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주주의의 현재적 재구성을 위한 정치철학적 제안 진태원의 『을의 민주주의-새로운 혁명을 위하여』에 대한 서평

        정의진 ( Jung Euiji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8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6 No.1

        진태원의 『을의 민주주의-새로운 혁명을 위하여』는 ‘을’이라는 한국사회의 상용어에 대한 정치철학적 개념화를 시도한다. 국민, 시민, 대중, 민중, 다중 등 다양한 관련개념들과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진태원은 을이 최근 수십 년간 전 세계적 차원의 지배적인 정치·사회·경제 질서였던 신자유주의체제의 한국적 현실을 반영하는 용어라는 것을 입증한다. 이는 1:99, 10:90, 20:80 등 흔히 상징적인 수치로 표현되는 국제적 차원의 사회적 불평등과 불안정 상황의 한국적인 대중적 표현이기도 하다. 즉 을은 한국적인 동시에 보편적인 사회정치적 함의를 갖는 용어이다. 을이라는 용어에 대한 이러한 정치철학적 검토를 바탕으로, 진태원은 ‘을의 민주주의’를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정치적 변화를 모색하는 ‘발견적 가설’로서 제안한다. 현대사회를 구성하는 대중들의 다양성과 이질성 및 공통의 문제들을 복합적으로 망라하면서도, 궁극적으로 ‘몫 없는 자들’, 정치자체에서 ‘내적으로 배제’된 사람들의 상황에 대한 비판적 인식에서 출발하여 정치와 민주주의를 근본적으로 재구성하자는 것이 그의 제안이다. 이러한 제안의 근본적인 타당성을 어떻게 구체화 할 수 있는가는 또 다른 과제가 될 것이다. Jin Tae-Won’s Democracy of Eul : For new revolution attempts a political philosophical suggestion about the common word in Korean society which is called “Eul”. Through the comparative review with various related concepts such as the nation, the citizen, the public, the people and the multitude, Jin Tae-Won proves that Eul is a word that reflects Korean reality of the neoliberal system, which was the dominant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order at the entire world level in recent decades. This is also a popular Korean expression of social inequality and instable situation in the international perspective which is commonly expressed as symbolic figures such as 1:99, 10:90 and 20:80. In other words, Eul is a word that has universal socio-political and Korean implications at the same time. Based on this political philosophical review about the word, Jin Tae Won suggests ‘democracy of Eul’ as a ‘heuristic hypothesis’ that seeks new political changes in a new era. His suggestion is to comprehensively cover all the common issues of diversity and heterogeneity of the public and at the same time, to basically reorganize the politics and democracy starting from the critical awareness about the people who don’t have the ultimate share and are ‘internally excluded’ from the politics itself. How to materialize the fundamental validity of this suggestion will be another challenge.

      • KCI등재

        정근식·강성현 저,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에 대하여 한국전쟁 연구의 국제비교학적·학제적 연구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정의진 ( Jung Euiji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6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4 No.2

        정근식·강성현의 저서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는 `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의 30번 째 단행본으로 2016년 5월에 출간되었다. 저자들이 미군 사진부대 사진병들이 찍은 한국전쟁 사진들을 별도의 연구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한국전쟁에 대한 한국인들의 기억을 점하고 있는 다수의 사진들이 이들에 의해 촬영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사진의 수용과 분석이전에 사진촬영 주체의 성격을 규명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전쟁 상황에서 사진을 통한 심리전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조직된 군 사진부대의 특수성을 염두에 둘 때, 미군 사진병들의 시각과 사각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저자들의 입장이다. 동시에 사진이라는 외부 피사체 기술복제 기기의 과학적 사실성이 내포하는 매체적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저자들은 미군 사진병들의 사진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미군 사진병들이 생산한 사진들의 사각지점들을 해명하면서, 저자들은 적 진영에서 생산한 사진들이나 민간 사진가들이 생산한 사진들과의 교차연구를 통해 한국전쟁에 대한 보다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관점을 확보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새로운 냉전구도가 형성될 위험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재의 동북아 정세 속에서, 이러한 냉전구도의 역사적 기원인 한국전쟁에 대한 평화지향적인 관점확립이 절실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 저자들은 한국전쟁에 대한 국제비교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방법론의 차원에서 볼 때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는 역사학의 실증주의적 자료조사 분석방법, 미학과 미디어 연구와 매스커뮤니케이션학이 결합된 사진 매체론 및 포토저널리즘에 대한 연구, 사회적 기억에 대한 역사철학적·사회학적 연구 등을 아우르는 학제적 연구방법론을 통해 진행되었다. 한국전쟁의 복합적인 성격, 냉전적 사고의 여파가 낳은 은폐된 사실들 등을 고려할 때 이러한 학제적 연구는 필수적이다. 연구가 사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사진이라는 기술복제 미디어에 관련된 포괄적인 사회문화론적 지식 또한 필수적이다. 나아가 치열한 미디어 전쟁, 복잡한 국제적 여론전을 동반한 한국전쟁의 성격을 고려할 때, 한국전쟁에 대한 연구는 국제비교학적 연구에 학제적 연구가 결합될 때 최적의 연구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다.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는 이를 위한 중요한 기초를 놓았다. This paper reviews the book, Historical Sociology of Korean War Photography: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US Army Signal Corps Photo Unit, written by Jung Keun Sik and Kang Sung Hyun. This book suggests several points about our memories on Korean War, which are framed by the photograph of US Army signal corps photo unit. According to the authors, though Korean War is a sixty five year old past, it is still the source of memory reproducing the power to construct the present, and at the center are situated war photographs taken by American soldiers. This book intends not only to examine the photographs on Korean War, but also the activities of the photography units at the US Army during Korean War. Through grasping the scene the photographs are showing, this book tries to understand the scene they are not showing accordingly. To reach the object of the studies, this book make full use of the concepts and method of several fields : history, sociology, media, communica-tion, political philosophy, etc. This book can be a model case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Korean War.

      • KCI등재
      • KCI등재

        문학적 픽션과 공동체의 정치학, 한강의 『소년이 온다』 : ‘쇼아’의 담론화에 대한 논의와의 비교분석을 매개로

        정의진 ( Jung Euiji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9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7 No.3

        『소년이 온다』는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한강의 오랜 질문이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이라는 한국사회의 결정적인 정치적 사건과 만나서, 그 질문의 사회역사적인 깊이를 증폭시키고 너비를 확장한 작품이다. 이 작품이 다루고 있는 군부쿠데타 세력의 야만적인 폭력성과, 이러한 폭력성에 맞서 동일한 인간으로서 인간성의 윤리적이고 공동체적인 기본 전제를 지키고자 한 사람들의 목숨을 건 선택은, 그 비극적이고 극단적인 상황 전개로 인하여 이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가능성’, 이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라는 문제를 제기한다. 경험적인 동시에 윤리적인 차원에서 형상화가 불가능한 사실을 형상화하기라는 문제는,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의 유대인 대량학살, 즉 쇼아 이래 제기된 아도르노 등의 문제제기와도 연결된다. 이는 프리모 레비, 로베르 앙텔므, 장 아메리 등의 아우슈비츠 증언문학의 핵심문제의식이기도 하다. 이를 담론화하는 방식으로서 한강은 증언과 시적 파토스를 결합시킨 ‘시적 소설’의 형태를 택하였다. 이러한 형식은 문학적 픽션의 핵심, 즉 사실의 연대기적인 나열보다 더 사실적인 담론화로서의 픽션이라는 문학적 담론의 핵심가치이자 방법론을 새롭게 환기시킨다. Le Garcon vient de Han Gang approfondit et amplifie le sens sociohistorique de sa question ‘qu’est-ce l’homme?, en rencontrant le mouvement pour la democratie de Kwangju le 18 mai 1980, l’evenement politique decisif de la societe coreenne contemporaine. La violence barbare de la force militaire du coup d’Etat et la resistance des citoyens de Gwangju jusqu’a la sacrifice de leurs vies face a cette barbarie dont le roman traite, pose la question de la possibilite d’en dire, de celle de la representation litteraire a cause du deroulement tragique extreme de l‘evenement. La question de dire l’indicible du point de vue a la fois empirique et ethique, se relie a la question d’Adorno apres Shoah. Elle est celle de la litterature du temoignage de Primo Levi, Robert Antelme, Jean Amery apres Auschwitz. Pour la methode de la mise en discours de l’evenement, Han Gang a choisit un ‘roman poetique’ qui combine temoignage et pathos poetique. Cette forme evoque la valeur et la methode essentielles de la fiction litteraire, c’est-a-dire la fiction comme mise en discours des faits, plus vraie que la chronique objective des faits.

      • KCI등재

        문화산업 생태계의 국제적 급변 양상과 프랑스와 유럽의 문화정책 : Jean-Noel Tronc의 『문화에서 다시 시작한다면? 유럽 주권을 위한 변론(Et si on recommencait par la culture? : Plaidoyer pour la souverainete europeenne)』을 중심으로-한국의 문화 상황에 시사하는 바를 첨부하며

        정의진 ( Jung Euiji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0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8 No.1

        프랑스는 문화부를 중심으로 국가가 자국의 문화예술과 문화산업을 보호하고 활성화하는 광범위하고 다양한 정책들을 선도적으로 시행한 나라이다. 1980년대 사회당 집권기에 국가 예산의 1% 이상을 문화부에 배정하는 것을 관례화하면서, 프랑스는 다른 나라에 비해 문화예술에 더 높은 사회적 가치를 부여하는 나라라는 이미지를 다시 한번 확고히 하였다. 프랑스 문화정책의 근간인 문화적 예외 정책의 확립은, 예술가들의 창작활동에서 문화산업의 보호·육성에 이르기까지 프랑스 특유의 문화예술 환경을 구축하였다. 나아가 프랑스는 문화예술이 일반적인 경제 논리와 자유시장에만 맡겨둘 수 없는 공적 가치의 영역이라는 문화적 예외 정책의 철학을 유럽연합 차원으로 확대해 나갔다. 2005년 유네스코에서 채택된 문화 다양성 협약은, 프랑스와 유럽이 미국 문화산업의 패권적인 지위에 맞서 자신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관점을 국제적으로 관철한 경우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10여 년 사이 구글 등 미국의 인터넷 기반 거대 플랫폼 회사들은 문화콘텐츠의 유통과 소비구조 자체를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자유무역과 자유경쟁이라는 국제 무역질서의 기본원칙과 이미 긴장 관계에 놓여 있던 문화적 예외와 문화 다양성이라는 원칙은, 디지털 인터넷시대에 또 다른 차원의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프랑스와 유럽은 정보통신산업과 문화산업의 서로 다른 특수한 상황을 재인식하면서, 가치로서의 문화와 산업으로서의 문화 사이에서 새로운 균형점을 모색하고 있다. 한국문화예술의 국제화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프랑스와 유럽의 사례는 우리에게도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France is a country that has initiatively enforced the extensive and various policies that could protect and boost its own culture & arts and cultural industry focusing on the Ministry of Culture. During the era of the Socialist Party in power of the 1980s, France routinized the allocation of national budget for 1% or more to the Ministry of Culture, which was a chance to firmly establish the image of France as a country giving higher social value to culture & arts than other countries.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exception policy which was the basis of cultural policies of France, has built the characteristic culture & arts environment of France including creative activities of artists and protection/promotion of cultural industry. Furthermore, France gradually expanded the philosophy of cultural exception policy in which the culture & arts would be the sphere of public value that could not be simply left to the general economic logic and free market, to the dimension of European Union. The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selected by the UNESCO in 2005, could be understood as a case in which France and Europe internationally carried their perspective on culture & arts by standing against the hegemonic position of cultural industry of the United States. For last ten years, however, the internet-based giant platform companies of the United States such as Google have fundamentally changed the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structure of cultural contents. The principles of cultural exception and cultural diversity already in strained relations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international trade order such as free trade and free competition, are facing another level of difficulty in the digital internet era. Newly understanding the special situation of IT industry and cultural industry different from each other, France and Europe are seeking for the new balance between culture as value and culture as industry. With the accelerated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culture & arts, the case of France and Europe provides a certain implication to us.

      • KCI등재

        자크 랑시에르의 평등 개념 : 평등 개념의 방법론적 위상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정의진(Jung, Euijin)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36 No.-

        자크 랑시에르의 작업을 관통하는 핵심 문제의식은 평등이다. 랑시에르에게서 평등의 문제는 연구의 기본 대상이자, 이 개념을 통해 사유의 형식과 전개 양상이 구체화 되는 이론적 방법론의 위상을 동시에 점하고 있다. 그의 평등 개념은 역사학, 정치철학, 미학, 문학론, 이미지론 등 랑시에르의 작업과 연계된 연구 영역이 변화하는 과정을 관통한다. 평등 개념이 랑시에르의 작업 전반을 가로지르고 있는 만큼, 이 개념은 다양한 해석과 논쟁의 대상이다. 그런데 그에게서 평등 개념은 이론적인 개념인 동시에 구체적인 실천적 개념이기도 하다. 랑시에르의 평등의 방법론은 1968년 5월 운동을 전후한 시기 그의 정치적 경험, 이에 연계된 그의 이론적 작업, 이로부터 촉발된 1830년 7월 혁명 이후의 노동자들의 글에 대한 연구 등을 모태로 하고 있다. 현재적 상황에 대한 역사적 성찰을 통해 문제를 재구성해 나가는 랑시에르 이론의 실천적 성격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때, 그의 평등 개념의 방법론적 역동성을 이해할 수 있다. Jacques Ranciere’s core consciousness of a problem that consistently penetrates his works is equality. To Ranciere, the issue of equality is not only the basic subject of research, but also occupies the lofty position within theoretical methodology to realize the form of thinking and development aspect through this concept. The concept of equality is evident Ranciere’s overall work, so this concept serves as the object of various interpretations and disagreements. However, his concept of equality is not only a theoretical concept, but also a very concrete and practical notion. The dynamic nature of his theory on equality originated from his own political experiences around the May Movement in 1968, his theoretical work connected to it, and his research on laborers’ personal notes after the July Revolution in 1830 which were triggered by it.

      • 궤도차량의 포신 안정화 및 시뮬레이션 툴 개발

        김창결(Changgyul King),정의진(Euijin Jung),한명철(Myungchul Han) 한국자동차공학회 2002 한국자동차공학회 Symposium Vol.2002 No.11

        To main mission of a infantry fighting vehicle(IFV) is to transport soldiers and to engage and destroy enemy targets on the battlefield. To achieve this aim a modern IFV needs an effective Weapon Control System. The prime objective of the WCS is to maximize the chance of hitting a stationary or moving target with the first round, in the shortest possible time, from a stationary or moving vehicle. A model and controller of the elevation mechanics for a WCS is developed.<br/> The paper also includes a off-line programming system which can simulate a track vehicle model in 3D graphics space. The developing language is Microsoft Visual C++, Graphic libraries. OpenGL were utilized for 3D Grap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