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당에 대한 유권자의 금전적 지원 규모와 정당득표율 간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 : 2007년부터 2018년까지의 선거를 중심으로

        정하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정당에 대한 유권자의 금전적 지원 규모가 당해연도 선거에서 정당의 평균 득표율로 나타나는가에 관한 연구이다. 정치 자금을 자금 제공자에 따라 나누어 각 항목이 선거에서 정당의 평균 득표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선거에 관한 기존 연구는 개별 선거별 지역구, 후보자 특성과 같은 미시적 요소를 고려한 실증적 분석에 그쳤으며, 패널 데이터로써 개별 개체인 정당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또, 유권자의 정당 선호를 정당일체감과 정당호감도로 구분하는데, 해당 지표의 기존 측정 방식인 과거 투표기록 혹은 직접 설문에 의한 조사는 한국 정치 환경을 고려하였을 때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당에 대한 유권자의 금전적 지원 방식을 통해 정당에 대한 유권자의 선호 체계가 표출된다고 보아 이러한 금전적 지원의 규모가 정당의 운영 목적이자 성과인 선거에서의 득표로 이어지는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공한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에 기록된 모든 정당이며, 분석의 시간적 범위는 2007년부터 2018년까지 12개년도이다. 정당에 대한 유권자의 금전적 지원 규모가 정당의 평균 득표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Pooled OLS 모형, 고정효과 모형, 확률효과 모형을 이용한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인 ‘전체 선거 평균 득표율’과 ‘3대 선거 평균 득표율’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통계시스템을 근거로 정당별 득표율을 유 효 투표수로 가중평균하여 각각 하나의 값으로 산출하였다. 독립변수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매년 발간하는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에 기록된 값을 근거로 정치 자금의 제공자에 따라 당비, 기탁금, 기부금, 전년도 이월금, 선거보조금으로 나누었고, 선거 비용을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연도, 여당, 평균 득표율 2%를 기준으로 나눈 그룹, 선거 유형을 통제변수로 모형에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당비, 기탁금과 기부금, 전년도 이월금의 규모 증가는 각 정당의 당해연도 ‘전체 선거 평균득표율’에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가진다. 둘째, 당비, 기탁금과 기부금의 규모 증가는 정당의 당해연도 ‘3대 선거 평균 득표율’에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가진다. 셋째, 당비의 규모 증감의 영향은 ‘비례대표선거 평균 득표율’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며 기탁금과 기부금의 규모 증감 영향은 ‘지역구 선거 평균 득표율’에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변수로써 ‘선거 유형’은 유권자의 금전적 지원 규모의 영향력에 대해 조절 효과를 가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정당 선호 체계를 유권자의 금전적 지원 규모를 통해 측정하여 유권자의 금전적 지원의 규모에 정당에 대한 유권자의 정치적 태도와 의사가 반영되며, 이러한 유권자의 태도가 당해연도 선거에서 투표 행태로 이어져 정당의 득표율에서도 드러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선거에 관한 기존 연구의 경우 개별 선거의 미시적 요소를 고려한 질적 방법에 따라서 대부분 이루어졌으며 정당 선호의 측정 방식을 기존과 같은 직접 설문에 의한 것이 아닌 유권자의 금전적 지원 규모로 한 것이라는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 분석 대상이 개별 선거가 아니라 정당을 분석 대상으로 했다는 점, 또 12개년의 자료를 이용한 패널 데이터를 구축하였고, 상호작용항을 이용한 조절 효과를 분석하는 것과 같은 계량적 분석을 시도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ccoun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ter’s financial support for the political party and the party’s vote share in the election of the year as an outcome.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are all political parties recorded in the "Party's Activity Overview and Accounting Report" provided by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and the time range of the analysis is 12 years from 2007 to 2018. A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Pooled OLS model, fixed effect model, and random effect model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size of voters' financial support on the party's average vote shares. The dependent variables "average overall election votes" and "average vote rates in the three major election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s electoral statistics system, by weighted average of the votes by effective vote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divided into the party membership fee, deposits, donations, carryovers, and election subsidies, which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olitical fund provider, based on the annual according report of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As control variables this study includes the year, the governing party, the group divided by 2% average vote share, and the election type as dummy variables, which could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Analyzing the panel data on the financial reports of Korean political parties provided by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increase in party membership fee, donations to the political fundraising association, the deposition to the Election Commissions, and carryover in the previous year h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each party's average percentage of votes. Second, the increase in the party membership fees, donations and depositions h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average percentage of votes in the party's three major elections. Third, the impact of the increase in the size of party membership fees was relatively high in the average percentage of votes in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election, and the impact of donations was relatively high in the average percentage of votes in first-past-the-post election. Finally, the "type of election"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voters' financial support. This study implicates that the party preference measured in the size of the voters' financial support, reflecting party identification and the attitude to political parties, leads to voting behavior in the election of the year.

      • 한국전쟁 전후(1945-1953) 천주교인 희생자 사례 연구 : 희생 과정과 희생자 조사 및 현양 활동을 중심으로

        정하선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국 천주교회는 1784년 이승훈(베드로)의 세례로 창립되었다. 하지만 한국 천주교회는 전통적인 유교사상과 민족문화에 반대된다는 이유로 국가와 민족으로부터 혹독한 박해를 받게 되었다. 천주교회에서는 박해를 통해 수많은 순교자가 탄생하게 되었다. 현재 한국 천주교회에서는 103위 순교성인과 일만위 무명 순교자들을 함께 모시고 있다. 또한 2009년 현재 한국 천주교회는 ‘하느님의 종 124위와 증거자 최양업(토마스) 신부’에 대한 사안을 로마 교황청 시성성에 시복청원을 한 상태에 있다. 이것은 한국 천주교회가 순교자들의 피로써 성장하고 발전했다는 것을 말해준다. 한국 천주교회는 조선시대 이후 또 한 번의 큰 박해를 받는다. 그것은 바로 “제2기의 박해”라고 불리는 공산치하에서 한국 천주교회가 공산정권으로부터 받은 박해이다. 지금까지 근․현대 교회역사에 속하는 ‘한국전쟁으로 인한 천주교회의 피해’에 관한 전체적인 연구에 대한 성과는 아직도 미진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한국전쟁 전후(1945-1953) 천주교인들이 희생된 사례에 초점을 맞춰 추적하였고, 하지만 기존의 연구 결과에 머물지 않고 재조명하면서, 더 나아가 천주교회 희생자들에 대한 조사활동과 현양활동이 어떻게 지금까지 이루어졌는지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한국 천주교회는 1945년 8월 15일, 일제치하에서 해방을 맞이하였다. 갑작스럽게 해방을 맞이한 한국 천주교회는 소련군이 주둔한 북쪽지역과 미군이 주둔한 남쪽지역에서 서로 전혀 다른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 당시 한국 천주교회는 불투명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내적으로는 예수성심공경과 성모신심, 순교신심 등으로 신자들의 신앙을 더욱 고취시켰으며, 외적으로는 교회 재건사업과 교육․언론․사회복지 사업으로 간접 선교활동에 활발히 진행 시키고 있었다. 더불어 해방 후 국제적으로는 무신론(無神論)과 유물론(唯物論)이 크게 대두되었다. 로마 교황청은 천주교회 신앙과 반대되는 무신론과 유물론을 단죄하고, 반공주의정책을 펼치게 되었다. 한국 천주교회는 무신론적 공산주의에 대항하여, 교회 언론매체의 이용뿐만 아니라 교회 강단에서도 반공이념을 강조하였다. 이것은 일부 지식인 신자들의 반공투쟁으로 이어지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신자들과 국민들은 공산주의와 무신론이라는 것이 무엇인지도 제대로 알지 못했다. 한편, 미국과 소련이 주도한 연합국 회의가 결렬되면서, 결국 각각 다른 시기에 소련군이 주둔한 북쪽에는 공산․사회주의 체제의 ‘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이하 북한 공산정권)이, 미군정이 주둔한 남쪽에는 민주․자본주의 체제의 ‘대한민국’이란 두 개의 국가가 탄생하게 되었다. 또한 한반도 전국이 민주주의와 공산․사회주의라는 우익과 좌익이라는 진영으로 나눠지게 되고, 이러한 두 가지 양상으로 근대적 변화가 매우 더딘 이 시기에 과거에 가지고 있던 전통문화와 공동체 민족의식까지 해체되는 시기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 천주교회는 해방 직후부터 처음에는 공산․사회주의 체제의 소련군에 의해 이후에는 북한 공산정권에 의해 본격적으로 종교 탄압을 받았다. 북한공산정권은 종교정책에 있어서 제한, 탄압, 말살이라는 총 세 단계 계획을 세우고 그대로 실행하였다. 결국 북쪽에 남아 있던 천주교회는 결코 북한공산정권에 타협하지 않았고, 협조 요청을 확고히 거절하며 공산정권을 상대로 투쟁하였다. 북한공산정권으로 인한 북한교회에서 피해는 먼저 천주교회의 재산 몰수와 모든 천주교인들이 체포되었으며, 덕원면속구를 시작으로 춘천교구의 이북지역에 이르기까지 천주교회가 탄압을 받았다. 북한공산정권의 천주교회 탄압은 1950년 6월 25일 갑자기 북한공산정권에 의해 일어난 한국전쟁으로 더욱 가속화되면서 남쪽의 천주교회의 탄압으로까지 확대되었다. 한국전쟁을 일으킨 북한공산정권은 남쪽지역의 90%이상을 점령하면서 많은 희생자를 낳게 했으며, 특히 천주교인들을 비참하게 처형하고, 학살하였다. 이렇게 한국전쟁 전후 희생당한 천주교인 사례의 특징은 천주교 신앙을 가졌다는 가장 큰 이유와 당시 한국 천주교회가 미국과 같이 자유․민주주의적 성향을 지녔다는 이유 외에도 다양하게 발견되었다. 결국 천주교인들은 해방과 전쟁이라는 혼란한 시대상황에서 복합적인 원인으로 공산주의자들에게 희생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지금까지 희생자들에 대한 한국 천주교회의 조사활동과 추모 및 현양활동을 종합․정리해보면, 한국 천주교회가 전국적인 조사나 추모, 현양활동을 벌였다기보다 대부분 각 관련 교구와 수도회, 그리고 개별 단체와 후손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천주교회의 조사활동이 한국 정부나 적십자사의 활동과 함께 병행되기는 했지만 최근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함께 연구되지 않았으며, 새롭게 발굴된 증언들이 종합․정리되지도 않았다. 또한 증언들이 취합되어 책으로 출판된 경우에도 희생자들이 체 The Korean Catholic Church was first established with the baptism of Peter Yi, Seung Hoon in 1784. Yet the Korean Catholic Church received intense persecution from the nation and ethnicity for reasons of being against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traditional culture. Within the Catholic church, numerous martyrs were born through such persecution. Currently within the Catholic church, 103 martyred saints and 10,000 anonymous martyrs exist. In addition, the issues pertaining to ‘124 Servants of God and Fr. Thomas Choe, Yang-eop.’ have been petitioned for beatification to the Roman Curia Congregatio de Causis Sanctorum. Such signifie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rough the dedication of martyrs. The Korean catholic church received yet another great persecution following the Joseon Dynasty. Referred to as the “2nd Persecution”, the persecution occurred from the Communist Party within Communist regions. Up until now,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damages to the Incheon Catholic Church due to the Korean War’ have been insufficient.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d cases of sacrificed Catholic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1945-1953). But rather than stopping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ims to clarify what has been the investigative and reverence activities up until now. The Korean Catholic church was freed from under Japanese imperialism on August 15th, 1945. The suddenly liberated Korean Catholic church confronted an entirely different situation, with the Soviet Army to its north and the American army to its south. Even during such unclear times, the Korean Catholic church internally strived to further develop the faith of its believers, while externally became active in indirect missionary activities through church reconstruction projects and education․press․social welfare businesses. In addition, following liberation, attention gathered for atheism and materialism. The Roman Curia punished Atheism and Materialism and enforced anti-Communism policies. The Korean Catholic church resisted Atheism and Materialism while emphasizing anti-Communism ideologies not only through religious media, but also within church pulpits. While such activities led to anti-Communism activities by some intellectual believers, most church believers and citizens did not even clearly understand Communism or Materialism. And as the Allied Nations Meeting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oviet Union fell in a divide, such resulted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referred to as the North Korean Communist Regime below) following the Communism․Socialism system of the North. In the south, it led to the ‘Republic of Korea’, a democratic․capitalism based society led by the United States in the South. In addition, such led to a divide between left-wing and right-wing camps of democracy and communism․socialism across the nation. Through such opposing conditions, it is now clear that the period was the start to the dissolution of our communal ethnic consciousness and traditional culture. Immediately following liberation, the Korean Catholic church officially received oppression, first from the communism․socialism based society army, then by the North Korean Communist Regime. As for religious policies, the North Korean Communist Regime established a 3-stage plan of limitation, oppression, and annihilation and executed such policies. Ultimately, the Catholic churches of the north did not compromise with the North Korean Communist Regime and adamantly refused requests for cooperation to begin fighting against them. The damages to North Korean churches caused by the North Korean Communist Regime had been the confiscation of church properties and the arrest of Catholic believers. The Catholic church ultimately received oppression in various areas, up until the North Korean Chuncheon Diocese. The oppression of the Catholic church by the North Korean Communist Regime only accelerated caused by the sudden Korean War having started on June 25th, 1950 and expanded such oppression to the Catholic churches of the South. The North Korean Communist Regime that started the Korean War occupied more than 90% of the Southern region at one point, causing numerous casualties. Particularly, the Catholic believers were dismally persecuted and executed. Besides the shared characteristics of Catholics being sacrificed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in that they shared the Catholic faith and that Korean Catholics shared liberal․democratic ideals, similar to the Americans, numerous other causes for their persecution have been discovered. If we organize the victimization process and victim investigations and reverence activities of victim Catholics up until now, we can see that such activities were more conducted individually within individual organizations or by descendants rather than on a level of national investigations or commemorations. In addition, while the investigation activities of the Catholic church were also linked to activities conducted by the Korean government or red cross activities, recent studies have not conduct research on a collective level nor discover and organize new testimonies. Additionally, even within cases where testimonies are organized and published into books, inaccuracies exist, such as the process of the arrest, victimized date, locations, etc. Even within processes for beatification or canonization, while the moral conduct of the victim is also important within the selection, the truth that such victims were executed due to their Christian faith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can be more comprehensively evidenced. Furthermore, the discovery of witnesses or testimony was also seen to have been considered for selection. Consequently, we must model our virtues of faith to our past martyrs. Above all else, we must record the li

      • 지배결속이론과 영어 교육

        정하선 全南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언어학 이론과 외국어 교육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는 전제하에, 지배결속이론의 이론적 배경과 기본 개념 및 원리를 알아보고, 이것을 현재의 우리 나라 영어교육에 응용하려는 목적으로, 지배결속이론의 영어교육 특히 분법 부분에로의 도입 가능성 및 방안을 조심스럽게 다루었다. 2장에서는 언어학과 영어교육간의 관계를 논하였는데, 특히 전통문법과 Grammar-Translation Method, 구조문법과 Audio-lingual Method, 변형생성문법과 Cognitive Approach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장단점을 서술하였다. 3장에서는 변형생성문법의 변화, 발전 과정을 보기 위하여 표준이론, 확대표준이론, 수정확대표준이론, 지배결속이론의 순으로 그 특성과 원리를 알아 보았다. 4장에서는 지배결속이론의 하위 원리 체계의 기본 개념 및 중심 원리를 핵심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즉, 투사원리, (X ̄)-theory, 한계이론, 의미역이론, 지배이론, 격이론, 통제이론, 결속이론을 소개하였는데, 특히, 이를 영어교육에 응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려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5장에서는 지배결속이론의 영어교육에의 도입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우선 지배결속이론과 외국어 교육, 언어교육에서의 문법의 위상에 대하여 논한 다음, 대명사, PRO와 부정사, α-이동과 흔적, 수동태 등의 분야에 대하여 그 문제점 혹은 대책을 다루었다. 즉, 대명사의 지시 관계를 밝혀주는 결속이론, 부정사의 눈에 보이지 않는 주어 PRO, α-이동과 이로 인하여 생기는 흔적 및 그 이동을 막는 제약 등에 관한 기본 개념을 영어교육에 응용하여야 함과, 수동태에 관한 교육은 과거의 변형적 접근 방법에서 이동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음과 또 그래야 할 당위성을 주장하였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GB theory in our English education, especially in grammar,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our English teaching method from the view point of the theoretical bases and concepts of GB theory. This study is composed of 6 chapters. In chapter 1. a brief account of the purpose and orientation of this study is presented. Chapter 2 comprises a brief discussion of the relation between linguistics and language education, considering the respective, correlation of the traditional, structural, generative transformational grammar with the Grammar-Translation Method, the Audio-lingual Method, and the Cognitive Approach. They are so closely related that we cannot and must. not teach a language without the basis of linguistics. Chapter 3 deals with development processes of generative transformational grammar from Standard Theory(ST), Extended Standard Theory(EST), Revised Extended Standard Theory(REST), to GB Theory, outl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t principles of them. In Standard Theory, the meaning of a sentence is regarded to be solely determined in its deep structure. Transformation rules cannot change the meaning on the basis of the meaning-preserving hypothesis. IN EST, the ST model changed a little to the effect that semantic interpretation is determined in surface or intermediate structure as well as in depp structure. REST introduces trace theory, and all the semantic interpretation is done only in S-structure thanks to the trace left in its original place after movement. So it is also called as Trace Theory. In GB theory, all the transformation rules are reduced to Move-α, using constraints and principle system. Some scholars include GB theory in REST, or REST is also called GB theory. Chapter 4 gives a conspectus of basic concepts and principle modules of GB theory in the order of Projection principle, X-bar theory, Bounding theory, Θ-theory, Government theory, Case theory, Control theory, and Binding theory. In chapter 5, the possibility and way of introducing GB theory into our English education is presented. After discussing language education with regard to GB theory and the role of grammar in language education, the writer touched prudently upon the measures or problems in teaching pronoun, PRO and trace, to-infinitive, Move-α, passive, and sentence patterns. The tentative conclusions are as follows: we can introduce, in dealing with relevant subjects, concepts of Binding theory clarifying the reference of pronouns, PRO which is the invisible subject of to-infinitive, Move-α and trace, and constraints preventing ungrammatical movements. Passive can be explained as a kind of NP-movement not as the complex transformational phenomenon of the past. Finally, chapter 6 presents a concluding reamrks on English education, the vision of Chomsky's theories, and this study.

      • 김죽파 줄풍류와 강태홍 줄풍류의 비교연구

        정하선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dissertation is to look at the similarities between two pungnyu by comparing the composition and title of music, the number of movements and beats, the form of melody, and the type of rhythm while focusing on <Jallyeongsan and Soyeongsan>・<Garakjeji and garakdori>・<Sanghyeon>・<Jandodeuri>・<Hahyeon> among music of julpungnyu passed down from Kim Jukpa and Gang Taehong.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Kim Jukpa Julpungnyu is composed of 15 pieces of music, and Gang Taehong Julpungnyu is composed of 8 pieces of music in the form of the special tune. The music titles for Kim Jukpa Julpungnyu are <Jallyeongsan> and <Garakjeji>, and music titles for Gang Taehong Julpungnyu are <Soyeongsan> and <Garakdori>. Titles such as <Sanghyeon>, <Jandodeuri>, and <Hahyeon> are used in both pungnyu. Secondly, both <Jallyeongsan> of Kim Jukpa Julpungnyu and <Soyeongsan> of Gang Taehong Julpungnyu consisted of 5 movements. Also, both <Garakjeji> of Kim Jukpa Julpungnyu and <Garakdori> of Gang Taehong Julpungnyu consisted of 3 movements. <Garakdori> had a characteristic containing ‘dolgarak’ aside from movements. <Sanghyeon> had different movement classifications as Kim Jukpa Julpungnyu was composed of 3 movements and Gang Taehong Julpungnyu was composed of 5. As for <Jandodeuri>, Kim Jukpa Julpungnyu consisted of 7 movements, and Gang Taehong Julpungnyu consisted of 6 movements and 3 movements of dolgarak. <Hahyeon> showed different movement classifications; Kim Jukpa Julpungnyu consisted of 3 movements and Gang Taehong Julpungnyu had no classification for movement as it only consisted of one movement. The study about the number of beats were as follows; <Jallyeongsan> of Kim Jukpa Julpungnyu was composed of 18 beats, <Soyeongsan> of Gang Taehong Julpungnyu was composed of 18 beats, <Garakjeji> of Kim Jukpa Julpungnyu was composed of 15 beats, and <Garakdori> of Gang Taehong Julpungnyu was composed of 15 beats. As for <Sanghyeon>, both Kim Jukpa Julpungnyu and Gang Taehong Julpungnyu consisted of 26 beats. As for <Jandodeuri>, Gang Taehong Julpungnyu had one more beat than Kim Jukpa Julpungnyu as Kim Jukpa Julpungnyu had 85 beats and Gang Taehong Julpungnyu had 86 beats. For <Hahyeon>, both Kim Jukpa Julpungnyu and Gang Taehong Julpungnyu had 26 beats. The number of movements appeared to be different in both types of pungnyu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but the number of beat was similar as there was only one beat difference. Third, <Jallyeonsan> of Kim Jukpa Julpungnyu and <Soyeongsan> of Gang Taehong Julpungnyu did not appear to have the same melody. There was 10.55% more appoggiatura in Gang Taehong Julpungnyu than Kim Jukpa Julpungnyu. Tone and melody with same rhythms appeared 11% more in Kim Jukpa Julpungnyu than Gang Taehong Julpungnyu. <Garakjeji> of Kim Jukpa Julpungnyu and <Garakdori> of Gang Taehong Julpungnyu did not contain the same melody. There was 11.02% more appoggiatura in Gang Taehong Julpungnyu than Kim Jukpa Julpungnyu. Tones and melody with same rhythms appeared 9.32% more in Kim Jukpa Julpungnyu than Gang Taehong Julpungnyu. There was not any same melody in <Sanghyeon>, and Gang Taehong Julpungnyu had 17.94% more of appoggiatura than Kim Jukpa Julpungnyu. Tone and melody with same rhythms appeared 7.69% more in Kim Jukpa Julpungnyu than Gang Taehong Julpungnyu. The percentage of the same melody in <Jandodeuri> was quite low as it was only 1.17%, but it was considered the most among pieces of music that were compared. Appoggiatura appeared 12.94% more in Gang Taehong Julpungnyu than Kim Jukpa Julpungnyu. Tone and melody with same rhythms appeared 6.07% more in Kim Jukpa Julpungnyu than Gang Taehong Julpungnyu. There was no same melody in <Hahyeon>. Appoggiatura appeared 19.23% more in Gang Taehong Julpungnyu than Kim Jukpa Julpungnyu. Tone and melody with same rhythms appeared 10.25% more in Kim Jukpa Julpungnyu than Gang Taehong Julpungnyu. The following type of rhythm was used in <Jallyeongsan> of Kim Jukpa Julpungnyu; . <Soyeongsan> of Gang Taehong Julpungnyu used and appoggiatura rhythm type. <Garakjeji> of Kim Jukpa Julpungnyu used the following type of rhythms; . Whereas, <Garakdori> of Gang Taehong Julpungnyu used and appoggiatura rhythm type. In <Sanghyeon>, of Kim Jukpa Julpungnyuu the following type of rhythms; and Gang Taehong Julpungnyu used and appoggiatura rhythm type. In <Jandodeuri>, Kim Jukpa Julpungnyu used the following rhythm type; . Whereas, Gang Taehong Julpungnyu used and appoggiatura rhythm type. In <Hahyeon>, Kim Jukpa Julpungnyuu the following type of rhythms; . Gang Taehong Julpungnyu used and appoggiatura rhythm type. 본 논문은 김죽파 전승 줄풍류와 강태홍 전승 줄풍류의 악곡 중 <잔령산과 소영산>·<가락제지와 가락도리>·<상현>·<잔도드리>·<하현>을 중심으로 악곡구성과 명칭, 악장과 장단의 수, 선율의 형태와 리듬 유형 등을 비교연구 함으로써, 두 풍류의 유사점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악곡구성은 김죽파 줄풍류 15곡, 강태홍 줄풍류 8곡으로 별곡(別曲)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악곡 명칭은 김죽파 줄풍류의 <잔령산>, <가락제지>는 강태홍 줄풍류에서 <소영산>, <가락도리>로 사용하며 그 외 <상현>, <잔도드리>, <하현>의 명칭은 두 풍류 모두 동일하게 사용했다. 둘째, 악장의 수는 김죽파 줄풍류의 <잔령산> 5악장, 강태홍 줄풍류의 <소영산> 5악장으로 동일하게 나타났고 김죽파 줄풍류의 <가락제지>는 3악장, 강태홍 줄풍류의 <가락도리>는 3악장으로 동일하게 나타나며 <가락도리>에는 악장 외에‘돌가락’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상현>은 김죽파 줄풍류 3악장, 강태홍 줄풍류 5악장으로 악장의 구분이 다르며 <잔도드리>는 김죽파 줄풍류 7악장, 강태홍 줄풍류는 6악장과 돌가락 3악장으로 악장의 구분이 다르게 나타났다. <하현>은 김죽파 줄풍류 3악장, 강태홍 줄풍류는 악장의 구분없이 1악장으로 악장의 구분이 다르게 나타났다. 장단의 수는 김죽파 줄풍류의 <잔령산> 18장단, 강태홍 줄풍류의 <소영산> 18장단, 김죽파 줄풍류의 <가락제지> 15장단, 강태홍 줄풍류의 <가락도리> 15장단, <상현>은 김죽파 줄풍류 26장단, 강태홍 줄풍류 26장단으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잔도드리>는 김죽파 줄풍류는 85장단, 강태홍 줄풍류는 86장단으로 김죽파 줄풍류의 장단수보다 강태홍 줄풍류의 장단 수가 1장단 더 나타났다. <하현>은 김죽파 줄풍류 26장단, 강태홍 줄풍류 26장단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두 풍류의 악장의 수가 장의 구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장단의 수는 1장단의 차이로 비슷하게 구성되었다. 셋째, 선율의 형태는 김죽파 줄풍류의 <잔령산>과 강태홍 줄풍류의 <소영산>의 동일선율은 나타나지 않았고 꾸밈음은 김죽파 줄풍류보다 강태홍 줄풍류에서 10.55% 더 출현하였으며, 구성음과 리듬이 동일한 선율은 김죽파 줄풍류가 강태홍 줄풍류보다 1.11% 더 출현하였다. 김죽파 줄풍류의 <가락제지>와 강태홍 줄풍류의 <가락도리>의 동일선율은 나타나지 않았고 꾸밈음은 김죽파 줄풍류보다 강태홍 줄풍류에서 11.02% 더 출현하였으며, 구성음과 리듬이 동일한 선율은 김죽파 줄풍류가 강태홍 줄풍류보다 9.32% 더 출현하였다. <상현>의 동일선율은 나타나지 않았고 꾸밈음은 김죽파 줄풍류보다 강태홍 줄풍류에서 17.94% 더 출현하였으며, 구성음과 리듬이 동일한 선율은 김죽파 줄풍류가 강태홍 줄풍류보다 7.69% 더 출현하였다. <잔도드리>의 동일선율은 1.17%로 적게 나타났지만 비교 악곡 중 가장 많이 나타났다. 꾸밈음은 김죽파 줄풍류보다 강태홍 줄풍류에서 12.94% 더 출현하였고 구성음과 리듬이 동일한 선율은 김죽파 줄풍류가 강태홍 줄풍류보다 6.07%로 더 출현하였다. <하현>의 동일선율은 나타나지 않았고 꾸밈음은 김죽파 줄풍류보다 강태홍 줄풍류에서 19.23% 더 출현하였으며, 구성음과 리듬이 동일한 선율은 김죽파 줄풍류가 강태홍 줄풍류보다 10.25%로 더 출현하였다. 리듬유형은 김죽파 줄풍류의 <잔령산>에서 의 리듬유형을 사용하였고 강태홍 줄풍류의 <소영산>에서는 와 꾸밈음의 리듬유형을 사용하였다. 김죽파 줄풍류의 <가락제지>에서 의 리듬유형을 사용하였고 강태홍 줄풍류의 <가락도리>에서는 와 꾸밈음의 리듬유형을 사용하였다. <상현>에서 김죽파 줄풍류는 의 리듬유형을 사용하였고 강태홍 줄풍류는 와 꾸밈음의 리듬유형을 사용하였다. <잔도드리>에서 김죽파 줄풍류는 의 리듬유형을 사용하였고 강태홍 줄풍류는 와 꾸밈음의 리듬유형을 사용하였다. <하현>에서 김죽파 줄풍류는 의 리듬유형을 사용하였고 강태홍 줄풍류는 와 꾸밈음의 리듬유형을 사용하였다.

      • 社會福祉組織 管理者의 리더십과 組織效果性에 關한 硏究

        정하선 상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사회가 고도로 산업화, 정보화, 세계화되어감에 따라 사회복지에 대한 인간의 욕구와 기대감은 점차로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책임은 가족에서 사회복지조직으로 옮겨가고 있다. 급변하는 내·외적 환경 변화에 의해 서비스의 전문성, 책임성, 효과성 검증에 대한 강한 요구를 받고 있으며, 새로운 시각에서 사회복지조직 관리자의 리더십을 조명해 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리더십 연구에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 복지생활시설에 적용하여 효과적인 리더십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리더십 각 하위요인들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향후 바람직한 복지생활시설장의 리더십 유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표본은 경상북도 내의 복지생활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2007년 8월 25일부터 2007년 9월 15일까지 300부의 설문지를 직접 또는 우편으로 배포하였으며, 280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최종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280부였다. 본 연구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리더십 인지정도를 살펴보면 변혁적 리더십 전체의 평균이 3.5570으로 나타났으며, 거래적 리더십 전체평균은 3.1303으로 나타나, 변혁적 리더십을 다소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구체적인 변혁적 리더십에서는 감화동기의 평균이 3.7524로 가장 높게, 거래적 리더십에서는 조건보상이 3.270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리더십 유형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모든 요인 간 높은 정적상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과 조직헌신은 리더십 요인 가운데 변혁적 리더십 전체(r=.609)가 가 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무성과는 리더십 요인 가운데 지적자극(r=.412)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변혁적 리더십 전체(r=.401), 즉, 조직효과성은 변혁적 리더십수준이 높을수록 조직효과성이 높게 나타났고, 감화(r=.503), 지적자극(r=.536), 개별배려(r=535)가 높을수록 조직효과성 또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조건보상(r=.503), 예외적 관리(r=.174) 등 거래적 리더십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효과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효과성은 리더십 유형의 모든 요인과 매우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으며, 사회복지 조직관리에서 특히 변혁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As our society becomes highly industrialized, informational, and globalized, the human desire and expectation for the social welfare is growing and its responsibility is shifting from family to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Due to rapid changing external and internal environment, the demand for verification of professionalism, responsibility and efficiency of the service is strong. In such sense, it is significant to review the leadership quality of the manager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ith a new viewpoin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ive leadership by applying the revolutionary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that are widely applied to the leadership studies in recent days to the welfare facilities. Also, the study intended to propose desirable leadership type for the chiefs of welfare facilities by identifying the impact of sub-factors under the leadership on the organizational efficiency. To extract samples, 30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directly or by mail to the workers of welfare facilities within Kyungsangbukdo from August 25, 2007 to September 15, 2007, among which 280 copies were returned and analyzed. The total copies of questionnai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were 280. Below is a brief summary of this study. For the level of leadership recognition of the research objects, the complete revolutionary leadership was 3.5570 in average while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was 3.1303 in average, which indicates that the revolutionary leadership was slightly more recognized. For the specific revolutionary leadership, the influential motive was the highest with the average of 3.7524, while the conditional compensation was the highest in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with the average of 3.270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type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of the research objects, it was found that all factors have high static relation. For the work satisfaction and devotion to organization, the complete revolutionary leadership(r=.609) was the highest among all leadership factors. For the work performance, the intellectual stimulation(r=.412) was the highest among all leadership factors, followed by the complete revolutionary leadership(r=.401). In other words, the organizational efficiency was shown higher as the level of revolutionary leadership is higher. It was also higher when the influence(r=.503), intellectual stimulation(r=.536), and individual consideration(r=535) were higher. Also, the organizational efficiency was higher when the level of transactional leadership such as conditional compensation(r=.503) and exceptional management(r=.174) was higher. Therefore, the organizational efficiency has a very high relation with all factors of leadership type, and the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particularly shows the importance of the revolutionary leade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