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중등학교 일본어 교과서 평가기준 개발 연구

        정재연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71

        Textbooks are the primary material written for teaching the principles of a subject and present a given discipline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extbooks are a significant material for providing ideas and information for structured teaching and learning as well. Japanese textbooks submitted for adoption in Korea must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curriculum guideline of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However, the checklist in curriculum guideline has only 25 items approximately, which is unlikely to cover all the aspects of examining Japanese textbooks. Also, unlike other language textbooks such as English and Korean, researches on an overall evaluation of Japanese textbooks have been rarely performed, even though there are studies for partial analyses of Japanese textbooks.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ssess and develop the evaluation criteria of Japanese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This study focused on producing Japanese textbooks relevant to acquiring course content, by answering the research question that “What are the efficient and useful Japanese textbooks to teachers and students”. This dissertation consists of seven chapters. In Chapter 2, the author reviewed 1) the definition of the teaching material and textbooks, 2) the importance of textbooks in teaching Japanes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curriculum, and 3) the previous studies in Korea that have evaluated Japanese textbooks. In Chapter 3, the author collected current textbooks evaluation criteria in order to develop the evaluation factors and then analyzed the result from a comparison of the previous evaluation models between Japanese and other language textbooks (e.g. English and Korean). In Chapter 4, the author examined 1) the curriculum specifications of middle/high school (Level 1) Japanese textbooks, 2) the government examination standards, and 3) the consideration in writing these textbooks.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government examination standards reviewed in this study were used to test existing Japanese textbooks in order to determine its appropriateness of listed factors. In Chapter 5, the author prepared the preliminary evaluation criteria along with the corresponding justification, the proposed items, and the five-level rating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Chapter 4. They were categorized by the factors such as the compliance with curriculum standard, the contents, the editing process, and the users. In Chapter 6, the author tested the preliminary criteria applying them to the Japanese textbooks (Level 1) under the 7th curriculum and then developed the decisive criteria of evaluating Japanese textbooks, based on the assessment survey of five panels, including Japanese language teachers/instructors.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evaluation scheme for writing the right Japanese textbooks for class, identifying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Japanese textbooks currently us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교과서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목표 실현을 위해 만들어진 대표적 교재이다. 국가가 명시한 교육과정의 내용에 따라서 체계적으로 만들어졌고, 한 나라의 교육관이나 시대정신을 담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교과서를 통해 인식하여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교수·학습 과정을 안내하며 평가 자료를 제시하기 때문에, 교과서가 가지는 의의는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외국어 교육 관련 교과서 연구와 비교해 보면 일본어 교과서의 단편적인 내용에 대한 분석 연구는 많으나, 교과서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종합적 연구는 적은 편이다. 이러한 일본어 교과서 연구 상황에 촉발되어 본고에서는 「수업 현장에 교사와 학생들에게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교과서란 어떤 것인가?」 라는 관점에서 좋은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에 관심을 두게 되었고, 중·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의 보다 효율적인 제작 방향을 검토하여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과서 내용 전반에 관한 평가과정과 판단기준이 필요함에 대해서 절실히 생각하게 되었다. 현재 한국의 중등학교 일본어 교과서는 국가에서 제시하는 공식적인 평가기준이라고 할 수 있는 교과용 도서 검정 심사기준을 따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검정심사 항목수가 25항 정도로 교과서 내용을 전부 심사하기에는 부족한 감이 없지 않다. 그리고 한번 출판되면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까지 수정 없이 계속 사용되는 현실을 고려해볼 때, 교과서를 분석하여 그 장단점 등을 파악하여 수업에 적합한 교과서를 만들기 위한 평가지침을 마련해보는 것은 매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논문은 중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의 평가기준 개발을 수행하기 위해서 크게 7장으로 구성하였다. 2장에서는 교재와 교과서의 정의, 궁극적으로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를 수행하는 일본어 교과서와 교육과정의 관계,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일본어 교과서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3장과 4장은 교과서 평가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분석한 것으로, 3장은 일본어와 그 밖의 외국어에 관한 교재 및 교과서에 관한 선행연구, 멀티미디어 일본어 교재에 관한 선행연구 등을 조사하였다. 4장에서는 현재의 검정도서 체제에 대해 알아보고, 교과서의 공식 평가기준이라고 할 수 있는 중·고등학교 검정도서 심사기준을 자세하게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평가모형을 제시한 선행연구 중에서 평가척도를 제시한 세 개의 평가기준과 고교 일본어과 검정심사 기준을 대상으로 하여 일본어Ⅰ교과서에 실제로 적용하여 평가해 보았다. 이 때 평가적용이 가능했던 항목, 불가능했던 항목을 파악해보고 공통적으로 설정된 평가영역과 항목들, 각 평가표의 장점과 문제점을 조명하였다. 5장에서는 4장 결과에 근거하여 일본어과의 특성을 참조, 교육과정 준수 측면, 내용 체계 측면, 학습자 측면, 교사 측면, 편집 및 외형적 측면으로 영역을 고려하였고, 선행연구와 교과서 검정심사 기준, 7차 및 개정 교육과정 내용, 집필상 유의점을 참고하거나, 부족한 부분은 이들을 활용하여 항목을 작성하였다. 나아가 1차와 2차 예비 평가기준에 입각하여 2가지 평가기준 시안을 작성하였다. 6장에서는 이 기준에 입각, 현재 일본어 교육에 종사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제7차 교육과정의 일본어1 교과서를 적용하여 실제로 평가해볼 경우 예상되는 문제점, 수정과 보완을 요하는 항목을 확인하여 최선의 중등학교 일본어 교과서 평가기준을 제안해 보았다.

      • 뇌파 측정을 통한 Indian head massage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정재연 가톨릭관동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an effect of Indian head massage through gauging brain wave in left brain and right brain as for α-wave, brain distraction degree and physical·mental stress as a demonstration before treatment and after treatment of Indian head massage, which has followed the history of Ayurvedic among complementary therapies of relieving stress and enhancing quality of lif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rom July 1, 2018 to September 11, 2018 after selecting healthy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under-50s. An alpha-wave amplitude and α-wave maximum were significant before·after treatment of left brain and before·after treatment of right brain. The brain distraction degree in left brain & right brain, the amplitude symmetry, and the left-right conformity did not have any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left brain and the right brain in physical stre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left brain and the right brain in mental stress had no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As data of having proved that Indian head massage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dern people's stability and stress in relation to brain, this information was suggested with expecting the expansion in the professional field and the improvement in modern people's health as a customer-target program at an esthetic shop of specializing in caring human skin and at a hair shop of dealing with the realm of hair and hair loss. A follow-up research is needed a research with diverse subjects. Many models were presented in the field of beauty therapy as the expansion in a research of using a brain wave device. Key Words: Brain Wave, α-wave, Brain distraction degree, Indian head massage, Aroma-therapy, Stress

      • 정신과 환자에 대한 리듬반응 조사

        정재연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information forming the basis of psychiatric music therapy through comparison of the rhythmic reaction between schizophrenic and substance disorder groups. Subjects for the study were selected 18 male inmates of schizophrenia and 16 male inmates of alcoholism or drug addiction from Seoul metropolitan E. hospital and it proceeded from October 29, 2002 to November 1, 2002. The test consisted of three steps. The first step was to determine spontaneous rhythm task played by each subject for 10~20 seconds, The second step was to measure steady beating task that required the subject to synchronize with and then independently maintain steady pulses at the presented tempo for a prescribed amount of time after the presented pulse stopped. The last step was to see rhythm imitation task that consisted of nine items requiring the subject to reproduce four-beat patterns at the tempo at which they were presented. All tasks was recorded on a computer of wave files and all of materials was expressed in figures for a statistical analysis. The data transformed in this way was analyzed by SPSS 10.0 program for the descriptive method such as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ed. When asked to maintain steady pulses, the schizophrenic group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alcoholic or drug addicted group(<.05). Two groups are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05) in reproducing rhythm patterns and variation ratio of spontaneous amplitud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in performing spontaneous tempo(>.05). As a result, the rhythmic reaction vary according to subjects and it is an useful information for the group music therapy. If we verify the characteristic of the musical reaction according to various subject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hat we offer more effective activity for group music therapy. 이 연구의 목적은 정신과 환자의 리듬반응을 조사하여 환자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함으로써 향후 정신과 환자에 대한 효과적인 음악활동을 계획하는데 기초가 되는 정보를 주는데 있다.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E병원의 정신과 병동에 입원하고 있는 정신분열병 남자환자 18명과 물질장애 남자환자 16명을 대상으로 2002년 10월 29일부터 11월 1일까지 진행되었다. 실험은 3단계로 이루어졌는데, 1단계는 대상자의 자유로운 리듬연주를 10~20초간, 2단계는 3가지 빠르기, MM=54, 92, 144,로 녹음된 드럼소리를 듣고 같은 박자로 이어서 연주하는 것을, 마지막으로 3단계는 드럼소리로 녹음된 9가지 리듬패턴을 듣고 따라 치도록 하였으며 각 단계는 모두 컴퓨터를 통하여 wave file로 저장되었다. 통계적인 분석을 위하여 자연발생적 리듬의 강도 변화율(최대 강도/최저강도)과 빠르기(연주회수/연주시간), 그리고 템포 지속력(0: 지속적임, -1: 느려짐, +1: 빨라짐)과 리듬 모방력(1: 같다, 0: 다르다)을 점수로 나타내었고, 이렇게 변환된 데이터는 집단 간의 독립표본 T검정으로 통계처리 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템포 지속력 점수에 대한 두 집단의 평균비교 결과, 정신분열병집단의 점수(M=0.53, SD=0.99)와 물질장애집단의 점수(M=0.13, SD=1.96)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05), 리듬 모방점수에 대한 결과 역시 정신분열병집단의 점수(M=5.12, SD=1.45)와 물질장애집단의 점수(M=6.94, SD=1.65)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05). 또한 자연발생적 리듬의 강도 변화율에 대한 결과에서도 정신분열병집단의 변화율(M=5.30, SD=3.55)과 물질장애집단의 변화율(M=12.72, SD=9.55)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05). 그러나 자연발생적 리듬의 빠르기에서는 정신분열병집단(M=2.03, SD=0.71)과 물질장애집단(M=1.83, SD=0.54)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05).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리듬활동에 있어 대상집단에 따라 서로 다른 반응을 보이며 이것은 집단음악치료활동을 계획하는데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음악치료가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집단에 대해서 리듬반응 뿐 아니라 여러 음악요소에 대한 반응특성을 밝힐 수 있다면 좀 더 효율적인 집단음악치료활동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예술계 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들의 만족감 형성

        정재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계 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들의 전공수업 참여 동기와 만족감의 요인 및 형성을 체험적 관점에서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예술계 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들의 참여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예술계 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들의 만족감 형성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예술계 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들은 어떠한 만족감을 형성하고 있는가? 이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에 소재한 J고등학교 무용전공의 학생들 중 9명으로 무용 경험은 최소 1년 이상 최대 8년까지의 경력을 가진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심층면담, 비 참여관찰, 현상학적 기술 등의 다각도 분석법을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 되었다. 첫째, 예술계 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들의 참여 동기는 무용 기량 향상, 교육과정을 통한 기대, 목표달성으로 비교적 공통적인 빈도로 나타났다. 둘째, 예술계 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들의 만족감 형성요인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첫째는 성취감과 스트레스 해소의 정신적 요인, 둘째는 유연함과 건강 회복의 신체적 요인, 셋째는 동료들과의 화합 및 선의의 경쟁, 가족과의 새로운 관계 설정을 하게 된 사회적 요인, 마지막으로 교사의 교수방법과 무용시설의 환경적 요인이 예술계 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들의 만족감 형성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수행 만족감 형성은 연구 참여자들의 성향에 따른 전공수업 참여 동기와 무용수행 만족감 형성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개인의 무용 기량 향상에 동기를 느끼며 무용수행을 한 참여자들은 타인과의 화합 및 경쟁, 계획적이고 반복적인 연습에 따라 만족감을 형성하고 있었고, 교육과정이 참여 동기로 느끼는 참여자들은 지도교사와의 상담 및 교수방법, 무용시설에 따라 만족감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목표달성이 동기인 참여자들은 대학, 성적, 꿈 등의 이루고자하는 목표를 갖게 됨에 따라 만족감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예술계 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들을 현장에서 지도하는 교사에게 지도의 효율성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는 방법 마련과 무용전공학생들에게는 불만족을 해소시키고 보다 나은 수업을 받을 수 있게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major class, developing and factors of feeling of satisfaction of students who are majored in dancing of arts high school.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for the study. First, what is the motivation of student participation who is majored in dancing in arts high school?, Second, what is the factors of developing satisfaction of those students? Third, what kind of satisfaction do they have in arts high school? For this study, among dancing-majored students in J high school in Jeolla-namdo, 9 students from who have at least one-year dancing experience to who have 8-year dancing experience the most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methods were utilized to qualitative study methodology and polygonal analysis was conducted including the in-depth interview, non-participating observation, phenomenological technological method and etc.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s of those students are improving dancing skills, expectation through education curriculum and achieving goals with common frequency. Second, the factors of developing satisfaction of those students were shown with the following four elements. The first one for releasing stress and achievement; second, physical element for flexibility and recovering health; third, concord with colleagues and competition in good faith, social factor for new relations with families and fourth, environmental factor of dancing facilities and teachers' teaching methods. Third, developing satisfaction for performing dance was showed differently depending on elements of developing satisfaction for dancing and motivation of participating major class. The participants who had motivation for improving dancing skills has satisfaction on repeating and planning practice and concord and competition with others. The other participants who had satisfaction for educational course had satisfaction depending on dancing facility, teaching methods and talk with teachers. Last, the participants who had motivation for achieving purpose had satisfaction for college, grade and dreams. In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to improve the efficacy of teachers in education field for dancing-majored students in arts high school and for better satisfaction in class.

      • 황연대 생애와 업적을 통해 살펴본 장애인체육의 역사와 발전

        정재연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value and significance of Whang Youn-Dai's life and achievements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Through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Whang Youn-dai, who is known to have made great contributions to physical activity and sports for the disabled, she learned the histor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used life stories and oral history methods for evaluation. The life history of Whang Youn-dai was collected from literature, interviews with Whang Youn-dai, and people around hi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ree methods by Mandelbaum(1973): dimension, turning, and adaptation. The main driving force behind Dr. Whang's life was the growth process, the background of turning it into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for the disabled, and of overcoming difficultie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mensions of his life stories are personal areas that have had the most influence on his personal life, such as family, occupation, growth process, learning, environment, and emotion. The areas of life were derived from 'Father's love and teaching', 'Discrimination against entrance exams', 'Reading newspapers', 'Marginaliz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the disabled’ and 'Medical school life'. Second, the background of Whang Youn-dai's transition from the path of doctors to that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for the disabled was that of encounters and relation. The turning points were derived from "Conjugal ties with her lifelong partner, her husband Jung Eun-Bae," "Experience in College Culture Sports Class," and "Relationship with Mrs. Yuk Young-soo." Third, adaptation had a lot of influence on the nature and environment formed during the growth process. Adaptation was derived from 'Augustness against injustice', 'Stepping stone physic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Overcoming instead of frustration', 'Insight and execution' and 'constantly challenging'.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sports for the disabled was carried out by oral history method according to the Whang Youn-dai’s achievements. In order to supplement the 'Subjectivity' and 'Presentability' of the oral history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and expert interviews. Whang Youn-dai was found to have influenced all four roles of disabled sports: rehabilitation sports, school physical education, elite sports, and sports of all. What's noteworthy about life history research is that the areas of life shown in dimensions have more influence on adaptation than the effects of transition on adapt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formed in the growth process of Whang Youn-dai were found to have a close influence on achievements such as Jeongnip Center, of Whang Youn-dai Achievement Award, Pension issue for disabled athletes, and budget issue of Icheon National Training Center. The reasons for the advancement of physical activity and sports for the disabled as the godmother of the disabled were possible because of the personality and environment formed in childhood, encounters and relationships, and constant challenges. The exact facts and difficulties of the time were confirmed by revealing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Whang Youn-dai, the vivid stories of Whang, the literature and the oral testimony of experts. In order to revitalize the history of sports for the disabled, the literature and testimonies of those who experienced it at the time have made me confirm that life history and oral history are useful ways to use sports for the disabled.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체육 분야에서 황연대 박사의 생애와 업적을 토대로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분석하는데 있다. 장애인 체육 및 스포츠 분야에 지대한 공헌을 한 인물로 알려진 황연대 박사의 생애와 업적을 통해 장애인 체육의 역사를 알아보기 위해 생애사와 구술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황연대 박사의 생애사는 문헌자료, 황연대 박사 및 주변 대상자 인터뷰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andelbaum이 제시한 세 가지 방법인 차원 (dimension), 전환(turnings), 적응(adaptat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황연대박사의 생애를 삶의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친 주된 원동력인 성장과정과 장애인 체육 및 스포츠로 전환하게 된 배경, 극복하는 과정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황연대 박사의 차원은 삶의 과정으로 개인의 삶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개인적 영역으로 가족, 직업, 성장과정, 학습, 환경, 정서 등이다. 삶의 과정은 ‘아버지의 사랑과 가르침’, ‘입학시험 차별’, ‘신문읽기’, ‘소외된 체육수업’, ‘의과대학 생활’로 도출되었다. 둘째, 황연대 박사가 의사의 길에서 장애인 체육과 스포츠의 길로 전환을 하게 된 배경에는 만남과 인연으로 나타났다. 전환점은‘평생의 동반자인 남편 정은배 선생과의 만남’, ‘대학 교양체육 수업 경험’, ‘육영수 여사와의 인연’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적응은 성장과정에서 형성된 성격과 환경이 많은 영향을 미쳤다. 적응은‘부당함에 맞서는 당당함’, ‘장애인들의 디딤돌 체육’, ‘좌절대신 극복’, ‘통찰력과 실행력’, ‘끊임없는 도전’ 으로 도출되었다. 황연대 박사의 업적에 따른 장애인 체육 역사의 발전과정은 구술사연구 방법을 실시하였다. 구술사 방법의 ‘주관성’과 ‘현재성’을 보안하기 위해 문헌자료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황연대 박사의 장애인 체육의 업적은 정립회관, 황연대성취상, 장애인 선수 연금, 이천선수촌 (전 이천훈련원)으로 분석되었다. 황연대 박사는 장애인 체육의 4가지 영역인 재활체육, 학교체육, 엘리트체육, 생활체육에 모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생애사 연구에서 주목할 점은 전환이 적응에 미치는 영향보다 차원에서 나타난 삶의 영역이 적응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황연대 박사의 성장과정에서 형성된 성격과 배경들은 정립회관, 황연대성취상 그 밖의 업적을 세울 때 밀접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의 대모로 장애인 체육과 스포츠 발전을 앞당길 수 있었던 원인은 어린 시절 형성된 성격과 환경, 만남과 인연 그리고 끊임없는 도전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기록으로만 남아 있던 황연대 박사의 생애와 업적을 생생한 이야기와 문헌자료, 전문가들의 구슬증언을 통해 밝혀냄으로써 정확한 사실과 어려움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조한 장애인 체육 역사분야의 활성화를 위해 생애사와 구술사 방법은 장애인 체육의 역사방법으로 활용되기에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칼더와 팅겔리의 키네틱 조각 연구

        정재연 상명대학교 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conceptions abut the expression of motion have been changed through the generation, but the 'motion' itself has been inspiring the organic life to sculpture as the heart factor beyonding all styles in Art History. So nowadays, modem artists have been tried to pursue more active and practical movement according as their getting out of the state of organic balance and the fixed idea of classical age. "Motion Art" was a distinctive trend in art from mid 1950's to 1960's by the name of Kinetic Art or Cinetism. The first expression style of motion was by Illusion and these days the domain of Kinetic Art is including both the Optical Art and the real motion. On this paper, I tried to discuss about two artists, Alexander Carder and Jean Tinguely who were outstanding among the kinetic artists for their treating of real motion, and I also tried to study the expanded conception of modem sculpture with their individual works and individual formative qualities. Calder was the pioneer who attempted to make Kinetic Sculpture by using the natural elements such as wind, air as a motive. His masterpiece is the "Mobile". In a word, Mobile was a sculpture which was beyond the old idea of sculpture and it was not the expression of move but the move itself. Tinguely made the Kinetic Sculpture by using the mechanical elements such as motor, wheels as a motive. And his grounding is so-called the "Abandoned Machinary Esthetics." He~expanded the domain of sculpture by using various materials and non-materials (sound, light, water and smoke, etc). In case of the series of 'Meta-Matic' and the series of 'Rotozaza', many various works were made by participation of audiences. In conclusion, these two artists pursued the contrary world of motion, natural power and artificial machine power. In other words, each of them pursued the natural form and mechanical form as individual motive. However, they all brought emotions and humours to us by the mutual response between human and their works. And their gift of the element of time, the "Motion", to three-dimentional spatial art, the sculpture, could expand the domain of sculpture to four-dtnentional world and even more over.

      • 치과위생사의 직무능력향상을 위한 보수교육 프로그램 운영 평가 연구

        정재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치과위생사 보수교육 참여자를 대상으로 경력 및 보수교육 이수평점, 직무능력 인식, 직업에 대한 인식에 따른 보수교육 참여 동기, 교육 평가, 만족도, 직무수행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교육 프로그램이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변인들의 영향력, 향후 보수교육 개선요구도 등을 조사․분석하여 치과위생사의 직무능력향상을 위한 보수교육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수교육 참여 동기, 교육 평가, 만족도, 직무수행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둘째, 보수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프로그램 참여 동기, 프로그램 평가, 만족도에 따른 직무수행능력을 분석하고, 치과위생사의 직무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수교육 프로그램 개선 요구 사항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경기․인천지역의 치과의원, 치과병원, 종합병원 및 치과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자로 2010년 대한치과위생사협회 중앙회나 시․도지회 보수교육을 이수한 자이다. 2011년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치과위생사 45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질문조사는 자기보고식 질문조사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수교육 참여자들의 참여 동기는 경력, 이수평점, 직무능력 인식과 직업에 대한 인식 등 대상자 특성의 모든 항목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보수교육 평가는 직무능력 인식과 직업에 대한 인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보수교육 만족도는 경력, 보수교육 이수평점, 직무능력 인식과 직업에 대한 인식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수행능력은 경력이 많을수록, 직무능력 인식과 직업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수행능력이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직무수행능력과의 상관관계는 보수교육 프로그램 평가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보수교육 참여 동기, 보수교육 만족도, 직무능력 인식 정도, 직업에 대한 인식, 근무경력의 순이었으며, 각 변수와 직무수행능력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일반적 특성 변수들 중 직무능력 인식, 직업에 대한 인식, 보수교육 이수 평점은 직무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변수들의 설명력은 23.7% 이었다. 보수교육 관련요인을 추가하였을 때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보수교육 평가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다음으로 보수교육 참여 동기, 직무능력 인식, 직업에 대한 인식 순이었다.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일반적 특성과 보수교육 관련 요인의 설명력은 48.0%로 나타나 일반적 특성을 투입한 모형에 보수교육 관련 변수를 추가 투입한 결과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설명력이 약 24% 증가하였다. 셋째, 보수교육 프로그램 개선요구 사항을 분석한 결과, 희망 주제는 최신정보, 환자관리였고, 선호하는 강사는 전문분야 치과위생사와 치과의사였으며, 경력과 이수평점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희망하는 교육방법은 강의와 실습을 선호하였고 직무능력인식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교육 희망횟수는 년 2회 정도를 선호하였고 이수평점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교육비부담은 직장의 장이 부담하기를 희망하였고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홍보에 대해서는 유선 및 문자를 선호하였고 이수평점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치과위생사 직무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된 보수교육 프로그램 평가, 참여 동기, 직무능력 인식, 직업에 대한 인식 변인은 보수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수교육은 회원들의 직무능력향상이 가장 주요한 목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 프로그램이 직무와 관련성이 높고, 최신의 기술과 정보 제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보수교육 프로그램은 직무분야별, 경력에 따라 차별화된 다양한 프로그램이 상시 운영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협회 내 보수교육 운영 및 관리를 전담하는 기구 설치가 요구되며 담당할 전문 인력 배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y possible differences among dental hygienists receiving continuing education in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satisfaction level and job performance depending on their career, grades of continuing education, awareness of job performance and occupational awareness. The study is also meant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related variables on their job performance and people’s needs for the improvement of continuing education in an attempt to suggest how to run continuing programs to boost the job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s. There are mainly three things that were analyz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differences among the selected dental hygienists in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satisfaction level and job performance depending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their participation motivation, program evaluation and satisfaction level and their job performance and factors affecting their job performance were analyzed as well. Finally,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in needs for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52 dental hygienists at dental clinics, dental hospitals, general hospitals and university dent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who received continuing education at the headquarters or local branches of the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 to August 31, 2011.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participation motivation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career, grades, awareness of job performance and occupational awareness. The programs were evaluated better when the participants’ awareness of job performance and occupational awareness were higher. In terms of satisfaction level of the continuing educ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career, grades of the continuing education, awareness of job performance and occupational awareness. The respondents whose awareness of job performance was higher and whose occupational awareness was highe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job performance. Second, evaluation of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was most correlated to job performance, followed by participation motivation, satisfaction level of the continuing education, awareness of job performance, occupational awareness and career. Each variabl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o job performance. Among the variables of general characteristics, awareness of job performance, occupational awareness and grades of the continuing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the significant variables for job performance, and these variables had a 23.7% power of explanation for job performance. Regarding the impact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continuing education on job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supplementary evaluation was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participation motivation, awareness of job performance and occupational awareness. The variables had a 48.0% power of explanation for job performance, and the power of explanation of a model in whic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inputted for job performance increased by 24% when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continuing education were added into the model.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respondents’ needs for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hey wanted the programs to deal with up-to-date information and patient management as a theme. Preferred lecturers were dentists and dental hygienists who were specialized in particular fields and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ir career and grades. As to educational methods, they preferred lecture and practice, and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awareness of job performance. Concerning a frequency of education, they preferred to receive the education about twice a year, and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ir grades. In terms of educational expense, they hoped the heads of their workplaces to pay for that, and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career. Regarding a means of publicity, they preferred telephone or text messages, and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grade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evaluation of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participation motivation, awareness of job performance and occupational awareness were factors that affect the job performance of the dental hygienists,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of use for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he primary goal of continuing education is to improve the job performance of members. In order to achieve thi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accurately linked to the actual job of dental hygienists and provide state-of-the-art skills and information. A wide variety of differentiated programs tailored to the job and career of dental hygienists should be provided all the time, and the association should be urgently equipped with an organization with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who can be exclusively responsible for the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of continuing education.

      • 부모의 성경이야기 읽어주기가 유아의 신앙발달에 미치는 영향

        정재연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성경은 부모에게 자녀가 어릴 때부터 성경말씀을 읽어 주라고 명령하고 있다. 그리하면 늙어도 말씀을 떠나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다. 이는 자녀가 유아일 때부터 하나님 말씀을 가르치면 자녀의 신앙발달이 이루어져 평생 하나님의 말씀을 떠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부모의 성경이야기 읽어주기가 유아의 신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만 5,6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성경이야기 읽어주기 실험을 실시하여, 성경이야기 읽어주기 전 신앙발달 사전검사와 읽어주기를 마친 후 신앙발달 사후검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부모의 성경이야기 읽어주기 활동이 유아의 신앙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실험집단에 한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성경이야기 읽어주기 전과 읽어준 후의 유아의 달라진 행동과 인지적 변화를 인터뷰한 결과, 유아는 행동적, 인지적 신앙발달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부모의 성경이야기 읽어주기 활동이 유아의 신앙발달을 이루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나아가 가정과 교회에서 유아의 신앙발달을 위해서 어릴 때부터 성경이야기 읽어주기 활동을 실천하게 영향을 미치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