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지원 작곡 오케스트라를 위한 우주의 주파수」 Cosmic Frequency for Orchestra

        정지원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논문은 2016년에 작곡된 정지원의‘오케스트라를 위한 우주의 주파수’의 음악적 배경과 그것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작곡방법 그리고 기법을 연구하여 곡의 논리적 구조와 이해를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작품의 주된 아이디어가 되는 우주의 주파수는 ‘미국항공우주국(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에서 발사한 탐사선인 ‘보이저 호(Voyager)’에 의해 녹음된 주파수로 그것을 인간이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로 전환한 것이다. 우주의 주파수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소리와 음색을 토대로 음고의 재료와 수평적 흐름 그리고 수직적인 짜임새를 구성하였다. 이 곡은 단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형식은 도입부를 가지는 3부분 형식(도입부-A-B-A′)으로 이루어져있다. 하지만 단락의 각 부분은 단절되지 않고 지속적인 하나의 긴 흐름으로 연결된다. 기본 음고 재료는 4개의 중심음이며 이 중심음들은 중심축을 이용한 대칭관계인 B, Bb 그리고 E, F 이다. 4개의 중심음을 구성하는 중심축 관계는 곡 전체의 수직적, 수평적 주요 음정으로 사용되고 있다. 선율의 짜임새는 하나의 단편적인 선율이 다른 성부(Part)에서 모방, 변형되어 나타나며 결과적으로는 ‘클러스터(Cluster)’의 형태를 띠게 된다. 박자는 4/4이며, 빠르기는 마지막 마디의 ‘게네랄파우제(Generalpause)’를 제외한 어느 부분에서도 변화 없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리듬은 긴 지속음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모방, 변형되어 나타나는 각 성부에 의해 불규칙적인 리듬 형태가 곡 전체를 이루고 있다. 관현악법은 각 단락의 수직적 짜임새의 음역대, 연주기법을 달리하여 대비를 이루고 있다. 도입부에서는 실제 음이 아닌 ‘바람’만을 이용하여 연주되며, A부분에서는 관악기의 수평적 흐름과 현악기군의 지속음으로 나타난다. B부분에서는 현악기군의 ‘하모닉스(Harmonics)’와 활등으로 연주하는‘Vertikales Streichen’과 함께 관악기군의 지속음이 나타난다. A′에서는 단락 A와 짜임새가 흡사하나 더 축소된 형태로 이루어져 점차 사라지듯이 마무리된다.

      • 曇鸞의 淨土思想 硏究

        정지원 원광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Buddhism is a religion of enlightenment. For 2500 years of its history, so many ways to attain enlightenment have been presented. Those ways are generally categorized into two aspects. One is the gate of self realization of Buddhahood that through the self practice, one enlighten buddhahood in oneself. Another is the gate of realization of Buddhahood by other, i.e. one tries to attain buddhahood by depending on Buddhas of Bodhisattvas who swore and desired for enlightenment of all sentient beings. The representative way of later is the Pure Land thought which also is the subject of this article. While Buddhism in general transmitted towards eastern world, the Pure Land thought passed through middle Asia and conveyed to China in which the Pure Land thought perfected its theory and developed into various forms. Damran(曇鸞, 476-542) who is mainly dealt in this article, is a frontier for systematization of the thought. Based on his Pure Land thought, Dojak(道綽) and Seondo(善導) who succeeded and developed it, flourished Pure Land school of China. It also affected the Pure Land thought of Korea and Japan. Damran's theoretic background can be traced from Da?abh?mika-vibh???-??stra (十住毘婆沙論) of Nag?rjuna and Pure Land ??stra(淨土論) of Vasubandhu. Since the structure of difficult and easy two ways (難易二道) which is one of most important theory of him, is influenced by Da?abh?mika-vibh???-??stra, and his Commentary of Pure Land ??stra(淨土論註) is explication of “Pure Land ??stra(淨土論)” of Vasubandhu. In Commentary of Pure Land ??stra, Damran developed the theory, 'the world of ultimate bliss is the Pure Land', which exceeded Vasubandhu's comment of 'the purity of the world of ultimate bliss' in Pure Land ??stra. It is connected to the idea that Amitabah Buddha's world of ultimate bliss is very Pure Land. Eventually, the term 'Pure Land' was began to use as Pure Land school's peculiar usage, at the time of Damran. In Commentary of Pure Land ??stra, Damran explains that the way of difficult practice is attainment of indomitable resolve in this life, and the way of easy practice is that one goes to be reborn in Pure Land by the power of great vow of Amitabha Buddha, and attains of indomitable resolve in the life of Pure Land by power of protection of Buddha. Amitabha Buddha achieved the forty-eight vow while he was Dharmagarbha Boddhisattva. His power of vow is the power of salvation by another. According to this power of salvation by another, all satient living being would accomplished three states, reborn in Pure Land, stage of indomitable resolve and path of Bodhisattva. Based on this idea, Damran exclaimed the theory of 'great vow of the power of salvation by another'. The power of another of Amitabha Buddha is a protection power of Buddha called strong adhipati-pratyaya(增上緣), and explained as a benefit for both self and other by sincerely practiced himself. Damran also defined that requisitory element to be reborn in Pure Land is the gate of panca-sm?ti(五念門), and he explained the way of practise of Pure Land. However, regarding the gate of panca-sm?ti, Damran has different interpretation to Vasubandhu. Especially on fifth gate of memorial service, Vasubandhu explained that for one who accumulated merits by accomplishment of gates of worship ? praise ・ making vow ・ observation, the purpose of the act of merits for attainment of buddhahood of all other sentient living being - not getting advantage of oneself - is to purify one's karma. On this explanation of Vasubandhu, Damran added and proclaimed the memorial services of both progressive and returning forms, to salvation of all sentient living being from the sea of birth and death. He also asserted that even thought there are difference of superiority or inferiority on practice, one who wishes to be reborn in Pure Land of bliss, has to finally make mind of anutarasambhodhi. It is the core of Damran's Pure Land thought, showing Mahayana Buddhist thought practically by stressing the gate of panca-sm?ti as way of practice, and emphasizing anutarasambhodhi, the theory of da?asm?ti-karmasiddhi and belief to attain enlightenment. Damran accepted the thoughts of Nag?rjuna and Vasubandhu, and established the unique system of Chinese Pure Land thought based on way of thinking of China, and also prepared the ground for development of Pure Land thought and belief in China, Korea and Japan.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이다. 2500여 년이라는 장구한 불교의 역사 속에서 깨 달음에 이르는 많은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깨달음에 이르는 방법들은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정리된다. 하나는, 스스로의 수행을 통해 자신에게 내 재된 불성을 자각하여 깨달음에 이르는 길인 자력성불문(自力成佛門)이고, 다 른 하나는 모든 중생의 깨달음을 대원(大願)으로 새운 불보살에 의지하여 성 불하고자하는 타력성불문(他力成佛門)이 그것이다. 후자의 그 대표적인 방법이 본고의 주제이기도 한 정토사상이다. 불교의 동 점(東漸)과 더불어 이러한 정토사상은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에 전해지면서 사상적 완성을 이루었고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 다 루고자하는 담란(曇鸞 476-542)은 중국에 있어서 정토사상의 체계화에 그 누 구보다도 앞장섰던 선구자적 인물이다. 담란의 정토사상은 후대 도작과 선도 에 의해 발전되어 중국 정토교의 대성을 이루게 하는 기초가 되었으며, 한국・ 일본의 정토사상에도 영향을 주었다. 담란의 교리적 배경을 용수의 『십주비바사론』과 세친의 『정토론』에서 찾을 수 있는데, 그의 이론에서도 중요한 難易二道의 체계는 『십주비바사 론』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또한 그의 저서인『정토론주』는 세친의『정토 론』을 주석한 것이기 때문이다. 담란은 세친이『정토론』에서 ‘극락의 청정’을 언급한 것을 뛰어넘어『정토 론주』에서 ‘극락이 곧 정토’라고 하는 사상으로 발전시켰다. 아미타불의 극락 이 곧 정토라는 사유으로 이어졌으며, 실제로 정토라는 말을 정토교적으로 분 명하하게 사용하는 것도 담란에 이르러서였다고 할 수 있다. 『정토론주』에서 담란은 난행도와 이행도를 논함에 있어 현생에 불퇴전을 얻는 것이 난행도이고, 아미타불의 본원력으로 정토에 왕생하여 그곳에서 부 처님의 가피력으로 불퇴전을 얻는 것을 이행도라 하였다. 법장보살일 때 48원을 성취한 아미타불의 원력을 타력이라고 하고, 모든 중 생은 이 타력으로 왕생・불퇴전의 경지・보살도 세 가지를 완성한다는 타력본원 설을 주장하였다. 아미타불의 타력은 강한 증상연(增上緣)이라 불리는 부처님 의 가피력으로서, 스스로 노력해서 행을 닦아 자기도 이롭게 하고 남도 이롭 게 하는 자리이타(自利利他)라고 주장하였다. 담란은 정토에 왕생할 수 있는 요인을 오념문이라고 정의하며 정토의 수행 법을 논하였다. 오념문에 대한 해석에 있어 세친과는 다른 해석을 내리고 있 는데, 그 가운데 제5 회향문에서는 예배 ・찬탄 ・작원 ・관찰문을 행한 공덕을 자기 한 사람을 위한 것으로 하지 않고, 일체 대중의 성불을 위해 베푸는 목 적이 자기의 행위를 순화시키는 것이라는 세친의 해석 위에 담란은 往相廻向 과 還相廻向하여 모든 중생들을 생사의 바다에서 빼내어 건너게 해야 한다는 것을 역설하였다. 그는 덧붙여 안락정토에 태어나고자하는 사람은 수행의 우 열이 있다고는 하더라도 궁극적으로는 무상보리심을 내야만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수행방법으로서의 오념문을 중시하며 대승불교 사상을 실천적으로 보여주 고, 깨달음을 구하는 무상보리심과 십념업성설과 신심을 강조한 것이야 말로 담란의 정토사상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담란은 용수와 세친의 사상을 그의 정토사상에 받아들이면서도 중국적 사유를 토대로 하여 독특한 중국정토사상의 체계를 이루었으며, 중국・ 한국・일본의 정토사상 및 정토신앙 발전에 기초를 마련하였다.

      • 한국십진분류법 경영학 분야의 분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정지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문헌분류표는 도서관에 입수되는 정보자료의 배가위치를 결정하면서 주제나 형식의 유사성 또는 특정 원칙이나 목적에 따라 체계적으로 조직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학문체계에 바탕을 두고 발전해왔다. 그런데 현대사회의 급속한 변화와 함께 빠르게 발전해 나가는 경영학의 학문체계에 비해 문헌분류표상의 경영학은 이러한 학문체계의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표준분류표인 KDC의 경우 실제로 경영학 분야 문헌을 분류해 보면, 새로운 주제 항목이 미비하거나 하위세목의 부족 등으로 분류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경영학의 학문적 특성과 연구영역에 대해 고찰하고, KDC를 비롯한 DDC, LCC, NDC, UDC, CC, 그리고 경제학 관련 특수분류표인 AEA/JEL CS의 분류체계와 경영학의 체계를 비교 분석한 후, 이 비교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KDC 경영학 분야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투명 전극용 금속산화물 기반 다층 박막의 특성

        정지원 전남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평판 디스플레이, OLED, solar cells과 같은 첨단 기술의 광전자 장치에 응용하기 위해 고성능의 투명전극의 연구가 매우 요구되고 있다. TCO 물질은 높은 전기전도도와 가시광 영역에서의 투과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성능 투명전극으로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TCO 물질들은 최근 개발되는 광전자 장치에 투명전극으로서 응용되기에는 비저항 값이 크다. 따라서 투명 전도 박막의 전기, 광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oxide/metal/oxide(OMO) 다층구조가 연구되고 있다. 기존의 OMO 구조는 열처리 시 금속층 원자의 응집과 확산이 발생하고 산화물 층의 산소원자가 금속 층으로 확산하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 층에 도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박막 증착과 같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투과 저저항의 광전 소자 적용이 가능한 SnO2/Cu/SnO2와 ZnO/Ag/ZnO 다층 투명전극의 금속층에 Ni을 도핑하여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magnetron reactive 스퍼터를 이용하여 산화물과 Ni이 도핑된 금속 층을 p-type(100) Si과 유리 기판에 제작하였다. 제작된 다층 구조의 열적 안정성을 연구하기 위해 동일한 조건으로 열처리를 진행한 뒤 분석하였다. 열처리 조건에 따른 구조적 특성은 XRD와 XPS depth profile, 전기적 특성은 Four point probe를 이용하여 면저항을 측정하였고 광학적 특성은 UV-Vi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300~800 nm의 파장 영역 내의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추가적으로 열처리에 따른 표면 모폴로지 변화를 FE-SEM과 AF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금속 층에 도핑한 Ni 원자가 금속 원자의 확산과 응집을 억제하고 산화물 층의 산소원자가 금속 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하여 전기, 광학적 특성을 향상 및 유지하였다. 제작된 박막의 성능 평가 결과 SnO2 (30 nm)/Cu(Ni) (8 nm)/SnO2 (30 nm)와 ZnO (30 nm)/Ag(Ni) (10 nm)/ZnO (30 nm) 다층 구조가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이며 이 때 각각 0.17×10^-3 Ω^-1와 45.8×10^-3 Ω^-1의 성능 지수 값을 갖는다.

      •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체인을 활용한 TimeGAN 데이터 무결성 보장 연구

        정지원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DID와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의료데이터의 프라이버시 보호 문제에 대한 솔루션과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방법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모델을 구성하였다. CGM 시계열 원본 혈당데이터를 가공하여 Time-GAN을 학습시키고, 원본 혈당 데이터의 분포와 유사하며, 의미 있는 합성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이 때, 기존 파일시스템 저장방식 대신,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체인에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의 무결성이 보장되며, 블록체인 채널을 통해 의료기관 간 데이터 공유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하다. 또한 원본 데이터와 합성 데이터에서 개인정보에 민감한 특성은 DID를 활용하여 암호화되고 블록체인 내 프라이빗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따로 저장되기 때문에 프라이버시가 보존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olution to the privacy protection problem of medical data and a method to ensure Data Integrity by utilizing DID and Hyperledger Fabric Blockchain. To this end,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ime-GAN was learned by processing CGM time series original blood glucose data, similar to the distribution of original blood glucose data, and meaningful composite data were generated. At this time, Data Integrity is guaranteed by storing data in the Hyperledger Fabric blockchain instead of the existing File System storage method, and data sharing is made between medical institutions through the blockchain channel. In addition, privacy is preserved because personal information-sensitive characteristics in original and composite data are encrypted using DID and stored separately in a private state database within a blockchain.

      • 심폐소생술 시 구조자의 Hand Technique 에 따른 가슴압박의 질 및 피로도 비교

        정지원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 목: 심폐소생술시 구조자의 Hand Technique 에 따른 가슴압박의 질 및 피로도 비교 본 연구는 교육용 심폐소생술 마네킹으로 3가지 방법의 Hand Technique 에 따라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을 시 각 방법의 질적 차이 및 피로도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연구목적: 교육용 심폐소생술 마네킹으로 1인 구조자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을 시 각각의 Hand Technique 에 따른 질적 차이 및 피로도 차이 유무를 확인하고 비교 분석하여 좀 더 효율적인 Hand Technique 을 알아봄으로써 심폐소생술의 교육용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6년 10월 6일부터 9일까지 BLS-Provider를 취득한 J시 응급구조과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명회를 통해 목적과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참여한 학생들 중 Q-CPR을 이용하여 2분간 Hands only CPR 정확도가 80%이상인 학생들로 뽑았으며 중도 탈락자를 제외한 총 30명이 최종 실험까지 참여하였다. 3가지 방법의 Hand Technique 당 10분의 Hands only CPR을 시행하였으며 시행동안의 가습압박의 질 및 피로도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10분간 Technique 별 가슴압박의 지표들의 평균을 비교해 본 결과 평균깊이의 경우 Five finger Fulcrum Technique 이 48.2로 높게 나타났으며, Standard Technique 과 Alternate Technique 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평균압박의 정확도 경우 Five finger Fulcrum Technique 이 36.6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Alternate Technique 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압박 속도, 심박수면에서는 Technique 들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p>.05), 압박 깊이, 피로도 면에서는 Five finger Fulcrum Technique 이 다른 Technique 에 비해 좋은 값이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p<.05). 결론: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Five finger fulcrum Technique 이 가슴압박의 질(가슴압박의 정확도, 압박 깊이), 피로도 면에서 다른 Technique 에 비해 좋은 값이 나왔다. 고로 본 연구에서는 가장 효율적인 Technique 으로 볼 수 있고 앞으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에 있어 Standard Technique 뿐만 아니라 Five finger fulcrum Technique 도 고려해봄으로써 좀 더 효율적인 Technique 으로 심폐소생술을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중심단어: Hands only CPR, Hand Technique, Quality, Fatigue

      • 지적장애 청소년의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음운인식 수행능력

        정지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언어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언어의 의미, 구문, 화용능력을 측정하는 언어 내적인 평가 이외에 작업기억이나 처리과정 같은 언어 외적인 측면에 대한 평가와 언어능력과의 연관성을 찾는 연구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기존에 연구되어 왔던 언어능력 자체의 결함과, 지적능력의 결함 외에 언어라는 정보에 접근하고 처리하는 과정에서 원인을 찾으려는 시도를 하였다(Leonard et al., 2007; Montgomery & Evans, 2009). 특히 언어 외적인 측면 중 하나인 작업기억 능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작업기억은 정보들을 일시적으로 보유하고, 인지과정을 수행하도록 돕는 단기기억을 의미한다(Baddeley & Hitch, 1974). 작업기억의 하위요소 중 하나인 음운기억(phonological memory)은 단기기억의 임시 기억저장소에서 음운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어휘습득 및 읽기발달과 관련이 있다. 음운인식(phonological awareness)은 음운처리 능력과 연관을 나타내며 이는 음운처리 과정에서 음운정보를 틍해 구두언어와 문자언어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일컫는다(김화수, 2003). 따라서 음운처리 능력에 제한이 있는 아동은 어휘습득에도 문제를 보일 뿐만 아니라 향후 읽기에도 어려움을 보인다(이혜숙, 박현숙, 1999; Wise et al., 2010).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음운인식 과제는 다른 표준화된 검사들에 비해 검사수행 시간이 길지 않고 음운기억과 음운처리 능력을 잘 측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평가과제 라는 점에서 지적장애 청소년의 언어적 결함을 세부적으로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지적장애 청소년들은 그들의 낮은 언어능력이 지적능력 때문이라고 여겨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언어능력의 결함에 대한 원인을 다양한 관점에서 모색하고 그에 맞는 평가방법을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지적장애 청소년 집단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대상과의 비교를 통해 지적능력 결함 이외에 언어능력에서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를 연구하고 적절한 중재와 지원을 해 주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청소년 집단의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음운인식 수행을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과 비교해보고 어휘력(수용, 표현)과 비단어 따라말하기, 음운인식 관련 변인 중 상관이 있는 변인을 분석하여 어휘력과 음운기억, 음운처리 능력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따라서 만 13~18세 사이의 지적장애 청소년 15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만 5세~10세 사이의 일반아동 15명을 대상으로 비단어 따라말하기, 음운인식 과제를 실시한 후 각 집단 별 수행을 비교하였고 각 집단과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음운인식 과제, 어휘력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 청소년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보다 비단어 따라말하기 수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낮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둘째, 지적장애 청소년 집단의 음운인식 반응정확도는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음운인식 반응시간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일반아동 집단에서는 수용어휘력과 음운인식 과제가 높은 상관을 나타냈으며 표현어휘력과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고 음운인식 과제와는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반면, 지적장애 청소년 집단에서는 수용어휘력과 표현어휘력 모두 비단어 따라말하기, 음운인식 과제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지적장애 청소년 집단이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보다 낮은 음운기억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부족한 음운처리 능력으로 인해 음운인식 과제 유형이 음절에서 음소로 세분화 될수록 동일한 언어연령을 가진 집단보다 낮은 반응정확도를 나타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음운인식 과제의 반응시간에서는 일반아동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를 통해 지적장애 청소년 집단의 음운인식 능력은 반응시간의 영향보다는 반응정확도에서 일반아동 집단과 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반아동 집단에서는 수용어휘력과 음운인식 과제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이는 음운처리 과정에서 낱말을 인지하고 새로운 정보와 일치시키는 역할을 하는 음운인식 능력이 아동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수용어휘력과 연관이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또한 표현어휘력과 비단어 따라말하기, 음운인식 과제가 각각 유의한 상관을 보였는데 이를 통해 일시적으로 저장한 음운정보를 기억하고 산출할 때 사용되는 음운기억과 음운처리 능력이 표현어휘력과 관련이 있음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지적장애 청소년 집단에서는 어휘력과 비단어 따라말하기, 음운인식 과제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지적장애 청소년 집단이 결함을 보이는 음운기억과 음운처리 능력 때문에 그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어휘력과 비단어 따라말하기 능력, 음운인식 능력 간에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적장애를 가진 집단의 지체된 언어발달을 지적능력의 한계로 한정짓기보다는 음운기억이나 음운처리 능력 등을 살펴보는 다양한 측면에서의 평가가 필요하며 향후 언어처리 역영에 대한 평가와 중재방법을 적용한다면 임상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전망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compare Nonword repeti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syllable length, (2) to compare Phonological awareness performance and reaction time according to syllables and phonemes (3)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Receptive vocabulary, Expressive vocabulary, Nonword repetit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A total of 30 composed of 15 Adolescents of Intellectual Disability and 15 Normal Children. They were tested on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Ⅲ(K-WISC-Ⅲ), Receptive-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Nonword repetit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erformance in Nonword repetition between two groups, examine the differences in performance and reaction time in Phonological awareness between the two groups; Two-way mixed ANOVA were conducted. To analyze correlation Pearson correlation were conducted. This is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n the present study: First,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Nonword repetit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than Normal Children group. Second,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reaction time in Phonological awareness task than Normal Children group. Thir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s were not correlated to Nonword repetit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But Normal Children group showed correlation between Receptive vocabulary and Phonological awareness task, between Expressive vocabulary and Nonword repetition task and between Expressive vocabulary and Phonological awareness task. Considering the results above,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 have poorer Phonological memory and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y compare to Normal Children group. But reaction time in Phonological processing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ability to compare inherent Phonological information and the new Phonological information was associated with a Receptive vocabulary. Also, the ability to store Phonological information and product Phonological information was related to Expressive vocabulary.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Language processing. In conclusion, assessment of Language ability should be focused not only Linguistic area but also Nonlinguistic area such as Working memory, and Processing area.

      • 편지쓰기 활동에서 나타난 어머니와 유아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 간의 관계

        정지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머니와 유아가 함께 편지를 쓰는 활동을 하며 나타나는 어머니와 유아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어머니와 유아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간에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에 거주하고 있는 만 4세 유아 67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어머니의 언어적 행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미림·김명순(1997)이 사용한 범주에 Aram(2007)의 부모의 쓰기 참여 분석기준을 추가하여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비언어적 행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임수경·김명순(2013)이 사용한 분석범주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언어적 행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Lee와 Kim(2006)이 사용한 범주에 Hertz(1991)의 유아의 쓰기 행동 분석 기준을 추가하여 사용하였고, 유아의 비언어적 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임수경·김명순(2013)의 범주와 Aram(2007)의 쓰기 참여 분석 기준, Hertz(1991)의 쓰기 행동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편지쓰기 활동은 개별 유아의 가정에서 실시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편지쓰기 활동 시 어머니가 보인 언어적 행동은 진술하기, 피드백, 질문하기, 반응요구하기, 주의 환기 행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언어적 행동은 기술적 제스처, 포인팅, 반응요구, 자료 제공하기, 정서적 신체접촉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언어적 행동은 응답하기, 설명하기, 질문하기, 소리 내며 쓰기, 요청하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언어적 행동은 글자 쓰기, 응시하기, 포인팅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와 유아의 편지쓰기 활동에서 어머니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은 유아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과 관계가 있었다. 어머니가 질문하기와 반응요구하기 행동을 많이 할수록 유아는 설명하기, 질문하기, 응답하기 행동을 많이 하였다. 어머니가 진술하는 행동을 많이 할수록 유아는 질문하기, 응답하기, 소리 내며 쓰기 행동을 많이 하였고, 유아의 비언어적 행동 중 글자 쓰기 행동도 많이 하였다. 반면에 어머니가 진술하기 행동을 많이 할수록 유아가 자신이 쓴 것을 어머니에게 설명하는 행동은 줄어들었다. 유아가 질문하기와 요청하기를 많이 할수록 어머니의 비언어적 행동 중 포인팅, 기술적 제스처, 반응요구 행동, 정서적 신체접촉을 많이 사용하였다. 유아가 글자 쓰기를 많이 할수록 어머니는 포인팅과 기술적 제스처를 많이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편지 쓰기 활동에서 어머니가 유아에게 표현하는 언어적·비언어적 행동은 유아의 쓰기 관련 언어적·비언어적 행동과 관련이 있었다.

      • 19세기 전반 영국 풍속화(Genre Painting)에 나타난 아동 인식 : 데이비드 윌키(David Wilkie)와 윌리엄 멀리디(William Mulready)를 중심으로

        정지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bout the images of children in the works of David Wilkie(1785-1841) and William Mulready(1786-1863), genre painters of early nineteenth century Britain. Wilkie and Mulready are acknowledged to pioneer nineteenth century British genre painting with their works that deal with genre scenes of ordinary peopl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ildren perception of early nineteenth century Britain by analyzing the images of children that appear in the works of both Wilkie and Mulready. From ancient to modern era, children appeared diversely in European art, and this sprung from discourse on children and childhood that had developed differently depending on each era. In paintings of ancient and medieval times where children were regarded to be marginal, children hardly appeared as a central figure. It was nearly sixteenth century when discourse on children and childhood began to evolve with the influence of the Reformation of Catholic Church. After seventeenth century, many philosophers including Locke and Rousseau, who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Enlightenment, established a new perception toward children which is that they started to perceive innocent nature of children. This new perception of children in seventeenth to eighteenth century had an impact on art which gave rise to a frequent representation of children in paintings. To be specific, children commonly appeared with the image of innocence and optimism in eighteenth century French and British painting, which attributed to romantic perception of children. On this wise, the image of children in European art has emerged diversly in each period. Wilkie and Mulready both who mostly worked in London described various images of children in their genre painting, and this was closely related to perception of children in nineteenth century Britain. In nineteenth century Britain, social interest in children was greater than that in the past, and the issue on children labor,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y was highly concerned. When examining the works of Wilkie and Mulready along with this social background of nineteenth century Britain, their images of children can be analyzed as follows. Firstly, children appear as a target of education and punishment with subsidiary appearance of authorized figure like teachers or parents. In this case, children in the place like school, playground, or street are described to be mischievous or careless, and this image shows a contrast with that of adults who are calm and rational. Such image of children demonstrates the discourse on children in nineteenth century Britain which is tha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hildhood education. Secondly, children are portrayed as a subject of play and physical activity. This image of children who freely enjoy a variety of games and improvise performances shows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 in nineteenth century Britain that they are potential citizens of the nation and thus their play and activity to maintain their physical health should be encouraged. Finally, Children are depicted as human beings who arouse attention and affection of others in their society or home. Empathic concern within a society and parental love and care within a family group that appear in the works indicate that children in nineteenth century Britain were recognized as significant figures who awake both social and domestic affection.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image of children in genre paintings of Wilkie and mulready and analyze them in nineteenth century British social cultural context. By doing so, it was identified that children who had been marginal in the past European art appeared as key figures in nineteenth century British painting and demonstrated how perception of children was embodied in the works of painters of the perio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highlighted in various perspectives the nineteenth century genre painting and its pioneering painters that were hitherto unexplored in the history of British art. 본 논문은 19세기 전반 영국의 풍속화가 데이비드 윌키(David Wilkie, 1785-1841)와 윌리엄 멀리디(William Mulready, 1786-1863)의 작품에 나타난 아동 이미지에 관한 연구이다. 윌키와 멀리디는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적 생활 모습을 주제로 한 작품을 제작하며 19세기 영국의 풍속화(genre painting)를 개척하였다고 평가 받는다. 본 논문은 윌키와 멀리디의 작품에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아동 이미지에 주목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이들 작품에 나타난 19세기 전반 영국의 아동 인식을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고대부터 근대까지 유럽 미술에서 아동은 다양한 모습으로 재현되었는데, 이는 각 시대마다 상이하게 형성되었던 아동 담론과 인식에 기인한다. 아동이 특별한 존재가 아닌 주변적인 존재로 인식되었던 고대와 중세의 회화에서 아동이 중심인물로 등장하는 일은 드물었으며, 16세기에 이르러서 종교개혁의 영향으로 아동에 대한 담론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다. 17세기 이후로는 로크와 루소 등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은 많은 사상가들이 아동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촉발했고, 이들은 특히 아동의 순진하고 아이다운 특성을 강조하여 아동을 바라보았다. 이러한 17세기와 18세기의 아동 담론과 사상은 미술에도 영향을 주어 이 시기 회화를 중심으로 아동이 그림의 중심인물로서 활발히 재현되기 시작했다. 예컨대 18세기 프랑스와 영국의 회화에는 낭만주의적 아동관의 영향을 받아 순수하고 낙관적인 이미지의 아동이 종종 묘사되었다. 이처럼 유럽 미술에서의 아동 이미지는 각 시대의 아동 사상과 인식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양상으로 변화해 왔다. 19세기 전반 런던에서 주로 활동한 윌키와 멀리디 역시 그들의 풍속화에 다양한 이미지의 아동을 드러냈고, 그러한 아동 이미지는 당대 아동을 둘러싼 사회 문제와 인식, 담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19세기 전반 영국 사회에서 아동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았으며, 특히 아동의 노동과 교육, 신체 활동과 관련한 담론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윌키와 멀리디의 작품을 분석해 보았을 때, 그들 작품에 나타난 아동 이미지를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볼 수 있다. 우선, 아동은 교육과 훈육의 대상으로 나타나 교사나 부모와 같이 권위를 지닌 주변인물로부터 견책을 받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이때 아동은 학교나 운동장, 길거리 등 다양한 공간에서 문제를 일으키거나 부주의함을 보이는 모습이며, 이러한 이들의 모습은 침착하고 이성적인 주변 등장인물의 모습과 종종 대비를 이룬다. 훈육의 대상으로서 아동을 묘사한 이러한 이미지는 아동에게 제공되는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 당대의 아동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아동은 다양한 놀이와 신체활동을 즐기는 주체로 등장한다. 장소에 얽매이지 않고 그들만의 게임이나 즉흥적인 놀이에 열중하는 이러한 아동의 모습은 국가 존속의 기반이 되는 아이들의 건장함과 자유로운 신체활동을 장려한 당대의 사회 분위기를 드러내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아동은 가정이나 사회에서 주변인물의 주의를 환기하고 그들의 애착을 불러일으키는 존재로 묘사된다. 작품에서 드러나는 아이를 향한 가족과 이웃의 직접적인 보살핌이나 애정 어린 교감은 당시 사회에서 아동이 관심과 애착을 환기하는 중심적인 존재로서 인식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적 모습을 주제로 한 윌키와 멀리디의 작품 속 아동 이미지에 주목하여 그것을 당대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에서 주변부의 존재였던 아동이 19세기 영국 회화의 중심인물로 나타나게 된 것을 확인하고, 당시 사회의 아동 인식이 화가들의 작품에 어떻게 시각적으로 구현되었는지 검토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19세기 영국 미술 안에서 주목 받지 못했던 풍속화와 그 중심에 있던 화가들을 다각도로 재조명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