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세기 서양 작곡가들의 한국음악: 한국 시의 음악적 재현을 중심으로

        손민경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22 음악이론연구 Vol.38 No.-

        This study deals with Western composers’ recep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ts aspects based on the intercultural exchanges of the 21st century. Despite the fact that Western composers’ use of Korean music has gradually increased, in many cases, academia has often described this phenomenon at a superficial level or viewed it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ppropriation. Therefore, the researcher sees a need to study musical works and their compositional procedure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Accordingly, the researcher carefully selected the three following works by Western composers that were inspired by Korean poetry and involves Korean instruments: A Wish to Stop the Setting Sun for Geomungo (2013) by Thomas Osborne, Closed My Dark Eyes for Ajaeng, Daegeum, Violin, and Piano (2017) by Jared Redmond, and Pulip Sori for Gayageum, Cello and Janggu (2005/06) by Heinrich Stahmer. These musical works present an advanced representation of other cultures in that the composers explore more specific Korean traditional music rather than simply representing Korea by reducing it to an oriental/Asian style. In the case of Sun, his exploration of classical Korean poetry is embodied in the expanded playing techniques of the instruments to describe the dynamic sense of the object. In Closed My Dark Eyes, focusing on the contemporary sentiment of Korean contemporary poetry, the narrator’s subtle emotions are revealed in an expressionism through the acoustic intersection between Korean and Western instruments. Pulip Sori delineates the reality of Korean poetry and dramatically depicts historical situations inherent in the poetry through cross-cultural instruments. In sum, by searching for the detailed acoustic systems and playing methods of Korean instruments, the composers endeavor to discover the local identity of Korean music. Therefore, these works reveal the new artistic potential of post-colonial aesthetics, as Western contemporary music in the 21st century closely intersect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본 연구는 21세기 글로벌 시대 동⋅서양 문화 간의 급진적인 교류 환경에서 서양 작곡가들의 한국음악 수용이 확장되는 현상을 주목하여 음악의 양상과 미적 가치를 탐구한 것이다. 그간 서양 작곡가들의 한국음악 활용에 대해 단편적인 현상처럼 기술하거나 문화 전유의 시각에서 논의되는 경우가 많았기에, 이는 현시대의 변화되는 환경 속에서 창작과 작품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을 요한다. 이에 본고는 서양 작곡가들이 한국 악기를 활용한 작품 중 한국 시에 영감을 받은 다음의 세 작품 - 미국 작곡가 토마스 오스본의 ≪거문고를 위한 ‘해를 잡아매야’≫(2013), 제레드 레드몬드의 ≪대금, 아쟁, 바이올린, 피아노를 위한 ‘캄캄한 눈을 감았네’≫(2017), 독일 작곡가 하인리히 슈타머의 ≪가야금, 첼로, 장구를 위한 ‘풀잎 소리’≫(2005/06)- 을 면밀히 고찰하였다. 세 작품은 한국을 단순히 동양풍으로 환원하여 표상하기보다 좀 더 구체적인 한국 전통음악에 대한 탐구가 있었다는 점에서 진전된 타문화 재현이 있었다. ≪해를 잡아매야≫의 경우 한국 고전시가를 탐구하여 시적 대상의 역동적인 감각을 전통악기의 확장된 주법으로 형상화하였다. ≪캄캄한 눈을 감았네≫서는 한국 현대시의 현대적 정감에 주목하여 화자의 미묘한 감정을 두 악기 간의 음향적 상호교차를 통해 표현주의의 어법으로 구현하였다. ≪풀잎 소리≫는 한국의 현실 참여시를 탐구하여 시에 내재한 역사적 상황을 이중문화적 악기를 통해 극적으로 그려내었다. 즉, 세 작곡가는 한국 전통 음향과 악기 주법에 대한 상세한 탐구를 통해 타문화의 도구적 전유가 아닌 한국 고유의 소리를 발굴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작업은 궁극적으로 21세기 서구 현대음악의 영역이 동아시아 문화에 이어 한국 전통음악과 긴밀히 호흡하며, 서구 중심적 세계관의 의식적 관행에서 벗어나 탈식민주의 미학의 새로운 예술적 가능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한스 베르너 헨체(Hans Werner Henze)의 1970년대 초반의 음악극 작곡경향 연구

        한상명 ( Sang Myung Han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1 음악이론연구 Vol.16 No.-

        독일출신의 20세기 대표적인 작곡가인 한스 베르너 헨체(Hans Werner Henze)는 1960년대 말 유럽의 정치적인 학생운동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정신세계에 변화를 갖는다. 이러한 변화는 이후 약 10년간 뚜렷하게 지속되는 자신의 작곡경향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70년부터 1976년까지 발표한 무대중심의 다섯 작품들은 전통에 기반을 두었던 그의 오페라 작곡방식을 벗어나 형식과 음악적인 내용에 있어서 실험적이었던 작곡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무대를 중요한 요소로 사용하는 협주곡형태의 첫 세 곡은 소규모이면서 각각 음악과 극의 다양한 조합을 실험했다. 반면 이보다는 대규모로 구성한 마지막 두 곡은 가수들과 악기연주자들이 모두 무대 위에서 각각의 기능을 조화하게 하여 기존의 오페라 유형을 탈피했다. 이 시기의 실험성을 《나타샤 웅게호이어의 집으로 가는 고된 길》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작품은 한 사람의 가수를 비롯한 17명의 연주자를 위한 협주곡적인 음악극의 예로 무엇보다 극의 상징적인 의미와 음악의 연결을 강조하여 새로운 형태의 소규모 극음악 창작을 시도한 것이다. 아울러 이 곡의 정치적인 내용은 이 당시 강조되었던 헨체의 변화된 음악철학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헨체의 이 시기의 이러한 시도는 이후의 음악극 작곡방향으로 직접 연결되지 않은 이 시기만의 특정한 경향이었다는 것뿐만 아니라 그의 전체 창작 시기에서 가장 극단적이었다는 점에서도 특징적이며 또한 20세기에 시도되었던 새로운 극음악의 형태연구의미에도 충분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Hans Werner Henze, one of the representative German composers in the twentieth century, goes through the changes in his world of spirit by having interested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political student movement of Europe at the end of 1960`s. This had greatly influenced and altered his composition tendency which clearly continued for more than 10 years from then on. Five stage-based works released from 1970 to 1976 show experimental compositional tendencies in the form and musical contents by moving aways from his operatic compositional method based on traditional convention. The first three works in a form of concerto using the Stage as an important element have experimented various associations of "music" and "theater" while being on a small scale.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two works in larger scale have escaped from the existing form of opera by having the singers and instrument players reconcile both functions on the stage. This paper focuses on the experimental elements of this period reflected in "The Tedious Way to the Place of Natascha Ungeheuer" by Hanze. This is an example of music theatre in concerto form for a singer and seventeen playes which emphsiz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symbolic meaning of Drama and music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performers and theatrical role of music in order to attempt a new form of small scale theater music. Moreover, the political details of this music skillfully shows the changed musical philosophy of Henze that was emphasized during this period. Such an attempt of Henze during this time is distinctive not only from the fact that it was the specific tendency only for this time period that wa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position method of music theater afterwards, but also from the fact that it was most extreme from his entire period of creative work and also provides enough basis for researching the form of new music theatre that was attempted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 KCI등재

        음악생태학(ecomusicology)의 개념과 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손민정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7 음악이론연구 Vol.29 No.-

        This study examines how we can realize 'sustainable music and music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music education curriculum of South Korea. First of all, it deals with the concept of ecomusicology, beginning with an investigation of soundscape that was one of the first ecomusicological attempt developed by a Canadian contemporary composer, Murray R. Schafer in the 1960s. Then, it extends to investigate the most current concept, ecocriticism of musicology, that Aaron Allen developed. Second, it deals with the Korean musicological concept of ecomusicology formulated around 2000 by several contemporary composers who wished to create a new Korean national music, called 'Minjok umak.' In the second part, this paper examines the educational practice of ecomusicology, focusing on two exemplary Korean studies that utilized interdisciplinary pedagogy and soundcape. Lastly, this paper tries to find a possibility to materialize ecomusicology as ecocriticism of musicology in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dopting 'multi-literacy' and 'second-order observation.' This apperoach was suggested by a Canadian ecomusicologist, Michael MacDonal in order to develop ecomusicology as a criticacl pedagogy. 음악의 지속가능성을 논함에 있어 중추적인 분야라 할 수 있는 음악생태학의 개념 및 교육적 실제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때, 음악의 지속가능성은 음악의 경쟁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생태학 담론에서 다루고 있는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의 개념을 말한다. 즉, ‘미래의 가능성을 저해하지 않고서도 현재의 요구에 충족시킬 수 있는 개발’이며, ‘생태의 생산성이나 다양성이 보존될 수 있는 능력’이다. 개념에 있어서는, 1960년대 캐나다 현대음악 작곡가 셰이퍼가 주창했던 ‘사운드 스케이프’에서 시작하여, 음악생태학자 앨런의 정의에 이르기까지 역사적으로 살펴보며, 국내에서 이루어졌던 민족음악연구회의 담론 역시 분석한다. 음악생태학의 교육학적 적용에 관해서는, 이인화와 김서경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본 후, 캐나다 음악생태학자 맥도날드의 최근 연구에서 사용된 이차원적 관찰 및 멀티 문해력을 2015개정 음악교육과정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논의한다. 이는 결국 환경비평으로서의 음악학이 비판적 교육(critical pedagogy)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독일에서 진행 중인 디지털 시대의 음악 논쟁

        신혜수 ( Hyesu Shin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6 음악이론연구 Vol.26 No.-

        본고에서는 2010년 독일에서 진행되기 시작한 디지털 시대의 음악에 대한 논쟁을 소개한다. 논쟁의 중심에는 철학자 레만과 작곡가 크라이들러, 그리고 작곡가이자 음악학자인 만코프가 있다. 디지털 혁명이후 음악이 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레만의 견해에 디지털 세대인 크라이들러는 동의하지만 1960-70년대 작곡가로 성장한 만코프는 격렬하게 반대한다. 먼저 이들 각자의 입장을 소개하여 이들의 견해가 크게 두 진영으로 나뉘는 지점을 알아본다. 이후 신음악, 음악재료의 진보, 음악 내적 구조 및 음악의 민주화 등의 개념을 살펴보면서 각 진영의 주장에 좀 더 깊이 접근해 보고자 한다. 끝으로 디지털 혁명으로 인해 목격되는 현상들을 기준으로 두 진영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디지털 시대의 음악에 대한 상이한 견해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디지털 혁명이 음악에 미친 영향은 뉴 미디어, 샘플링, 알고리즘 작곡 등을 포함하며 기계가 예술 또는 음악을 창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으로 귀결된다. 과학 기술 분야의 현 동향은 인공지능의 창의력을 향하고 있지만 아직은 디지털 시대의 음악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에 보편적인 동의를 얻을만한 답안을 제시할 수 있는 시점은 아니다. 따라서 본고의 목적은 두 진영이 추구하고 옹호하는 음악 중 어떠한 음악이 좀 더 미래의 음악에 가까운 입장이라고 옹호하는 데 있지 않고 아직 진행 중에 있는 독일에서의 논쟁을 계기로 우리 시대의 음악에 대해 생각해보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있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current debate in the philosophy of music which took place 2010 between Harry Lehmann (philosopher), Johannes Kreidler (composer) and Claus-Steffen Mahnkopf (composer and musicologist) on music after the digital revolution. First, the positions of the debaters are presented. After that terms like new music, material progress, internal structure, democratization of music are examined in order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spective positions of each debaters. Finally, the debate was commented on referring to current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computer technology. The debate on the impact of the digital revolution on music, involving technologies such as new media, sampling and algorithmic composition, amounts to the question of whether machines could be capable of making art and music. The trend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e that computational creativity could become the definitive technology of 21th century. But still, we can not say how the future will look like. Music written and played by humans for humans could still exist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not to decide which party is right or wrong. Rather, it takes the dispute a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music of our time.

      • KCI등재

        두 개의 뿌리, 천 개의 가지: 음악극 《적로》(2017)의 문화 정체성에 관한 논의

        강지영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8 음악이론연구 Vol.30 No.-

        세계화와 혼합 문화의 시대, 예술 작품의 정체성은 단일하지 않고 복합적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은 작곡가 최우정(b. 1968)의 음악극 《적로》(2017)를 대상으로, 작품에 드러나는 문화의 접변 현상과 혼종성에 관한 연구이다. 논문의 첫 부분은 ‘음악극’으로서 《적로》의 장르적 특성을 다루었다. 음악적 모티브들을 서사 구조와 전개에 연결함으로써 음악과 극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였고, 다양한 장르적 실험이 가능한 열린 형식으로서 우리 시대 음악극의 모습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해석하였다. 논문의 두 번째 부분은 한국음악과 서구음악, 예술음악과 대중음악 등 이 작품의 두 개의 음악적 뿌리가 만들어내고 있는, 서로 분리 가능하나 연결되어 있는 “절합”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관계를 바탕으로 한국의 ‘전통’음악과 서구의 음악적 ‘전통’은 보존과 폐기가 아닌, 새로운 가능성을 얻는다. 마지막은 《적로》의 ‘혼종적’ 문화 정체성에 관한 부분이다. 이 작품의 두 개의 음악적 뿌리는 그 자체로 이미 혼종적일 뿐 아니라 분산된 관점과 다양한 전략으로 천 개의 가지로 뻗어 나간다.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hybrid culture, the identity of a musical work was not constructed in a homogeneous but complex way. This paper is about a music theatre A Song of Dew Drops of the composer Uzong Choi(b. 1968), particularly focused on the aspects of cultural overlap and hybridity in this work. The first part of this thesis deals with the property as the genre ‘music theatre’ in 《A Song of Dew Drops》. The second part seeks to explain two relationships which can be the two major roots in this work, namely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european music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music and classical music, especially with the term “articulation” after Stuart Hall(1932-2014). The last part deals with the hybrid cultural identity of this work. Two musical cultural roots are not only already mixed and hybrid, but also grow into the thousands of branches with dispersive aspects and different strategies.

      • KCI등재

        다문화음악교육에 대한 음악인류학적 단상

        김성혜 ( Sung Hye Kim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1 음악이론연구 Vol.16 No.-

        이 글은 음악인류학적 관점에서 다문화 음악교육을 고찰함으로써 다문화 음악교육이 낯선 ``음향``과 ``소리구조``에 대한 이해가 아니라 ``역사``와 ``문화``로서의 이해로 확대되어야 하는 이론적 근거들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 교육현장에서 다문화 음악교육은 다문화 음악에 대한 지식 전달과 체험이 주를 이루고 있어 실질적으로 다문화 음악교육을 통해 타문화를 존중하고 이해하는 다문화적 이해를 이끌어내는데 제약이 있다. 이런 점에서 각 문화의 고유한 가치와 취향을 인정하는 다원주의적 관점과 탈식민적 사고를 확립하고 실천할 수 있는 교육으로서 다문화 음악교육의 가능성을 전망해보고자 한다. 미국 내 멕시코 이민사회와 흑인사회가 만들어낸 음악문화를 통해 다문화 음악교육이 ``문화로서의 음악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탈식민성 배양``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아 성찰과 타문화에 대한 존중과 이해는 음악 향유와 생산에서 다원주의적 가치와 판단을 가능케 하여 음악활동과 개념에서의 탈식민을 이끌어낼 것이라 생각한다. On ethnomusicological grounds, this paper would like to examine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is paper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provides an outline of the theoretical issues of this paper. The main role of the first part is to explore how ethnomusicologists have discoursed music education and why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understanding ``history`` and ``culture`` as well as the unfamiliar ``sound`` and ``structure.`` Concentrating on the Mexican immigrant and African American communities in the U. S., the second part will discuss how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deconstructing the dualism between the Western(modern) and non-Western(traditional) cultures. Self-reflec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will demonstrate the way to decolonize the past and present of our music culture.

      • KCI등재

        음악적 통사론을 위하여: 음악적 발화에서 나타나는 재귀적 구조와 대칭 관계 연구

        조현리 ( Cho Hyunree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6 음악이론연구 Vol.27 No.-

        이 논문은 재귀성과 대칭성을 토대 개념으로 하는 새로운 음악적 통사론을 제안한다. 일련의 재귀적인 비대칭적 병합 작용을 통해 음악적 구조가 생성되는 방식과, 음들 사이의 비대칭성, 혹은 위계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끼치는 다양하고 때로 상충하는 요인들이 논의될 것이다. 한편, 그러한 비대칭적 관계와 공존하는 대칭적 관계에 대한 탐구와 양자의 역동적 상관성에 대한 성찰도 이루어질 것이다. 필자는 최근 언어학의 최소주의 통사론과 조성음악이론 사이의 접점들에 주목하며, 특히 쉥커 이론이 제공하는 다양한 통찰들을 통사론적 시각으로 재편하는 작업을 통해 음악이론적 담론의대상이었던 음악적 관계들을 인문학적 맥락에서 새롭게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영향력 있는 음악통사론 이론인 레르달과 자켄도프의 조성음악 생성이론에 대한 재고와 함께 그들의 영향을 받은 인접학문의 학자들이 제시하는 음악통사론의 문제점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질 것이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musical syntax in which the foundational concept is recursion and symmetry. It shows how musical structures are generated through a series of recursive asymmetrical merges, and discusses diverse and sometimes mutually incompatible factors that help to determine the asymmetry or hierarchy between musical objects. It also delves into symmetrical relations that coexist with asymmetrical relations in music, and the dynamic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kind of musical relations. The paper seizes upon the intersections between the minimalist syntax of current linguistics and tonal theory. Especially through the effort to reimagine various Schenkerian insights from the perspectives of syntax, it seeks to understand musical relationships that have been so far almost exclusively the object of music-theoretical discourses,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the humanities. While giving a fresh look at Lerdahl and Jackendoff`s influential theory of tonal syntax, this paper also deals with problems of some recent syntactic theories of music influenced by their theory, especially of those presented by scholars outside music theory.

      • KCI등재

        21세기 윤리와 음악이론: 체계와 분석

        조현리 ( Cho Hyunree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21 음악이론연구 Vol.37 No.-

        이 논문의 목적은 21세기의 윤리적 환경과 음악이론적 실천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다. 음악이론은 음악적 체계의 구축과 음악 분석에 몰두하는 학문 분야로서 윤리적 의미를 비롯한 소위 음악외적 의미와 거리를 취해 왔고, 이러한 학문적 경향은 현재의 윤리적 환경에서 강조되는 타자 중심의 윤리와 충돌을 일으킨다. 음악이론적 체계를 일반화하는 일은 여전히 차이의 배제를 수반하는 행위이며, 음악분석 담론은 특정한 편향적 원리나 방법론의 우위를 유지하고 있다. 솅커이론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최근의 비판적 논의에 주목하면서, 이 논문은 레비나스의 타자 윤리, 스피박의 서발턴 연구와 음악이론을 대면시킴으로써 체계의 구축과 음악분석이라는 음악이론적 실천을 위한 구체적인 윤리적 지향을 마련하고 자 한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음악이론이 다양한 음악이론적 타자와의 만남과 상호배려를 통해 타자 윤리를 실현할 수 있는 담론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the ethical environment of the 21st-century and music-theoretical practices. Music theory, as a discipline largely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musical system and music analysis, has kept its distance from so-called extramusical meanings, of which ethical meanings are a part. Such tendency conflicts with the present ethical environment that emphasizes the ethics of otherness. Music theory’s generalization of music-theoretical systems still entails the exclusion of difference, and music-analytical discourses continue to maintain the primacy of a particular, and biased, principle or methodology. Focusing on the recent critiques of Schenkerian theory, and drawing on Levinas’s ethics of otherness and Spivak’s subaltern studies, this paper seeks to provide a more concrete ethical direction for music-theoretical practices. Ultimately, this paper argues music theory can become a discourse where the ethics of otherness can be realized through its enhanced encounter and interaction with various musictheoretical others.

      • KCI등재

        1800년경 독일어권 음악담론과 칸트의 주관화된 숭고개념

        허효정 ( Huh Hyo Jung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21 음악이론연구 Vol.37 No.-

        본고는 1800년 경 독일어권 음악담론이『판단력 비판』으로 구체화된 칸트의 숭고이론을 흡수하여 ‘음악적 숭고’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도출한 사유의 과정을 추적하고 분석한다. 숭고를 ‘대상이 지닌 특성’으로 보았던 기존의 관점과 달리, 칸트는 숭고를 ‘주체의 정신 안에서 일어나는 작용’으로 본다. 칸트의 숭고개념을 예술에 적용하고자 한 당대 이론가들에게, 칸트의 이런 관점은 풀기 어려운 숙제를 던졌다. 숭고를 ‘주체’의 정신 안에서 일어나는 작용으로 보는 칸트의 이론과 달리, 예술이론에서의 숭고란 특정한 작품이라는 ‘대상’이 지닌 특질이었기 때문이다(2장). 본고는 이것이 당대 음악적 숭고에 대한 담론에도 혼선을 야기한 것으로 보고, 코흐의 ‘숭고’ 항목을 통해 당대 음악적 숭고담론이 어떠한 논리적인 난관을 마주대하고 있었는지를 분석한다(3장). 다음으로 미카엘리스의 논의를 통해 당대의 지성이 이 난관을 어떻게 극복하였는지를 살피고, 그것이 음악비평에 남긴 결과를 살핀다. 미카엘리스는 ‘주체’의 정신 안에서 일어나는 숭고와 구체적인 음악적 특성이라는 ‘대상’ 사이에 ‘상상력의 확장과 실패’라는 매개를 넣는다(4장). 이를 통하여 ‘상상력의 확장과 실패’를 일으키는 음악적인 요소들이 음악적 숭고의 조건으로 부상하게 되며, 이것은 독일어권 음악계에서 기악음악을 중심으로 한 ‘클래식 음악의 이상(理想)’에 미학적인 정당성을 제공하는 결과를 낳는다(5장). This paper traces and analyzes the process of thinking that drew a new concept of ‘musical sublime’ by absorbing Kant’s sublime theory, which was embodied in the Critique of Judgment, in German-speaking music discourse around 1800. Contrary to the existing view that saw the sublime as ‘the characteristic of an object’, Kant sees the sublime as ‘acting within the mind of the subject’. For contemporary theorists who tried to apply Kant’s concept of the sublime to art, this view of Kant poses a difficult task to solve. This is because, unlike Kant’s theory, which sees the sublime as an action occurring within the mind of the ‘subject’, the sublime in art theory is a characteristic of the ‘object’ of a specific work (Chapter 2). This paper sees this as causing confusion in the discourse on the musical sublime at the time, and analyzes what logical difficulties the contemporary discourse on the musical sublime faced through Koch’s ‘sublime’ entry (Chapter 3). Next, through the discussion of Michaelis, the paper examines how the intellect of the time overcame this difficulty, and the results it left behind in music criticism. Michaelis inserts the mediation of ‘expansion and failure of imagination’ between the subjective sublime and the objective musical characteristics(Chapter 4). Through this, musical elements that cause ‘expansion and failure of imagination’ emerge as a condition of the musical sublime, which provides aesthetic justification for the ‘ideal of classical music’ centered on instrumental music in the German-speaking world(Chapter 5).

      • KCI등재

        음악현상의 공간성에 대한 연구

        전지호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1992 음악이론연구 Vol.1 No.-

        A study on the spatiality of music phenomena may be the study on the musical space. From comparatively recent times, scholars have concerned themselves with the study on the musical space. So they have different opinions from each other yet. One of the main reasons which makes their opinions differen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cepts of space. There are two main concepts of space: one is absolute and the other relative. The former is the concept of the absolute space, that is which thinks of the existence of the absolute space as the material substance, the latter is which thinks space as the system of the relations in which the non-distributable essences, namely the "monads" exist. However, there can be another concepts of space: outer space and inner space. The former is the space which exists outside of the ego, and the latter is the space which is percepted by the ego and is formed in the consciousness of the ego with specific order. And one of the reason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tudy on the spatiality of music phonomena is the fact that the word "music" is used in so various meanings. So the observation on the concept of music phenomenon is needed. Joseph Smith says that phenomena are not only those things that are to be found in nature or in physical fact but the bodily essence of things as they manifest themselves to human consciousness in perception. And the author quoted Roman Ingarden's seperation of musical works from the musical performance to deduce the concept of music phenomenon from it. Ingarden says musical work is created by the creative work of the composer and when it is played by a performer, the intersubjective essence of the work is revealed by the listener, and the musical work exists as a pure intentional object of specific kind with the intersubjective essence. So the author asserts that the music phenomenon is that which reveals itself in the inner space as a whole with intersubjective essence intentionally constituted by the order of the listener's inner space when the musical work is played by the performer. So the musical space is a sort of inner space in which the music phenomenon reveals itself as a whole with the intersubjective essence. The author chose the line which constitutes the musical space to speak of the spatiality of music phenomenon. And he showed that the constitutional elements of the musical space are those of music phenomenon and they are the qualities of tones, and said that the constitutional axes of the musical space are the ideal lines which present the amounts of the qualities of tones. And he presented an n-dimensional space which is a sort of the inner space as a model of the musical space. And he also pointed that the musical space as an n-dimensional inner space can be a topological space provided that some pertinent neighborhood as the common part of the orders of the inner space could be found. He also said that there should be the inconsistency in describing the musical space with the terms of the ordinary space because the terms of musical space are not yet established. As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the author concluded that the musical space is an n-dimensional inner space in which the musical phenomenon as an intentional object reveals itself as a whole with the intersubjective essences, and this musical space has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topological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