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trapersonal Competency in Music Therapy: Challenges for Education and Clinical Training

        정현주,Chong, Hyun Ju Korea Music Therapy Education Association 2007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4 No.2

        Many scholars, clinicians and faculties of music therapy have dealt various issues on educational and clinical curricula for training music therapists. Depending on the philosophical orientations of educational institutes, the emphasis are 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identify the areas for competency for gaining qualification in music therapy by reviewing the definitions of music therapy from the academic and professional perspectives; discipline-based, practice-based, and intrapersonal competency.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music therapy as a professional discipline should be reflected in its curriculum and training content. Educational strategies need to be formulated to strengthen intrapersonal competency. The paper also discussed the consequential gains accordant with intrapersonal competency such as personal self-help skills using musical resources and coping with burnouts. 음악치료사의 자질과 능력 증진은 많은 연구자들과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온 분야이며 이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및 임상 전략들이 규명되고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음악치료의 정의를 중심으로 음악치료사의 기본 자질을 규명하고 학술단체와 기관에서 정의하는 음악치료가 강조하는 다른 항목들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공통적으로 음악치료사가 갖추어야 하는 역량들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사는 세 가지 역량을 갖추어야 하고 기존의 교육과정은 이러한 역량들을 강화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는데 이에는 학문적 역량, 실기역량, 그리고 개인적 역량이 포함된다. 여기서 개인적인 역량은 음악치료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야 하는 새로운 역량 분야로 규명되었다. 이는 음악치료가 지식기반 내용만을 다루는 학문이 아님으로 치료를 위한 음악중심의 개입을 제공할 수 있는 내적 성찰과 치료사적 통찰력이 기반이 된 역량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이다. 음악치료가 정의하는 학문과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서 음악치료사는 이 세 가지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 이러한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효율적인 교과내용들이 기존의 교육과정에 반영되어야 한다.

      • KCI등재

        호스피스 환자들의 언어적·비언어적 표현 증진을 위한음악적 활용

        정현주,최성윤,Chong, Hyun Ju,Choi, Sung Yoon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5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2 No.1

        호스피스 환자들은 질병으로 인한 심리 정서적 문제를 동반하는데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적 개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러한 문제가 신체화 현상으로 나타나면서 삶의 질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음악이 부정적인 자기 은폐(self-concealment)를 감소시키고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self-expression)을 촉진시키는 지를 보고자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호스피스 기관에 있는 전문가들로부터 추천받은 3명의 말기 환자들을 대상으로 4개월간의 음악치료 세션을 실시하였으며, 음악치료는 각 환자들의 상태에 따라 총 9회에서 11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자기은폐척도(Self-Concealment Scale: SCS)와 자기서술문(Personal Descriptive Essays)을 이용하여 음악치료프로그램 사전, 사후 검사를 실행한 후 양적 및 질적 자료를 산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양한 음악적 개입 중에서 특히 노래를 중심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이 삶과 관련된 여러 가지 주제와 감정적 내용들에 대한 환자들의 반응을 이끌어 내는 데에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사후 검사에서 환자들의 자기은폐 수준이 낮아졌으며, 자기서술문에서 보고된 자료에는 사실적인 내용 대신 감정적 내용이 증가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심리 정서적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말기 환자들에게 감정표현과 의사소통 매개체로서 음악이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자기감정과의 만남과 이에 대한 표현은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감상과 같은 수동적 참여를 기본으로 환자의 활동 수준에 맞추어 음악프로그램을 구성한다면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Older adults in the hospice care experience difficulties in expressing thei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issues, which has detrimental effect in their well-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usic can be used to facilitate self-expression both verbally and nonverbally in order to decrease negative influences of self-concealment. Four cases were referred from hospice personnel at the hospital, and received music therapy sessions for four month. The total number of session varied from 9 to 11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each cas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pre and post test of Self-Concealment Scale and Personal Descriptive Essay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use of music, especially programed songs were effective in evoking emotional responses with various life-related issues and themes. The posttest indicated that the level of self-concealment has decreased, and also the Personal Descriptive Essays involved increased statements of emotional content after music therapy implementation. The study indicates that music can be used as an significant communicative and expressive medium when working with older adults in the hospice or palliative care, since they experience many difficulties to be engaged in the active expression. Music provide both passive and active experience through listening and participating, and programed music therapy intervention will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expressive music activitie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음악의 인지기술과 학습 기술과의 관계

        정현주,Chong, Hyun Ju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3 No.1

        1980년대 이후 음악과 학습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다양한 학습 기술에 필요한 인지기술의 영역에 대한 음악의 효과성을 계속해서 입증해 오고 있다. 음악과 학습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주로 음악의 인지기술과 학습의 세부적 기술들을 개별적으로 연관 지어 다루고 있으며, 음악이 비음악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지 학습기술과 음악적 인지기술과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고 있는 다양한 이론 및 연구들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음악이 비음악적 능력 중 학습 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음악적 능력과 공간 지각력과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두 가지 이론으로서, "신경적 연계성(neural theories)" 이론과 "근접적 전이(near transfer)"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음악적 기술과 공간적 기술을 담당하는 대뇌의 신경망 구조에서 음악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이 어떻게 공간적-시간적 정보처리 과정과 연계되는 지를 설명하였다. 또한 음악이 학습과정에 필요한 주의력, 관찰력, 독립적 사고,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 등을 강화시킨다고 제안하는 "동기이론"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이론들에 근거하여 음악과 학습기술과의 상관관계를 메타분석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많은 연구들이 음악기술과 학습기술의 상관관계는 물론 유의미한 인과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결과들은 음악적 훈련 과정에서 습득되는 음악의 공간적, 시간적 개념이 학습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지지한다. 다양한 학습기술에서도 공간 지각 능력을 주로 사용하는 수학과 읽기에 관한 연구가 많았는데, 특히 수학적 개념 중에서 분수나 집합 개념과 같은 추상적 개념들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읽기 능력에서는 시간적 개념에 근거한 단어 나열, 문자로 상징된 언어를 해석(decode)하는 기술이 강화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음악과 학습과의 관계를 설명한 많은 연구들은 음악의 지각인지 기술이 다른 학습 분야에 전이된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지지하며, 또한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 세 가지 가설은 구조화된 음악활동이 학습 현장에 있는 아동들에게 효율적인 치료 교육적 개입이 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Melody is defined as adding spatial dimension to the rhythm which is temporal concept. Being able to understand melodic pattern and to reproduce the pattern also requires cognitive skills. Since 1980,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kills and music cognitive skills, and how to transfer the skills learned in music work to the academic learning. The study purported to examine various research outcomes dealing with the correlational and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musical and academic skills. The two dominating theories expl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wo skills ares are "neural theory" and "near transfer theory." The theories focus mainly on the transference of spatial and temporal reasoning which are reinforced in the musical learning. The study reviewed the existing meta-analysis studies, which provided evidence fo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nd musical skills, and significance of musical learning in academic skills. The study further examined specific skills area that musical learning is correlated, such as mathematics and reading. The research stated that among many mathematical concepts, proportional topics have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musical skills. Also with reading, temporal processing also has strong relationship with auditory skills and motor skills, and further affect language and literacy ability. The study suggest that skills learned in the musical work can be transferred to other areas of learning and structured music activities may be every efficient for children for facilitating academic concepts.

      • KCI등재

        학습부진아의 청각정보처리와 단기기억력 향상을 위한 음악의 치료적·교육적 접근

        정현주,Chong, Hyun Ju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4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 No.1

        음악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인지기능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학습에 필요한 기능과도 공통점을 가진다. 음악을 듣고 기억하는 데에 복합적인 의식 활동이 요구되며, 일련의 소리 자극들이 음악으로서 의미를 갖고 기억되기 위해서는 주어진 소리 정보에 내재해 있는 특징들을 지각하고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여러 선행 연구에서는 음악활동을 통해서 기본적인 학습 기능이 강화될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부진 아동들이 청각정보처리기술과 단기기억력 강화를 중심으로 구성된 음악치료 세션에 참여하였을 때 음악 활동과 학습에 필요한 인지기능에 향상이 있는지를 보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 활동 내에서 다루어지는 인지기능을 사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학습기술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행 전 후에 각각 실시하였다. 음악인지기술척도(Music Cognitive Skills Test)는 청각 지각인지력과 단기기억력 측정을 중심으로 모두 5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 리듬 모방력, 2) 선율 모방력, 3) 음고 구별력, 4) 동화음 구별력, 5) 음보존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는 기초학력기능검사 결과를 중심으로 담임교사가 추천한 18명의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4 개월간 주 2회씩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투입되었다. 연구 결과, 리듬 모방력과 선율 모방력은 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 외에 음고 구별력, 동화음 구별력, 그리고 음보존력에서는 사후검사에서 증가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과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이 수행한 시험을 통해서 나타낸 공통점을 분석한 결과 선율모방 보다 리듬모방에서 더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리듬이 시간적인 개념만을 다루지만, 선율은 이외에 공간적인 개념이 추가된 것이기 때문에 더 난이도가 높은 작업이라고 분석될 수 있다. 선율 모방에서는 공통적으로 특정 음역에서 어려움을 보였는데, 4도 이상의 음역이 제시되었을 때와 2도의 음역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동일한 음으로 지각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제시된 청각적 정보를 의미있는 단위로 구분하고 이를 이해하고, 기억하여 재생산해내는 작업은 모방은 물론, 음의 구별과 보존에도 필요한 기술임으로, 체계적으로 구성된 음악활동은 이러한 인지기술들을 강화시켜 줄 수 있는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Being engaged in the musical tasks needs cognitive skills to perceive musical sound, organize them into meaningful unit, store them in the memory and retrieve them when needed. These skills are also required for academic tasks indicating that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kills for musical and academic task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urported to examine whether the developed sessions can enhance cognitive skills which is composed of auditory information skills, which is composed of perceiving sounds, organizing them into groups based on the existing information or organization pattern, and short-term memory skills. Eighteen elementary students in 4, 5, and 6th grades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udy has administered Music Cognitive Skills Test(MCST)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music therapy sessions. The MCST consisted of five parts, first one measuring the rhythm imitating skills, second, measuring the melodic imitation skills, third, measuring discriminative skills in identifying higher pitch, fourth, measuring discriminative skills in identifying identical chords, and lastly, measuring the tone retention skil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 test in rhythm and melody imitation skills. Because reproduction of perceived rhythm patterns requires memory skills, imitating patterns are considered cognitive skills. Also melody is defined adding spatial dimension to the rhythm which is temporal concept. Being able to understand melodic pattern and to reproduce the pattern also requires cognitive skills. The subjects have shown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se two areas. In other areas, there were definite increase of score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study also explores interpretation of these results and also observed consistencies among the participants in completing the musical tasks.

      • Serotype and Leukotoxic Strain Distribution of Actinobacillus(Haemophilus) Actinomycetemcomitans in Korean Localized Juvenile Periodontitis

        정현주,정종평,손성희,Chung, Hyun-Ju,Chung, Chong-Pyoung,Son, Seong-Heui The Korea Society for Microbiology 1986 大韓微生物學會誌 Vol.21 No.4

        국소적 유년성 치주염의 원인균으로 중요시되고 있는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Aa)는 구미인의 병소에서 혈청형 b형이 주종을 이루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한국인에서의 부분적인 분리균주는 c형이 빈번한 젓으로 관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16명의 국소적 유년성 치주염 환자에서 Aa의 발현빈도를 조사하고 혈청형별로 분류하여 그 분포 및 백혈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치주낭 및 건강치은 열구에서 보존치료용 paper point를 이용하여 치은연하 치태세균을 채취하여 Aa의 선택배지에 도말한 후 10% 탄산가스 배양기에서 $3{\sim}5$일간 배양하였으며, 집락의 형태, catalase검사, Gram염색,생화학검사로써 분리 동정하였다. 가토에서 3가지 혈청형의 표준균주인 ATCC 29523(a) Y4(b) SUNYaB67(c)에 대한 항혈청을 얻은 후 환산암모늄 침전법과 면역흡착법에 의하여 특이성을 갖는 감마글로블린액을 얻어서 ELISA법에 의해 분리균주의 혈청형을 분류하였다. 백혈구 독성은 다형핵 백혈구와 Aa분리균주를 함께 배양한 후 상층액에 대한 lactate dehydrogenase의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a균은 국소적 유년성 치주염 환자 16명중 75%에서 발견되었으며, 병소부위의 71%, 그리고 정상부위의 6%에서 나타났다. 2. 국소적 유년성 치주염 병소의 임상적 양상은 병소내 Aa의 존재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3가지 혈청형의 환자별 분포는 9명의 환자에서 유사하게 관찰되었으며, 3명의 환자에서는 동일한 구강내 또는 동일한 치주낭에서 다른 2가지 혈청형이 함께 분리되었다. 4. 백혈구 독성검사를 시행한 45개 균주중 22%에서 독성을 나타냈으며, 채취부위의 69%에서 백혈구 독성균이 존재하였다. 또한, 동일한 병소에서 독성균과 비독성균이 함께 관찰되었다. 5. 백혈구 독성균의 분포는 3가지 혈청형간에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Previous studies from our laboratory suggested that Korean LJP patients might habor A. actinomycetemcomitans of different serotype from Caucasian LJP patients in whom serotype b was predominant. In order to observe the prevalence and serotype distribution of A. actinomycetemcomitans in localized juvenile periodontitis patients and to evaluate leukotoxic activity of oral isolates, this study was performed. A. actinomycetemcomitans was isolated by using a selective medium(tryptic soy agar supplemented with 10% serum, $75{\mu}g$ of bacitracin and $5{\mu}g$ of vancomycin per ml). Using immunoabsorbed, ammonium sulfate-fractionated serotype-specific antisera, a total of 69 strains were serologically categorized by ELISA. Leukotoxicity was monitored biochemically by measuring lactate dehydrogenase indicator of cell viability in culture supernatant of PMNL plus viable A. actinomycetemcomitans mixt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 actinomycetemcomitans was detected in 75% of 16 LJP patients, and 71% in the LJP lesions and 6% in the control sites. 2. Presence or absence of A. actinomycetemcomitans in the sampled disease sites has no in fluence on clinical measurements. 3. Three serotypes were approximately equally distributed in overall 9 patients. Three patients harbored 2 different serotypes of A. actinomycetemcomitans in the same disease site or different disease sites. 4. The proportion of leukotoxic oral isolates was 22% of a total of 46 strains and the prevalence was 69% in 13 sampled sites. The same disease site could harbor both leukotoxic and nonleukotoxic strains. 5. Distribution of leukotoxic strains in 3 serotypes were not different.

      • KCI등재

        음악전공자와 비음악전공자 간 화음전개복잡성에 따른 감상자 정서반응 연구

        정현주 ( Hyun Ju Chong ),유가을 ( Ga Eul Yoo ),김수지 ( Soo Ji Kim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3 음악이론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음악의 화음 전개 복잡성에 따라 감상자의 정서적 반응이 활동성(activity), 평가(evaluation)와 힘(potency)의 차원에서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고자 하였다. 특히 음악 전공 집단과 비음악 전공 집단의 반응 차이에 초점을 맞추어, 음악 경험 및 교육이 화음의 복잡성에 따른 정서적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대학교의 재학생 77명을 대상으로 실험이 실시되었고, 음악 전공 집단과 비음악 전공 집단이 각각 37명, 40명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5개의 화음 전개 난이도에 맞추어 16마디로 이루어진 곡이 작곡되었다. 대상자들은 임의적 순서로 제시되는 5개의 곡을 듣고 음악으로 인해 지각되는 정서의 각성 정도, 긍정/부정적 평가 정도 및 정서의 강도를 각각의 의미변별 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에 표시하였다. 대상자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1) 정서의 활동성과 관련해, 음악 전공 집단은 화음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보다 각성된 정서를 지각한 반면, 비음악 전공 집단은 화음 전개 난이도 변화에 따른 반응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정서의 평가 차원에서는 두 집단 모두 복잡한 난이도의 음악이 제시될수록 그 음악을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차이에 있어서는 음악 전공 집단이 비음악 전공 집단에 비해 제시된 음악을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3) 마지막으로 힘의 차원에 있어서는 음악 전공 집단은 난이도가 가장 높은 음악에 대해서만 정서의 강도를 양의 값으로 평가한 반면, 비음악 전공 집단은 중간 난이도의 음악에서부터 그 강도 증가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음악 전공 집단과 비음악 전공 집단의 음악에 대한 정서적 반응에 있어 전반적으로는 유사한 경향을 보이지만, 그 반응 정도와 수준에 있어서는 서로 다름을 보여준다. 이는 과거 음악 교육이 음악 자극 혹은 음악 요소의 차이를 지각하는 민감성이나 자극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들은 정서적 각성 혹은 정서적 변화를 기대하는 음악 선택과 사용 시 음악 경험과 교육의 정도에 따라 음악적 정보를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적인 준거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isteners` responses to different levels of complexity in harmonic progression in music. A total of 77 college students, 37 music and 40 nonmusic maj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usical stimuli were composed in five different levels of harmonic progression sequentially for this study. After listening to each musical stimuli, participants rated their responses on the 11-point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that examined the dimensions of activity, evaluation, and potency of emotion. The results showed that regarding the activity variable, the music major group perceived increased emotional activity with increased complexity, and the nonmusic major group showed a similar trend but to a lesser degree. Both groups showed a decreased response in evaluation with increased complexity in harmonic progression. Music majors rated music with higher complexity more positively than did nonmusic majors. Also, in terms of potency, both groups perceived more power in the music with increased complexity of harmonic progression, but this was considerably more pronounced in the music major group. Based on the results, one can conclude that there is a similar trait in the responses of listeners in both groups; however, the music major group showed a greater degree of response than that of the nonmusic major group as the complexity in harmonic progression increased. This suggests that music training and music experiences may prime listeners to more readily perceive increased energy, power, depth, and sensitivity of emotion with increased harmonic complexity.

      • KCI등재

        예술치료교육의 개념 정립과 정의

        정현주(Chong, Hyun Ju)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8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5 No.2

        예술치료교육은 예술치료의 하위개념으로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새롭게 개념화 되고 있는 영역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 중심의 예술치료교육의 대상, 목표, 예술매체의 치료적 특성을 살펴보고 개념 정립과 정의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예술치료교육은 음악, 미술, 그리고 운동/동작 등의 예술매체를 사용하여 아동의 심리․정서적 문제에 대한 치료를 바탕으로 심리사회적 문제를 극복함으로써 교육적 잠재력을 실현시키고 전반적 성장을 돕는 통합적이고 전인적인 접근이다. 예술치료교육은 예술치료와 학교라는 현장성, 학교의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며, 이에 따른 치료 목표도 타 임상 현장과는 다른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방과 후 학교에서부터 시작되어 증가하고 있는 수요에 따라 예술치료교육 전문성 강화 방안과 활성화에 필요한 전략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Arts Therapy Education is an area under major arts therapy field which focuses on the children in school setting who ha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 and the need of it has been increasing as for after-school programs. The study purports to delineate arts therapy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elements that differentiate from the major arts therapy approaches, respectively. Arts therapy education is an integrated approach which focuses on primarily alleviating children s emotional problem through therapeutic experiences of arts, and then secondarily helping them to actualize their potentials in learning and achieve educational outcomes. It is also examined that arts therapists working in school setting who need to acquire knowledge in education related theories and further be able to work with emotional, psychological issues from ecological factors. Also it is needed to seek efficient strategies to promote professionality of arts therapy education.

      • KCI등재

        Analytical elements in Guided Imagery and Music (GIM) Programs: From Psychoanalytical and Existential Aspects

        정현주(Chong Hyun Ju)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3 No.2

        음악에 대한 분석적 지식은 모든 음악치료 전문성의 기본이다. 특히 음악을 주 치료도구로(music as therapy) 사용하는 음악과 심상기법(GIM)에서는 각 요소들이 갖고 있는 심리적 혹은 정신분석적 의미와 심상 경험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음악분석에 대한 심리치료적 이해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GIM 훈련 과정에서 사용되는 음악분석 자료가 많이 미흡하다는 점과 기존의 분석이론의 적절성 문제가 언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사는 물론 GIM 훈련자들을 위해 제안된 음악의 현상학적 분석, 통찰적 분석 등 다양한 음악분석 이론들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가장 명확히 이해되어야 하는 음악 요소들에 대한 기본적인 틀을 개발하기 위해 Bruscia의 즉흥기법사정프로파일에서 제안된 음악요소의 정신분석적 및 존재론적 측면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정리하였다 심상 경험에 대한 분석자의 주간적인 이해 전에 음악 자체가 가지고 있는 요소적 특성을 규명하는 능력과 각 요소들의 정신분석적 측면과 존재론적 측면에 대한 이해는 GIM에서 심층적 경험을 해석하는 데에 중요한 임상적 기반이 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basic guidelines for listening and analyzing GIM music literature. Many GIM practitioners have developed listening guidelinles for GlM music literature, however, there needs to be a more structured guidelinles and criteria for beginning GIM trainees. This paper has utilized the psychoanalytic and existential analysis of musical elements suggested by Bruscia, which focuses on the rhythmic and tonal components of musical elements. These components deal with the energy level and emotional depth embedded in the music, which are important essences in imagery experiences. The paper further reviewed various approaches of analyzing music which are musical, phenomenological, and heuriistic. These approaches include both musical arlalysis and analyzer s subjective experiences of music. However, it is more essential fastly to understand the basic musical criteria in relation to psychoanalytic and existential aspects before going into subjective experiences of music listening for the beginning GlM trainees.

      • KCI등재

        중학생 예술동아리 자치활동 수혜자들의 프로그램 만족도 및 인성변화 자각도 분석

        정현주(Chong, Hyun Ju),정은주(Jeong, Eunju),김경숙(Kim, Kyoung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4

        최근 학교현장에서 경험되는 다양한 예술적 경험이 전인적 발달과 성장에 필수적 요건으로 인식되고 있는 가운데, 공교육 안에서 다양한 음악교육 프로그램들이 정책화되고 있다. 중학생 예술동아리 프로그램은 2010년 발표된 교육과학기술부의 ‘초ㆍ중등 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기초한 인성교육이며, 특히 중학생의 발달적 특성과 자치적 운영이 고려된 예술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난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따라 선정된 중학생 예술동아리 운영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예술동아리 자치활동이 청소년의 인성함양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체 577개 중학생 예술동아리 운영학교 중 30개교를 무작위 추출하여 총 355명의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프로그램 만족도 및 인성변화의 자 각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혜자들의 높은 프로그램 만족도 및 인성변화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수혜자들은 장소, 시간, 강사 및 재료 등에서 90%이상의 고른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수혜자들은 자치적인 예술경험인 예술동아리 활동 결과, 개인적 측면, 관계적 측면, 학교적응 및 동기진로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개인적 측면으로는 자신감(95.5%)이 가장 높은 변화를 보여주었으며, 관계적 측면에서는 공동체인식(98.3%) 및 의사소통(98.1%)에서 변화되었음을 답변하였다. 이밖에 학교적응 태도에서는 학생-교사관계(96%)의 긍정적 변화, 동기진로측면에서는 동기변화(97.2%)에서 변화에 대한 자각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중학생 예술동아리 자치 활동이 청소년기 발달에 필수적인 내적 정서와 사고의 탐색, 긍정적 관계 경험, 소질 및 진로 계발 등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 다고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결과들은 중학생이라는 교육수혜자들의 자율적 참여를 유도하는 보다 다각적인 예술프로그램의 지원이 활성화되는 기초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rts activities in school settings have drawn attention in that various arts experiences have contributed to development of a well-balanced personality. Recently, the government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arts experience in school and has provided music education projects in remote areas of low socio-economic status. Arts group activities are a government-supported program that aid to promoting arts education with an emphasis on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 total of 577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rts group activities were recruited from 30 randomly selected public schools that offered arts group activities in 2012.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survey consisting of 20 items asking their program satisfaction and perceived changes in their personality attributes. The results showed a high degree of program satisfaction and perceived changes in their personality attributes. More than 90% of participants were very satisfied or satisfied with the arts group activity and responded that they highly recommend the program to peer students. In terms of the perceived changes in personal attributes, participants showed the most positive changes in self-confidence (95.5%, intra-personal aspect) and awareness of community (98.3%, inter-personal aspect). The arts group activity was also reported to facilitat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96%, school adjustment aspect), and to enhance motivation (97.2%, vocational motivation aspects). Overall,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arts group activities for adolescents fulfil their developmental priorities, such as exploration and expression of inner-self, positive relationship with peers, and initiation of vocational motivation. Current findings provide a firm base for future school-and community-based supports to develop distinguished arts education programs and to spread diverse extracurricular arts group activities in school, fostering well-rounded development of personal traits for adolescents who are in a period of rapid growth and imbal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