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전적 강화의 생명윤리와 인격적 자율성:CRISPR-CAS9 기술을 통한 생식세포 유전자 편집의 문제를 중심으로

        정태창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20 탈경계인문학 Vol.13 No.1

        With the advent of CRISPR-CAS9, the 3rd generation gene scissors, the question of whether genetic enhancement should be allowed or not from ethical standpoint became more crucial, as genetic enhancement through germline cell editing is now in the realm of what is viable. This paper seeks to develop the view of a restrictive, which reconciles bioliberals and conservatives, by carrying out the work of strictly distinguishing between the permissible genetic enhancement and the impermissible one. To this end, this paper will explicate why liberal eugenics should not be allowed on the basis of the notion of personal autonomy. And as an acceptable form of genetic reinforcement, it will present a state-led distribution model of natural primary goods. These models aim to promote and protect personal autonomy, thereby limiting genetic enhancement at an appropriate level.

      • KCI등재

        친밀성의 물화-사회철학적 분석을 위한 시론

        정태창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論叢 Vol.80 No.2

        This paper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a systematical theorization of the reification of intimacy from a socio-philosophical perspective. To this end, this paper attempts to perform the following three tasks. First, the concepts of intimacy and intimate relationship are clarified in the light of relevant philosophical and sociological researches, and the concepts of sexuality, love, and family, which have been central to discussions related to the intimacy domain, are reviewed and their limitations are examined to show that intimacy is the most appropriate basic category for a socio-philosophical analysis on the phenomena of reification related to this domain. Second, this paper formalizes the reification of intimacy as a social pathology that occurs in three dimensions: ① subjectivity, ② intersubjectivity, and ③ objectivity, and examines five types of intimate relationships: love, affection, friendship, human-animal relationships, and human-divine relationships, with intimate relationship of love at the center of the reification process. Third, it outlines the main contents of the socio-philosophical analysis on reification of intimacy in three parts: (1) reification of intersubjectivity, (2) reification of subjectivity, and (3) reification of objectivity, and reveals the logical interconnection between (1) and (3). 이 논문은 친밀성(intimacy)의 물화(Verdinglichung)를 사회철학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이론화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다음과 같은 세 가지 작업이 수행된다. 첫째, 친밀성과 친밀 관계의 개념을 관련된 철학적, 사회학적 연구들에 기초하여 명료하게 규정하고, 그동안 친밀성 영역과 관련된 논의의 중심 개념을 이루어온 성(sexuality), 사랑(love), 가족(family)의 개념을 검토하고 각각의 한계를 살펴봄으로써 이 영역과 관련되어 있는 물화 현상의 사회철학적 분석을 위해서는 친밀성 개념이 기본 범주로 가장 적절하다는 점을 보인다. 둘째, 친밀성의 물화를 ① 주관, ② 상호주관, ③ 객관의 세 차원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정식화하고, 친밀 관계의 5가지 유형, 즉 ‘사랑’, ‘애정’, ‘친애’, ‘인간-동물 관계’, ‘인간-신 관계’ 중 ‘사랑’의 친밀 관계가 친밀성의 물화 과정의 핵심에 있음을 살펴본다. 셋째, 친밀성의물화에 대한 사회철학적 분석의 주요 내용을 ① 상호주관의 물화, ② 주관의 물화, ③ 객관의 물화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개괄하고, ①~③ 사이의 상호 연관을 드러낸다.

      • KCI등재

        자아 없는 자율성 - 인공 지능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고찰 -

        정태창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0 사회와 철학 Vol.0 No.40

        Autonomy of deep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constitutes the main ground for arguing that a moral status should be given to it. But the true nature of AI autonomy and the reason why it can be the basis of moral status remain unclear. In this paper, I will argue the ‘autonomy without self’ of AI cannot be the basis for giving it a moral status. Artificial intelligence cannot be an object of moral consideration, because it does not have self-interest. The counterarguments to this would be that AI capable of self-interest might emerge in the future, and that the function of self-interest could be programmed into AI. I will reply to these two possible counterarguments.

      • KCI등재

        좋은 삶의 형식적 개념에 기초한 ‘물화(Verdinglichung)’의 재정식화

        정태창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2 철학사상 Vol.85 No.-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reformulation of reification based on ‘Sittlichkeit’, the entirety of intersubjective condition for good life. To this end, the paper performs the following two tasks. First, this paper shows the basic idea of establishing critique of reason as the basis of social criticism, which has been consistently maintained in the process of (re)formulating the concept of reification, and makes unclear the normative basis of criticism of reification (Verdinglichungskritik). In order to establish the basis of criticism of reification, it is necessary to first break up with the tradition of critique of instrumental reason. Second, this paper establishes the formal concept of good life as the normative basis of criticism of reification. Since this reformulated criticism of reification does not advocate a specific conception of the good, it can thematize the dissolutions of formal intersubjective conditions for living a good life without colliding with the value pluralism of modern democratic society. 본 논문은 좋은 삶의 영위를 위한 상호주관적 조건들의 총체라는 개념에 기초하여 물화를 재정식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다음의 두 가지 작업을 수행한다. 첫째, 물화 개념의 정립 및 재정식화 과정에서 일관되게 고수되어온 사회 비판의 토대로서의 이성 비판이라는 기본 구도가 물화 비판의 규범적 기초를 불분명하게 해온 근본 원인임을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물화 비판의 규범적 기초가 확립되려면 먼저 도구적 이성 비판과 결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입장이다. 둘째, 좋은 삶의 형식적 개념, 즉 ‘인륜성’을 물화 비판의 규범적 기초로 정립하는 것이다. 이렇게 재정식화된 물화 비판은 좋은 삶에 대한 특정한 내용적 관념을 옹호하지 않기 때문에 현대 사회의 다원주의와 충돌하지 않으면서도 좋은 삶의 영위 일반을 가능하게 하는 상호주관적 조건들의 훼손을 문제삼을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좋은 삶의 형식적 개념에 기초한 사회 정의론의 개요

        정태창 한국윤리학회(8A3209) 2023 윤리학 Vol.12 No.2

        This paper aims to present an outline of a theory of social justice focused on Honnett’s concept of formal ethical life (Sittlichkeit), i.e. totality of intersubjective conditions that serve as essential prerequisites for an individual to lead a good life. To this end, the following tasks are performed in this paper. First, it examines the limitations of the dominant liberal conception of justice, focusing on Rawls, to show the context for for the need for an alternative theory of justice today, and then examines problems of two attempts which aim to overcome those limitations: Fraser’s attempt to make liberal conception of justice more contentually thick within the framework of deontology and Sandel’s attempt to construct more comprehensive conception of justice by turning to teleological point of view and thereby supporting a particular conception of good life. While Honnett’s conept of formal ethical life deserves to be a basis of an alternative conception of justice in that it is teleological and formal, full potential of this concept cannot be fully delevoped in his theory of recognition. Second task of this paper is to pull this concept of formal ethical life from the context of Honnett’s theory of recognition and install it as a foundation stone for a new theory of justice. In order for formal ethical life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a theory of justice, a more concrete elucidation of the concept must be done. To this end, this paper articultates the core of normative content of the concept at a general level in comparison to Kant’s deontological view, and then goes on to divide formal ethical life into two layers, a ‘core’ and a ‘periphery,’ and to outline the content of each. 이 논문은 호네트의 형식적 인륜성, 즉 개인의 좋은 삶의 영위를 위한 필수적 전제 조건으로 작용하는 상호주관적 조건들의 총체의 개념에 기초한 사회 정의론의 개요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업이 수행된다. 먼저 오늘날 대안적인 정의론이 요구되는 배경으로서 기존에 주류를 이루어온 자유주의적 정의관의 한계를 롤스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두 가지 시도로 의무론의 틀 안에서 자유주의적 정의관을 보다 내용적으로 두껍게 변형하려는 시도(프레이저) 및 목적론으로 전회하여 좋은 삶의 특정한 관점을 옹호하는 방식으로 정의론을 내용적으로 풍부하게 하려는 시도(샌델)의 문제점을 각각 검토한다. 호네트의 형식적 인륜성의 개념은 목적론에 기반해 있으면서도 형식적인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서 대안적인 정의관의 기초가 될만하지만, 그의 인정이론적 정의관에서는 이 개념의 잠재력이 충분히 전개될 수 없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이 개념을 그의 인정 이론의 맥락에서 분리하여 나름의 방식으로 정의론의 개요를 마련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형식적 인륜성이 정의론의 기초의 역할을 할 수 있으려면 이 개념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해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칸트의 의무론과의 비교 하에서 이 개념의 규범적 내용의 핵심을 일반적인 차원에서 해명하며, 계속해서 형식적 인륜성을 ‘코어’와 ‘주변부’ 의 두 가지 층위로 구분하여 각각의 내용을 개괄적으로 제시한다.

      • KCI등재

        자본주의적 생산과 소비의 병리현상으로서의 물화

        정태창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論叢 Vol.79 No.4

        Reification has been understood in the tradition of German social philosophy as a concept that captures the core of the pathologies characteristically appearing in the post-modern capitalist society. However, as the reformulations of reification centered on the moments of critique of instrumental reason, the primary goal of critique of reification, i. e. critique of the pathologies of capitalist society, seems to have faded. This paper reformulates the concept of reification on a new basis, separate from the critique of instrumental reason.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revigorate the primary goal of critique of reification, i. e. critique of the pathologies of capitalist society, by rest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reification and ‘the economical’. This work is carried out in a way that inherits Marx’s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and expands it to meet the contemporary prerequisites of social criticism, defining the subject area of critique of reification to pathologies arising from capitalistic production and consumption. 물화(Verdinglichung)는 독일 사회철학의 전통에서 근대 이후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병리현상의 핵심을 포착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물화 개념에 대한 재정식화가 도구적 이성 비판의 계기를 중심으로 전개되면서 자본주의 사회의 병리현상에 대한 비판이라는 물화 비판의 본래의 취지는 퇴색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의식에 따라 물화에 대한 그동안의 논의에서 중심을 차지해 온 도구적 이성 비판과 결별하고 물화 개념을 새로운 토대 위에서 재정식화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표는 물화 개념과 ‘경제적인 것’ 사이의 일차적인 연관 관계를 복원함으로써 근대 이후의 자본주의 사회의 병리현상에 대한 비판이라는 본래의 취지를 되살려내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마르크스의 정치 경제학 비판의 문제 의식을 계승하면서 그것을 오늘날의 사회 비판의 조건에 맞게 확장함으로써 물화 비판의 주제 영역을 자본주의적 생산과 소비로부터 발생하는 병리현상으로 한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KCI등재

        반성적 평형에 대한 칸트적 해석

        정태창 철학연구회 2019 哲學硏究 Vol.0 No.125

        Although Rawls’s reflective equilibrium has been regarded as themost prevailing method of justification at present in the field of moralphilosophy and political philosophy, on the other hand critiques hasbeen constantly made about it. Among them are critique of it asintuitionism or relativism, scepticism about the possibility ofconvergence, critique of emptiness. So it has been said that reflectiveequilibrium cannot be taken seriously as a methodology of justification. To overcome this situation,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truct the way itis understood in Rawls’s justice as fairness, with Kant’s argument inhis Groundwork of Metaphysics of Morals as a key. This reconstructiongives a Kantian interpretation of reflective equilibrium, which preventsit from degenerating into a empty methodology, and helps it overcomemany criticism raised on it so far. 롤스의 반성적 평형은 도덕철학 및 정치철학의 영역에서 현재까지가장 유력한 정당화의 방법론으로 간주되어왔지만, 다른 한편으로 그것이 직관주의 혹은 상대주의에 불과하다는 비판, 수렴가능성에 대한 비판, 정합성이 갖는 정당화의 힘에 대한 비판, 공허함에 대한 비판 등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정당화 방법론으로서 진지하게 고려되기 어렵다는 상반된 평가를 받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칸트의 윤리형이상학 정초의 논의를실마리로 삼아서 롤스의 공정으로서의 정의에서 반성적 평형이 이해되는 방식을 보다 충실하게 재구성하고자 시도한다. 이러한 재구성은 반성적 평형이 모든유관한 요소들을 흡수해버리는 공허한 방법론으로 전락하는 것을 막으면서도그것에 지금까지 제기되어온 여러 비판들을 극복하게 해주는 하나의 해석을 산출하게 되는데, 그것을 반성적 평형에 대한 칸트적 해석으로 명명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아펠의 담론윤리학의 정초주의적 논증 구조에 대한 비판적 분석

        정태창 ( Jung Tae-chang ) 한국윤리학회 2016 윤리학 Vol.5 No.1

        본 논문은 아펠의 담론윤리학의 정초주의적 기획을 다음의 세 가지 논점에 따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첫째로,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라는 물음을 선험화용론적 반성을 통해 최종적으로 해소하려는 아펠의 시도는 충분한 답변이 되지 못하며, 과연 이러한 물음이 철학적 논증을 통해서 해소될 수 있는지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보완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둘째로, 논증이 가능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전제되는 보편타당한 도덕 규범들이 선험화용론적 반성을 통해 발견될 수 있다는 아펠의 주장은 목적 합리적 규칙과 도덕 규범을 혼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더 나아가 왜 다른 조건들이 아닌 이러한 가능조건인가의 물음에 대답하기 위해 느슨한 형태의 철학적 반성에 기대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화용론적 모순의 개념에 기초한 논증은 그것을 개입시키지 않는 형태의 논증으로 변형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알버트가 제시한 뮌히하우젠의 트릴렘마를 피해나갈 수 있는지 확실하지 않다. 셋째로, 논증 참여자들의 만장일치의 이성적 합의에 의해 타당한 도덕 규범을 산출하고 정당화할 수 있다는 아펠의 주장은 과학 공동체의 진리 주장에 실천적 문제에 대해 반성하는 의사소통공동체의 모델을 무리하게 동화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원리적으로 실현가능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분석한다. 아펠의 정초주의적 기획에 대한 본 논문의 이러한 비판적 분석은 타당하다면 오늘날 선험화용론의 논증 논리에 따라 정초주의의 기획을 전개하는 입장에 대해 재고해볼 여지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criticizes the foundationalist arguments of Apel’s discourse ethic in three points. Firstly, Apel’s attempt to dissolve the question ‘Why be moral’ by a transcendental-pragmatic reflection is not successful, since it is not clear whether this kind of existential question can be answered by philosophical argument. Secondly, Apel’s argument that universally valid moral norms as indispensable preposition in communicative praxis can be discovered by transcendental-pragmatic reflection is flawed because it is based on a confustion of purposive-rational rules and moral norms. Moreover, Apel can answer the question ‘Why these presuppostions, not others?’ only by appealing to a kind of philosophilcal reflection which is not strict enough to vindicate a claim of necessary truth. Apel refutes Albert’s anti-foundatinalist argument is based on pragmatic contradiction by the concept of pragmatic contradiction. But since it is possible to transform Apel’s argument to one which is not based on the concept of pragmatic contradiction, it is not clear whether his position really overcomes Albert’s munchhausen trilemma. Thirdly, Apel’s claim that a unanimous rational agreement by participants of discource can construct and justify valid moral norms is flawed with unrealizability because it assimilates the model of communicative community aimed at reflection on practical problems to scientist community reflecting on truth claim. These critical assessments can give, if valid, a reason to reconsider the foundationalist project based on the logic of transcendental pragmatics.

      • KCI등재

        공화주의 공공 철학과 좋은 삶

        정태창(Jung, Tae-Chang) 새한철학회 2021 哲學論叢 Vol.105 No.3

        공화주의는 민주주의 사회의 공공 철학의 주류를 이루어온 자유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가장 유망한 대안으로 간주되어왔으나, 아테네적 전통과 신로마적 전통으로 분열되고 각각 심각한 비판에 직면하게 됨으로써 관련 논의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좋은 삶의 영위를 위한 상호주관적 조건들의 총체라는 개념을 통해 공화주의를 규범적으로 정초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샌델의 시민 공화주의를 중심으로 공화주의의 아테네적 전통을 이 개념에 기초하여 재정식화한다. 샌델의 시민 공화주의는 그의 아리스토텔레스적 정의관에 따라 좋은 삶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합의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좋은 삶의 영위를 위한 형식적 조건들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하는 위의 기획과 분명한 대조를 이룬다. 본 논문은 좋은 삶의 내용이 아니라 형식에 대한 합의에 중점을 두는 공화주의 공공 철학이 보다 유망하다는 점을 밝히고, 이러한 노선을 따를 때 비로소 공화주의의 시민적 덕성 및 정치 참여에 대한 강조가 현대 사회의 다원주의와 양립가능한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Republicanism has been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promising alternative to liberalism, the mainstream public philosophy of democratic society, but it is divided into Athenian and neo-Roman traditions and faced with serious criticisms, respectively, which seems to prevent related discussions from moving forward. To overcome this impasse, this paper establishes normative foundation of republicanism on Honnett’s concept of ‘Sittlichkeit’, or the intersubjective conditions for living a good life, and reformulate Sandel’s civil republicanism accordingly. Sandel"s civil republicanism stands in stark contrast to the above project centered on discussions of formal conditions for good life in that it aims to reach an agreement on the concrete contents of good life according to his Aristotleian conception of justice. This paper reveals that a Republican public philosophy that focuses on consensus on form of good life, and not content of good life, is more promising, and only when this line is followed can the emphasis on civic virtu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be understood in a way compatible with reasonable pluralism in moder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