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크 랑시에르의 "문학의 정치"의 재맥락화: 진은영의 문제제기를 중심으로

        정의진 ( Eui Jin Ju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3 No.2

        진은영이 『창작과비평』 2008년 겨울호에 발표한 「감각적인 것의 분배: 2000년대의 시에 대하여」가 한국문단에 불러 일으킨 파장은 컸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논의들이 촉발되었다. 이 글에서 진은영은 프랑스의 정치 학자이자 미학자인 자크 랑시에르의 『감각적인 것의 재분배: 미학과 정치』를 주로 참조하였다. 참조의 핵심은 문학과 정치의 관계를 새롭게 사고하는 것이었다. 이후로도 진은영은 시인의 현실참여와 시의 예술성 사이의 이분 법적인 대립관계를 생산적인 상호작용 관계로 전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사고들을 랑시에르에게서 길어왔다. 문학예술적인 창조성이 사회적인 관습에 입각한 감각과 사고, 나아가 사회의 정치적인 지형도를 새롭게 재편해 나가는 기획과 실천을 위하여, 진은영은 ‘예술의 미학적인 체제’의 지속적인 재구성이라는 랑시에르의 입론을 한국적인 상황에서 재맥락화하는 다양한 실천을 수행하였다. 문인들이 용산참사, 두리반 등의 상황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면서도, 사건의 현장에서 소위 사회성과 예술성의 이분법을 넘나드는 다양한 경향의 시와 텍스트들을 공유하는 작업이 그 한 예이다. 시와 문학이 유동적이고 복합적인 사회현실에 지속적인 개방성을 유지하고, 이를 통해 시인 스스로의 감수성에 새로운 예술적, 정치적 계기를 부여하는 것, 나아가 문학과 정치의 관계를 새로운 지평속에서 재설정하고자 하는 것이 진은영의 입장이고 실천이었다. 사회경제적 맥락속에서 진은영의 작업을 되짚어 볼 때, 진은영의 작업은 2008년 촛불시위,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의 붕괴와 리먼브러더스 파산을 통해 확산된 전세계적 금융위기, 2009년 초입의 용산사태 등 일련의 국내외적 상황이 한국사회와 현재의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근본적으로 새롭게 사고해야 할 필요성과 맞물려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한국문학사의 현대적 전개과정속에서 강력하게 부상하였다가 1990년대에 접어들어 급속하게 퇴조한 경향, 즉 변혁지향적 문학의 기억을 새롭게 환기하게 되는 계기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기억은 문학을 변혁운동의 도구로 간주하는 사고와 실천의 폐해와도 맞물려 있다. 추상적인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규정된 구조적인 사회경제적 모순에 대응하고자 한 문학적 실천은, 보다 다양하고 복합적이며 이질적인 상황의 공존과 상호침투라는 실제 사회의 현실을 단순화하기 일쑤였다. 사회경제적 토대 내지 구조적인 모순에 집착하기 보다는, 이의 극복을 위해서라도 문학예술의 창조적이고 주체적인 대응을 강조하는 자크 랑시에르의 입론을 진은영이 적극 수용하였던 이유를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랑시에르에게서도 진은영에게서도, 프랑스와 한국이라는 서로 다른 사회역사적 맥락에도 불구하고 핵심은 가능성에 대한 탐구와 실천이다. 미리 결정된 진리는 없다라는 랑시에르의근본 관점에 진은영은 충실하다. 따라서 진은영의 랑시에르에 대한 이해를 이론적 정확성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은, 필요하고 유의미하기는 하지만 한계를 가진다. 문제의 핵심은 가능성의 탐구이고 실천이기 때문이다. Eunyoung Jin`s “The Re-distribution of the Sensible: On Poetry of the 2000s,” which was published in the journal “Creation and Criticism (Winter, 2008)” caused a great stir in Korean literature and triggered various follow-up discussions. In this piece, Eunyoung Jin made references mostly from “Politics of Aesthetics: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by Jacques Ranciere, a French scholar of politics and aesthetics. Her referential focus was to newly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Even afterwards, Eunyoung Jin had drawn from Ranciere new thoughts that could turn a dichotomously contrasting relationship between a poet’s participation in reality and poetry’s artistic value into a (more) productive interactional relationship. In order to plan and practice a reformation of senses and thoughts whose literary and artistic creativity are based on social customs and on a larger scale, a new reformation of the society’s political geography, Eunyong Jin underwent various activities to re-contextualize Ranciere’s argument on constant reformation of “The Aesthetic Regime of Art” for situations in Korea. Writers who actively engaged in situations such as the Yongsan disaster and the Duriban struggle, while choosing to share various poetic tendencies and texts that hover between a so-called dichotomy of art and society are one good example. Ensuring that poetry and literature will maintain a continuous openness toward fluid and complex realities of the society, thereby giving the sensibility of a poet himor herself new artistic and political motives and reset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above a new horizon was the position held by and practiced by Eunyoung Jin. Looking back at Eunyoung Jin’s work from a socio-economic context, her work is interlocked with the need to fundamentally change the way of thinking in respect of Korean society and the current economic system based on capitalism and a series of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such as the 2008 Candlelight Protest (in South Korea), the Financial crisis of 2008 that originated in the U.S. subprime mortgage crisis and the bankruptcy of Lehman Brothers and later spread worldwide and the Yongsan disaster in the beginning of 2009. These situations provided an opportunity to newly refresh in mind the Korean literature’s history of rapid advancement along with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and also of rapid decline in the 1990s, i.e., the memory of literature`s revolutionary tendency. However, this memory is also connected with the evils of thought and practice that treat literature as a tool for revolutionary movement(s). Literary practice to confront the socio-economic contradiction that was structural and fixed from an abstract social-scientific perspective often simplified the reality of society where more diverse, complex and foreign situations coexisted and interpenetrated one another. In this regard, the reason Eunyoung Jin actively accepted Jacques Ranciere’s argument that emphasized the independent and creative confrontation of literary works, at least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issue, rather than obsessing over the socio-economic foundation and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can be understood. In the end, regardless of the different socio-economic contexts between France and Korea, (it is clear that) the main idea for both Jacques Ranciere and Eunyoung Jin is the study and practice of possibilities. Eunyoung Jin is faithful to Ranciere’s fundamental principle that there is no pre-determined truth. Therefore, although the task of critically reviewing Eunyoung Jin`s understanding of Ranciere from a perspective of theoretical accuracy is necessary and has meaning, but is not without limitations as the focus of the problem is the study and practice of possibilities.

      • KCI등재

        장 - 뽈 벤젤의 일상극 「 아공당쥐를 멀리 떠나서 」 의 글쓰기

        정의진(Eui Jin Jung) 한국불어불문학회 2001 불어불문학연구 Vol.47 No.-

        Jean-Paul Wenzel est un come´dien, auteur dramatique et metteur en sce`ne franc¿ais contemporain. Il a e´crit jusqu`a` aujourd`hui une dizaine de pie`ces de th´e^atre dont la plus connue est Loin d`Hagondange (1975). Dans les anne´es soixante-dix, Wenzel, ainsi que Deutsch et Vinaver, illustre en France le the´a^tre du quotidien ou` le re´el est de´tourne´ jusqu`a` s`inscrire dans la banalite´. Influence´ par Kroetz, Fassbinder et Handke, le the´a^tre de Wenzel est, selon ses propres termes, une tentative pour mettre en jeu la parole de ceux qui ne l`ont pas, ou pluto^t de ceux a` qui elle a e´te´ vole´e, interdite. Le the´a^tre du quotidien de Wenzel met en sce`ne des gens ordinaires et essaie d`aborder l``infra-histoire` d`un point de vue late´ral ou souterrain pour rappeler la violence cache´e de la socie´te´ contemporaine. Loin d`Hagondange traite du proble`me de la vieillesse sans espoir ni avenir. Cette petite pie`ce en un acte, comportant quatorze sce`nes, met en sce`ne la vie et la pre´occupation quotidiennes d`un couple de retraite´s qui a de´me´nage´ a` la campagne, loin de leur activite´ passe´e. Les sce`nes. sans accident, sans e´ve`nement, enchai^nent les dialogues purement banals qui juxtaposent l`un apre`s l`autre les fragments de leur vie quotidienne impre´gne´e de solitude et de lassitude. Refusant la re`gle traditionnelle exige´e depuis Aristote, l`e´criture de cette pie`ce exe´cute une sorte de montage de collision en style de pointillisme. Par conse´quent, s`encheve^trent les dialogues en panne, les de´rapages et les syncopes pour aller d`une situation a` une autre, les enchai^nements manque´s, les tamponnements de phrases, etc. Tout ce me´canisme dramatique a pour effet de provoquer l`ironie comique. Parce que, a` travers cette toile peinte par touches successives en pointillisme, on peut apercevoir le portrait de´figure´ de deux vieilles personnes qui repre´sente celui de la socie´te´ contemporaine. En bref, Loin d`Hagondange est un the´a^tre du quotidien ou` sont de´peintes sur le vif la souffrance et l`alie´nation des gens normaux qui n`ont pas de parole devant la violence latente de la socie´te´ moderne de consommation.

      • KCI등재

        『이방인 L'Étranger』의 영화화와 관련된 예술적, 정치적 쟁점들

        정의진(JUNG, Eui-jin) 프랑스학회 2013 프랑스학연구 Vol.63 No.-

        L'adaptation cinématographique de L'Étranger d'Albert Camus par Luchino Visconti en 1967, a provoqué des réactions négatives de la part des critiques. Une des raisons principales de ces réactions négatives est dû non au film, mais au roman même de Camus. La fameuse scène du meurtre d'un arabe par Meursault sur la plage, considéré souvent comme une preuve de l'inconscient politique de l'eurocentrisme de L'Étranger, était toujours un objet du reproche en 1967. C'est une période où la cause du mouvement de l'indépendence du Tiers-Monde a déja largement gagné sa légitimité internationale. C'est aussi une époque où la guerre du Vietenam était un sujet particulièrement virulant. Une autre raison principale des réactions négatives vis-à-vis du film de Visconti, était la fidélité insuffisante de l'adaptation cinématographique de Visconti vis-à-vis du roman. Or la reprojection du même film en 2009 à l'occasion du cinquantenaire du décès d'Albert Camus, malgré certaines réactions aussi négatives qu'en 1967, a trouvé en même temps des nouvelles estimes favorables. Avec le recul du temps, on reconsidère le film de Visconti. En réalité, le film de Visconti a des qualités artistiques assez hautes, et la réinterprétation politico du roman de Visconti contient une étonnante intuition historique très singulière, même si elle est plutôt allusive à cause du principe de la fidélité du film pour le texte original, maintenu par Visconti. Or malgré la fidélité apparente du film pour le roman, l'adaptation cinématographique de Visconti montre sa spécificité. En gardant en général les intrigues et les dialogues du texte original dans son film, Visconti y insinue le conflit entre les blancs et les arabes. D'abord, en modifiant partiellement l'ordre du récit, il met successivement la scène du meurtre et l'emprisonnement de Meursault dans une cellule où il est seul parmis des arabes. À la différence du roman oroginal, Visconti accentue l'ambiance assez tendue entre Meursaule et les arabes. Ce remaniement de l'ordre de l'intrigue du roman a des effets étendus sur le film tout entier. Par exemple, la scène du faux témoignage lâche de Meursault pour Raymond contre Yasmina, une prostituée arabe, ou la scène inventée des prostituées arabes mal traitées pourtant gaies, avec l'effet du remaniement de l'intrigue, obtiennent un message sous-jacent mais assez cohérent. Finalement, le film de Visconti montre les inconvénients des blancs, qui se trouvent mal en Algérie et en Afrique, qui préfigure leur sort historique ultérieure.

      • KCI등재
      • KCI등재

        프랑스 소극의 구조와 특성

        정의진 ( Eui Jin Jung ) 한국연극학회 2002 한국연극학 Vol.0 No.19

        Cette e´tude aborde, dans les premiere`res pages, I`histoire de la farce franc¸aise ayant surve´cu au Moyen Age; puis ses caracte`res essentiels en synthe´tisant des de´finitions, e´tudes, critiques et e´tymologies relatives a`ce genre. Les dernie`res pages de I`e´tude analysent les textes the´a^traux afin de mettre a`jour les the`mes et la structure de la farce. Pour cela, cette e´tude se limite a`cinq farces qui peuvent offrir un e´chantillon de ce genre. Parmi ces pie`ces, les deux pie`ces, Mai^tre Pierre Pathelin et Le Cuvier, sont les plus connues. Prenant son origine a` l`Antuquite´, mais s`affirmant a`la fin du Moyen Age, la farce tente, a`travers les sie`cles, de se transformer jusqu`a`devinir me^me un the´a^tre de l`absurde. La farce me´die´vale e´tait, a`l`origine, incorpore´e dans les myste`res ou les moralite´s pour de´tendre le public. La farce ou `la machine a`rire` fonctionne en principe sur le me´canisme de tromperie. Compose´e d`un acte court qui compte de 350 a`500 vers, elle met en sce`ne cles intrigues de tromperie et/ou de conflit conjugal qui se passent dans le peuple. Afin de provoquer le rire, elle utilise souvent des expressions vulgaires ou me^me obsce`nes. De plus, les pie`ces font de´filer des sce`nes de proce`s ou de querelle conjugale ou`I`on se jette des injures en se frappant avec des ba^tons. Dans ces sce`nes de de´sordre se me^lent des situations comiques base´es sur le me´canisme de tromperie comme, par exemple, le ‘ro^let’ de Janquinot autour du cuvier ou la re´ponse de ‘be´e’ d`un berger devant le tribunal. Les personnages de la farce sont pauvres et cherchent de quoi vivre, manger et s`habiller. De ce point de vue, le ventre et le phallus des acteurs de la farce, exage´re´s lors de la repre´sentation, ont un sens symbolique, puisque le ventre et le phallus amplfie´s symbolisent les instincts de l`homme, c`est-a`-dire, la nourriture et le sexe. Dans le monde de la farce, les instincts et les pulsions l`emportent sur l`e´ thique et la morale. Ce genre repre´sente e´galement ‘un monde a`l`envers’ ou`le bas domine le haut. Mais les personnages de la farce, a`la diffe´rence de Figaro chez Beaumarchais, ne visent pas la re´volution. En bref, la farce qui met a`mal les pre´ceptes e´thiques, justifie seulement le proverbe ‘A trompeur, trompeur, et demi’. Malgre´ tout, on ne peut pas sous-estimer ou de´daigner la the´matique et la dynsmique comiques de la farce me´die´vale qui revivront encore, mais sur un ton diffe´rent, dans le futur the´a^tre franc¸ais comme chez Molie`re ou Ionesco.

      • KCI등재

        발터 벤야민의 루이 아라공 비판이 제기하는 문제들

        정의진(Jung, Eui-Ji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논총 Vol.30 No.-

        발터 벤야민은 19세기의 파리를 매개로 서구 근대자본주의의 모더니티 및 20세기와의 변증법적인 역사적 관계를 총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한 그의 미완의 작업노트 ?파사젠베르크? 및 이에 대한 발제문 ?파리, 19세기의 수도?의 준비노트 등에는, 루이 아라공의 ?파리의 농부?에 대한 비판적 언급들이 있다. 아라공이 전면적인 역사적 각성의 단계로 전화하지 못하고 꿈과 신화의 세계에 머물러 있다는 벤야민의 비판적 언급은, ?초현실주의, 유럽 인텔리겐치아의 최근의 스냅사진?의 초현실주의 비판, 즉 초현실주의의 마르크스주의적 정치화로의 전화를 제안한 것과도 맥을 같이 한다. 그러나 동시에 벤야민은 ?파사젠베르크? 기획 초기에 아라공의 ?파리의 농부?가 엄청난 지적 영감을 제공하였음을 아도르노에게 보낸 편지에서 고백하기도 하였다. 사실 벤야민의 아라공에 대한 비판적 거리두기에도 불구하고, 아라공이 ?파리의 농부?를 통해 표방한 현대적 신화론은 근본적으로 사회역사적인 관점에 입각해 있다. 나아가 벤야민의 꿈과 역사적 각성 혹은 육체적 감각과 비판적 이성의 변증법, 그의 몽타주적인 글쓰기 형식 등을 아라공의 신화론 및 콜라주적인 글쓰기와 대조해 보면, 그 차이점보다는 유사성이 두드러진다. 발터벤야민의 변증법적 이미지라는 개념은 아라공의 초현실주의적인 이미지와 그 근본 관점에 잇어서 매우 유사한 사유방식을 드러낸다. 벤야민이 초현실주의자들에게 제안한 세속적 계시 또한, 그 성격상 전적으로 마르크스주의적인 관점이라기보다는 벤야민 고유의 신학적 정치철학이 마르크스주의에 투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벤야민의 아라공 및 초현실주의 비판은, 그 비판의 쟁점들과 더불어 벤야민 자신의 사상적 변화과정 및 1920년대 말 유럽의 정치사회 상황이라는 맥락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Moliere의 Sganarelle과 F . Doneau의 La Cocue imaginaire - 고전극 표절의 한 예 -

        정의진 ( Eui Jin Jung ) 한국불어불문학회 1996 불어불문학연구 Vol.33 No.1

        Le plagiat se pratique a` l`e´poque classique dans le the´a^tre et d`autres genres litte´raires. Nous en trouvons un simple exemple dans la pie`ce de Franc¿ois Doneau, intitule´e Les Amours d`Alcippe et de Ce´phise ou la Cocue imaginaire. Cette petite come´die en un acte d`une manie`re simple copie ou imite Sganarelle, une des premie`res pie`ces de Molie`re.. Pour composer La Cocue imaginaire, F. Doneau proce`de presque a` la me^me intrigue et a` la me^me structure que Sganarelle met en sce`ne. Mais La Cocue imaginaire change les hommes en femmes, c`est-a`-dire que les femmes jouent le ro^le capital que Molie`re a assigne´ aux hommes pour son Sganarelle. En bref, a` la diffe´rence de Sganarelle, La Cocue imaginaire met en sce`ne l`intrigue d`amour de Ce´phise et d`Alcippe, contrarie´ par le pe`re d`Alcippe qui veut marier son fils a` Hipolite. A cette intrigue principale se me^le l`intrigue secondaire qui est le conflit conjugal de Paquette et de son mari Spadarille. Comme dans Sganarelle, l`intrigue de La Cocue imaginaire se de´veloppe seulement sur la succession de me´prises que le portrait de Ce´phise cause au couple de Paquette et de Spadarille, et aussi a` ces deux amants qui finiront toutefois par s`unir a` la fin de la pie`ce.

      • KCI등재
      • KCI등재

        문학의 역사성, 특수성, 정치성 - 민주주의와 문학에 대한 비교연구 시론 (2) -

        정의진 ( Jung Eui-ji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48

        본 논문은 근대이래 민주주의와 문학의 역사적 상관관계 및 현재적 쟁점에 대한 시론적인 비교연구의 두 번 째 작업에 해당한다. 이 선행연구를 보다 구체화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정치철학사가이자 사회학자인 피에르 로장발롱(Pierre Rosanvallon)의 주도로 2014년에 본격화된 ‘삶을 이야기한다(Raconter la vie)’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이 프로젝트의 문학적이고 사회적인 현재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삶을 이야기한다’ 프로젝트는 현재 프랑스 사회의 실재적이고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총체적인 종합을 궁극적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기본원칙은 프랑스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다양한 시민들의 목소리를 현장에서 직접 듣고 재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작가, 사회학자, 철학자, 기자 등이 각자 구체적인 영역과 인물 하나를 담당하며, 현장의 당사자 자신이 직접 글쓰기의 주체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작업의 근본 동기는 현재 프랑스 사회가 처한 ‘민주주의의 위기’ 상황에 대한 시민적 대응이다. 이러한 대응이 현재적인 의미를 가지려면, 우선 외면당하고 실상이 은폐되어 있는 프랑스 사회 각계각층 시민들의 실상이 있는 그대로 전달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문제 의식이다. 학술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이러한 시도는 사회학과 문학의 결합으로도 보인다. 그러나 역사적인 관점에서 볼 때, 프랑스혁명으로 인한 정치적 변화와 더불어 19세기 전반기에 급속도로 발전하던 자본주의가 프랑스사회 전반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 분석하는데 있어서, 문학과 사회학의 경계보다는 협업이 강조되었다. ‘삶을 이야기한다’ 프로젝트는 이러한 역사적 전례를 오늘날 민주주의의 위기상황과 급변하는 사회경제 상황 속에서 다시 호출하고 있다. 국제적인 정치정세 및 경제시스템의 변동 상황에 깊숙이 연동되어 있는 한국의 민주의의와 문학에도, ‘삶을 이야기한다’ 프로젝트가 시사하는 바는 크다. 이와 관련하여 조남주의『82년생 김지영』, 혹은 김동식의 _회색인간_ 등 일련의 작품들은 주목을 요한다. This paper is the second in the series of comparative studies on contemporary issues and the historical correlation between democracy and literature. To build on preceding studies, this paper introduces the project, “Raconter la vie” of 2014 led by Pierre Rosanvallon, a political philosopher and socialist and analyzes the literary and social meaning of the project in the contemporary sense. The ultimate goal of the project “Raconter la vie” is the comprehensive compilation of actual and specific situations in contemporary French society. The basic principle of the project was to listen to and re-enact the voice of various citizens from all walks of French life. To that end, a writer, sociologist, philosopher and journalist each handle one category and one character, and sometimes the person on site writes the text. The fundamental motivation for such work lies in the civic response to ‘a crisis in democracy’ experienced by French society. In order for such response to have contemporary meaning, the project recognizes that the actual lives of citizens from various walks of French life that are often hidden away from view or neglected need to be portrayed as they are.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this attempt represents a combination of sociology and literature. But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collaboration between literature and sociology rather than the border between the two areas, was emphasized when analyzing the effect caused on French society by capitalism that underwent rapid progress during the first half of 19th century in line with the political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French reovlution. The project “Raconter la vie” revisits this historic case in today’s world where society and the economy are undergoing rapid change as democracy hits a crisis. It resonates greatly with Korean democracy and Korean literature which are closely linked with international politics and international economic systems, too. In association, “Jiyoung Kim born in 1982” by Namju Cho and “Grey Human” by Dongsik Kim call for attention.

      • KCI등재

        산업화, 문학예술, 유토피아 : 샤를르 푸리에와 문학예술

        정의진(JUNG Eui-Jin)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21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75 No.-

        19세기 초반의 유토피아적 사회주의자 샤를르 푸리에는 근대 산업자본주의 사회를 넘어서는 새로운 이상적 사회를 구상하였다. 푸리에가 제시한 이상 사회는 비현실적인 몽상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지만, 그의 비판적 현실분석에 기초한 과도기적 대안 제시는 불완전한 형태로나마 현실에서 구현된 측면 또한 있다. 그의 이론은 당대 산업사회의 현실에 근거해 있었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푸리에의 이론은 어휘와 문장의 특성에서부터 포괄적인 상상력과 이론 체계에 이르기까지 매우 문학적인 방식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이론과 과학의 관점에서는 푸리에 사상의 합리적인 타당성을 의심하게 만들지만, 문학예술의 차원에서는 후대의 작가와 예술가들에게 영감의 원천으로 작용하였다. 푸리에 저작의 문학성은 또 다른 연구과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