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체 철학의 사회철학적 재구성 흐름에 대한 비판적 점검: 공동체주의와 대안적 독법을 중심으로

        김도윤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3 사회와 철학 Vol.- No.45

        본 논문은 그간 한국 정치·사회 철학 담론에서 주목받지 못한 여러 가지 니체 독법을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의 정치·사회 철학계는 공동체와 개인(보편과 개별)의 대립 극복을 위해 주로 독일 전통의 이론에 의존한다. 그러나 니체 또한 독일 전통에 서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주의 옹호 철학으로 쉽사리 취급받고, 그와 관련된 깊이 있는 정치·사회 철학 담론이 형성되지 못했다. 그는 주로 푸코와 들뢰즈로 대표되는 현대 프랑스 철학을 거쳐 간접적으로 참조될 뿐이다. 니체로는 공동체 혹은 사회에 관한 긍정적인 철학 논의를 형성하기 어렵다는 점은 니체 연구자에게서도 널리 받아들여지곤 했다. 그러나 21세기를 기점으로 하여 영미권 니체 연구자들은 이러한 기존 견해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니체의 정치·사회 철학적 면모를 재조명하기 시작했다. 이 글은 그들의 최근 논의를 정리 및 검토한다. 우선, 전통적인 해석 방법인 개인주의 니체 독법의 주요 주장을 짚고, 공동체주의 니체 독법과 다투게 될 쟁점 사안을 정리한다(2장). 개인주의 니체 독법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등장한 공동체주의 니체 독법을 쟁점에 맞추어 소개하고(3장 1절), 그 한계를 짚어 본다(3장 2절). 그 후, 공동체주의 니체 독법의 장점을 수용하면서도, 그 한계를 극복하려 하는 두 대안적 독법을 살펴볼 것이다(4장과 5장). 마지막으로, 대안적 독법들이 갖는 문제점이 무엇인지 비판적으로 검토한다(6장).

      • KCI등재

        한나 아렌트와 ‘포스트 베스트팔렌’ 세계를 위한 사회 (간) 계약

        김만권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3 사회와 철학 Vol.- No.46

        본 논문의 목적은 포스트 베스트팔렌 세계(post-Westphalia)에 적합한 새로운 사회계약론의 필요와 그 새로운 내용을,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행위이론’(a theory of action)을 ‘사회 (간) 계약 이론’(social contract theory)으로 재구성해 살펴보는 것이다. 사회계약론의 (역사적) 관점에서 아렌트가 베스트팔렌 모델에 내재된 국가 주권의 절대성과 이와 연계된 정치에서 폭력의 요소를 ‘상호약속’(mutual promise)이란 개념을 통해 어떻게 거부하였는지, 어떻게 사회계약을 가상적인 협약의 영역에서 정치적 실천의 장으로 끌어내는 역할을 하였는지, 더하여 아렌트가 주장하는 ‘인민의 신격화’(혹은 신적 입법)에서 벗어난 ‘관계 맺기’로서의 계약론을 이해하는 방식이 어떻게 오늘날 포스트베스트팔렌 세계의 사회 간 계약에 더 적합한지 논의한다. 이를 통해 변화하는 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시작을 위한 '실천적' 사회 계약론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plore the need for a new social contract theory suitable for the post-Westphalia world and to reconstruct the contents of this new theory through Hannah Arendt’s ‘theory of action’. It examines how Arendt,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ntract theory, rejected the absoluteness of state sovereignty and the element of violence associated with politics through the concept of ‘mutual promise’, and how her understanding of law as ‘relationship establishment’ that goes beyond the ‘sanctification of the people’ (or divine legislation) is more suitable for the social contracts of the post-Westphalian world. Furthermore, it discusses how Arendt transforms the concept of social contract from the realm of hypothetical agreements into a stage for political practice. Through these theoretical reconstructions it seeks to explore a new practical theory for social contract that is suitable for a new beginning in an ever-changing era.

      • KCI등재

        아도르노의 비판이론과 아헨바흐의 철학실천: ‘무력화되고 고립된 개인’의 삶을 치유하기 위한 비판적 사유

        노성숙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3 사회와 철학 Vol.- No.46

        본 논문은 ‘개인’이 겪는 심리적 고통에 주목하면서 아도르노의 비판이론과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의 연관성을 고찰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우선적으로 2장에서는 서구 근대 문명사에서의 ‘개인’에 대한 아도르노의 비판이론을 살펴본다. 또한 3장에서는 고대와 근대 시민으로서의 ‘개인’에 대한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을알아본다. 나아가 4장에서는 오늘날 개인의 무력화되고 고립된 삶을 치유하는 데에 아도르노의 비판이론과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고찰한다. 이 과정에서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이 아도르노의 비판이론과 어떻게 사상적으로 교차되면서 그 비판적 사유를 계승하고 실천하는지를 초점화한다. 그리하여 한편으로 ‘아도르노의 비판이론’은 다른 정신과 치료나 심리치료 및 심리상담과는 다른 차원에서의 치유를 시도하고 있는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이 지닌 차별성을 보여주는 ‘철학적 이론’의 기반이 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은 아도르노의 비판이론이 지닌 독특함이 구체적으로 개인의 심리적고통을 치유하기 위해 ‘철학적으로 실천’될 수 있는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사실을 보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rno’s critical theory and Achenbach’s philosophy practice, focusing on the psychological pain experienced by individuals. First, Chapter 2 explores Adorno’s critical theory of the individual in the history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Chapter 3 examines Achenbach’s philosophy practice regarding the individual as an ancient and modern citizen. Chapter 4 considers how Adorno’s critical theory and Achenbach’s philosophical practice can contribute to healing the incapacitated, isolated lives of individuals today. In doing so, it focuses on how Achenbach’s philosophy practice intersects in thought with Adorno’s critical theory and inherits and practices his critical thinking. Thus, on one hand, Adorno’s critical theory can be the basis of a philosophical theory that shows the differentiation of Achenbach’s philosophy practice, which attempts healing on a different level from other psychiatric treatments, psychotherapy,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On the other hand, Achenbach’s philosophy practice can be established as a model in which the uniqueness of Adorno’s critical theory can be philosophically practiced to heal individual psychological pain specifically.

      • KCI등재

        비판에서 체계로, 다시 체계에서 비판으로 - 장춘익 사회철학의 문제의식과 그 전개과정

        정성훈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2 사회와 철학 Vol.- No.43

        1990년대 한국의 ‘하버마스 이상열기’를 주도한 장춘익은 2010년대에 루만의 체계이론을 번역하고 연구했다. 그리고 이후 다시 비판이론으로 관심을 돌렸다. 이 논문은 장춘익이 독일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고 귀국한 후 30년 가까운 세월 동안 썼던 글들을 토대로 그의 사회철학이 가진 문제의식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장춘익은 마르크스 이론을 모델로 경험적 분석과 비판적 관점이 상호 상승 작용하는 사회철학을 추구했으며, 이를 위한 오늘날의 유망한 이론으로 하버마스를 선택했다. 그리고 그는 비판의 측면과 경험적 측면의 두 측면에서 하버마스의 이론을 보완하고자 했으며, 특히 전략적 고려와 제도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이러한 보완 문제의식 속에서 그는 루만의 체계이론에 대한 연구로 나아가게 되었고, 윤리학, 합리성, 여론 등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다시 하버마스의 최근 저작에 대한 연구를 비롯한 비판이론 연구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연구를 멈추게 되었다. 이 논문의 결론에서 나는 장춘익 사회철학의 문제의식을 수평적 관계에 대한 지향을 중심으로 정리해보았다.

      • KCI등재

        추상화의 총체적 지배: 아도르노의 교환사회 개념과 정치경제학 비판

        강한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3 사회와 철학 Vol.- No.46

        It is undeniable that capitalism is the first determination for human beings. What is the social domination that occurs in a society where economic principles have become a necessity?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paper focuses on Adorno’s philosophy, especially his social theory and critique of political economies, which criticize the abstraction of exchange principles. The abstract domination that Adorno attempts to clarify is the universal mediation of exchange, a social model of identity principles that have become a natural order. Structural violence and social a priori conditions and objectively synthesizes individual experiences. Abstract domination is conceptualized as real abstraction in Adorno’s critique of political economies. This means that abstraction is not an epistemological category, like subjective projection, but a social category, the general form of a false society and capitalist totality that reduces everything into exchangeable objects. 자본주의가 인간에 대한 제1규정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경제를 중심으로 동근원화된 사회에서 발생하는 인간에 대한 사회적 지배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이 글은 아도르노의 철학, 그중에서도 교환원칙의 추상화를 비판하는 사회이론과 그의 정치경제학 비판에 주목한다. 아도르노가 규명하는 추상적 지배란 자연적 질서가 돼버린 동일성 원칙의 사회적 모델인 교환 추상화의 보편적 매개를 의미한다. 그것은 구조의 살아 움직이는 폭력이자, 개인의 경험을 조건 짓고 객관적으로 종합하는 사회적 아 프리오리이다. 추상적 지배는 아도르노의 정치경제학 비판에서 실재 추상화로 개념화된다. 이는 추상화가 주관적 투사와 같은 인식론적 범주만이 아니라 사회적 범주, 즉 모든 것을 교환 가능한 대상으로 만드는 잘못된 사회의 보편적 형식이자 자본주의적 총체성임을 의미한다.

      • KCI등재후보

        민주주의 두 얼굴 : 참여 민주주의와 숙의 민주주의

        정원규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05 사회와 철학 Vol.0 No.10

        Despite the actual victory of modern liberal democracy, many anti- liberal theorists have made an effort to overcome its limits. Participatory democracy and deliberative democracy are the leading ideas which represent such streams. However, deliberative democracy is at best a version of liberal democracy, in that it is grounded on elitism and meritocracy. Following the idea of Rousseau's republicanism, participatory democrats present us with the ideals of direct democracy and workplace democracy. These ideals of participatory democracy can be exemplified by a right to form a political unit, referendum, the Upper House by lots, and a extension of suffrage to more people.

      • KCI등재

        장춘익의 사회철학: 논증과 연대

        강병호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2 사회와 철학 Vol.- No.43

        Chun-Ik Jang’s writing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he first category covers studies on Hegel, Marx, Habermas, Luhmann and so on, which comprises Chun-Ik Jang’s Social Philosophy 1. Chun-Ik Jang’s Social Philosophy 2 contains studies on environment, technology, distributive justice, equality, or humanity, which comes into the second category. Essays on various themes such as self-respect, honor, tolerance, religion, competition, money, capitalism, happiness, conscience, love, gender, solitude set up the third category. This article aims at reconstruction of framework and characteristics of Chun-Ik Jang’s Social Philosophy based on not only his theoretical approach to social philosophy in Chun-Ik Jang’s Social Philosophy 1. but also other writings, especially those articles in Chun-Ik Jang’s Social Philosophy 2, and miscellaneous essays, which have been unpublished.

      • KCI등재

        1990년대 학술장의 구조변동 속에서 한 하버마스주의 철학자의 궤적: 장춘익의 지적 여정의 의의와 한계

        이시윤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2 사회와 철학 Vol.- No.43

        This study evaluat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academic journey of social philosopher Jang Chun-ik in terms of the sociology of knowledge based on Pierre Bourdieu's field theory. In the mid-1990s, Jang and a group of researchers raised German thinker Jürgen Habermas as a central figure in the academic field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Korea. This was the result of the most successful collective symbolic struggle among a large number of young scholars from the reformist academic movement entering the established system in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of the 1980s dualized academic field. And in this process, a huge network of discourse sharing the common interest of the alternative critical theory was formulated in the field, creating the possibility that the evolution of the field would be achieved from Bourdieu's perspective. However, this possibility was not realized because the network of discourse was deconstructed early and members of the research group themselves went off from it while oscillating between the different dispositions of the major academia and the minor reformists. Jang Chun-ik's intellectual trajectory is showing this process as a private history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collective field is inscribed. This paper showed the process of structural changes of the academic field in the 1990s through the tracking of intellectual trajectories drawn by Jang and young researchers and attempted to reflect on the implications of their practices left for us today.

      • KCI등재

        아렌트 공적 행복 개념의 발전적 재구성을 위한 보충적 논제들

        정원규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0 사회와 철학 Vol.0 No.40

        이 글의 목적은 ‘차이에 대한 정념’, ‘본받음’, ‘공인의 보증’ 등으로 대표되는 아렌트적 계기들을 활용하여 공적 행복의 의미를 개인적 차원에서 해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적 행복의 의미는 우선 추상적 차원에서 ‘공적 활동에 참여함으로써만 경험할 수 있는 개인적 만족’으로 한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한정 하에서 공적 행복은 다시 아렌트적 계기들의 확장으로서 안정감, 자기 고양의 느낌, 자신감 등으로 구체화된다. 인격적 차원에서 이런 유형의 만족은 공적 활동을 통하지 않고서는 경험할 수 없다는 것이 이 글의 핵심 논제이기도 하다. 물론 아렌트 자신은 이러한 확장이나 구체화를 고려하지 않았으므로, 그러한 과정은 필자가 듀이, 앨더퍼, 파레크의 연구성과를 원용하여 보충하였다.

      • KCI등재

        하이데거의 사유에서 ‘전회’ - ‘존재’로부터 주체와 형이상학의 회복

        임익성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0 사회와 철학 Vol.0 No.40

        The retrieval(Wiederholung) of the subject and metaphysics from Being is not bringing them back to us. Retrieval is one step back in order to return to the history of man’s essence. It is the dis-closedness(Ent-schlossenheit) from what has bound the Da-sein so far, and it is a opening-resoluteness(Entschlossenheit) to move away from what has been used and choose a new way. For this opening- resoluteness and dis-closedness, the thinking of turning(Kehre) is inevitable. The turning is not a change of Heidegger’s thinking. As some researchers have argued, the turning is not necessary because of limitations such as Dasein’s temporality and understanding of Being(Seinsverständnis). But, inevitably, it turns itself in itself because it still requires Dasein’s temporality and understanding of Being, etc. ― the question of the truth of Being is the question of the history of man’s essence. In order to retrieve the true meaning of “thinking the truth of Being,” not only the temporality of Dasein, but also the historicality of Being, must be looked back(zurückblicken) at the same time, in turn. Turning is the whole process of thinking, starting from the human essence, passing through the question of Being,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ursprünglich) human essence, just as a marathoner turns around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In the “Journey(Fahrt) of Turning” toward “the essence of human beings”, we finally face “the truth of Being”, and it is only in the “Journey of Thinking” towards “the truth of Being” that we will finally encounter the “the essence of human be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