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객체 지향 메트릭 분석을 통한 객체 지향 점수 메트릭의 연구

        정태인(Tae In Chung),김수동(Soo Dong Kim),류성열(Sung Yul Rhew)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B

        객체 지향 이라는 개념이 여러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사용된 이래로, 대부분의 객체 지향의 연구는 분석과 설계, 그리고 재사용적 측면에 치중되어 있었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는 것에 있어서 물론 분석과 설계도 중요할 뿐만아니라, 계획의 단계도 중요한 것이 사실이다. 계획의 단계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메트릭에 대한 연구를 본 논문의 핵심으로 잡고 있는데, 이러한 메트릭중에 이제까지의 객체 지향의 메트릭 뿐만아니라 기능 점수에 기반한 메트릭을 제시함으로써 객체 지향 프로그램의 분석을 좀 더 자세하기 할 수 있게 한다.

      • KCI등재

        한국 대졸 경제활동인구의 노동시장 성과

        유홍준(Hong Joon Yoo),정태인(Tae-In Chung),전은주(Eunjoo Chun)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2

        이 연구는 한국 노동시장에서 구직에 성공한 대졸 취업자와 구직에 실패한 대졸 경제활동인구의 개인적 배경요인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대학생활에서의 취업준비 정도와 구직방식이 노동시장에서의 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임금, 임금만족도, 직장만족도의 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2010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자료이며, 분석대상은 2010년 9월 기준 전일제, 상용직으로 취업 상태에 있는 현직자로서 구직 활동을 경험한 7,663명이다. 분석결과, 정규직 여부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낸 변수는 성별, 학교 소재지, 계열, 대학교육 만족도, 어학연수경험, 구직방식이다. 대기업 여부는 어머니의 학력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임금은 남성인 경우,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경우, 학교 소재지가 서울인 경우 상대적으로 임금 수준이 높았다. 대학교육에 만족했거나 어학연수 경험 및 취업목표가 있었던 경우에도 모두 임금 증가 효과를 낳았다. 요약하면, 개인의 인적자본과 사회적 자본 양자 모두가 노동시장에서의 결과와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구직방식에서, 인적 접촉을 통한 구직은 임금 수준, 정규직 여부 및 대기업 취업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라노베터의 ‘약한 유대의 강점(strength of weak ties)" 명제와는 다른 것으로, 우리나라의 노동시장이 그라노베터가 연구했던 1970년대 미국 사회와는 다른 사회구조를 갖고 있고 채용방식 또한 다른 점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successful job seekers and unsuccessful ones in Korean college-graduates labor market. The labor market outcomes as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are measured by employees’ income level and their satisfaction to job and income.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adiness for work, and job search methods. The data used is GOMS2010 and 7,663 employees are analyzed. The analysis show that both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labor market outcome of individual. In regard to job search method, getting a job through personal contacts had negative effect on income level and in getting a regular job in big firms. This result is contradictory to Granovetter’s thesis, which reflect the difference of social structure(network) and of recruiting system between the US and Korea.

      • KCI등재

        한국인의 직업정체성과 직업위세

        유홍준 ( Yoo Hong Joon ),정태인 ( Chung Tae-in ),김월화 ( Kim Worlhwa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7 한국사회 Vol.18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직업정체성의 현황이 어떠하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통계청 사업체기초통계조사를 표집틀로 방문조사와 e-mail 조사 등 복합조사를 수행한 직장인 대상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사례 수는 1,115명이다. 직업정체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대체로 높은 지위의 직업군은 직업에 대해 감정이입을 하고 본인과 직업을 동일시하며 본인에게 잘 맞는다고 생각함으로써 비종사자에 비해 직업정체성이 높은 반면에, 중간 지위의 직업군은 직업정체성이 비종사자가 인식하는 것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낮은 지위의 직업군은 본인의 직업에 대해 비종사자보다 감정이입의 정도가 낮고 직업과 동일시하지 않으며 잘 맞는다고도 생각하지 않음으로써 직업정체성이 낮은 현상을 보였다.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하여 직업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종합한 결과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직업의 가치에 대해서 비경제적 측면을 중요시할수록 업무만족이 높으며 본인의 소속 직업군에 대한 위세 인식점수가 높을수록 직업정체성이 높았다. 직업군별로 살펴본 결과에서도 직업지위가 높을수록 직업가치에서 업무만족 같은 비경제적인 측면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occupational identity among Korean workers and try to find the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n this. The data for 1,115 workers which are sampled by surveys are analyzed.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The group of workers with high occupational prestige show higher level of occupational identity than outsiders(those who are not in those occupations) as they are more identified with own jobs and think of it fitting to themselves. Those workers with middle level of occupational prestige show almost same level of occupational identity with outsiders. On the other hand, the workers with low occupational prestige show lower level of occupational identity than outside workers as they are less identified with own jobs and think of their job not fitting to themselves. The conclusion of analysis for the significant factors which influence on occupational identity are as follows. The higher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higher emphasis on noneconomic aspect of occupational values, the higher is their work satisfaction. If the workers feel higher occupational prestige for their own occupations, their occupational identity are high. Higher occupational status is found to be related with noneconomic aspects of occupational values such as work satisfaction.

      • KCI등재

        청소년들의 직업포부 변화에 대한 직업가치의 영향

        유홍준(Hong Joon Yoo),신인철(Inchol Shin),정태인(Tae In Chung)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4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직업포부가 단기적으로는 교육성과와 교육성취, 장기적으로는 성인기 이후의 직업 선택과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기존의 직업포부 연구들은 횡단적 접근에 국한되거나 일차원적 직업포부 종단연구에 초점을 두었던 한계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벗어나, 청소년들의 다차원적인 직업포부 변화를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에 직업가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를 이용하여 진로발달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시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들의 직업포부는 남성직업선호형, 혼성직업선호형, 여성직업선호증가형, 여성직업선호감소형, 직업미결정형 등 크게 5가지의 형태로 변화되고 있었다. 더불어 이러한 직업포부의 변화에 있어 청소년기에 직업에 대해 갖고 있는 다양한 가치관이 각기 차등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진로발달과 직업포부 성숙을 위한 정책적 대안의 필요성도 함께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adolescents" occupational aspira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ir educational achievement and educational outcomes as well as career choices. Previous research has been confined to the cross-sectional approach or one-dimensional longitudinal study in analyzing occupational aspirations. Unlike the prev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not only to find the multidimensional changing pattern on the adolescents" occupational aspirations, but also to analyze the effects of work values on the changing pattern. The data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2003-2008) of the Nation Youth Policy Institute was analyzed for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five sub-group types in terms of their occupational aspirations; preference type on male-typical jobs, preference type on gender-neutral jobs, preference type on male-typical jobs, decreasing type for female-typical job preference, increasing type for female-typical job preference. Second, we found that various work values had effects on the changing pattern of the occupational aspir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olicy actions to mature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and the growth of their occupational aspirations.

      • KCI등재

        문화합의이론을 이용한 직업위세 척도의 비교

        유홍준 ( Hong Joon Yoo ),신인철 ( In Chol Shin ),정태인 ( Tae In Chung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4 한국사회 Vol.15 No.1

        본 연구는 직업위세란 직업 위계구조에 대한 집합적 인식과 믿음이라는 사회학 내의 합의를 기초로 한 문화합의이론을 적용하여 직업위세가 척도에 따라 문화적 합의수준과 편향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실험연구결과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업위세를 측정하는데 있어 11점 척도의 경우에는 이동편향을 영향을 받아 5점 척도로 측정한 경우보다 과대추정을 할 가능성이 높았다. 하지만, 전통적인 방법에 따라 직업위세지수를 산출할 경우에 5점 척도보다는 11점 척도의 결과가 문화합의이론 분석에서 도출된 문화적 참값에 보다 가까웠다. 따라서 향후 직업위세조사에서는 척도 사용에 있어 신중을 기함과 동시에 조사과정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 the different results from various occupational prestige scales on the level of perceptional consensus and discrepancy. The analysis is based on cultural consensus theory and the data used is from 137 students sample. The result shows that 11-points measurement scale has high probability of over-presumption. However, the results from 11-points scale is closer to cultural true value than that from 5-points scale. We suggest a more discretion in the future studies in the usage of measurement scale for the occupational prestige.

      • KCI등재

        한국의 직업구조

        유홍준(Hong Joon Yoo),김기헌(Ki hun Kim),정태인(Tae In Chung) 한국인구학회 2013 한국인구학 Vol.36 No.1

        이 연구는 지난 30년 간 한국의 직업구조의 변화에 대해서 군집분석과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하여 직업군별 인구집단의 사회적 거리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각 직업군별 인구집단의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1985년부터 2009년까지 5년 주기로 직업군별로 여성비율, 중위연령, 대졸자(4년제) 이상 비율, 종사상 지위 중 임금근로자 비율, 임금근로자 중위임금(사무직=100), 평균 근속년수 등 6가지의 특성변인들을 활용하여 결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직업 대분류 상의 6가지 직업군은 관리직과 다른 직업군으로 크게 구분되며 종사상 지위 중 임금근로라는 특성이 강한 사무직과 생산직 간의 동질성은 약화되고 고학력화에 따라 전문직과 사무직 간의 이질성은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다른 한편, 여성 비율 증가로 서비스ㆍ판매직과 농림어업직의 이질성은 감소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각 직업군별 결과를 종합하면,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로 나누어 볼 때 두 직업군 간 거리가 점차 멀어지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performed cluster analysis and applied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in order to investigat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occupations in the context of occupational structure changes in the past three decades in Korea. The analysis used a total of six attribute types as cluster variables such as education, income, gender mix, age, employment status, and year of employment. To find out the trend of homogeneity among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the data were analyzed in a five-year interval from 1985 to 2009. Our analysis shows the landscape of occupational groups dividing largely into the managerial group and all other occupational groups. The typically salaried, office administrative employee group grew distant from the historically waged, manufacturing workers group. Meanwhile, rapid expansion of available higher education brought the distance between administrative employees and professionals closer. Due to increase in female population and overall population aging, service providers and sales workers gradually became closer to those in the farming and fishing industry. Interestingly, the group of workers in service and sales job classifications maintained the similarities with manufacturing workers continuously. Overall, if all occupational groups were to be categorized into two set of occupations ? one being white-collar and the other, blue-collar ? the gap between the two occupational sets has widened over the period of this study.

      • KCI등재
      • 他人資本費用의 法人稅 會計에 관한 硏究

        鄭泰仁 건국대학교 1988 論文集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nd evaluate the effect and rationality of non-inclusion system for interest expense which Influence enterprise fund procurement method as a restratint through taxation on costs of capital. The cost of capital of the corporation income tax under the current non-inclusion system for interest expense were review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theory of F. Modiglianiand, M. H. Miller of cost of capital for corporation income tax. The conclusion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although tax shield for cost of capital, in coporation income tax don't have any correlation with the tax rate, it would appear differently by the tax rate between interest and dividend in personal income tax of inverstors. Seconcly non-inclusion of interest expense for borrowed capital of a enterprise would burden the same ammount of tax as eguity fund. And by a certain debt level, the value of enterprise will be decided by the profitabity of the fund. This may suggest to controllers of enterprise. Thirdly, unrationality among stock divdends, investment encouraging business stocks, undiposable real estate which are objects to be restricted, criteria of judging the main business and caculating formula should be eliminated. In addition, though it is their own fund, unproductive operation of funds should be also restricted. Fourthly, as non-inclusion system for interest expense is assessment to assumed income, there is a mal-functional basic problem which makes financial status of enterprise weaker, Accordingly, as there is a limitation on restricting the debt preference of enterprise, it would be effective to run a parallel inducement policy, net only by tax but also other non-tax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