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와바타 야스나리(천단강성(川端康成))의 무용소설 고찰 : 무용을 통한 순수의 추구와 비애의 승화

        정향재 한국일어일문학회 1998 日語日文學硏究 Vol.32 No.1

        川端の作品中に舞姬や舞踊家を登場人物とし, 舞踊をテ-マとした作品が數多く見られる. そういった舞踊關連の作品に表われる川端の舞踊についての定義や, $lt;舞踊小說$gt;といった用語の規定にもとづき, 舞踊と舞姬の生活や哀歡などが描かれている作品を考察した. 川端の舞踊及び踊り子·舞姬を素材にした作品は「伊豆の踊子」(1926)をその出發点と見ることができる. その流れを淺草の地域性と娛樂舞踊の踊子の生活を扱った$lt;淺草物$gt;で受けついだのち, 1930年代に入っては本格的なクラシック舞踊と舞姬を素材にした舞踊小說を書くようになる. 川端が舞踊を小說に取り入れたのは, 「舞踊は女の美しさの極まりであり, 舞踊家はもっとも美しく生きる人だ」(『舞姬の曆』)という舞踊觀によるものであるといえる. 本稿で考察對象とした舞踊小說には川端の舞踊觀の反映が見られ, 舞姬達の舞踊への執念と舞台裏の生活と變や哀歡などがよく表れている. 舞踊小說を通して川端の追求したものは純粹さであったといえるが, それは舞姬の人物造型を通した肉體的な純粹さと, 舞姬に要求される精神的な純粹さとに分けて考えることができる. 舞踊小說での少女の登場は川端の「少女の肉體は純粹であり, 純粹な肉體の美しい舞踊は感動の泉である」(「純粹の聲」)という舞踊觀によるものであり, 川端は舞踊を通して肉體から感じられる純粹の美を求めていたのである. 舞踊小說では肉體的な純粹さだけでなく, 精神的な純粹さも共に强調されている. 藝人として舞踊以外のことはすべて犧牲にし, 舞踊のため獻身する精神的な純粹さを要求しているのである. 結局, 川端が求めていた純粹さは肉體的な要素と精神的な要素が調和しをものであったといえよう. そういった舞踊が舞姬たちにはどういう意味なのかについて考えてみた. 舞踊小說での舞踊は舞姬の悲哀を昇華させるものとして考えることができる. 舞踊小說で舞姬のほとんどが悲しい人生を生きている人物として描かれている. そのうえ, 藝術家として犧牲と獻身が要求されるため, 藝術と現實の間で惱むようになり, 舞姬たちの悲哀は一層深まっていく. このういった舞姬におけるの藝術(舞踊)とは, 自分の內面の悲しみと悲哀を昇華するものであった. 舞台に立って職る時, 舞踊以外の要素はすべて消え表り, 眞の自身になれたのを舞姬自らが氣づくのである. 悲哀を昇華して表現された舞踊は見る人や舞姬自分にも喜びや悲しみ, 時には救いと淨化の感情が生じ, 舞踊を精神的な要素を獲得した藝術として表現することになる. 川端における舞踊小說は『見ない人』(1952)を最後にしてその流れは立ち切られる. しかし, 舞踊を通した美の追求や人生の悲哀を藝術として昇華させている点は, 美や人生の問題を描している川端文學の特徵を表わしている作品群であるといえる. そこで, 舞踊小說は初·中期の川端文學の理解や, 藝術觀などが把握できる重要な意義をもっているといえよう.

      • KCI등재

        일본현대문학에 있어서의 ‘패전’ ― 패전문학에 나타난 일본인의 의식변화를 중심으로 ―

        정향재 한국일본근대학회 201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4

        본 연구는 일본이 패전을 맞이하면서 맞게되는 ‘전후문학’의 이전 단계로서 ‘패전기’를 상정하고, 문학자들의 ‘패전’에 대한 수용과 정리과정을 작품을 통하여 살펴봄을 그 목적으로 삼았다.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패전 직후의 충격으로 ‘고전회기’를 선언하고 이후 일본의 전통미를 그리는 작품에 치중하게 된다. 가와바타에게 있어서 패전은 충격으로 끝나지 않고 문학의 방향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으며 말기에 이르기까지 문학의 저류에 자리잡은 배경이었다. 요코미츠 리이치는 소개지에서 패전을 맞은 후의 일상을 「밤의 구두」에서 적고 있는데, 그의 패전수용은 현실에 대한 회피를 거친 후, 농민과의 접촉을 통한 인간성 회복, 그리고 문학에 되한 신뢰 회복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었다. 시가 나오야는 「잿빛 달」에서 패전 후의 사회상황을 적나라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나’의 시각을 통하여 패전후의 상황에서 이러지도 저리지도 못하는 지식인의 정신세계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다자이 오사무는 「겨울 불꽃」에서 전쟁 후 패전으로 인하여 절대적으로 변치말아야 할 가치가 허물어진 것에 대한 절망감을 생생하게 토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작가와 작품은 어느 것이나 종전(終戦)과는 다른 ‘패전’이라는 것에 대한 충격을 고스란히 담고 있고, 전후에 전개되는 문학의 출발선의 시기에 나타나는 문학이기 때문에 <패전기 문학>이라고 지칭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study defines the period in Japanese literature before ‘post-war period’ as a period of ‘defeated war,’ in which Japan lost the World War II, and it aims to examine the literature in this period in order to understand how Japanese literati recognized and accepted the lost battle. Kawabata Yasnari,’ shocked in the aftermath of defeat in the war, declared a ‘return to classics,’ focusing on literature that depicts traditional beauty in Japan. For Kawabata, the defeat in war went beyond a mere shock but served as a chance to change the trend of literature as well as a background and foundation of literature. Yokomitsu Reitsi described the days after the lost battle in Shoes in the night. His acceptance of the defeated war first goes through denial of reality, and then depicts the process of restoring humanity via contact with people in rural community and restoring trust toward literature. Shiga Naoya, in his work Grey Moon, fully describes the situation in the Japanese society after the lost war and depicts how Japanese intellects felt after the war, not knowing what to do in such turbulent times. In his work Winter Flames, Dajai Osamu clearly describes how devastating it was to see all the essential values that must not change have collapsed in the aftermath of the defeated war. The literature works and their authors examined in this study commonly reflect the shock of ‘defeated war,’ not just the ‘end of war,’ and they were at the beginning of the post-war literature, which is why they can be called ‘the literature of the lost war period.’

      • KCI등재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지고 말 것을(散りぬるを)」론 -사건의 기록과 진술, "합작" 이라는 소설쓰기-

        정향재 한국일본근대학회 2014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5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1920년대 후반부터 30년대 중반까지에 걸쳐 범죄를 소재로 한 소설을 창작하고 있다. 「지고 말것을」은 실제 살인사건의 기록을 전거로 삼고 있다. 이 작품은 하나의 사건에 대해 범인을 찾아가는 이른바 ‘범인 찾기’가 목적이 아니라, 사건에 얽힌 동기 즉, 사건에 내재된 이야기에 초점이 맞추어져있다. 소설가 ‘나’는 남아있는 재판기록을 통해 피해자인 두 소녀, 동기도 확실치 않은 살인자 야마베의 심리를 더듬어 봄으로써 사건 기록이 실은 사실과는 동떨어진 주위의 개입에 의한 ‘소설’이라고 생각하고, 그 때 야마베의 진술에 개입한 경찰, 검사, 재판관 등도 또한 작가라고 결론을 내리게 된다. 즉, 살인기록은 야마베의 진술에 재판에 관여한 사람들에 의한 ‘합작소설’이었던 것이다. 살인기록을 ‘합작소설’로 본 ‘나’는 자신의 소설의 방법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고, 이 역시 나 한 사람에 의한 소설이 아님을 자각하게 된다. Kawabata Yasunari wrote novels on crimes from the late 1920s to the mid 1930s. Something that should especially be focused on is the fact that, in some crime novels, actual records of that case were used as a background. In the case of Tirinuruo, real records on the murder case were used as a source. Tirinuruo is not a story that focuses on finding the culprit in a crime, or ‘searching for a culprit’, but rather on the motive involved in the case, or in other words, the story inherent in the crime. The novelist ‘I’ supposes that, through the trial records judged as a truth, both memories and records on the murder may compose the collaborative novel by tracing the mentality of two girls who died without knowing anything and Yamabe who murdered without a clear motive.

      • KCI등재

        가와바타의 전시(戰時) 손바닥소설 —여성의 일상을 통해 드러난 전쟁에 대한 시각—

        정향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日本硏究 Vol.0 No.75

        This researcher intended to consider characteristics of Kawabata Yasunari’s 6 wartime tenohirano-syousetsu and Kawabata’s attitude for war system. Wartime tenohirano-syousetsu group takes woman living in wartime as heroine and draws various appearances of storng life. Kawabata said ‘he refused and cooperated to some degree with Japanese wartime for himself’ The time of the work is wartime when is current time of when it was created. In the work, there are farewell of people who are in war place and attitude of women guarding the rear. And, it shows territory recognition for Japan during the wartime . The recognition of realities is rightly the view of wartime Japan. In the novel, there is neither man who acts actively nor battle scene. And, it doesn’t include the contents leading war, so it may not to cooperate with war system. However, the expression of woman who keeps home and enjoys daily life with Japanese sense of territory, wish for war place, etc. may reform sufficiently and console national people. From this standpoint, wartime tenohirano-syousetsu group includes cooperative contents with wartime to some degree beyond the authenticity. 川端康成の戦争中の掌の小説六編を対象に作品の特徴および、川端の戦時体制に対する姿勢の考察を試してみた。 これら作品群は、すべて戦時を生きる女性の強い生き方が描かれていることろに共通点がある。創作技法や内容の面では、主に女性の感性を重んじる感傷的なところが多く、川端の従来の文学創作の領域からはみ出ていないといえる。 川端は自ら、日本の戦時体制に<ある程度は拒否を、ある程度は協力をしてきた>と言っていた。実際の作品はどうなのか。作品の時間的背景が戦時というのは言うまでもない設定である。また、各作品に現れた登場人物の戦場に行っている人物に対する祈り、念願、銃後の女性の生活のあり方が描かれている。そして、戦時の日本に対する現実認識(広い日本、今の日本―満州と南洋がつながっている)もみられる。 作品の中には、何かを積極的に行動する男性が登場しないし、戦争を扇動する内容も含まれてないので、戦時体制に直接協力しているとはいえない。しかし、戦時の銃後で家庭を守りながら日常生活を営んでいる女性のあり方を描いている、十分に教化的で、慰めを与えている作品として見てもいいだろう。 こういう観点から見れば、戦時に書かれた掌の小説は積極的だといえないが、戦時体制に協力的なところがある作品群だといえよう。これは川端のいう、<ある程度の協力>があてはまるところではないかと思わらる。

      • KCI등재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지고 말 것을(散りぬるを)」론 - 사건의 기록과 진술, ‘합작’ 이라는 소설쓰기 -

        정향재 한국일본근대학회 2014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5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1920년대 후반부터 30년대 중반까지에 걸쳐 범죄를 소재로 한 소설을 창작하고 있다. 「지고 말 것을」은 실제 살인사건의 기록을 전거로 삼고 있다. 이 작품은 하나의 사건에 대해 범인을 찾아가는 이른바 ‘범인 찾기’가 목적이 아니라, 사건에 얽힌 동 기 즉, 사건에 내재된 이야기에 초점이 맞추어져있다. 소설가 ‘나’는 남아있는 재판기록을 통해 피해자 인 두 소녀, 동기도 확실치 않은 살인자 야마베의 심리를 더듬어 봄으로써 사건 기록이 실은 사실과는 동떨어진 주위의 개입에 의한 ‘소설’이라고 생각하고, 그 때 야마베의 진술에 개입한 경찰, 검사, 재판 관 등도 또한 작가라고 결론을 내리게 된다. 즉, 살인기록은 야마베의 진술에 재판에 관여한 사람들에 의한 ‘합작소설’이었던 것이다. 살인기록을 ‘합작소설’로 본 ‘나’는 자신의 소설의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고, 이 역시 나 한 사람에 의한 소설이 아님을 자각하게 된다. Kawabata Yasunari wrote novels on crimes from the late 1920s to the mid 1930s. Something that should especially be focused on is the fact that, in some crime novels, actual records of that case were used as a background. In the case of Tirinuruo, real records on the murder case were used as a source. Tirinuruo is not a story that focuses on finding the culprit in a crime, or ‘searching for a culprit’, but rather on the motive involved in the case, or in other words, the story inherent in the crime. The novelist ‘I’ supposes that, through the trial records judged as a truth, both memories and records on the murder may compose the collaborative novel by tracing the mentality of two girls who died without knowing anything and Yamabe who murdered without a clear motive.

      • KCI등재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패전기 <손바닥 소설> 고찰 - 패전관련 작품을 중심으로 -

        정향재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5 비교일본학 Vol.35 No.-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패전기 손바닥 소설 중, 패전의 상황, 작가의 패전에 대한 의식이 함축된 네 작품을 고찰했다. 가와바타의 전후는 패전의 충격을 토로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애수」 등). 이러한 패전에 대한 ‘부(負)’적 감정은 여러 가지 모습으로 드러난다. 「50전 은화」에서는 전쟁 이전의 생활과 패전 이후의 상황을 대비시키며, 전쟁 이전에 대한 그리움, 살아남은 생명의 소중함을 그려내었다. 「나뭇잎 배」에서는 전쟁이 끝났으나 약혼자가 돌아오지 않는 아키코를 중심으로 아키코에게 있어서 전쟁은 무엇이었는가. 상식보다 특수한 상황이 통용되었던 것은 전쟁의 감상(感傷)이었을까하고 생각한다. 「산다화」에서는 전쟁이 끝나자 갑자기 늘어난 임신과 출산으로 패전이기는 했지만 전쟁이 끝났음이 일반인에게 주는 평온함, 일상으로의 회복, 그리고 평화에 대한 갈구가 드러난 작품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목줄」은 이미 일상으로 돌아온 주인공의 개에 얽힌 가정 내의 일상사를 그려내면서, 결말에서 다음에 있을 전쟁에 대한 공포를 생생하게 드러내고 있었다. 이러한 작품들을 살펴보았을 때, 가와바타에게 있어서 패전기 손바닥 소설은 패전의 충격에서 일상을 회복해 가는 과정을 그려내고 있으며, 그 안에는 가와바타 문학의 과거, 현재가 회상되었고, 「무희」와의 연관성을 통해 후기 작품으로의 영향도 지적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about the four works which belong to the Japanese lost war period among the Kawabata Yasunari's tenohirano-shosetus, the literary properties and the influential relations to the author's later works are examined. In Silver coin of 50-sen, the lives before and after the war being compared, the nostalgia for the lives before the war and the preciousness of the survived lives are depicted, illuminating the desires of Me and Mother for the objects. In A bamboo-leaf boat, Akiko who was engaged in the war time thinks that it might be by the emotion by the war that she dared to dream to marry even as her being a lamed in the reality of her fiance not coming back home. In Camelia, the society is pictured that was back to the secure daily lives with suddenly increasing pregnancies and births after the end of the war. A collar is describing vividly the fear of the main character, being assumed the author himself who had already back to his daily life, of the possible next war. Examining these works, the tenohirano-shosetus by Kawabata are calmy depicting the course of recovering the daily lives from the shocks of the war-lost in which the past of the Kawabata's literature is reminded and the moment quietly appears. Also, it was possible in this paper to note the influences on the author's later works from the relations with A Dancer, one of the works at the same phase.

      • KCI등재

        일본현대문학에 있어서의 "패전" -패전문학에 나타난 일본인의 의식변화를 중심으로-

        정향재 한국일본근대학회 201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4

        본 연구는 일본이 패전을 맞이하면서 맞게되는 ``전후문학``의 이전 단계로서 ``패전기``를 상정하고, 문학자들의 ``패전``에 대한 수용과 정리과정을 작품을 통하여 살펴봄을 그 목적으로 삼았다.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패전 직후의 충격으로 ``고전회기``를 선언하고 이후 일본의 전통미를 그리는 작품에 치중하게 된다. 가와바타에게 있어서 패전은 충격으로 끝나지 않고 문학의 방향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으며 말기에 이르기까지 문학의 저류에 자리잡은 배경이었다. 요코미츠 리이치는 소개지에서 패전을 맞은 후의 일상을 「밤의 구두」에서 적고 있는데, 그의 패전수용은 현실에 대한 회피를 거친 후, 농민과의 접촉을 통한 인간성 회복, 그리고 문학에 되한 신뢰 회복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었다. 시가 나오야는 「잿빛 달」에서 패전 후의 사회상황을 적나라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나``의 시각을 통하여 패전후의 상황에서 이러지도 저리지도 못하는 지식인의 정신세계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다자이 오사무는 「겨울 불꽃」에서 전쟁 후 패전으로 인하여 절대적으로 변치말아야 할 가치가 허물어진 것에 대한 절망감을 생생하게 토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작가와 작품은 어느 것이나 종전(終戰)과는 다른 ``패전``이라는 것에 대한 충격을 고스란히 담고 있고, 전후에 전개되는 문학의 출발선의 시기에 나타나는 문학이기 때문에 <패전기 문학>이라고 지칭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study defines the period in Japanese literature before ``post-war period`` as a period of ``defeated war,`` in which Japan lost the World War II, and it aims to examine the literature in this period in order to understand how Japanese literati recognized and accepted the lost battle. Kawabata Yasnari,`` shocked in the aftermath of defeat in the war, declared a ``return to classics,`` focusing on literature that depicts traditional beauty in Japan. For Kawabata, the defeat in war went beyond a mere shock but served as a chance to change the trend of literature as well as a background and foundation of literature. Yokomitsu Reitsi described the days after the lost battle in Shoes in the night. His acceptance of the defeated war first goes through denial of reality, and then depicts the process of restoring humanity via contact with people in rural community and restoring trust toward literature. Shiga Naoya, in his work Grey Moon, fully describes the situation in the Japanese society after the lost war and depicts how Japanese intellects felt after the war, not knowing what to do in such turbulent times. In his work Winter Flames, Dajai Osamu clearly describes how devastating it was to see all the essential values that must not change have collapsed in the aftermath of the defeated war. The literature works and their authors examined in this study commonly reflect the shock of ``defeated war,`` not just the ``end of war,`` and they were at the beginning of the post-war literature, which is why they can be called ``the literature of the lost war period.``

      • KCI등재

        가와바타 야스나리 「사자의 서」론: 1920년대 죽음․조선인에 대한 단상

        정향재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22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 No.60

        Kawabata Yasunari is a Japanese author who wrote “The Book of the Dead.” The protagonist in “The Book of the Dead” leaves home after a disagreement with his wife and ends up at a restaurant where he meets a Korean prostitute. There, he listens to the young woman’s pitiful situation, taking in her story of despair. Kawabata once alluded to this narrative, which is claimed to be part of a series written while he was in the hot spring area of Atami and eating at a Korean restaurant. It is challenging to grasp the subject in “The Book of the Dead,” which may explain why the work has not been recognized for its literary merit since its debut. This has prevented serious investigation into “The Book of the Dead” and explains why it has received so little attention. Several scholars, like Hatori Tetsuya and Choi Jae-cheol, have dedicated their work to clarifying how Joseon is portrayed in Kawabata’s works. On Kawabata’s perspective on life and death, only Iwasa’s thesis and Kim Mi-recent jeong’s research titled “A Study on the People of Joseon” have touched. Kawabata was developing a theory of overcoming death at the time of writing “The Book of the Dead,” and I contend that this concept is reflected in the work. In terms of “psychology” in the 1930s, Kawabata’s vision of death as presented in “The Book of the Dead” might be seen as the works’ tangential point.

      • KCI등재후보

        카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의 『산 소리(山の音)』에 나타난 "노년"

        정향재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07 世界文學比較硏究 Vol.19 No.-

        「山の音」は六十二歲の主人公の信吾を通して老年の問題を多樣に語っている川端康成の老人文學である。信吾の老年の生理的な衰えは記憶の消失として代表的に表われているが、信吾は記憶の老いで自己喪失の感情に陷る。また、ある日聞いた<山の音>が死の予告ではないかと思い死への恐怖にかられている。すでに信吾の廻りの人人に樣樣の死が近くまで來ているし、自分も死に向かって流れている時間の上にいることを認識する。一方では、人間とは違う生と死の時間を營爲している悠久な植物や自然を通して、時間の<循環>と<永續>について考えてみたりする。性的にも信吾はすでに<老衰>している狀態であった。現實では衰える一方であったが、信吾の性的想念や欲求は夢を通して表出されているし、菊子との關係や彼女への性的欲望が顯になっていく。夢の中で信吾は時間の逆行の上で、女性との交涉を繰り返す。信吾は繰り返される女性との交涉のなかで、妻の保子の姉の形代だとばかり思っていた菊子に性的欲望を抱いていたことを認識することになる。それとともに、自分は現實的には身體的にばかりでなく心理的にはなんの意欲もないことを寂しく思うようになり、老いを實感する。「山の音」は六十代に入った老人の生理的·心的·性的な老衰とそれに伴う心境の表現と變化などを取り扱っている点だけでも老人文學としての素材と內容は十分전えているといえる。それ上、信吾が見せる<循環の時間>についての認識、諦念と受容の姿勢をもって<老年>を受け入れる姿にこそ川端文學として、そして老人文學としての「山の音」を特徵づける要因があるといえよう。

      • KCI등재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이즈의 춤추는 소녀」론 : 유사 가족체험에 의한 치유의 소설

        정향재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2 世界文學比較硏究 Vol.38 No.-

        「伊豆の용子」は作家川端康成が二十歲の時に伊豆を旅行したのを基に創作された小說で、私之용子を中心之する旅芸人之の交流を素材にしている。本稿では作中の旅行の意味を〈孤兒感情〉の克服にある之把握し、「伊豆の용子」はその孤兒感情が克服される〈癒し〉の小說之見て、その〈癒し〉の內容を考察するこ之に焦點を當てた。私は용子に對する異性的好奇心之興味で彼等を追い、壹行になり、下田まで同行するようになる。そもそも、欲望之好感、そして受動的な差別意識が混在されていた私でしたが、용子の裸身を見て欲望は消去され、親しみ之して接するようになる。旅芸人は親族で構成されているが、彼等は人に差別、輕蔑される存在であったが、家族の親密さで繫がっているこ之を私は感じる。私がその壹行になった時、部分的であはあったがすでに彼等之廣い意味で家族になって旅程を壹緖にしたのであり、彼等之の交流を通して擬似的な家族體驗をしたのである。その上で、용子の〈いい人ね〉之いうこ之ば素直に自分が本當にいい人だ之信じるようになる。これは、いままで素直に成れなかった性格の歪みが解消された部分で、內面が淸められ、救いを感じた部分だ之いえる。私に救いを與えてくれたのは용子の〈いい人ね〉之いう言葉だけに止まらず、旅芸人之の交流、特に家族之しての體驗がその根底にあったをみるべきである。こういう意味で「伊豆の용子」は용子を始め、旅芸人之の交流、之くに類似的な家族體驗による〈癒し〉の小說之して讀み取れるのであ.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