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Therapeutic Use of Music for Social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utism

        Yoo, Ga eul(유가을) 한국자폐학회 2009 자폐성 장애연구 Vol.9 No.2

        이 논문에서는 자폐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증진하는 데 있어 음악이 가지는 치료적인 역할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기본 논고는 관련 정보의 수용, 제공된 정보의 정확하고 적절한 처리, 목표 행동의 수행의 세 가지 과정이 역동적으로 상호 작용함으로써 자폐 아동의 사회 행동이 이루어진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한다. 음악이 어떻게 각각의 과정을 증진시키고, 그 과정 가운데 자폐 아동이 보이는 발달 장애를 어떻게 중재하는지, 관련 문헌이 검토되었다. 많은 연구들은 음악의 치료적 활용이 (1) 타인과 세계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고, (2) 효과적으로 사회적인 정보를 전달하고, (3) 사회성을 배울 수 있는 환경을 조직하고, (4) 목표 행동이나 치료에의 참여를 강화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use of music for social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utism. Many researchers have proposed that behavioral phenotype of social communication is operated by the underlying mechanism of input, processing, and output of social information. Based on this operating mechanism, this study demonstrated how the therapeutic use of music plays an integral role in social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utism. The literature has documented that music as a mediating stimulus facilitates children with autism to attend to social information input. Furthermore, by offering direct information of the world and a partner’s intention and expectation, music lessens an attenuation of the amount of social information. Music has been substantiated to structure an environment for a social learning to promote processing of the social information. Finally, motivating these children with autism to engage in social interaction and learn social behaviors, music has been effective in eliciting desired social behaviors.

      • Emotional Response to Relaxing Music

        유가을(Yoo, Ga-eul) 한국통합치료학회 2010 통합치료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긴장 이완을 위한 음악을 감상할 때 일어나는 정서 반응 변화를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에는 음악 전공 대학생 15명과 비음악 전공 대학생 15명이 여했다. 참가자들로 음악을 듣기 전과 들은 후 인지되는 정서 상태를 이차원적인 정서 척도 (각성-졸림의 활성화 정도 척도와 유쾌- 불쾌의 정서 유인가 척도)에 표시하도록 해, 그 차이가 어떤지 살펴보았다. 전체 참가자들의 정서 반응을 살펴보았을 때, 활성화 정도 척도에서는 평균값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감소됨이 관찰되었지만, 유인가 척도에서는 그 반응 변화가 유의미한 수준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그룹간 평가 내용을 비교해보았을때, 활성화 정도 척도에 있어서는 두 그룹 모두 음악 감상 후 정서의 활성화가 감소했다고 평가했다. 즉 정서 반응에 있어 긴장 이완이 이루어졌다고 보고한 것이다. 반면 정서가 척도에서는 두 그룹이 서로 상반된 경향을 보였다. 음악 전공자 그룹의 경우 음악 감상 후 유인가 변화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비음악 전공자 그룹은 감소된 유쾌의 유인가를 보고했고 그 감소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긴장 이완을 위한 음악이 제공되었을 때 긴장 이완의 정도뿐만 아니라 유쾌-불쾌의 정서 유인가 역시 영향을 받음이 나타났다. 또한 이전 음악 경험이나 음악 교육에 따라 정서 반응이 달라질 수 있음이 관찰되어, 음악 치료를 위한 음악 선택에 있어 대상자의 다양한 특징과 환경에 대한 고려가 사전에 이루어져야함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motional response to relaxing music, using two dimensional self-rating scales: activation scale (arousal-relaxed) and valence scale (pleasant-unpleasant). The effect of musical training and experience on the difference of emotional responses was also investigated. 15 music major and 15 non-music majo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Before and after listening to relaxing music, participants rated their emotional states on two bipolar sca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pre- and post-listening ratings on the activation scal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on the valence scale. Comparison of data from music and non-music major groups indicated that both groups rated lower scores on the activation scale at post-experiment than at pre-experiment, indicating decrease in emotional arousal, relaxation. Regarding ratings on the valence scale, while music major participant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non-music majors exhibi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leasantness.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changes in the dimension of pleasantness-unpleasantness as well as levels of emotional relaxation may be affected while listening to relaxing music. Also, the effect of previous musical education and experience on emotional responses was indicated.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인 대상 대인간 동기화 과제 : 내러티브 문헌 고찰

        유가을(Yoo, Ga Eul) 한국자폐학회 2021 자폐성 장애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대상자에게 대인간 동기화 과제를 적용하여신경학적 손상이 없는 대조 그룹과 비교한 국외 실험연구를 고찰하여 과제의 영향 요인 간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13편의 연구를 내러티브 문헌 고찰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선정 논문은 대인간 동기화 과제의 속성, 수행수준 및 다른 지표와의관련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분석된 결과를 통합하여 대인간 동기화 과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관계를 도식화하였다. 연구 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인의 대인간 동기화는 대조그룹에 비해 저하된 반면, 이러한 수행수준은 적용 과제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인간 동기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은 각각 다른 기제로 과제에 영향을 미칠수 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및 임상적 측면에서 강조되는 중요성에 비해 아직체계적인 근거가 확립되지 않은 대인간 동기화에 대한 통합적 분석을 시도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literature on the interpersonal synchronization (IS) task for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ask factors. A narrative review was conducted with 13 English-written experimental studies that compared IS task performance between individuals with ASD and neurotypical individuals. The results supported impaired IS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ASD, while the level of performance depended on specific task attribu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S and other developmental measures indicated that various factors may influence IS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type of task applied. This study provided integrated insights into the multifaceted factors of the IS task with clinical implication for more diversified assessment and intervention with regard to social skills in this population.

      • KCI등재

        음악전공자와 비음악전공자 간 화음전개복잡성에 따른 감상자 정서반응 연구

        정현주 ( Hyun Ju Chong ),유가을 ( Ga Eul Yoo ),김수지 ( Soo Ji Kim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3 음악이론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음악의 화음 전개 복잡성에 따라 감상자의 정서적 반응이 활동성(activity), 평가(evaluation)와 힘(potency)의 차원에서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고자 하였다. 특히 음악 전공 집단과 비음악 전공 집단의 반응 차이에 초점을 맞추어, 음악 경험 및 교육이 화음의 복잡성에 따른 정서적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대학교의 재학생 77명을 대상으로 실험이 실시되었고, 음악 전공 집단과 비음악 전공 집단이 각각 37명, 40명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5개의 화음 전개 난이도에 맞추어 16마디로 이루어진 곡이 작곡되었다. 대상자들은 임의적 순서로 제시되는 5개의 곡을 듣고 음악으로 인해 지각되는 정서의 각성 정도, 긍정/부정적 평가 정도 및 정서의 강도를 각각의 의미변별 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에 표시하였다. 대상자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1) 정서의 활동성과 관련해, 음악 전공 집단은 화음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보다 각성된 정서를 지각한 반면, 비음악 전공 집단은 화음 전개 난이도 변화에 따른 반응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정서의 평가 차원에서는 두 집단 모두 복잡한 난이도의 음악이 제시될수록 그 음악을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차이에 있어서는 음악 전공 집단이 비음악 전공 집단에 비해 제시된 음악을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3) 마지막으로 힘의 차원에 있어서는 음악 전공 집단은 난이도가 가장 높은 음악에 대해서만 정서의 강도를 양의 값으로 평가한 반면, 비음악 전공 집단은 중간 난이도의 음악에서부터 그 강도 증가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음악 전공 집단과 비음악 전공 집단의 음악에 대한 정서적 반응에 있어 전반적으로는 유사한 경향을 보이지만, 그 반응 정도와 수준에 있어서는 서로 다름을 보여준다. 이는 과거 음악 교육이 음악 자극 혹은 음악 요소의 차이를 지각하는 민감성이나 자극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들은 정서적 각성 혹은 정서적 변화를 기대하는 음악 선택과 사용 시 음악 경험과 교육의 정도에 따라 음악적 정보를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적인 준거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isteners` responses to different levels of complexity in harmonic progression in music. A total of 77 college students, 37 music and 40 nonmusic maj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usical stimuli were composed in five different levels of harmonic progression sequentially for this study. After listening to each musical stimuli, participants rated their responses on the 11-point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that examined the dimensions of activity, evaluation, and potency of emotion. The results showed that regarding the activity variable, the music major group perceived increased emotional activity with increased complexity, and the nonmusic major group showed a similar trend but to a lesser degree. Both groups showed a decreased response in evaluation with increased complexity in harmonic progression. Music majors rated music with higher complexity more positively than did nonmusic majors. Also, in terms of potency, both groups perceived more power in the music with increased complexity of harmonic progression, but this was considerably more pronounced in the music major group. Based on the results, one can conclude that there is a similar trait in the responses of listeners in both groups; however, the music major group showed a greater degree of response than that of the nonmusic major group as the complexity in harmonic progression increased. This suggests that music training and music experiences may prime listeners to more readily perceive increased energy, power, depth, and sensitivity of emotion with increased harmonic complex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