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직업지위 지수

        유홍준(Yoo Hong Joon),김월화(Kim Worl Hwa) 한국사회학회 2006 韓國社會學 Vol.40 No.6

        사람의 일생에서 생활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직업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중요하며, 특히 직업의 위계에 따라 달리 부여되는 직업위세는 한 사회의 계층구조를 드러내는 강력한 지표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표준직업분류’에 따른 직업별 직업지위 점수를 산출하고, 지난 25년간 우리나라의 직업지위 변화를 비교분석해 보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까지의 연구들에서 조사된 주관적 직업위세와 이 연구에서 계산된 직업지위간의 상관관계는 0.87로, 수입과 교육으로 계산된 직업지위와 주관적으로 부여된 직업위세가 상당히 일치하였다. 둘째, 현재 직업지위 구조의 전반적인 양상은 직업대분류에 따라 역(逆)대각선의 형태로 나타났다. 즉, 대분류 1에서 9로 갈수록 평균적 직업지위가 대체로 하강한다. 셋째, 직업지위 결정에 있어서 1975년에는 직업지위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교육에 비하여 수입의 영향력이 높았던데 반해, 2000년에는 수입에 비해 교육의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1975년과 2000년의 직업지위를 비교해 보면, 직업지위 간 상관관계가 0.81로 대체로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지위 변화의 대체적인 경향은 상승세이다. 구체적으로 직업대분류별 직업지위의 변화를 살펴보면, ‘0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에 속하는 직업들의 직업지위가 크게 높아졌고, ‘4 서비스 종사자’ 및 ‘5 판매 종사자’의 직업지위는 대체로 상승하였다. 반면에 ‘2 기술공 및 준전문가’ 및 ‘3 사무종사자’는 전반적으로 직업지위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1 전문가’나 ‘6 농업 및 어업 종사자’,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8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9 단순노무 종사자’의 경우에는 일부 직업의 직업지위는 상승한 반면에, 일부 직업의 직업지위는 낮아져서 이중성을 보인다. 다섯째, 1975년에 비해 2000년에는 직업위세와 직업지위간의 상관관계가 낮아지며, 회귀식의 설명력 역시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지위의 결정에 교육과 수입만으로 설명되지 않 는 부분이 더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직업지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에 대한 연구가 추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truct the Occupational Status Score Scheme for Korean occupations based on KSCO(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The second purpose is to analyze the trends in changes of status scores during the last 25 years. The equation is withdrawn with the median value of education from 2000 Census and the median value of income from 2002 KLIPS(Korea Labor Institute Panel Survey)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with the 'subjective perception for occupational prestige' taken from 2000 Equity Survey as a measure of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Hong's(1983) to analyze the patterns of change. The overall pattern of occupational status shows a reversed diagonal line, which represents that the status ranking is higher if the one-digit KSCO score is smaller. During the last 25 years, those occupations in categories number 0, 4, and 5 have experienced increase of occupational status score, while those in categories number 2 and 3 have experienced decrease. The other occupations belong to categories number 1, 6, 7, 8 and 9 have shown a sort of dualistic pattern, some of which are increased while the others are decreased.

      • KCI등재

        고용의 질 : 연령계층화와 구조적 지체에 대한 탐색(1983~2012)

        유홍준(Hong Joon Yoo),김기헌(Ki Hun Kim),오병돈(Byeongdon Oh) 한국노동연구원 2014 노동정책연구 Vol.14 No.3

        이 연구는 지난 30년(1983~2012) 동안 연령집단별로 고용의 질이 어떻게 변모하였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사회의 연령계층화 과정을 진단해보았다. 먼저 연령집단별 고용의 질을 고용기회(고용률), 고용안정(임시?일용직 비율), 능력개발(관리?전문직 비율), 소득보장성(중위임금 50% 이하 비율), 노동조건(주당 50시간 이상 노동 비율)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측정하고, 다차원척도법(MDS)을 이용하여 연령집단 간의 동질성과 이질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청년층(15~24세)과 노년층(55~64세)의 고용의 질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추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전자의 경우 고용안정성이 줄어들었으며 후자의 경우 소득보장성이 악화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두 연령집단 간의 동질성이 증가하였다. 동시에 두 연령집단과 다른 연령집단 간의 이질성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용의 질에 있어서 한국 사회가 연령 통합적 구조에서 보다 연령 분절적인 계층화 구조로 변화되어 왔음을 보여주며, 나아가 연령구조와 취업구조 간의 구조적 지체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Exploring the changes in occupational qualities of different age groups for the recent three decades, this study estimates the process of age stratification in South Korea. First, the occupational qualities of the ten age groups between fifteen and sixty-five year olds are evaluated by five variables: Employment-population ratio, temporary employment ratio, professional and administrative employment ratio, ratio of employment underpaid by 50% of the median wage, and ratio of employment over-working more than 50 hours a week. Furthermore, through a novel statistical application of multidimensional scaling, we follow the temporal variation in occupational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of the different age groups from 1983 to 2012. According to the analysis, we discover the continuous tendency that the quality of work of the youth and the elderly have been aggravated over time. The occupational stability for the former has decreased, and the income discrimination against the latter has increased. Consequently, the occupational conditions of the youth and the elderly have become more homogeneous but the occupational conditions of the two age groups and the other age groups have become more heterogeneo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ccupational structure has been shifting from the age integrated structure to age differentiated structure in a relative sense. Furthermore, it is implied that social problems related to the structural lag between age structure and occupational structure could emerge in the Korean society.

      • KCI등재

        경제적 자원이 미혼 남녀의 결혼 연기에 미치는 영향

        유홍준(Hong Joon Yoo),현성민(Sung Min Hyun) 한국인구학회 2010 한국인구학 Vol.33 No.1

        우리나라는 출산율 저하의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고, 그 원인 중의 하나는 결혼 적령기 연령층의 결혼이 지연되는 현상과 연관된다. 최근의 미혼 비율 증가 경향과 관련하여, 이 연구의 기본목적은 교육수준, 취업 여부, 직업 같은 경제적 자원이 결혼 가능성 혹은 결혼 연기에 미친 영향이 성별로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1995년, 2000년, 2005년 세 시점의 자료를 분석하여 외환위기 전후 경제적 자원의 영향력 변화를 비교하면서 결혼적령기 연령규범 영향력의 변화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1995년, 2000년,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Census) 2% 원 자료에서 추출한 만20세에서 만44세까지의 남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표본수는 약 110만명이다. 연도별, 성별로 경제적 자원이 결혼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이항 로지스틱(logistic)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결혼 가능성에 대한 경제적 자원의 영향을 분석하면서 그 영향이 성별에 따라 다르다는 전통적 가설을 재확인할 수 있었고 경제위기 이후 남성에게서 경제적 자원의 질적인 측면이 중요해지고 있다는 점과 여성에게서 경제적 자원이 결혼가능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다소 완화되는 추세를 보인다는 점을 발견한 학술적 기여를 하였다. 결혼적령기 연령규범은 적어도 여성들의 경우에는 최근으로 올수록 약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연구의 전반적인 발견은 우리사회에서 경제위기 이후의 경제적 양극화 경향이 결혼시장에서도 양극화 추세로 나타나는 조짐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One of the reasons for low fertility rate in Korea is related to the delayed marriage among the population belong to marriage cohorts. The major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economic resources such as level of education, whether employed or not, and occupation have affected one's marriage opportunity and how it is differed by gender. Meanwhile, the changes in the influence of economic resources and the changes in the marriage norms were also studied by analyzing 2% Census data in 1995, 2000 and 2005. Total number of 1.1 million men and women in their ages between 20 to 44 are included in data and binary-logistic analysis is used for statistical research. This study supports a traditional hypothesis that the influence of economic resources on probability of marriage is different by gender. More important academic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e quality of economic resources is becoming more important for men since Asian economic crisis and that the negative effect of it on women is declining since 2000. It i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marriage norm has recently decreased on the part of wom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tendency of polarization of marriage market in Korea affected by economic polarization since Asian economic crisis.

      • KCI등재

        한국 대졸 경제활동인구의 노동시장 성과

        유홍준(Hong Joon Yoo),정태인(Tae-In Chung),전은주(Eunjoo Chun)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2

        이 연구는 한국 노동시장에서 구직에 성공한 대졸 취업자와 구직에 실패한 대졸 경제활동인구의 개인적 배경요인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대학생활에서의 취업준비 정도와 구직방식이 노동시장에서의 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임금, 임금만족도, 직장만족도의 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2010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자료이며, 분석대상은 2010년 9월 기준 전일제, 상용직으로 취업 상태에 있는 현직자로서 구직 활동을 경험한 7,663명이다. 분석결과, 정규직 여부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낸 변수는 성별, 학교 소재지, 계열, 대학교육 만족도, 어학연수경험, 구직방식이다. 대기업 여부는 어머니의 학력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임금은 남성인 경우,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경우, 학교 소재지가 서울인 경우 상대적으로 임금 수준이 높았다. 대학교육에 만족했거나 어학연수 경험 및 취업목표가 있었던 경우에도 모두 임금 증가 효과를 낳았다. 요약하면, 개인의 인적자본과 사회적 자본 양자 모두가 노동시장에서의 결과와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구직방식에서, 인적 접촉을 통한 구직은 임금 수준, 정규직 여부 및 대기업 취업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라노베터의 ‘약한 유대의 강점(strength of weak ties)" 명제와는 다른 것으로, 우리나라의 노동시장이 그라노베터가 연구했던 1970년대 미국 사회와는 다른 사회구조를 갖고 있고 채용방식 또한 다른 점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successful job seekers and unsuccessful ones in Korean college-graduates labor market. The labor market outcomes as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are measured by employees’ income level and their satisfaction to job and income.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adiness for work, and job search methods. The data used is GOMS2010 and 7,663 employees are analyzed. The analysis show that both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labor market outcome of individual. In regard to job search method, getting a job through personal contacts had negative effect on income level and in getting a regular job in big firms. This result is contradictory to Granovetter’s thesis, which reflect the difference of social structure(network) and of recruiting system between the US and Korea.

      • KCI등재

        문화합의이론을 이용한 직업위세 척도의 비교

        유홍준 ( Hong Joon Yoo ),신인철 ( In Chol Shin ),정태인 ( Tae In Chung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4 한국사회 Vol.15 No.1

        본 연구는 직업위세란 직업 위계구조에 대한 집합적 인식과 믿음이라는 사회학 내의 합의를 기초로 한 문화합의이론을 적용하여 직업위세가 척도에 따라 문화적 합의수준과 편향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실험연구결과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업위세를 측정하는데 있어 11점 척도의 경우에는 이동편향을 영향을 받아 5점 척도로 측정한 경우보다 과대추정을 할 가능성이 높았다. 하지만, 전통적인 방법에 따라 직업위세지수를 산출할 경우에 5점 척도보다는 11점 척도의 결과가 문화합의이론 분석에서 도출된 문화적 참값에 보다 가까웠다. 따라서 향후 직업위세조사에서는 척도 사용에 있어 신중을 기함과 동시에 조사과정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 the different results from various occupational prestige scales on the level of perceptional consensus and discrepancy. The analysis is based on cultural consensus theory and the data used is from 137 students sample. The result shows that 11-points measurement scale has high probability of over-presumption. However, the results from 11-points scale is closer to cultural true value than that from 5-points scale. We suggest a more discretion in the future studies in the usage of measurement scale for the occupational prestige.

      • KCI등재

        근로자의 산재보험 장해보상연금과 국민연금 장애연금 간 중복급여 조정 방안

        유홍준 ( Hong Joon Yoo ),조준모 ( Jun Mo Cho ),정홍주 ( Hong Joo Jung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4 사회보장연구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산재보험 장해보상연금과 국민연금 장애연금과의 역할 재정립을 통 해 사회보험 간 균형을 도모하고, 산재보험 제도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내용은 이와 관련된 기존 연구, 독일의 최근 개 혁논의, 보험이론적 관점 등을 통하여 합리적인 산재보상제도 운영방안 연구, 휴업급여와 장해급여의 적정 수준을 점검하였다. 산재보험제도와 관련된 역사적 경험과 법률, 정책 및 제도, 프로그램과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상대적으로 잘되어 있는 독일의 사례를 중점 적으로 분석하여 21세기 이후의 산재보험 개혁정책과 논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더불어 보험론적 관점의 근거를 제시하면서, 제기된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산재보험의 패러다임을 현재의 ‘더 많고 더 낫고, 더 넓게(more, better and wider)’라는 상 호 모순된 패러다임으로 부터 ‘더 공정하고 넓게(fairer and wider)’로 바꾸는 과정이 필요 하다는 점에서 한국형 전환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와 선진국 사례연구 등의 기법이 사용되었다.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a policy direction to develop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in a sound way, in particular through reexamining and re-balancing the roles played by the insurance and national pension. The research consists of rational management of the insurance, comparison of benefit schemes across countries, and examination of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the insurance and the other social insurance schemes. The country compared is Germany, which are known as having well-established workers compensation system in terms of law, policy, program, and social infra-structure. The comparison, after literature survey, is followed by our policy proposal to reorganize the social insurance systems, focusing on double payment of benefits therein. The proposal is one with a new paradigm of “fairer and wider” hopefully shifted from the existing one with “more, better, and wider” scheme. This research is basically based upon literature survey and case study.

      • KCI등재

        한국인의 직업정체성과 직업위세

        유홍준 ( Yoo Hong Joon ),정태인 ( Chung Tae-in ),김월화 ( Kim Worlhwa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7 한국사회 Vol.18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직업정체성의 현황이 어떠하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통계청 사업체기초통계조사를 표집틀로 방문조사와 e-mail 조사 등 복합조사를 수행한 직장인 대상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사례 수는 1,115명이다. 직업정체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대체로 높은 지위의 직업군은 직업에 대해 감정이입을 하고 본인과 직업을 동일시하며 본인에게 잘 맞는다고 생각함으로써 비종사자에 비해 직업정체성이 높은 반면에, 중간 지위의 직업군은 직업정체성이 비종사자가 인식하는 것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낮은 지위의 직업군은 본인의 직업에 대해 비종사자보다 감정이입의 정도가 낮고 직업과 동일시하지 않으며 잘 맞는다고도 생각하지 않음으로써 직업정체성이 낮은 현상을 보였다.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하여 직업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종합한 결과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직업의 가치에 대해서 비경제적 측면을 중요시할수록 업무만족이 높으며 본인의 소속 직업군에 대한 위세 인식점수가 높을수록 직업정체성이 높았다. 직업군별로 살펴본 결과에서도 직업지위가 높을수록 직업가치에서 업무만족 같은 비경제적인 측면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occupational identity among Korean workers and try to find the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n this. The data for 1,115 workers which are sampled by surveys are analyzed.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The group of workers with high occupational prestige show higher level of occupational identity than outsiders(those who are not in those occupations) as they are more identified with own jobs and think of it fitting to themselves. Those workers with middle level of occupational prestige show almost same level of occupational identity with outsiders. On the other hand, the workers with low occupational prestige show lower level of occupational identity than outside workers as they are less identified with own jobs and think of their job not fitting to themselves. The conclusion of analysis for the significant factors which influence on occupational identity are as follows. The higher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higher emphasis on noneconomic aspect of occupational values, the higher is their work satisfaction. If the workers feel higher occupational prestige for their own occupations, their occupational identity are high. Higher occupational status is found to be related with noneconomic aspects of occupational values such as work satisfac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형 직업위세 측정 척도 개발

        유홍준 ( Hong Joon Yoo ),김월화 ( Worl Hwa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4 조사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위세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측정방법을 모색하고, 다양한 측정방법들 간의 비교·분석을 통해 직업위세 측정 척도를 개발하는 데 있다. 국·내외의 기존 연구를 검토한 결과, 직업위세에 대한 조사방법으로 그동안 5점 척도, 0~100점으로 점수 부여, 서열화 등의 방법이 이용되어 온 것을 확인하고, 본 연구진은 각설문 유형별 장단점을 고려하여 11점 척도를 추가로 구성하였다. 이에 대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하여 5점 척도(유형1), 100점 점수 부여(유형2), 서열화(유형3), 11점 척도(구성1)의 네 가지 측정방법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응답의 객관적 용이성과 주관적 용이성 그리고 조사의 신뢰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11점 척도로 조사하는 구성1이 직업위세 측정 척도로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는 응답 소요시간 및 응답의 편의성, 신뢰도 등의 측면에서 다양한 직업위세 조사방법을 비교·분석하여 한국에서의 직업위세 인식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조사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아울러 기존 연구에서 실시했던 30개 전후의 직업에 대한 위세조사 규모를 넘어서 100개에 달하는 많은 직업의 직업위세를 조사한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which reflects peoples’ evaluation for the occupational prestige more accurately by comparing the existing methods of measurement. The previous studies reveal that ranking method, rating on a 100-point scale method, and a 5-point scale method have been used for measuring occupational prestige. In addition to those methods, we proposed ‘Composite 1’ method in this research. The sample respondents are 137 junior or senior students from S. University in Seoul. Four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are asked; ① Type 1: 5-point scale (1~ 5), ② Type 2: rating on a 100-point grade, ③ Type 3: ranking, and ④ Composite 1: 11-point scale (0~10). The analysis shows that ‘Composite 1’ is the most adequate model for measuring occupational prestige in Korea when considering response time, easiness of response,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in developing a scale for measuring occupational prestige in Korea and in trying to measure prestige scores for as many as one hundred occup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