, location. history, and many other factors need different approaches to strengthen and redevelop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the maintenance requires some kind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through government or local self-government body. Therefore, it requires us to have a master plan and to think about how we can accomplish that effectively and successfu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aragons from those advanced countries and a specific guideline for Seoul.

      • KCI등재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들의 창의성 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정혜영 ( Hye Young Chung ),최규리 ( Kyou Lee Choi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을 경험한 초등 예비교사들이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효과적인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및 예비 교사교육의 방향 및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사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은 창의성은 과정이 중요시되고 교육이 가능하며 교사의 영향이 크다고 인식하였으며, 창의성 교육에 대한 관심은 어느 정도 있었으나 분명하게 알지 못한다고 생각하여 추후 연수나 워크숍 참여를 희망하였다. 교육실습의 경험을 통해 창의성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창의성 교육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변화를 보였다. 또한 창의성 교육은 창의성 자체 혹은 창의성 기법에 초점을 둔 교과외 활동을 통해 시도 되었던 과거와는 달리, 교육실습학교에서 예비교사들이 인식한 창의성 교육은 과정 중심·교과내용 중심으로 시도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교육과 교사교육의 내용 및 방향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an aspect of creativity education perceived by preservice teachers with practicum experiences. The questionnaire and follow-up interview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reservice teachers focused on a learning process rather than an output resulted from learning; they showed an interest in creativity education, however, they did not know what it is and how to facilitate so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s and/or workshops about it in the future. Having the practicum experiences, the preservice teachers had not been changed their perceptions on creativity but represented some changes on creativity education. They perceived the practicum experiences made them a positive change on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the methods for creativity education toward student-centered, process-oriented, content-focused. The results suggest on what would be and how could be for better creativity education for preservice and in-sevice teachers.

      • KCI등재

        학교교육학을 통해 본 초 · 중등학교의 의미와 과제

        정혜영(Chung Hye Young),김창환(Kim Chang Hwan) 한독교육학회 2001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6 No.1

        Die koreanische Schule und Schulerziehung wurden bisher einseitig von dem soziologischen Gesichtspunkt her untersucht. In der soziologischen Untersuchung waren die Funktion und die Rolle der Schule und Schulerziehung in der Gesellschaft das Hauptinteresse. Dabei fehlt aber die philosophische und phänomenologische Erhellung der Schulerziehung. Die Bedeutung der Schule und die sinngemässe Aufgabe der Schulerziehung wurden in solcher Untersuchung außer acht genommen. In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wird versucht, dieses Problem zu thematisieren. Zuerst haben wir die Bedeutung der Grundschule erörtert. Die Idee der Grundschule ist es, allen Schülern allgemeine und elementare Bildung zu vermitteln. Um diese Idee zu verdeutlichen, werden der “erziehende Unterricht” und die “Lebensnahe der Schule” als die Hauptaufgabe der Grundschule dargestellt. Daür soll die Freihet der Lehrer eine wichtige Voraussetzung sein. Die allgemeinbildende Schule, d.h. Mittelschule und Oberschule, soll eine allgemeinbildung vermitteln und zugleich Voraussetzungen für den Eintritt in die wissenschaftlichen Studien schaffen. Die “Menschenbildung” und die “theoretische Bildung” wurden als die wesentliche Aufgaben der allgemeinbildenden Schule betont. Die berufsbildende Schule soll eine allgemeinbildung und eine spezielle Berufsausbildung vermitteln. Die “Menschenbildung” und die “praktische Bildung” wurden als die wesentliche Aufgaben der berufsbildenden Schule betont. Aber die koreanische Schule gerät zur Zeit in eine Identitätskrise. Sie lässt sich als eine Vorbereitungsschule auf das Hochschulstudium bezeichnen. Die Aufnahmeprüfung der Hochschule bestimmt den Charakter der Schulerziehung. Dabei wurde die eigene, wesentliche Aufgabe und den Sinn der Schule nicht hinreichend berücksichtigt. In dieser Untersuchung wurde dieses Problem kritisch dargestellt. Zum Schluß wurden die Gesichtspunkte erläutert, die zur weiteren schulpädagogischen Diskussion beitragen können: der anthropologische, der harmonischdialektische, und der kritisch-konstruktive Gesichtspunkt. Sie befreiet uns aus dem einseitigen soziologischen Perspektiven und führt uns, das Wesen und den Sinn der Schule zu analysieren.

      • KCI등재

        케이(E. Key)의 학교개혁론 탐구: 초등교육적 의미

        정혜영(Chung, Hye-Young) 한독교육학회 2011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6 No.1

        이 논문에서는 독일 개혁교육학 운동의 대표적인 인물로 알려진 케이(E. Key)의 학교교육에 대한 새로운 제안을 ‘학교개혁론’이라는 표제 아래 그 이론적 토대와의 연관성 속에서 살펴보고, 초등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케이 학교개혁론의 이론적 토대로서 케이의 교육 및 도야 개념을 살펴보았으며, 여기서 개체성의 교육, 주체적 인격의 형성이 핵심 개념으로 파악되었다. 다음으로 케이의 학교개혁론의 요체를 학교비판과의 연관성 속에서 살펴보았다. 케이는 특별히 그 당시 학교의 통제성과 획일성 등을 비판하였으며, 남녀 학생의 분리교육을 비판하고 과도한 교과내용 및 교과의 구획화와 세분화를 비판하였다. 이러한 비판을 전제로 케이는 자신의 교육 및 도야 개념에 근거하여 새로운 학교모델을 제시하였다. 즉, 학교의 목적은 ‘보다 높은 삶의 형태’로 발달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도야제도로서 유치원 대신에 가정적 수업을 제안하고 이후 다양한 사회계층 및 남녀 학생의 통합학교를 제안하였으며, 미래의 교육과정을 ‘4개의 초석’이라는 명칭 아래 조기 전문화, 집중, 독립적 활동, 현실근접성 등으로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케이의 새로운 학교 제안의 의미를 탐색하고 초등교육의 개념 정립 및 구체적인 실천 방안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dieser Arbeit versuche ich die Charakteristika des Schulreformsgedanken von E. Key zu betrachten und daraus die Implikationen fuer grundschulpaedagogische Theorie und Praxis herauszuarbeiten. Zunaechst werden der Erziehungs- und Bildungsbegriff bei Key als die theoretische Grundlage des Schulreformsgedanken erlaeutern. Als das Ziel der Erziehung hat Key festgeschrieben, die eigene individuelle Natur des Kindes auszubilden und sie hat den Bildungsbegriff als Persoenlichkeitsentwicklung versteht, allerdings auch als lebendiges Lernen. Zweitens werden die Schulreformsgedanken von Key betrachtet im Zusammenhang mit der Schulkritiken. Keys Kritik an dem bestehenden Schulsystem laesst sich drei Punkten zusammensetzen: eine generelle Verallgemeinerung und Schmatisierung des einzelen Schuelers, getrennte Maedchen-und Knabenschulen, nicht bildsam Unterrichtstoff. In diesem Zusammenhang erwaehnt Key das Ziel der Schule, die Stufung des Bildungswesen, Curriculum und Unterricht ihrer Schule der Zukunft. Abschliessend werden einige paedagogischen Bedeutungen der Schulreformsgedanken von E. Key dikutiert und die Implikationen fuer grundschulpaedagogische Theorie und Praxis herausarbeit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