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방산수출 증대를 위한 기술료제도 개선방안

        정종희 광운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the announcement of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the amount of export in defense industry in 2009 exceeded the maximum value in history as 1,170 million dollars. The expansion of export in defense industry has its significant in the aspects of realizing financial interest and reinforcing military and diplomatic capacities. Export in defense industry improves the trade balance through acquiring foreign currencies. Moreover, on account of the interoperability and compatibility of the weapons system, a country that once imports weapons will have difficulty in changing those to other kinds afterwards in reality; thus, constant occurrences of export demand including component repair or maintenance business will lead to financial interest. Furthermore, a country that once imports those will often have interest in buying other weapons systems, too, so it can have influence in extending military and diplomatic effects on the country that imports weapons systems. As shown above, anyone may agree that advance into the international market will be indispensible in order to expand the export of defense industry which is crucial in financial, military, or According to the abolition of specialization and systematization diplomatic aspects. Institutions on January 1st, 2009, which was induced to cultivate and protect domestic defense industry from 1983, ours escaped from defense industry focusing on protection and control and induced the system of openness and competition. In the dimension of government as well, it is needed to establish various supportive policies of defense industry to increase the export of defense industry. And the problem of engineering fees for national defense is highly noticeable in current circumstances in which both major and minor industries should cooperate to increase exportation and companies of defense industry, too, strive to secure their technologic power. In this situation that everyone believes in constant increase of exportation under the goal to achieve 3 billion dollars in the export of defense industry and become the 7th strongest country of defense technology by 2012, if the government and the enterprises firmly lay the foundation of engineering fee issues for national defense to realize their Win-Win situation, it will contribute greatly to activating export in defense industry. To attain the long-term goal for the export of defense industr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defense research & development projects. And there are various contributors devoting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between the conduction of defense research & development projects, so it is needed to reflect their contribution, too. Therefo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ultimate purpose of the engineering fee system,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ssues regarding the positions of stake-holders of the engineering fee system with related cases and suggest improvements for the engineering fee system to expend the export of defense industry. 방위사업청 발표에 따르면 2009년 방산수출금액은 11억 7천만불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방산수출의 확대는 크게 경제적 이익의 구현이라는 측면과 군사·외교적 역량강화라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방산수출은 외화획득을 통해 무역수지를 개선할 뿐 만 아니라 후속으로 무기체계의 상호운용성 및 호환성 때문에 한번 수입한 국가에서는 후속 무기체계를 다른 종류로 바꾸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수리부속, 정비사업 등의 수출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한번 수입한 국가는 타 무기체계도 관심을 갖고 수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무기체계 수입국가에 대한 군사·외교적 영향력이 확대되는 효과도 낳는다. 이렇듯 경제적, 군사·외교적으로 중요한 방산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세계시장으로의 진입이 필수불가결함은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1983년부터 국내 방위산업을 육성 및 보호하기 위해 도입되었던 전문화·계열화제도가 2009년 1월 1일부로 폐지됨에 따라 보호와 통제위주의 방위산업에서 탈피하여 개방과 경쟁체제가 도입되었다. 정부차원에서도 방산수출 증대를 위한 다양한 방산업체의 지원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수출증대를 위하여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하며 방산업체간에서도 기술력 확보를 위한 전력을 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서 국방기술료 문제는 크게 주목할 만하다. 2012년까지 국방과학기술 7대 강국 및 방산수출 30억불 달성 이라는 목표아래 수출증가가 지속될 것이라고 믿는 상황에서 정부와 업체가 서로 Win-Win 할 수 있도록 국방기술료 문제의 기반을 확고히 구축한다면 방산수출을 활성화 시키는데 크게 기여 할 것이다. 방산수출을 위한 장기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국방연구개발사업이 활성화 되어야 하겠으며, 국방연구개발사업 진행 간 기술개발에 기여한 다양한 기여자들이 존재하므로, 이들에 대한 기여도 반영은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술료제도의 근본취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술료제도를 둘러싼 이해당사자들(stake-holders)의 입장을 둘러싼 쟁점들을 사례를 통해 알아보고 방산수출 증대를 위한 기술료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다기능 버스 승강장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정종희 서울산업대학교 IT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a safe and convenient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and create a public environment in which better human lives can be shared with a variety of bus users. Korea's Seoul is well equipped with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consisting of bus and subway lines. On the other hand, people living in smaller cities in the provinces are more frequent bus users than Seoulites as subway systems are not available there. Nonetheless, bus stations are poorly installed in terms of facilities and systems. As it is unrealistic to construct subway systems in every smaller city, it needs to configurate a new bus use system proper to Korea's current bus operation system. Good examples for the solution can be found in Brazil and Columbia. Instead of constructing subway systems requiring huge costs, both countries built a bus use system fitting to local conditions. Meanwhile, in Korea multi-functional bus stations were first installed in Seo-gu, Incheon in September 2008 for the purpose of ‘Advanced Bus station.' It was a good example to apply a subway system to the ground for small and mid-sized cities without a subway system. However, the functions are not fully used, not exactly corresponding to original purposes. This study focused on design guidelines for multi-functional bus stations so as to improve the use value of domestic multi-functional bus station and help various users enjoy pleasant and safe bus ride. Concrete study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s of UD and UD in the public environment were defined so that as many people as possible can use bus stations with small expenses or no additional costs. Second, regarding the concept of multi-functional bus stations which are still unfamiliar in Korea, its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were researched through the cases home and abroad and t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ulti-functional and existing general bus station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content cases related to multi-functional bus stations were researched to propose application plans. Third, domestic multi-functional bus station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7 UD principles and 5 evaluation criteria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bus station facilities - accessibility, usability, amenity, safety and information provision. In addition, evaluation on users' availability for the facilities(UD evaluation) was conducted. Fourth, user behaviors were observed in the public environment from the UD viewpoint. Use behaviors and patterns in bus stop users and bus stations were observed and recorded to find and analyze the hidden needs of various users. Lastly, this study proposed design guidelines according to the facility component of multi-functional bus stations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the findings mentioned above. 본 연구는 안전하고 편리한 대중교통 이용 시스템 구축과 인간이 살아감에 있어 보다 나은 삶을 다양한 이용자와 함께 누리는 공공환경을 만드는데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 서울은 버스와 지하철로 이루어진 대중교통 시스템이 발달되어져있는 반면 지방 중·소도시의 경우에는 지하철이 없어 버스의 이용 비중이 높다. 그러나 버스가 이용 되어지는 만큼 충분한 시설과 시스템이 갖추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모든 중·소도시에 지하철과 버스를 함께 이용하도록 시설을 갖추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므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용되고 있는 버스 이용 체계에 적절한 버스 이용 시스템 구성이 필요하다.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국외 사례로 브라질, 콜롬비아의 경우가 있다. 막대한 건설비용이 들어가는 지하철을 설치하지 않고, 현지 상황에 맞춘 버스 이용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다. 국내 첫 사례로, 2008년 9월 인천 서구에 ‘정류장 선진화’를 목적으로 다기능 버스 승강장이 설치되었다. 지하철이 없는 중·소도시에 어울리도록 지하철 이용시스템을 지상에 적용한 사례이다. 하지만 갖추어진 기능들이 설치 목적에 부합되지 못하고 있었으며, 충분한 활용이 되지 못하고 있다. 국내 다기능 버스승강장을 대상으로 활용가치를 높이고 다양한 특성의 이용자들이 쾌적하고 안전한 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다기능 버스승강장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적은 비용, 혹은 추가적인 비용이 없고, 특정계층을 위한 것이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UD 개념과 공공환경에 있어서의 UD 개념을 정리하였다. 둘째, 아직은 국내에 생소한 다기능 버스승강장의 개념에 대하여 국내외 사례를 통한 특징과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기존의 일반 버스정류장과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또한 다기능 버스승강장과 관련된 컨텐츠 사례를 조사하여 적용방향을 제시하였다. 셋째, 국내에 설치된 다기능 버스승강장을 UD 7가지 원칙에 따라 버스 승강장 시설물 특징에 맞추어 접근성, 사용성, 쾌적성, 안전성, 정보제공성 5가지 평가기준으로 재편성하였고, 시설물에 대한 이용자 사용성 평가(UD평가)를 실시하였다. 넷째, 공공환경에서의 UD 관점에 따라 이용자 행태 관찰을 하였다. 승강장 이용자와 버스 정차에 있어서 이용 행태와 패턴을 관찰 기록하였고, 다양한 이용자들의 숨겨진 니즈를 도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내용을 분석, 종합하여 다기능 버스 승강장의 시설물 구성요소에 따라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 Benzobicyclon 혼합제와 제형이 제초활성 및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

        정종희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Sulfonylurea herbicide-resistant weeds are spreading widely in paddy rice fields in Korea and thus weed management programs of those weeds are very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was initiated to develop control measure of sulfonylurea-resistant biotypes of Scirpus juncoides and Monochoria vaginalis in paddy rice fields. Benzobicyclon was very effective to control Scirpus juncoides and Monochoria vaginalis and other sedges and broadleaf weeds. Weeding efficacy by formulations of benzobicyclon and its mixture herbicides were highest in tablet, followed by suspension concentrate and granule. Weeding efficacy of CaCO3 carrier of granule was better and stable than that of talc carrier. Growth and yield of rice were not affected much by formulations, application rates and rice cultivation methods.

      •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피로도의 관계

        정종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피로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와 J도에 소재한 3개 대학병원과 5개 종합병원의 수술실 간호사 12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8년 6월 10일부터 6월 2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홍복화(1996)가 개발한 ‘수술실 간호사의 스트레스 요인 측정도구’를 김영옥(2006)이 수정·보완한 도구와 1967년 일본 산업위생협의회의 산업피로위원이 제안하고 1970년 동 협회가 확정한 ‘피로자각 증상 조사표’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K PC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는 3.64점(최대 평점 5점)으로 높은 편이었고 10개 영역별 업무스트레스는 ‘전문지식 및 기술부족’, ‘물품부족’, ‘의사와의 갈등’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 스트레스 문항 중에서는 ‘간호업무 수행 시 실수나 누락한 것을 발견했을 때’, ‘의사가 수술 중 신경질을 내며 화풀이할 때’, ‘근무 중 물품파손 및 분실의 책임을 져야 할 때’, ‘수술 중 기구가 갑자기 작동이 안 될 때’, ‘수술과정을 잘 모르는 과의 scrub할 때’가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 정도는 대학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경우 3.71점으로 ‘물품 부족’, ‘전문지식 및 기술부족’, ‘의사와의 갈등’에서, 종합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경우 3.55점으로 ‘전문지식 및 기술부족’, ‘의료한계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의사와의 갈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2. 수술실 간호사의 피로도는 3.46점(최대 평점 5점)으로 높은 편이었고 영역별로는 ‘신체적 증상’, ‘신경감각적 증상’, ‘정신적 증상’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 피로도 문항 중 에는 ‘다리가 무겁다’, ‘전신이 노곤하다’, ‘눈이 피로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학병원 간호사의 경우 3.60점, 종합병원 간호사의 경우 3.29점이였으며 영역별, 문항별 피로도는 전체 대상자의 결과와 같게 나타났다. 3. 수술실 간호사의 스트레스는 성격과 병원 특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성격이 급하거나 대학병원 간호사인 경우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4. 수술실 간호사의 피로도는 일반적 특성 중 성격이, 근무 특성에서는 병원 특성, 근무배경, 주관적 건강상태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성격이 급할수록, 대학병원 간호사인 경우, 건강상태가 불건강할수록, 병원 발령에 의한 수술실 근무자의 피로도가 높게 나타났다. 5. 수술실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피로도의 관계에서는 (r=0.47, p=.000)으로 비교적 높은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수술실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피로정도는 높게 나타났다. 수술실 간호사의 피로도가 높은 스트레스 하위 영역은 근무표, 물품부족, 간호업무, 동료와 타 인력과 대인관계, 의사와의 갈등, 의료한계 부담감(수술상황 악화)으로, 이는 수술상황 악화를 제외하고는 정책적, 행정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이다. 수술실 간호사와 의료진이 인간관계 훈련프로그램 실시, 공평한 행정 수행, 효율적인 물품관리 체계구축 및 수술실 간호업무의 표준 프로토콜 개발 등을 질관리 활동 주제로 선정하여 성공사례를 전국적으로 공유하는 과제가 시급하다. 즉각적인 스트레스와 피로감소를 위해 전문행정요원의 효율적인 전산 물품관리와 사전 기기작동 점검체계 및 자동 물품주문 전산체계 구축을 최우선시 해야 한다고 본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fatigue in operating room nurses. The collected data via surveys were distributed to 124 operating room nurses at 3 university hospitals and 5 general hospitals from June 10, 2008 to June 24, 2008. The research tool of stress in operating room nurses was developed by Hong(1996) and modified by Kim(2006), and 'Subjective symptoms for Fatigue' standardized by the Japaness Industrial Fatigue Research Committee(1970). The date was analyzed by using SPSS 14.0 K PC version for windows for th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1. The average stress level of operating room nurses, during working hours, which was 3.64/5.0 was highest among the stress levels of 'lack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not provide enough equipments', 'encountered conflicts with their duties and with the doctors, and the highest when nurses discovered mistakes or negligence. The stress level of operating room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3.71/5.0 point)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hospitals(3.55/5.0 point). 2. The fatigue level of operating room nurses, during working hours, which was 3.46/5.0 was the nurses working in operating rooms show their fatigue physical symptoms, in neurosurgery symptoms, in mental symptoms. the highest among the fatigue level of feeling the heavy legs. The fatigue level of operating room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3.60/5.0 point)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hospitals(3.29/5.0 point).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tress level according to character and hospital type. The stress level was high that the stress of impetuous temperament and university hospital.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fatigue level according to character, hospital type, work motive, and subjective health state. 5. There was high positive correlation(r=0.47, p=.000) between operating room nurses stress level and fatigue. The stress and fatigue of operating room nurses, during working hours showed a high level among various sections. Therefore, systematic and individual efforts are needed to handle operating room nurses' stress and fatigue.

      • A sequential approach with multiple trees in large chemical databases

        정종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축차적 설계가 검증할 화합물들이 증가하는 거대한 화학적 데이터 베이스에서 효율적이라는 것이 밝혀져 있다. 또한, 다중나무예측치들이 한 개의 나무 예측치보다 더 정확하다는것도 알려져 있다. 우리는 이러한 축차적 설계와 다중나무들을 이용하여, 다중나무를 갖고 축차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상이성의 척도로서 BNNN과 Tanimoto, 2개의 방법들의 정확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법들을 적용할 53203개의 화합물들의 효능과 화학적 구조가 있는 데이터를 이용한다. It has been shown that the sequential design is efficient in large chemical databases with increasing numbers of compounds to be tested. Also, it is known that the multiple trees are more accurate than the greedy tree. We propose a sequential approach with multiple trees using the sequential design and the multiple trees. And, we compare the accuracy of the two methods, BNNN and Tanimoto for the measure of similarity. We use the data in the potency and chemical structure of 53203 compounds to apply those methods.

      • Detecting significant effects based on a half-normal probability plot

        정종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analyzing data from unreplicated factorial designs, the half-normal probability plot is a commonly used method to screen the few vital effects. Recently, numer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overcome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on this plot. We review three methods: Lenth’s method (1989), the Step-down Lenth’s method proposed by Ye et al. (2001) and the LGB method proposed by Lawson et al. (1998). We compare their performance to identify active effects using a simulation study. It turns out that the performance depends on the number of active effects. For a small number of active effects, the LGB is more effective in identifying the active effects than the others. On the other hand, the LGB method is not doing well when the number of active effects is large. The LGB method is to fit a simple least-squares line without intercept to the inliers, which are determined by Lenth’s method. The effects exceeding the prediction interval based on the fitted line are judged to be significant. In the case when the number of active effects is large, there might be a problem with classifying the inliers and outliers. Thus, improving the accuracy of classifying the effects into inliers and outliers, we propose a modified method in which more outliers could be classified by adaptation of two methods : Carling’s (2000) method for adjusted boxplot, and Lenth’s method. If there exists no outlier or a wide range of the inliers determined by Lenth’s method, we could find more outliers by Carling’s method. Also, we propose an integrated method which utilizes all those three methods mentioned. A conservative approach could declare the intersection of those active effects by each method to be significant. An aggressive approach could declare the union of those active effects by each method to be significant. We can categorize the significant effects as four-color stages: Green, Blue, Orange and Gray. All the use of these approaches depends on whether the experiment-wise error rate to be controlled or not. We conduct a simulation study based on 10,000 sets of experimental data in unreplicated 2^4 design with the number of active effects being 1, 2, 3, 4, 5 and 6. We have considered both cases (1) all having the same magnitude from 0.5 to 4 in 0.5 increments, and (2) all having a different magnitude. For a comparative purpose, we use three efficiency measures of power ; (1) Power denoting the expected fraction of active effects that are declared active, (2) Power I denoting the proportion of detecting all active effects allowing misidentifying inactive effects as active, and (3) Power II denoting the proportion of exactly detecting all active effects only. We compare the efficiency of those three methods and our proposed methods by simulation study. We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s seem to perform better than the existing methods in some sense. 반복없는 요인설계를 분석할 때, 유의한 효과들을 선별하기 위해 주로 반정규 확률 그림을 이용한다. 반정규 확률 그림에서 원점을 지나는 직선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효과를 유의하다고 판단하는데, 그림으로만 보고 판단하기에는 주관적일 수 있어 최근에 통계량을 이용한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객관적인 통계량을 이용하여 유의한 효과를 선별할 수 있는 2가지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 제안하는 방법론은 Lawson et.al (1998)이 제안한 LGB 방법론의 수정안이다. 유의한 효과의 개수가 많을 경우 LGB 방법론의 한계가 있어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 수정된 LGB 방법론을 제안한다. 두 번째는 Lenth(1989), Ye et.al(2001) 및 Lawson et.al(1998)이 제안하는 방법론들의 결과를 통합하는 방안이다. 한가지 방법론으로만 유의한 효과를 찾기에는 한계가 있어 여러 방법들의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가장 최적의 결론을 얻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하는 2가지 방법론들이 다른 기존의 방법론보다 우월함을 보이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통해 Power 값들을 비교하였다.

      • 국방 전직지원 교육만족도가 취업성취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방위산업체 취업희망자 대상으로

        정종희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duc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of outplacement assistance through examining the effect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with military outplacement on the desire to seek employment, particularly for the discharge-scheduled soldiers who want to get job in defense industry. For examination, we distributed factors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into independent variables and control variables, which affect the improvement of the desire to seek employment.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chosen with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outplacement assistance. Th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al process, educational environment, education tutors and the subarea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re dealt in quantitatively as a holistic method to find th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desire to seek employment after outplacement assistance program. The control variables are the desire to be employed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academic background, and also according to the labor-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military positions and working years. These control variables were verified with the differences in the desire to achieve job satisfaction. The enhancement of desire to seek employment, which is indicat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means that an individual would strive to find jobs after educational program, or get more desire to find jobs through inspiration of self-developmen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completed with a basic educational program of outplacement assistance with the discharge-scheduled soldiers who take the outplacement assistance program of defense industry professional course at a university in Seoul and hope to get a job of defense industry, as a sample of this study. On completion of the program, a survey was implemented. The SPSS/WIN statistic program 22.0 was used as a tool of the methods of literature research and an empirical analysis, also as a holistic research method with mix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in-depth interview. To analyze empirically, the effects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examined on the desire to seek employment through personal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x, age, academic background, group species, position, working years), reliability, validity of variables, an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of verification tools (satisfaction of previous supports, desire to get employed). In order to verify the assumptions we made for the analysis, we analyzed with the One way Anova to observe the average differences of the desire to get employed between different groups in personal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wit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previous members of the education on the desire to get employed. Also with the quantitative research, we recommend the implementation of the strategies of development and educational improvement of outplacement assistance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in-depth interview targeted on workers in defense industry company of government organization, workers in educational service of national organization and out-placed people to defense industry who had completed outplacement assistance program of defense industry professional cours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First, as we analyzed the effects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and control variable on the desire to seek employment, we found that the educational proces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utoring are significant among independent variables. This shows that the specialty of tutoring for improvement of performance which is required to students or education institution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and it is needed to constitute a user-oriented educational process. Second, in different verification of control variables,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educational groups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sire to seek employment. Whereas among the labor-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position and working-years, the working-years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sire to seek employment, but the position makes significant differences. It has shown that the working experiences in military environments significantly influence to the desire to seek employment, and that employment programs associated with ㅕoccupations for usage of military experiences should be diversified and systematized, as well as enlarged the development of positions. Thir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we found that the qualification system is needed for recognition of the military experiences of discharged or discharge-scheduled soldiers who want to get job in defense industry, and the strategies that link the military techniques or qualifications with the employment. Fourth, through the extension of outplacement assistance, it is shown both 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that institutional provision is needed for smooth outplacement after discharge and systematic employment preparation of discharge-scheduled soldiers. Finally, as for a qualitative research we found that the experiences and know-how of discharged soldiers should be used in society, alleviating the employment limitation of retired public officials of the long term-discharged. For linking the military outplacement assistance to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constituent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educational process is needed suitable for the Korean situations, and the process of employment position development is needed for the professional careers which have obtained from military experiences, and further can be settled in the society according to their expertise and experiences. According to these, if the proposed plans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are applied to the institution, it is consider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employment rate of military outplacement assis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reference to activating an outplacement assistance program in respect of government in the future, as well a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et a direction of operations of an outplacement assistance program. 본 연구에서는 방위산업체로 취업을 희망하는 전역예정군인을 대상으로 전직지원 교육만족도가 취업성취욕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직지원 교육의 발전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취업성취욕구 향상이란 교육 수료 후 더욱 취업에 매진하게 되거나, 자기개발 의욕이 고취됨으로써 취업욕구가 향상되는 것을 뜻하며,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독립변수는 전직지원 교육만족도를 선정하였으며, 교육만족도의 하위영역인 교육과정 만족도, 교육환경 만족도, 교육강사 만족도가 전직지원 교육 후 취업성취욕구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홀리스틱(Holistic) 연구방법에 의거하여 살펴보았다. 통제변수는 개인적 특성인 연령과 학력에 따른 집단 간 취업성취욕구의 차이와 근무환경적 특성인 계급과 근무년수에 따른 집단 간 취업성취욕구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직지원 기본교육을 수료하였고, 방위산업체로의 취업을 희망하는 자를 대상으로 서울 수도권내 00대학교 방위사업 전문가 과정의 전직지원 교육을 수강하는 전역예정군인을 표본으로 선정하였으며, 교육이 종료되는 수료시점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적 연구와 실증적 분석의 연구방법인 통계처리 방법 SPSS/WIN 통계프로그램 22.0을 활용하였으며 그 외적으로 심층상담을 통해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의 홀리스틱(Holistic) 연구방법에 의거하여 진행하였다. 실증적 연구의 분석을 위해 개인 및 근무환경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 군종, 계급, 근속년수)의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측정도구(전직지원 교육만족도, 취업성취욕구)의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설검증을 위한 작업으로 개인 및 근무환경적 특성에 따른 집단 간 취업성취욕구의 평균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과 전직지원 교육만족도가 취업성취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또한, 방위사업 전문가 과정의 전직지원 교육과정 수료자 중 방위산업체로 전직을 성공한 사례와 실패하여 재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자, 현 방위산업체 인사담당자, 정부기관 방위사업 교육담당 교수진을 대상으로 심층상담을 진행하여 전직지원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논리적 보완을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독립변수가 취업성취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교육만족도 하위영역인 교육과정과 교육강사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교육기관이나 피 교육자에게 요구되는 업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강사의 전문성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이 구성되어야 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양성을 위해 방위산업체의 사업분야별 특성에 부합하는 맞춤형 교육 및 수준별(Level)체계화된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내실화를 기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통제변수인 개인적 특성을 나타내는 연령, 학력 집단 간 취업성취욕구 차이 검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변수임이 검증되었으며, 근무환경적 특성인 계급, 근무년수와 취업성취욕구와의 차이 검증에서 근무년수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계급에 따라서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군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근무한 경력이 취업성취욕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군 경력을 활용한 사회 내 직종과의 취업 연계 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화·체계화뿐만 아니라 군내 취업직위개발을 확대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셋째,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방위산업체 취업을 희망하는 전역예정군인 및 전역군인의 군 경력을 인정받기 위한 자격제도가 필요하며, 군내 취득한 기술이나 자격증이 취업으로 연계될 수 있는 방안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도입이 필요함을 결과로 도출하였다. 방위산업체 종사자의 전문적인 직무역량을 측정·평가하기 위해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정립하고 방위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지식·기술·소양 등의 내용을 체계화하여 채용 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해야 그에 따른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전직지원 교육기간의 연장을 통해 사회로 진출하는 전역예정군인의 취업준비를 철저히 하고 전역 후 원활하게 전직할 수 있는 제도적 마련은 양적·질적 연구방법에서 공통적으로 수렴된 연구결과였다. 마지막으로, 질적연구 방법에서 장기전역자를 위하여 퇴직공직자 취업제한을 완화하여 전역군인이 갖추고 있는 경력과 노하우를 사회에 활용할 수 있게 해야 함을 연구결과로 도출할 수 있었다. 국방 전직지원 교육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군이라는 환경에서 구축한 전문경력이 군내뿐만 아니라 사회 내 직종과 연계되어 정착 될 수 있도록 방위산업체 실정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의 양적·질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방안들이 제도적으로 정착된다면 국방 전직지원 교육이 취업률 향상뿐만 아니라 국방인력의 전문성 향상으로 이어져 국가경쟁력에 일조할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정부차원에서 전직지원 교육을 활성화하는데 있어 참고자료로 제시될 수 있는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 국방 전직지원 교육운영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있어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