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근식·강성현 저,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에 대하여 한국전쟁 연구의 국제비교학적·학제적 연구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정의진 ( Jung Euiji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6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4 No.2

        정근식·강성현의 저서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는 `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의 30번 째 단행본으로 2016년 5월에 출간되었다. 저자들이 미군 사진부대 사진병들이 찍은 한국전쟁 사진들을 별도의 연구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한국전쟁에 대한 한국인들의 기억을 점하고 있는 다수의 사진들이 이들에 의해 촬영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사진의 수용과 분석이전에 사진촬영 주체의 성격을 규명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전쟁 상황에서 사진을 통한 심리전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조직된 군 사진부대의 특수성을 염두에 둘 때, 미군 사진병들의 시각과 사각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저자들의 입장이다. 동시에 사진이라는 외부 피사체 기술복제 기기의 과학적 사실성이 내포하는 매체적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저자들은 미군 사진병들의 사진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미군 사진병들이 생산한 사진들의 사각지점들을 해명하면서, 저자들은 적 진영에서 생산한 사진들이나 민간 사진가들이 생산한 사진들과의 교차연구를 통해 한국전쟁에 대한 보다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관점을 확보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새로운 냉전구도가 형성될 위험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재의 동북아 정세 속에서, 이러한 냉전구도의 역사적 기원인 한국전쟁에 대한 평화지향적인 관점확립이 절실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 저자들은 한국전쟁에 대한 국제비교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방법론의 차원에서 볼 때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는 역사학의 실증주의적 자료조사 분석방법, 미학과 미디어 연구와 매스커뮤니케이션학이 결합된 사진 매체론 및 포토저널리즘에 대한 연구, 사회적 기억에 대한 역사철학적·사회학적 연구 등을 아우르는 학제적 연구방법론을 통해 진행되었다. 한국전쟁의 복합적인 성격, 냉전적 사고의 여파가 낳은 은폐된 사실들 등을 고려할 때 이러한 학제적 연구는 필수적이다. 연구가 사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사진이라는 기술복제 미디어에 관련된 포괄적인 사회문화론적 지식 또한 필수적이다. 나아가 치열한 미디어 전쟁, 복잡한 국제적 여론전을 동반한 한국전쟁의 성격을 고려할 때, 한국전쟁에 대한 연구는 국제비교학적 연구에 학제적 연구가 결합될 때 최적의 연구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다.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는 이를 위한 중요한 기초를 놓았다. This paper reviews the book, Historical Sociology of Korean War Photography: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US Army Signal Corps Photo Unit, written by Jung Keun Sik and Kang Sung Hyun. This book suggests several points about our memories on Korean War, which are framed by the photograph of US Army signal corps photo unit. According to the authors, though Korean War is a sixty five year old past, it is still the source of memory reproducing the power to construct the present, and at the center are situated war photographs taken by American soldiers. This book intends not only to examine the photographs on Korean War, but also the activities of the photography units at the US Army during Korean War. Through grasping the scene the photographs are showing, this book tries to understand the scene they are not showing accordingly. To reach the object of the studies, this book make full use of the concepts and method of several fields : history, sociology, media, communica-tion, political philosophy, etc. This book can be a model case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Korean War.

      • KCI등재
      • KCI등재

        자크 랑시에르의 "문학의 정치"의 재맥락화: 진은영의 문제제기를 중심으로

        정의진 ( Eui Jin Ju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3 No.2

        진은영이 『창작과비평』 2008년 겨울호에 발표한 「감각적인 것의 분배: 2000년대의 시에 대하여」가 한국문단에 불러 일으킨 파장은 컸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논의들이 촉발되었다. 이 글에서 진은영은 프랑스의 정치 학자이자 미학자인 자크 랑시에르의 『감각적인 것의 재분배: 미학과 정치』를 주로 참조하였다. 참조의 핵심은 문학과 정치의 관계를 새롭게 사고하는 것이었다. 이후로도 진은영은 시인의 현실참여와 시의 예술성 사이의 이분 법적인 대립관계를 생산적인 상호작용 관계로 전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사고들을 랑시에르에게서 길어왔다. 문학예술적인 창조성이 사회적인 관습에 입각한 감각과 사고, 나아가 사회의 정치적인 지형도를 새롭게 재편해 나가는 기획과 실천을 위하여, 진은영은 ‘예술의 미학적인 체제’의 지속적인 재구성이라는 랑시에르의 입론을 한국적인 상황에서 재맥락화하는 다양한 실천을 수행하였다. 문인들이 용산참사, 두리반 등의 상황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면서도, 사건의 현장에서 소위 사회성과 예술성의 이분법을 넘나드는 다양한 경향의 시와 텍스트들을 공유하는 작업이 그 한 예이다. 시와 문학이 유동적이고 복합적인 사회현실에 지속적인 개방성을 유지하고, 이를 통해 시인 스스로의 감수성에 새로운 예술적, 정치적 계기를 부여하는 것, 나아가 문학과 정치의 관계를 새로운 지평속에서 재설정하고자 하는 것이 진은영의 입장이고 실천이었다. 사회경제적 맥락속에서 진은영의 작업을 되짚어 볼 때, 진은영의 작업은 2008년 촛불시위,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의 붕괴와 리먼브러더스 파산을 통해 확산된 전세계적 금융위기, 2009년 초입의 용산사태 등 일련의 국내외적 상황이 한국사회와 현재의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근본적으로 새롭게 사고해야 할 필요성과 맞물려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한국문학사의 현대적 전개과정속에서 강력하게 부상하였다가 1990년대에 접어들어 급속하게 퇴조한 경향, 즉 변혁지향적 문학의 기억을 새롭게 환기하게 되는 계기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기억은 문학을 변혁운동의 도구로 간주하는 사고와 실천의 폐해와도 맞물려 있다. 추상적인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규정된 구조적인 사회경제적 모순에 대응하고자 한 문학적 실천은, 보다 다양하고 복합적이며 이질적인 상황의 공존과 상호침투라는 실제 사회의 현실을 단순화하기 일쑤였다. 사회경제적 토대 내지 구조적인 모순에 집착하기 보다는, 이의 극복을 위해서라도 문학예술의 창조적이고 주체적인 대응을 강조하는 자크 랑시에르의 입론을 진은영이 적극 수용하였던 이유를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랑시에르에게서도 진은영에게서도, 프랑스와 한국이라는 서로 다른 사회역사적 맥락에도 불구하고 핵심은 가능성에 대한 탐구와 실천이다. 미리 결정된 진리는 없다라는 랑시에르의근본 관점에 진은영은 충실하다. 따라서 진은영의 랑시에르에 대한 이해를 이론적 정확성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은, 필요하고 유의미하기는 하지만 한계를 가진다. 문제의 핵심은 가능성의 탐구이고 실천이기 때문이다. Eunyoung Jin`s “The Re-distribution of the Sensible: On Poetry of the 2000s,” which was published in the journal “Creation and Criticism (Winter, 2008)” caused a great stir in Korean literature and triggered various follow-up discussions. In this piece, Eunyoung Jin made references mostly from “Politics of Aesthetics: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by Jacques Ranciere, a French scholar of politics and aesthetics. Her referential focus was to newly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Even afterwards, Eunyoung Jin had drawn from Ranciere new thoughts that could turn a dichotomously contrasting relationship between a poet’s participation in reality and poetry’s artistic value into a (more) productive interactional relationship. In order to plan and practice a reformation of senses and thoughts whose literary and artistic creativity are based on social customs and on a larger scale, a new reformation of the society’s political geography, Eunyong Jin underwent various activities to re-contextualize Ranciere’s argument on constant reformation of “The Aesthetic Regime of Art” for situations in Korea. Writers who actively engaged in situations such as the Yongsan disaster and the Duriban struggle, while choosing to share various poetic tendencies and texts that hover between a so-called dichotomy of art and society are one good example. Ensuring that poetry and literature will maintain a continuous openness toward fluid and complex realities of the society, thereby giving the sensibility of a poet himor herself new artistic and political motives and reset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above a new horizon was the position held by and practiced by Eunyoung Jin. Looking back at Eunyoung Jin’s work from a socio-economic context, her work is interlocked with the need to fundamentally change the way of thinking in respect of Korean society and the current economic system based on capitalism and a series of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such as the 2008 Candlelight Protest (in South Korea), the Financial crisis of 2008 that originated in the U.S. subprime mortgage crisis and the bankruptcy of Lehman Brothers and later spread worldwide and the Yongsan disaster in the beginning of 2009. These situations provided an opportunity to newly refresh in mind the Korean literature’s history of rapid advancement along with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and also of rapid decline in the 1990s, i.e., the memory of literature`s revolutionary tendency. However, this memory is also connected with the evils of thought and practice that treat literature as a tool for revolutionary movement(s). Literary practice to confront the socio-economic contradiction that was structural and fixed from an abstract social-scientific perspective often simplified the reality of society where more diverse, complex and foreign situations coexisted and interpenetrated one another. In this regard, the reason Eunyoung Jin actively accepted Jacques Ranciere’s argument that emphasized the independent and creative confrontation of literary works, at least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issue, rather than obsessing over the socio-economic foundation and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can be understood. In the end, regardless of the different socio-economic contexts between France and Korea, (it is clear that) the main idea for both Jacques Ranciere and Eunyoung Jin is the study and practice of possibilities. Eunyoung Jin is faithful to Ranciere’s fundamental principle that there is no pre-determined truth. Therefore, although the task of critically reviewing Eunyoung Jin`s understanding of Ranciere from a perspective of theoretical accuracy is necessary and has meaning, but is not without limitations as the focus of the problem is the study and practice of possibilities.

      • 기업 대표의 특성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의진(Uijin Jung),최동혁(Donghyuk Choi)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1

        기업공개(Initial Public Offering, IPO)는 기업의 중요한 전략 중 하나로 IPO를 통해 가치를 평가받고 보상받으며 다음 단계로의 성장을 위한 자본을 조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CEO의 개인적 특성이 IPO까지의 소요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CEO의 나이, 관련 전공 여부, 최종학력, 이전 업무경험이 IPO까지의 소요기간을 단축할 것이라고 가설을 제시하였다. 코스닥 벤처기업부, 신성장기업부에 상장한 318개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기업공개까지의 소요기간에는 CEO의 나이, 전공(의학계열), 최종 학력 등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보들레르의 미술비평과 시학 -예술의 역사적 모더니티와 형식

        정의진 ( Eui Jin Jung ) 한국기호학회 2014 기호학연구 Vol.38 No.-

        이상적인 비평의 성격을 <유쾌하고도 시적인 비평>, <편파적이고, 열정적이고, 정치적>이되 <이 관점이 최대한의 지평을 여는> 비평이라고 규정하면서, 보들레르는 운문시와 비평사이의 담론적 특수성의 거리를 좁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비평은, 회화적 이미지에서 비롯되는 감각적 경험을 언어적으로 재구성하려는 시도, 즉 예술적 상호조응의 문제를 전면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것이 『1846년 살롱전』에서 보들레르가 표명한 입장이었다. 이러한 보들레르의 입장은 제2제정기 프랑스의 급속한 대도시화와 자본주의화를 경유하면서, 1850년대 말 이후부터는 현대예술과 산문시 및 예술비평 사이에 ``시적 산문``이라는 매개를 설정하는 새로운 입장으로 발전한다. 즉 사회경제적이고 정치적인 변화와 보다 직접적으로 연동된 예술의 역사적 모더니티에 대한 뚜렷한 자각과, 이에 대한 예술적 응전으로서의 새로운 예술형식에 대한 실천이 그의 후반기 텍스트들에서 전면화 된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보들레르는 전통적인 낭만주의적 이상, 순수예술과 예술적 상호조응의 이상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으며, 나아가 이를 ``시적 산문``의 이상으로 대체하고 현대화하였다고 볼 수도 있다. 이는 시와 미술, 언어와 이미지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련된 ``Ut pictura poesis``라는 서구 예술사의 오랜 역사적 화두의 현대적 변용과 계승이기도 하다. Baudelaire, en definissant l`ideal de la critique d`art comme <amusante et poetique>, <partiale, passionnee, politique, c`est-a-dire faire a un point de vue exclusif, mais au point de vue qui ouvre le plus d`horizons>, a tente de rapprocher le poeme en vers et la critique du point de vue de la maniere specifique de la mise en discours. Dane le Salon de 1846, Baudelaire affirme que tel genre de tentative ne sera reussie que quand la critique d`art accepte totalement la problematique de la correspondance artistique, c`est-a-dire la reorganisation poetique et linguistique de l`image picturale. Or apres avoir vecu le developpement spectaculaire de l`urbanisation et l`industrialisation capitaliste a l`epoque du Second Empire, Baudelaire avance la nouvelle position pour l`art moderne, le poeme en prose et la critique d`art par le biais de la conception de la prose poetique. A partir de la fin des annees 1850, on decouvre sa prise de conscience pointue de l`historicite de la modernite artistique liee plus etroitement au changement economico-social et politique, et en meme temps, sa recherche de la nouvelle forme de l`art pour y repondre. Cependant, la nouvelle position de Baudelaire pour la modernite historique de l`art en face du changement tumultueux de la societe moderne, ne renonce pas a l`ideal romantique de la correspondance artistique. Il la modernise a nouveau avec la nouvelle conception de la prose poetique. Dans ce sens, sa conception de la modernite artistique continue la problematique traditionnelle occidentale de l`ut pictura poesis

      • KCI등재

        문화산업 생태계의 국제적 급변 양상과 프랑스와 유럽의 문화정책 : Jean-Noel Tronc의 『문화에서 다시 시작한다면? 유럽 주권을 위한 변론(Et si on recommencait par la culture? : Plaidoyer pour la souverainete europeenne)』을 중심으로-한국의 문화 상황에 시사하는 바를 첨부하며

        정의진 ( Jung Euiji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0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8 No.1

        프랑스는 문화부를 중심으로 국가가 자국의 문화예술과 문화산업을 보호하고 활성화하는 광범위하고 다양한 정책들을 선도적으로 시행한 나라이다. 1980년대 사회당 집권기에 국가 예산의 1% 이상을 문화부에 배정하는 것을 관례화하면서, 프랑스는 다른 나라에 비해 문화예술에 더 높은 사회적 가치를 부여하는 나라라는 이미지를 다시 한번 확고히 하였다. 프랑스 문화정책의 근간인 문화적 예외 정책의 확립은, 예술가들의 창작활동에서 문화산업의 보호·육성에 이르기까지 프랑스 특유의 문화예술 환경을 구축하였다. 나아가 프랑스는 문화예술이 일반적인 경제 논리와 자유시장에만 맡겨둘 수 없는 공적 가치의 영역이라는 문화적 예외 정책의 철학을 유럽연합 차원으로 확대해 나갔다. 2005년 유네스코에서 채택된 문화 다양성 협약은, 프랑스와 유럽이 미국 문화산업의 패권적인 지위에 맞서 자신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관점을 국제적으로 관철한 경우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10여 년 사이 구글 등 미국의 인터넷 기반 거대 플랫폼 회사들은 문화콘텐츠의 유통과 소비구조 자체를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자유무역과 자유경쟁이라는 국제 무역질서의 기본원칙과 이미 긴장 관계에 놓여 있던 문화적 예외와 문화 다양성이라는 원칙은, 디지털 인터넷시대에 또 다른 차원의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프랑스와 유럽은 정보통신산업과 문화산업의 서로 다른 특수한 상황을 재인식하면서, 가치로서의 문화와 산업으로서의 문화 사이에서 새로운 균형점을 모색하고 있다. 한국문화예술의 국제화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프랑스와 유럽의 사례는 우리에게도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France is a country that has initiatively enforced the extensive and various policies that could protect and boost its own culture & arts and cultural industry focusing on the Ministry of Culture. During the era of the Socialist Party in power of the 1980s, France routinized the allocation of national budget for 1% or more to the Ministry of Culture, which was a chance to firmly establish the image of France as a country giving higher social value to culture & arts than other countries.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exception policy which was the basis of cultural policies of France, has built the characteristic culture & arts environment of France including creative activities of artists and protection/promotion of cultural industry. Furthermore, France gradually expanded the philosophy of cultural exception policy in which the culture & arts would be the sphere of public value that could not be simply left to the general economic logic and free market, to the dimension of European Union. The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selected by the UNESCO in 2005, could be understood as a case in which France and Europe internationally carried their perspective on culture & arts by standing against the hegemonic position of cultural industry of the United States. For last ten years, however, the internet-based giant platform companies of the United States such as Google have fundamentally changed the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structure of cultural contents. The principles of cultural exception and cultural diversity already in strained relations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international trade order such as free trade and free competition, are facing another level of difficulty in the digital internet era. Newly understanding the special situation of IT industry and cultural industry different from each other, France and Europe are seeking for the new balance between culture as value and culture as industry. With the accelerated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culture & arts, the case of France and Europe provides a certain implication to us.

      • KCI등재

        루이 아라공의 『파리의 농부 Le Paysan de Paris』- 현대도시의 역사성에 대한 초현실주의적 상상력과 1920년대의 파리

        정의진 ( Eui Jin Jung ) 한국기호학회 2011 기호학연구 Vol.30 No.-

        Le Paysan de Paris est un ouvrage ou Louis Aragon reflechit poetiquement, du point de vue critique, sur la modernite historique de la ville de Paris des annees 1920, voire sur celle de la grande ville moderne en general. En reflechissant d`abord sur le passage de l`Opera, qui est un des symboles de la modernite de Paris du 19eme siecle, mais qui sera demolit en 1925, justemement pendant la periode de la redaction du Paysan de Paris, Aragon pose le probleme de l`historicite de la modernite elle-m?me de la grande ville moderne, et en m?me temps de la poesie et de la litterature. D`ou sa nouvelle modernite poetique urbaine du surrealisme du Paysan de Paris, qui reorganise la temporalite historique de Paris moderne entre le present et le passe. Poetiquement parlant, le style du Paysan de Paris est une combinaison systematique du prose qui developpe les analyses sociologiques des vies de Paris, et de la phrase poetique qui deploie les images surrealistes provoquees par des aspects multiples de la ville. Concernant la specificite du style du Paysan de Paris, son procede du collage vaut une attention particuliere. Le collage du Paysan de Paris, assemblant tous les aspects reels et imaginaires de la ville moderne, concretise son historicite m?me en langage et image poetique. Donc, on pourrait dire que le collage du Paysan de Paris de Louis Aragon est un systeme poetique de la temporalite historique de la ville moderne. La reflexion sur l`historicite de la ville moderne du Paysan de Paris depasse la dualite de la raison utilitaire entre la realite et l`imagination poetique. En deployant une nouvelle force de l`imagination poetique, Aragon invente une nouvelle temporalite de l`Infini pour un autre avenir de la ville moderne. L`infini historique de Louis Aragon, en s`opposant a la croyance moderne aveugle en vitesse, propose un nouveau rythme urbain qui reorganise poetiquement la vitesse et la lenteur de la force de la vie moderne. A notre civilisation contemporaine de la grande ville dans le systeme de la vitesse digitale inconcevable de l`internet, l`imagination poetique d`une nouvelle temporalite est plus que jamais necessaire pour penser l`infini historique de la ville.

      • KCI등재

        Belles-Lettres에서 Litterature로의 역사적 전환과정에 대한 Jacques Ranciere의 관점

        정의진(Eui Jin JUNG) 프랑스학회 2016 프랑스학연구 Vol.75 No.-

        La theorie de la philosophie politique et de l’esthetique de Jacques Ranciere, ayant de l’impact mondial sur les recherches dans plusieurs domaines de la science humaine, est egalement connue en Coree, surtout depuis 2008 avec la traduction de ses ouvrages majeurs comme Le Partage du sensible : Esthetique et politique ou Aux bords du politique. Quant a la recherche de la litterature, Politique de la litterature est largement cite et commente par les chercheurs et critiques litteraires. Or dans le champ de la recherche et critique litteraire coreen, il y a un cha non manquant. En s’interessant d’abord a l’aspect general de la theorie de Jacques Ranciere, on ne remarque pas suffisamment l’aspect specifique de sa theorie artistique et litteraire, basee sur l’histoire de la litterature francaise du 17eme siecle au 19eme siecle. Selon Jacques Ranciere, l’emergence premiere de la litterature est un phenomene particulierement francais parce que c’est la France des ⅩⅦ et ⅩⅧ qui avait fixe et impose a l’Europe les canons des Belles-Lettres. La destruction du modele des Belles-Lettres, a savoir la transition historique des Belles-Lettres a la litterature est donc plus clairement lisible en France. Jacques Ranciere definit d’abord quatre principes du modele des Belles-Lettres : primat de la fiction ; genericite de la representation, definie et hierarchisee selon le sujet represente ; convenance des moyens de la representation ; ideal de la parole en acte. Il montre ensuite le processus de son renversement en analysant la nouveaute du roman de Victor Hugo, Notre-Dame de Paris. Ainsi se figurent les principes de la poetique nouvelle, de la litterature : Au primat de la fiction s’oppose le primat du langage. A sa distribution en genres s’oppose le principe antigenerique de l’egalite de tous les sujets representes. Au principe de convenance s’oppose l’indifference du style a l’egard du sujet represente. A l’ideal de la parole en acte s’oppose le modele de l’ecriture.

      • KCI등재

        문학개념의 역사적 재구성과 노동자 글쓰기-1830~1850년대 프랑스 노동자들의 텍스트와 전태일의 유고에 대한 비교연구 시론-

        정의진 ( Jung Eui-ji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5

        프랑스의 1830~1850년대는 노동자들이 다양한 종류의 텍스트를 생산한 노동자 글쓰기의 전성기라고 할 수 있다. 1830년 7월 혁명을 계기로 독자적인 정치세력화를 본격적으로 시도하기 시작하는 프랑스 노동자들은, 이 과정에서 우선 다양한 방식과 경로로 기존 프랑스 사회의 학문과 문학 예술적 담론들을 흡수하면서 이를 주체화한다. 프랑스 노동자들이 인식의 주체로 서는 과정은 곧 이들 스스로가 글쓰기의 주체가 되는 과정과 맥을 같이한다. 그런데 이 시기에 프랑스 노동자들이 생산한 텍스트들은, 흔히 사후에 다소 신화적으로 상상하는 이분법적인 계급 투쟁적 이념으로 환원할 수 없는 다양성을 보인다. 이러한 노동자 텍스트의 다원적이고 심지어 상호이질적인 성격은, 기존의 고전주의적 문학이념의 붕괴에 따른 문학개념의 근대적인 역사적 재구성 과정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며, 동시에 사회학이나 역사학의 근대적인 정초과정과도 맥이 닿아 있다. 그런데 1960년대 한국의 노동자 전태일이 남긴 유고는 19세기 중반 이전 프랑스 노동자들의 텍스트와 여러 면에서 유사성을 내포하고 있다. 즉 전태일의 글은 다양하고도 이질적인 성격의 글들이 궁극적으로 시민이자 인간으로서의 새로운 노동자 정체성에 대한 탐구로 수렴된다. 그런데 그의 단편적인 텍스트들은, 동시에 특정 사회계급의 즉자적인 사회경제적 조건으로 환원되지 않는 다양한 문제의식과 글쓰기 형식, 즉 총체적인 인간관과 사회관의 편린을 내포하고 있다. 전태일의 글은 한국사회에서 문학의 위상과 성격을 역사적으로 재규정하도록 강제한 동인이기도 하다는 것이 본 논문의 가설이자 결론이다. The 1830-1850’s of France can be seen as a prime era of working class writing, as many laborers produced various types of texts. Starting with the July Revolution in 1830, French laborers began to build their own independent political power and during this process, they absorbed numerous studies and cultural art discussions upon the previous French society, subjectify it in many methods and ways. The process in which the French laborers become the principal actor of realization is equivalent with the process in which they themselves become the main actor of writing. However the texts which French laborers have produced at this time of era shows variety, in that they show mythical imagination and dichotomous class struggling ideologies. Such pluralistic and even mutually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of laborer texts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modern historical reconstitution of literature conception which derived from the collapse of previous classicism literature concepts, also having its correlation with sociology and the cornerstone of modern history. The posthumous work of the 1960s Korean laborer, Jeon Tae-il has many similarities with the texts which French laborers have produced in the mid 19<sup>th</sup> century. In other words, Jeon Tae-il’s writing of variety and difference, is converged to a research towards a new identity as a citizen, a human being and a laborer. However his fragmentary texts show various critical thinking that can not be converged under the literal socio-economical condition of a certain social rank and writing styles at the same time. That is, his work withholds the overall human relationship and portions of society. This paper proposes a hypothesis and conclusion that Jeon Tae-il’s work is a strong agent which historically reconstitutes the stature and characteristic of literature within the Korean society.

      • KCI등재

        도시와 시적 모더니티 : 김수영의 시적 산문정신과 서울

        정의진(Jung Eui-Ji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서강인문논총 Vol.0 No.26

        1950-60년대 한국사회의 근대화와 산업화과정 속에서 김수영은 이에 상응하는 시적 모더니티를 추구하였다. 이러한 추구는 김수영의 시와 시론에서 특히 서울이라는 도시공간을 매개로 수행된다. 변화하는 서울의 역사적 가변성을 포착하는 김수영의 시적 인식론과 형식을 우리는 그의 산문시에 대한 추구, 엄격한 현실주의적 산문정신과 예술적 특수성으로서의 시 사이의 긴장과 통일에서 발견 할 수 있다. 김수영의 시적 모더니티의 한국적 특수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구의 산업적 근대화와 도시화과정에 새로운 현대적 산문시로 대응하고자 했으며, 파리라는 도시가 그 공간적 매개체가 되었던 시적 모더니티의 창시자 샤를르 보들레르와의 비교가 도움이 될 수 있다. 김수영은 아직까지 낙후된 상황에 놓여 있었던 제3세계 한국의 수도 서울이라는 구체적 현실에서 출발하되, 서구의 시적 모더니티를주체적으로 수용한다기보다는, 차라리 전면적이고 항상적인 참조 사항으로 유지하면서, 매 순간 구체적이고 경험적인 사물과 상황과 사건을 직시하는 가운데 한국적 현실자체에서 특수하고도 보편적인 시적 모더니티를 발견하고 창조하였다.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Korean society during the 1950s and 1960s, Kim Soo-Young has pursued poetic modernity corresponding to these changes. This pursuit is carried out through urban space Seoul in his poems and poetics. We can find out his poetic epistemology and formality capturing historical variability of Seoul in tension and unification among his pursuit of poeme in prose, strict and realistic spirit of prose, and poem as artistic distinctiveness. To understand Korean characteristics of his poetic modernity, comparison with Charles Baudelaire, founder of poetic modernity who had tried to correspond to wester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s new modem poeme in prose and who has used Paris as its spatial mediator, could be helpful. Kim Soo-Young has started in the concrete reality of Seoul, capital of South Korea which was still retarded and situated in the third world. however, rather than accepting western poetic modernity independently, he maintained fully constant reference. After all, by facing specific and empirical objects, situations, and events, he discovered and created distinct, universal poetic modernity in Korean reality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