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민사회의 확장을 통한 정치적 후견주의의 제어

        정준희(Junehee Ju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1

        한국 공영방송의 정당성 위기는 거버넌스의 구조와 실행에 정치적 후견주의가 깊이 침윤되어 있는 조건에 기인한다. 공영방송의 구조적 위기를 초래하는 다양한 외생변수 가운데 특히 문제가 되는 정치적 도구화 의지 자체를 제어할 수 없다면, 그것의 매개변수를 이루는 정치적 후견주의의 작동 가능성을 제도적으로 차단하는 게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세계 각국의 미디어 시스템과 공영방송 거버넌스의 사회정치적 좌표 공간을 구성하고, 그에 견주어 한국의 현실을 상대화한다. 나아가 공영방송의 사회적 기능과 거버넌스 구조가 민주적 공고화 과정과 밀접한 연계성이 있음을 확인하면서, 시민사회에 대한 개방성과 결합력을 제고하는 제도적 설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정치적 후견주의의 현실을 인정하고 되도록 그것의 부정성을 완화시키고자 하는 온건 개혁 방안과 정치적 후견주의의 근절 없이 공영방송의 정당성 위기는 극복될 수 없다고 보는 급진 개혁 방안 가운데, 이 연구는 좀 더 전향적이고 근원적인 개혁 필요성에 더 무게를 둔다. 시민사회의 잠재적 요구와 역량을 제반 사회 시스템의 내부로 끌어들여 실제화하는 방향으로의 민주적 기획이 아니고서는, 한국 공영방송의 구조적 위기는 물론, 정치 및 사회 시스템 전반의 작동 불능성이 가속화될 것이라 판단하는 까닭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사회의 민주적 공고화 압력에 부응하는 다중의 미디어로서 공공서비스 기능을 구체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민사회의 확장을 촉진하는 것이 정치적 후견주의의 근절을 통한 공영방송 재정당화의 필수적 기초가 된다고 결론 짓는다. The deepening legitimacy crisis of Korean public service broadcasting is attributed to the political clientelism pervading through the structure and practices of PSB governance. If it is not viable to rein the political will to instrumentalize PSB, amongst a complex of exogenous variables causing PSB’s structural crisis at this stage, it is crucial to find an institutional solution to block the operating basis of political clientelism as a intermediating variable of the crisis. To this end, this paper tries to define the socio-political coordinates of the media systems and PSB governance of relevant countries, in comparison to which it attempts to relativize the cases of South Korea. This paper also observes that the PSBs’ social functions and the structures of governance to realize them are closely related to the specificity of democratic consolidation process of the countries under examination, claiming that the PSB governance in South Korea needs to be institutionally designed to strengthen affiliation with and openness to civil society in the direction of further consolidating South Korean democracy. Based on this observation and argumentation, this paper recommends to choose a radical option of re-legitimizing South Korean PSB by turning over the institutional breeding ground of political clientelism than a moderate option of domesticating it into governance.

      • KCI등재

        종합편성채널의 부상과 오락적 정론장(政論場)의 형성

        정준희(Junehee Ju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1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7 No.3

        이 연구는 한국 사회의 종합편성채널이 단지 미디어 산업 내부에서의 경제적 효과에 국한되지 않는 광범위 사회적 영향력을 지닌 저널리즘 기구로 성장했다고 판단한다. 종합편성채널은 방송 저널리즘이라는 특수한 사회적 행위에 기초를 두어 다양한 특권을 확보하고 그를 통해 비즈니스적 운신의 폭을 넓히는 사회정치적 제도의 일종인 셈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종합편성채널의 사회정치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론적 자원을 검토하고 적절한 개념적 장치를 마련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해 정치와 미디어 사이의 상호 관계성을 다루는 다양한 개념과 이론에 주목하는데, 정치에 의한 미디어의 도구화, 미디어 권력화, 정치 병행성, 정치-미디어 체계 간 구조적 접속 등이 그것이다. 이론적 검토와 개념화의 결과로, 이 연구는 종합편성채널이 정치 체계와 미디어 체계의 구조적 접속을 상시화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로 부상했으며, 미약하게나마 존재하고 있던 미디어 공론장의 쇠락을 촉진하면서 그것을 대체하는 오락적 정론장을 형성시켰다고 제안한다. 오락적 정론장은 정치 체계의 정치 논리와 미디어 체계의 미디어 논리가 착종되는 독특한 공간으로서, 정치의 미디어화는 물론 미디어의 정치화를 동시에 가속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이로 인해 정치-미디어 체계 사이의 기존 경계가 붕괴되는 상황이 촉발될지, 아니면 제3의 체계 형성이 유도될지 속단하기는 아직 이르다. 다만 새로운 인터페이스로 부상한 이 오락적 정론장이 정치 체계와 미디어 체계의 작동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부분적 구조 변화로 이어질 가능성을 타진해 볼 필요는 있다.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newly introduced around the beginning of the 2010s, have grown into powerful journalistic agencies, the far-reaching social influences of which are not confined by the economic effects within the South Korean media industry. They are now rendered to become part of major socio-political institutions that try to secure their privileges based on broadcast journalism, and to widen their business opportunities through those special kind of social practices. This research has taken a path of theoretical endeavour to devise a conceptual framework that will effectively lead to a series of academic investigation into the soci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To this end, specific attention is paid to such theoretical and conceptual resources as the instrumentalization of media by the politics, the political sociology of media power, media-political parallelism, and the structural coupling between the political and the media systems. This paper suggests that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have emerged as a new interface that accommodates and actualizes the structural coupling between the two societal subsystems, and in the course of that, they undercut the vulnerable basis of media public sphere, effectively replacing it with entertaining media-political sphere constructed and managed by themselves. This sphere is where the media system’s logic and the poltical system’s logic are intertwined, simutaneously accelerating not only the mediatization of the politics but also the politicization of the media.

      • KCI등재

        50MHz 2단 온도계 디코더 방식을 사용한 10 bit DAC 설계

        정준희(Jun-Hee Jung),김영식(Young-Sik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2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9 No.6

        본 논문에서는 0.18-μm CMOS 공정으로 제작된 무선 센서네트워크 송신기에 적용 가능한 50MHz/s 저전력 10비트 DAC 측정 결과를 제시한다. 제작된 DAC는 일반적 세그멘티드 방식과는 다르게 2단 온도계 디코더를 이용한 전류 구동 방식으로, 10비트를 상위 6비트와 하위 4비트로 나누어 구현하였다. 상위 6 비트의 온도계 디코더는 3비트의 행 디코더와 3비트의 열 디코더로 행과 열을 대칭적으로 구성하여 상위 전류 셀을 제어하였고, 하위 4비트도 온도계 디코더 방식으로 하위 전류셀을 구동하도록 설계하였다. 상위와 하위 단위 전류 셀은 셀 크기를 바꾸는 대신 바이어스 회로에서 하위 단위 전류의 크기가 상위 단위 전류와의 크기에 비해 1/16이 되도록 바이어스 회로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상위와 하위 셀간의 온도계 디코더 신호의 동기를 위해 입력 신호 및 디코딩 된 신호에 모두 동기화 래치를 적용하여 Skew를 최소화하도록 설계하였다. 측정결과 DAC는 50MHz클럭에서 최대 출력구동범위가 2.2Vpp이고, 이 조건에서 DC전원은 3.3 V에서 DC전류 4.3mA를 소모하였다. 그리고 DAC의 선형성 특성은 최대 SFDR이 62.02 dB, 최대 DNL은 0.37 LSB, 최대 INL은 0.67 LSB로 측정되었다. This paper reports the test results of a 50MHz/s 10 bits DAC developed with 0.18um CMOS process for the wireless sensor network application. The 10bits DAC, not likely a typical segmented type, has been designed as a current driving type with double step thermometer decoding architecture in which 10bits are divided into 6bits of MSB and 4bits of LSB. MSB 6bits are converted into 3 bits row thermal codes and 3 bits column thermal codes to control high current cells, and LSB 4 bits are also converted into thermal codes to control the lower current cells. The high and the lower current cells use the same cell size while a bias circuit has been designed to make the amount of lower unit current become 1/16 of high unit current. All thermal codes are synchronized with output latches to prevent glitches on the output signals.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DAC consumes 4.3mA DC current with 3.3V DC supply for 2.2Vpp output at 50MHz clock. The linearity characteristics of DAC are the maximum SFDR of 62.02dB, maximum DNL of 0.37 LSB, and maximum INL of 0.67 LSB.

      • KCI등재

        트로이의 목마

        정준희(Junehee Ju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4 언론정보연구 Vol.51 No.1

        공영방송은 역사적 시효가 다한 제도인가 아니면 여전히 우리의 문화생활의 기초를 구성하는 보편적 서비스의 한 축인가? BBC가 2004년에 주창하여 세계적으로 파급시킨 공공가치 모형은 공영방송의 독자적 가치를 재발견하는 한편 기존의 신자유주의적 공공관리 방식의 한계를 교정하기 위한 유효한 대안으로 검토되어 왔다. 하지만 BBC의 공공가치 접근법은 신자유주의적 한계와의 단절성만큼이나 연속성 역시 적지 않다는 것이 이 연구가 분석하고 있는 내용의 핵심이다. 특히 BBC의 공공가치 접근법은 그것의 원형이 되었던 무어의 공공가치론에 내재된 이론적 모호성이나 한계와 더불어, 이른바 ‘측정에 의한 관리’에 경도된 기술관료적인 편향을 안고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분석이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독립적 전문가로서 공공관리자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함께, 공영방송의 독립성 보장에 관련하여 숙의 민주주의의 가능성과 한계를 면밀하게 검토하는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며, 특히 한국 사회의 조건에서는 이보다 더 근본적인 형태의 규범적 검토가 대단히 시급하다고 제안하는 바다. Is public service broadcasting an age?hardened institution or still part of the universal service that constitutes the base of our cultural lives? The public value model, advocated by the BBC in 2004 and extended to the various corners of the globe, has been viewed as an effective tool to rediscover the unique value of public service broadcasting and an antidote to the neo?liberal public management regime. However, this paper proposes that there is as much continuity as discontinuity from the neo?liberalistic limitations identified in the public value approach by the BBC. This paper suggests as a conclusion that to correct this problem, a clearer definition of public managers as independent professionals and a preliminary deliberation of the potential and reality of deliberative democracy in relation to securing the independence of public service broadcasters are more than necessary.

      • KCI등재

        영국 독립제작 활성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평가

        정준희(June Hee JUNG)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1 언론과 사회 Vol.19 No.2

        외주제작은 한국 방송산업의 주요 화두 가운데 하나였다. 지상파 중심의 독과점적 엘리트 제작 구조 해체, 방송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고품질성 촉진, 방송 제작 부문의 산업적 성장 등이 외주제작 활성화 정책을 뒷받침하는 주요 논거였다. 따라서 외주제작 정책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그런 목표가 정당한 것이었는지, 그리고 해당 정책을 통해 그와 같은 목표가 얼마나 성취됐는지를 가늠해 보아야 한다. 이 연구는 한국의 외주제작 정책의 의의에 접근하기 위한 여러 경로 가운데 하나로서, 영국의 독립제작 활성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수행해 보고자 한다. 가장 선도적이고 표준적인 정책이었으면서, 독립제작 부문의 국내외적 경쟁력 확보라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영국의 독립제작 활성화 정책의 배경으로서 대처리즘의 기업가 정신과 신노동당의 문화통치 담론을 분석하고, 이 두 가지 버전의 지배담론이 어떻게 상호 구별되고 또 접합되었는가를 추적한다. 이를 통해, 영국 독립제작 정책이 실제로 성취한 바는 국가의존적 독립성이라는 일종의 역설이라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영국의 독립제작 정책은 방송 부문을 뒷받침하는 제도와 실천이 문화와 산업, 공공부문과 시장 사이에서 끊임없이 타협되고 재구성될 수밖에 없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잠정적 결론이다. This research proposes that a critical reappraisal of the independent production policy in the UK could be helpful for furthe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South Korean equivalent. The UK case is thought to be one of the most pioneered and exemplary application of the policy idea that promoting independent production will solve the problems of the oligopolist system of in-house production, boosting the quality and diversity of broadcast programmes and encouraging the industrial growth of broadcasting production sector in general. The analysis focuses on the discourses of Thatcherite entrepreneurship and New Labour’s government of culture as the conceptual and normative background of the policy. By doing so, this research tries to shed lights on the paradox of the independence reliant to the state. Based on this finding, this research concludes, though in a reserved manner, that what is shown in the case of the independent production policy of the UK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s and practices of the broadcasting sector that is constantly negotiated and re-constructed between culture and industry, and public sector and the market.

      • KCI등재

        영국 지상파방송사의 디지털 진화 전략 분석

        정준희(Jung, June-Hee) 문화방송 2014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5 No.4

        이 연구는 디지털 충격 이후 영국 공공서비스 지상파방송사들이 새로운 전략적 대응을 구성하는 과정을 추적하고, 이를 디지털 다채널 대응 단계와 OTT 대응 단계로 나누어 고찰한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환경과 주체가 상호작용하면서 형성되는 역학관계를 제도설계와 기술 환경 그리고 이해 당사자들의 전략적 선택이 상호 교차하는 과정을 추적하여 사례분석한다. 우선, 제도설계 측면에서, 영국 정책 당국은, 국면에 따라 초점의 차이는 있었지만, 디지털 기술 환경에 선대응하기 위해 시장과 공공의 선순환적 구조를 구축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또한 지상파방송사들은 독자적 미들웨어 방식의 무료 다채널 서비스 프리뷰를 통해 과거의 지위를 비교적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연착륙전략을 채택했다. 하지만 OTT 서비스의 등장으로 디지털 기술 환경의 복잡화가 가속화되자 지상파방송사들은 통신사업자들과의 연합에 기초를 둔 유뷰라는 명칭의 IPTV 플랫폼을 구축하는 쪽으로 나아갔다. 이 전략은 상당히 공세적이기는 하지만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갖고 있는 행위자들 사이의 불안한 결합력을 나타냈으며, 무엇보다 ‘공공서비스 주체들의 무료서비스 연합’이라는 개념을 불분명하게 함으로써 전망의 혼돈을 가져왔다. 따라서 기존의 프리뷰를 스마트 TV에 연동시키는 일종의 무료 HbbTV 전략인 프리뷰 커넥트 계획으로의 이동이 제안되고 있기도 하다. 이와 같은 갈림길 위에서 영국 지상파방송사들은 UHD 서비스 등에 연관된 새로운 제도설계를 압박하면서 혁신된 무료방송 플랫폼과 고품질 콘텐츠 제작 기지로서의 역량 강화를 통해 디지털 진화를 성취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This article traces the process of envisaging new strategic measures by the public service terrestrial broadcasters in the UK during the first phase of digital multi-channel and the second phase of OTT developed after the digital impact. The analysis is methodologically based on a case study of the dynamics between the environment and the actors, in which a specific design of institution, technological environment and the strategic choices of stakeholders are intersecting each other. Against the backdrop of an institutional design to promote a benevolent circle between the market and the public sectors, the public service broadcasters in the UK tried to cope with the emergence of digital environment by forming a public service alliance in the form of a free DTT service, Freeview, during the first phase of multi-channel era, and by forming a strategic alliance with Telcos in the form of an entitlement IPTV platform, YouView, during the second phase of OTT era. Even though the Freeview service as a soft landing strategy was more than successful, the YouView service as a proactive strategy is presenting a mixed picture. Thus the broadcasters are now seeking out an alternative OTT strategy, called Freeview Connect, a HbbTV platform extending an inherent free-to-view model of their own, while anticipating a new kind of institutional design favourable to their continuous upgrading strategy, including UHD service, is actualized.

      • KCI등재

        인공유물 연쇄로서의 미디어

        정준희(Junehee Ju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7 언론정보연구 Vol.54 No.1

        뉴미디어 담론, 디지털 혁명론 등은 후행하는 우등한 매체가 선행하는 열등한 매체를 대체하는 과정으로서 미디어 역사를 자연화한다. 그러나 재매개론이 설득력 있게 반박한 바 있듯 미디어와 그를 둘러싼 문화적 실천은 단선적인 방향으로 발달하지 않으며, 중첩과 반복, 참조와 상호 참조의 비선형적 계보를 보여 준다. 재매개론이 지향하는 바를 포함하는 광폭의 연구 경향으로서의 미디어 고고학은 이렇게 현재 속에 묻혀 있는 과거의 지층을 발굴하여 기성의 역사를 낯설게 해 줄 대항 역사와 비선형적 미디어 계보를 새로 써 나가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들의 고고학적 방법론에 주목하는 이 연구는, 고고학이 단순히 메타포로서 활용되는 것을 넘어 좀 더 본격적인 형태의 물질성과 수행성을 지닐 수 있게 할 가능성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디어 고고학의 다양한 지적 계보가운데 미디어 인공유물의 물질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 경향을 주로 참조하여 미디어를 인공유물의 연쇄라는 관점에서 재정의한다. 특정 미디어 사물의 내부에 침전되어 있는 다양한 물적 속성의 발굴과 배열, 그리고 서로 다른 미디어 사물들 사이를 연결하는 공통적 물질성을 발견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물질-담론 구성으로서의 다중적 미디어 계보학이 모색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Those discourses spun by and around new media and digital revolution naturalize media history as a process of replacement of a preceding inferior medium by an acceding superior medium. However, as remediation theory persuasively refutes it, media and media practices do not develop in a linear way, drawing a non-linear genealogy of overlapping and repetition; references and cross-references. The recent academic practices of media archaeology, embracing a wide range of research trends including remediation theory, focus on excavating the strata of the buried past to write a new version of non-linear genealogy and counter history of media which will denaturalize the established history. This paper intends to throw light on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a full-fledged form of materiality and performativity in the archaeological methodology, not simply confining it on a metaphorical dimension. In this respect, this paper reformulate the media as a series of artefacts from the viewpoint of problem settings and methodologies, among the many strands in the intellectual genealogy of media archaeology, which pay due attention to the materiality of media artefacts. Through this lens, this paper explores the potential of a multifaceted media genealogy as a heterogenous complex of material-discourse formations that attempt to understand and describe media and media practices by way of the excavations of various kinds of physical properties sedimented within a specific media artefact, and of their arrangements in a specific form of ser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