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림조의 악조에 관한 연구

        정해임 ( Chung Hae-i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8 嶺南學 Vol. No.

        본 논문은 최초의 가야금악조인 하림조악조에 관해 고문헌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삼국사기』에 전하는 하림조는 우륵과 이문이 신라 진흥왕앞에서 낭성의 하림궁에서 연주한 가야금악조로서 우리나라음악사에서 최초로 악조명을 사용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하림궁에서 연주한 하림조는 지금의 충북 청주시 낭성면지역의 음악적인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고 사료된다. 『세종실록』에는 『삼국사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가야금의 하림조와 눈죽조에 대한 보법과 탄법이 남아있다고 하였으나 구체적인 자료가 전해지지 않았다. 현금의 최자, 탁목, 우식, 다수희, 청평, 거사연은 속악의 명칭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호사설』에 의하면 하림조와 눈죽조의 두 악조가 우리나라 악조의 시초라고 명시하고 있다. 청풍체와 탁목조 등도 하림조라고 하여 우륵이 남긴 풍류음악이라고 하였다. 『악학궤범』에 이르러 하림조는 가야금과 현금, 향비파 등 향악기의 청풍체, 최자조, 우식조라는 악조의 명칭으로 확대되어 악기의 산형에 줄이나 괘의 명칭, 율명과 상하지법, 치조의 치, 우, 궁, 상, 각과 우조의 우, 궁, 상, 각, 치 그리고 시용 궁, 상, 각, 치, 우 등의 5음음계, 그리고 기보법과 탄법을 포함한 조현법을 갖춘 다양한 악조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악학궤범』 가야금과 향비파, 현금의 하림조는 청풍체에 해당되고, 고선궁평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현금의 하림조는 최자조나 우식조로 나타나는데 청태주계면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림조는 『삼국사기』, 『세종실록』, 『성호사설』에 의하면 우리나라 최초의 가야금악조명으로 한정되어 있었는데 『악학궤범』에 이르러 가야금 뿐만 아니라 현금, 향비파 등의 악조에도 영향을 주어 청풍체, 최자조와 우식조 등의 다양한 악조로 확대발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하림조는 조현법에서 청풍체와 낙시조평조1지, 최자조와 우조계면조 막조를 비교하면 고음역이나 저음역을 추가하여 자유롭게 음역을 넘나들면서 변주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하림조는 가야금, 현금, 향비파의 조현법에서 향악의 평조와 계면조의 기본틀을 형성하였다. According to 『Samguksagi』, Harimjo performed by Ureuk and Imun in front of Jinheung King of Shilla in Harim palace of Nangseung. Harimjo is the first Gayageum mode. Therefore Harimjo performed in Harim palace of Nangseung, which represented musical character of Nangseung region, that is now Cheongju city of Chungbuk. Harimjo of Gayageum, Hyeongeumand Hyangbipa in 『Akhak gwebeom』 composed by Goseongung Pyeongjo. And Harimjo of Hyeongeum apears also in Choijajo and Usikjo, that is consist of Taiju Gyeomyeonjo. So Harimjo absorbed to Cheongpungche by Goseongung Pyeongjo of Gayageum, Hyeongeum and Hyangbipa, also Choijajo, Usikjo by Taiju Gyeomyeonjo of Hyeongeum. Cheongpungche presents musical character in Cheongpungmyeon, Chungbuk. Harimjo is the first musical mode that performed by Ureuk in Harim palace. Here Cheongpungche of Gayageum, Hyeongeum, Hyangbipa and Choijajo, Usikjo in 『Akhakgwebeom』 consists of basic frame by Pyeongjo, Gyeomyeonjo of Hyangak.

      • KCI등재
      • 將進酒考

        정해임(Chung Hae-im) 한국전통음악학회 2000 한국전통음악학 Vol.- No.1

        The Gagok is the traditional vocal music of lyric poetry. 1. Jangjinju 將進酒 is of a female piece of Gagok 女唱歌曲 which consists of five sections with a rhythm of 16 beats, at 45 beats 井間 to the minute as Dug? 頭擧, and because the text is very long, section 3 and section 5 are extended in Jangjinju ~~~ii1'l 2. The extended sections 3 and 5 are divided into two 8 beat sections, which consist of Maehwajorn rhythmic cyde梅花點 長短 and 4 Sics四息, of Yangsigch?k量息尺. 3. Jangjinju is made of a half-U mode and a half-Gyemyon mode 半羽半界面調. 4. The words of Jangjinju are generally arranged by 6 units of 3-2-3-3-3-2. And these of the extended sections 3 and 5 are arranged by 3 units of 3-2-3. 5. Jangjinju is similar to Pyonggo 平擧 of female Gagok女唱歌曲 in comparison to the melody.

      • KCI등재

        가야금고악보의 군악선율비교연구 : 『우의산수』, 『명완벽가야금보』, 『아악부가야금보』, 『김영윤가야금보』를 중심으로

        정해임(Chung, Hae-im)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7 No.-

        『우의산수』, 『명완벽가야금보』, 『아악부가야금보』, 『김영윤가야금보』등의 가야금고악보를 중심으로 군악의 선율비교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의산수』의 가야금선율은 『명완벽가야금보』와 거의 같으므로 거문고악보가 아니고 가야금악보라는 것이 밝혀졌다. 군악의 장단비교에서 『우의산수』는 정간의 구분이 없고, 『명완벽보』는 5소박 4박자의 20박장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아악부보』와 『김영윤보』에서는 3소박 4박자의 12박장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악의 출현음은 악보마다 한 옥타브나 두 옥타브차이로 음역을 달리 기보하였으나 실제 음높이는 기보상의 옥타브차이와 관계없이 같다고 본다. 군악의 조는 임종계면조+태주계면조의 복합음계와 태주계면조+남려계면조의 복합음계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군악의 조현법은 초장 제1각~제2각의 조현법과 초장 제3각이후의 조현법의 두 가지로 나타난다. 특히 군악의 초장 제1각과 제2각은 임종계면조에서 태주계면조로 이조되는 변주부분에 해당된다. 주법의 변화는 『우의산수』에서는 싸랭표()만 나타나고, 『명완벽보』에서는 싸랭표()와 전성표(), 그리고 『아악부보』에서는 싸랭표(), 튀기는표(o)가 나타나고, 『김영윤보』에 이르러 싸랭표(), 튀기는표(o), 연튀기는표(8), 모지표(―), 장지표(ㄴ), 전성표(), 압성표() 등 좌수법과 우수법의 다양한 주법으로 나타나 군악의 선율을 더욱 섬세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우의산수』의 선율과 비교하면 동일선율은 『명완벽보』에서 94.3%, 『아악부보』에서 70.9%, 『김영윤보』에서 84%로 나타나고, 유사선율은 『명완벽보』에서 3.1%, 『아악부보』에서 3.1%, 『김영윤보』에서 0%로 나타나고, 상이선율은 『명완벽보』에서 2.6%, 『아악부보』에서 26%, 『김영윤보』에서 16%로 나타난다. 특히 협이 고로 姑로 바뀐 상이선율은 『아악부보』에서 19,3%, 『김영윤보』에서 13.5%로 나타나 상이선율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명완벽보』의 선율은 『우의산수』와 거의 같고, 『김영윤보』의 선율은 『아악부보』와 거의 같다. 그리고 권마성가락은 군악 3장 11각부터 22각까지의 선율로 『유예지』이후에 첨가된 군악의 특징적인 선율로 호쾌하고 웅장하고 장엄한 분위기의 느낌을 잘 살려주고 있다. 『Uuishansu』 is not Geomungobo but Gayageumbo. Gunak consists of the complex scales on Limjong Gyemyeonjo mode and Taeju Gyemyeonjo mode, or Taeju Gyemyeonjo mode and Namnye Gyemyeonjo mode. In the change of Jangdan, 『Uuishansu』 has no distinction of Jangdan. The Jangdan of 『Myeongwanbyeok Gayageumbo』 consists of 20 beats but the Jangdan of 『Aakbu Gayageumbo』 and 『Kimyeongyun Gayageumbo』 consists of 12 beats. The performance methods of Gayageum became increasingly detailed and varied, depending on the trend of the times. The various performance methods of Gunak allowed for the most delicate expressions in 『Kimyeongyun Gayageumbo』 of 4 scores. Compared to 『Uuishansu』, there are few other melodies in 『Myeongwanbyeok Gayageumbo』, but they are very much in 『Aakbu Gayageumbo』 and 『Kimyeongyun Gayageumbo』. The melodies of 『Myeongwanbyeok Gayageumbo』 are almost the same as 『Uuishansu』, and those of 『Kimyeongyun Gayageumbo』 are almost the same as 『Aakbu Gayageumbo』. Gunak is composed o 4 chapters, including 10 Gaks of chapter 1, 9 Gaks of chapter 2, 22 Gaks of chapter 3, and 7 Gaks of chapter 4. And especially the Gwonmasung melodies of the third chapter are the distinctive melody in Gunak and has a cheerful, magnificent and majestic atmosphere.

      • 투고논문 : 퇴계(退溪) 『계몽전의(啓蒙傳疑)』의 오음육률(五音六律)에 관한 연구(硏究)

        정해임 ( Hae Im Chu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4 No.-

        퇴계 이황의 『啓蒙傳疑』에 전하는 五音 六律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五音은 日을 주관한다. 五音은 五行의 音聲으로 五行 중 土는 五音 중 宮音이 되고, 金은 商音이 되고, 木은 角音이 되고, 火는 徵音이 되고, 水는 羽音이 된다. 五音은 甲과 乙, 丙과 丁, 戊와 己, 庚과 辛, 壬과 癸의 10幹에 배합하고 있다. 六律은 6陽律과 6陰呂를 통칭하고 辰을 주관한다. 12律呂 중 ①黃鍾 ③太簇 ⑤姑洗 ⑦유賓 ⑨夷則 ⑪無射은 6陽律은 각각 12辰 중 子, 寅, 辰, 午, 申, 戌의 6陽辰에 배합되고, 12律呂 중 ②大呂 ④夾鍾 ⑥仲呂 ⑧林鍾 ⑩南呂 ⑫應鍾은 六陰呂는 12辰 중 醜, 卯, 巳, 未, 酉, 亥의 6陰辰에 배합된다. 納音은 12辰과 5音의 배합과 隔八相生, 同類娶妻에 의하여 60音으로 이루어진다. 甲子는 金, 丙子는 水, 戊子는 火, 庚子는 土, 壬子는 木 등으로 각 辰에 幹을 합하여 五行의 五音을 낳는다. 그리고 納音數에 따라 五行에 따르는 음이 생기게 되는데 4개의 天幹地支의 수를 합하여 5로 나누어 나머지수로 사용한다. 즉 金과 木은 스스로 소리가 나므로 木은 3, 金은 4로 河圖數인 本身數를 사용하고, 水가 土를 만나면 소리가 나기 때문에 水는 土의 本身數인 5를 사용하고, 火가 水를 만나면 소리가 나기 때문에 火는 水의 本身數인 1을 사용하고, 土가 火를 만나면 소리가 나기 때문에 土는 火의 本身數 2를 써서 音으로 삼는다. 이와 같이 퇴계는『啓蒙傳疑』에서 五音과 六律을 漢代 상수학의 納音을 도입하여 설명함으로써 天地自然의 질서와 陰陽五行의 조화를 나타내는 독특한 退溪 상수학의 원리를 잘 나타내고 있다. 『Gemongjeoneui』is the book, attached the description and comments on 『Yeokhakgyeomong』 and published by Lee-hwang in the Joseon Dynasty in 1557. The contents of 5 Tones and 6 Yuls on 『Gemongjeoneui』 are as in the following. 6 Yuls organized by the Sin. ln other words, 6 Yuls mean 6 yang Yuls of Hwangjong, Taizhu, Goseon, Yubin, Yichik, and Muyeok, and 6 yin Ryeos of Dairyeo, Hyeopjong, Jungryeo, Limjong, Namryeo, and Eungjong. 5 Tones organized by the day. 5 Tones are the tones of the 5 primary substances of metal, wood, water, fire, earth. Nap Tone is composed of 60 tones by the combination of 12 Sin and 5 Tones. Gyeokpalsangsaeng, Dongryuchwicheo. As a result, Toegye explains 5 Tones and 6 Yuls by the introduction of figure- mathematics in Han period and shows the unique principle of Toegye figure-mathematics reflecting the order of heaven and the harmony of yin and yang, and 5 primary substances in 『Gemongjeoneu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