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영아로부터 분리한 Enterococcus faecium의 구강 병원균에 대한 억제 효과

        정은경,이종철,서정윤,김성윤,김완수,윤우혁,김윤상,피성희,유형근,신형식,Jeong, Eun-Gyeong,Lee, Jong-Cheol,Seo, Jung-Yoon,Kim, Seong-Yoon,Kim, Wan-Su,Yun, Woo-Hyuk,Kim, Yun-Sang,Pi, Sung-Hee,You, Hyung-Keun,Shin, Hyung-Shik 대한치주과학회 2008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8 No.1

        Purpose: The probiotic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have widely been researched in diverse human pathogens, but only a few effects are reported against oral pathogens.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the Enterococcus faecium 7413 isolated from Korean infants on the 9 pathogen including 6 oral streptococci were investigated the clinical use of the antimicrobial peptide for oral microflora control. Materials and Methods: E. faecium 7413 was identified by morphological, biochemical tests and 16S rDNA sequence analysis. Inhibitory effects of culture supernatants were determined for their ability to grow on agar plate containing pathogenic bacteria. Result: The culture supernatant of Enterococcus faecium 7413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oral pathogens, namely Streptococcus pyogenes KCTC 3556, S. pneumoniae KCTC 5080, S. mutans ATCC 25175, S. anginosus ATCC 33397, S. constellatus KCTC 3268, S. intermedius ATCC 27823 and Shigella flexneri KCTC 2008. Whereas it did not affect the multiplication of E. coli strains, KCTC 1041 and ATCC 43894. Conclusion: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future development of effective probiotics allowing prevention for oral pathoge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초등 음악교과서의 ‘생활 속의 국악’ 내용 고찰

        정은경(Jung, Eun-Gyeo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8 국악교육 Vol.45 No.45

        2015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국악의 생활화를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올해부터 새롭게 쓰이는 3~4학년군 음악교과서 가운데 4학년 9종(㈜금성출판사, 동아출판, ㈜미래엔, 비상교육, 음악과생활, 와이비엠, 지학사, 천재교과서, 천재교육) 음악교과서를 연구 범위로 설정하여, 2015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의 생활화 영역에서 제시하고 있는 ‘생활 속의 국악’ 내용이 교과서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른 연구 내용은 2015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의 생활화 영역에 나타난 ‘생활 속의 국악’ 관련 내용을 살펴보았고, 이러한 교육과정의 내용들을 토대로 실제 초등 4학년 9종 음악교과서의 ‘생활 속의 국악’ 내용을 분석하였는데,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생활 속의 국악’ 관련 내용이 수록된 단원의 현황을 살펴본 후, 단원별 학습목표, 관련 제재곡 및 악보제시 방식, 관련 학습활동, 관련 사진 및 삽화 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비해 국악의 생활화를 강조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특히 국악의 가치를 보다 더 인식할 수 있도록 학교급 별로 차별화 된 내용 요소를 제시하고 있는데, 3~4학년군에서는 ‘생활 속의 국악’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다. 둘째, 실제 초등 4학년 9종 음악교과서의 ‘생활 속의 국악’ 내용을 살펴본 결과, 9개의 모든 음악교과서에서 관련 단원을 수록하고 있었고, 각 출판사마다 1개에서 3개까지 단원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원별 학습목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생활화 영역에 대한 성취기준인 ‘생활 속에서 활용되고 있는 국악을 찾아 발표한다.’의 내용을 그대로 반영하거나 성취기준의 문장을 그대로 구현하지는 않았지만 국악을 일상생활에서 활용하는 내용과 관련된 학습목표를 대부분 제시하고 있었다. 관련 제재곡과 악보제시방식은 대부분 악보 없이 제목으로만 제재곡을 소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밖에 오선보, 가락선 악보, 그림 악보를 통해 제재곡을 수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활동은 노동, 의식, 놀이와 관련된 ‘생활 속의 국악’ 내용 중 노동과 관련된 학습활동 제시가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관련 사진 및 삽화는 대부분의 교과서가 실제 장면을 나타낸 사진보다는 삽화나 그림 등으로 관련 단원의 내용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music education emphasizes the familiar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efore this study has chosen 9 4th grade music textbooks (Geumsung Publishing, Dong-A Publishing, Morae N Co. Ltd., Visang Education, Music and Life, YBM, Jihaksa Publishing Co. Ltd., Chunjae Education Inc. and Chunjae Textbooks) that are newly put to use from this year as the research subject among 3rd to 4th grade music textbooks, in order to analyze how ‘Korean Traditional Music on Everyday Life’ section that is presented in the familiarization part of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is realized in textbook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ed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veryday Life’ which is in the familiarization section of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The objective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veryday Life’ parts of 9 different music textbooks for 4th graders. In detail, the chapters of the textbooks were sorted so that the one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veryday Life’ were selected. Such chapt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how their lesson objectives, related songs and presentation of music scores, learning activities, related pictures and illustrations a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study based on such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the familiar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an 2009 revised curriculu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esents differentiated contents factor according to different school grades in order for the students to recognize the valu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3rd to 4th grad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veryday Life’ is specifically stated. Secon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veryday Life’ sections of 9 music textbooks for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l 9 textbooks included related chapters while the number of chapters including such section varied across publishing companies. Most of the lesson objectives for such chapters either directly reflect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familiarization part of 2015 revised curriculum: ‘search and present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that can be found in our everyday life’, or present related objectives that ask students to apply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ir everyday lives with different wording. It was also found through the analysis that related songs were introduced with only the titles of such songs without their music scores while some songs were presented with staff notations or Garakseon scores. Among learning activities of work, play and ceremony,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learning activit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veryday Life’ was work-related activities. in terms of related pictures and illustrations, most of the textbooks included illustrations or paintings of chapter contents instead of including pictures of real life scenes.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국악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정은경(Jung eun gyeo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09 국악교육 Vol.28 No.-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국악교육의 관심이 보다 더 질적인 내실화를 추구하는 현 상황에서 초등학교 현장교사들의 국악교육 현황을 분석해 보고, 나아가 국악교육에 대한 관심이 어느 정도인지 국악교육 전반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해 보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초등교사의 연령 및 교직 경력, 그리고 국악연수 경험이 국악 및 국악교육 전반에 대한 인식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2008년에서 2009년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수원의 방학 중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산, 경남, 울산 지역 거주 초등교사 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을 알아보는 것과 이들의 국악연수에 대한 경험 및 국악연수에 참여한 횟수, 그리고 국악과 국악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볼 수 있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초등교사의 연령과 국악에 대한 인식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것은 40대 이후부터 국악에 대한 그들의 관심 및 흥미 등에 있어서 인식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국악연수 경험이 국악 및 국악교육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을 뿐만 아니라, 초등교사의 국악연수 참여 횟수가 국악교육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앞으로 국악연수의 개설 및 그 필요성이 강조된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러한 조사 결과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국악교육의 방향 설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국악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by the teachers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present situation where the interest in the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more focused on qualitative substantiality, and furthermore, at investigati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general education on Korean classical music of how much interest they have in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ge, career in the education field, and experience of Korean classical music training and their recogni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and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on the whole was examined.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a questionnaire survey of 64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iding in Busan, Southern part of Gyeongsang province and Ulsan, who had participated in the teachers’ vacation training program offered by an elementary education training center of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2008 and 2009, was conducted. The measuring tools of this research consist of what examines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what tells the teachers’ experience in Korean classical music training, the number of their participation in Korean classical music training, and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classical music and Korean classical music training. The research result proved that the a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recogni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had a meaningful relation, which revealed that their recogni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had changed in terms of their interest and tastes after they reached their forties. Especially, what is worth noticing is that not only their experience in Korean classical music training was proved to affect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classical music and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in a meaningful way, but also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ion in Korean classical music training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ir recogni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which stresses the necessity to open more training programs of Korean classical music hereafter. Therefore, the thorough analysis into these research results would help derive some implication on establishing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based on which, the basic data to develop teachers’ training program of Korean classical music is expected to be made.

      • KCI등재후보

        "2007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사 국악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정은경 ( Eun Gyeong Ju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국악연수가무엇인지 그들의 의견을 조사 분석하여, 보다 현실적으로 학교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교사 국악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부산 지역의 초등학교 교사21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검사 도구는 총 6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설문으로, 그 내용은 국악교육 및 국악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국악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이전에 국악연수를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은실제 수업지도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여, 교사들에게 국악연수가 실제로 수업을 하는 데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주었다. 이밖에도 ``2007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국악연수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해서는 단소 지도, 장단 지도, 한국 춤 등의 영역을 가장 필요로 하였으며, 바람직한 국악연수의 내용 구성은 국악교육론에 대한 것을 가장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러 제한점이 있으나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한 효과적인 국악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운영된다면, 앞으로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국악교육은 보다 질적으로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is is the basic research to develop a Korean classical music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according to ``the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2007,`` and aims at examining teachers``opinion on what kind of Korean classical music training they need in ``the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2007.``This research is targeted at 217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Busan, and its test tool is the survey consisting of six areas in total, whose contents are about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ir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high, and in particular, the training on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many kinds of positive influences on actually teaching classes. A training on Korean traditional music according to ``the Revised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2007`` was proved to be necessary in the survey,whose areas would be teaching Korean traditional dance, Korean rhythms and how to play the danso etc. And it was found out that the desirable contents of the training on Korean traditional music demanded by teachers most was the education the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o far, the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has focused on expanding the quantity of the Korean classical music in the textbook, not on raising the teachers who are able to teach the Korean classical music in the textbook. The question on this problem has been being raised by teachers in the school field constantly, and they are complaining of the difficulty in teaching Korean classical music even they haven``t learned themselves. In this situation, ``the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2007`` displays a lot more changes compared to ``the Seventh Curriculum``, among which, in ``the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2007``, the contents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re very concrete and specific,and their details are clarified for the learners by their grade. Likewise, in the changed curriculum, the Korean classical music training for teachers is required desperatel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is background, and is expected to be the basic data to develop a Korean classical music training program which can be more practically applied to the education in schools by investigating problems of the existing Korean classical music training.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해금 교육 도입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정은경(Eun-gyeong Ju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2 국악교육 Vol.33 No.33

        본 연구는 ‘2007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국악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국악 기악교육의 다양화를 모색하기 위한 방안으로, 초등학생들에게 해금 교육을 도입하기 위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해 보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08년에서 2011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연수원의 방학 중 해금 교사연수 프로그램(30시간)에 참여한 초, 중, 고 교사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총 6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설문으로, 그 내용은 국악교육 및 해금에 대한 관심과 해금의 초등교육 도입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응답자들 가운데 이전에 국악연수 경험이 있는 비율이 66명(57.4)으로 경험이 없는 비율 49명(42.6%)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국악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해금 교사연수에도 관심을 가지고 참여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응답자들에게 해금 교사연수에 참여하게 된 배경을 묻는 문항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평소 해금에 관심이 있어서’가 55명(47.8%)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최근 들어 해금에 대한 관심이 얼마만큼 높은 지 알 수 있다. 둘째, ‘국악에 대한 관심 및 흥미도’, ‘국악교육에 대한 관심도’, ‘해금에 대한 관심도’, ‘해금의 학교교육 도입’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그 변화를 알아본 결과, 4가지 영역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셋째, 초등학교에서의 해금 교육 도입 시기에 대한 문항 분석 결과는 ‘5학년’이 적당하다고 응답한 비율(38.3%)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응답자들은 해금 교사연수에 참여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점으로 ‘정간보 보기’(22.6%)를 들었다. 이것은 응답자들 가운데 중, 고등학교 교사의 비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이들 중 음악교과가 아닌 타 교과 전공의 교사들이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응답자들에게 연수 후 해금을 더 배우고 싶은 지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배우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이 105명(91.3%)으로 나타나 거의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계속해서 해금을 배우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를 묻는 문항에 대한 분석 결과는, ‘앞으로 학교 음악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서’가 47명(40.9%)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어 교사들 특성상 무엇보다도 수업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이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에서 해금 교육을 도입하게 된다면, 앞으로의 국악 기악교육은 보다 질적으로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eachers’ recognition of the introduction of Korean fiddl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national Korean classical music following ‘the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2007’ and pursue diversification of classical instrumental education. The research subjects are 115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ho took the teachers’ training program (30 hours) for Korean fiddles in Elementary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uring a vacation from 2008 to 2011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m. The test tool was a survey consisting of six categories in total, whose questions were about the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Korean fiddles and the introduction of Korean fiddles in elementary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first, those with the training experience of traditional Korean music were 66 (57.4%), which was more than 49 (42.6%) without experience, among the respondents, so the teachers with the training experience of national classical music were interested and participated in the teachers’ training of Korean fiddles. Also, the analysis into the questions asking the respondents of their motivation to join the teachers’ training of Korean fiddle showed the biggest reason was because they have always been interested in Korean fiddles with 55 respondents (47.8%). Second, a preliminary and a post test were conducted about their interest in traditional Korean music, interest in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interest in Korea fiddles, and the introduction of Korean fiddles into schools and their changes were examined, and all four categories were proved to have positive reaction. Third, most people(38.3%) answered that the appropriate time to introduce Korean fiddle education into elementary schools would be during the fifth grade. Fourth, many respondents (22.6%) answered what was most difficult during the teachers’ training of Korean fiddles was reading music, e.g. Jeongganbo. The reason for this can be analyzed that the rate of middle or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 among the respondents, and that there were more teachers majoring in the subjects other than music. Fifth, with regard to the question asking them whether they wanted to learn Korean fiddles after the training or not, 105 respondents (91.3%) answered they wanted to, so most of them wanted to continue to learn Korean fiddles. The biggest reason was analyzed that they wanted to use it in their music class for the future with 47 respondents (40.9%), which proved that for the specific characters of teachers, the most important aim was using it in the class. If Korean fiddle education is introduced into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uture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al education is expected to get qualitatively good results.

      • KCI등재후보

        부산 시민의 전통문화예술에 대한 요구도 연구

        정은경(Eun-gyeong, Ju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1 국악교육 Vol.31 No.31

        본 연구는 부산 시민의 전통문화예술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국립부산국악원의 토요신명무대 공연 관람객 382명을 대상으로, 우리 전통문화예술에 대한 그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이를 토대로 보다 더 관객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는 공연을 기획하기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며, 나아가 국립부산국악원이 보다 더 이 지역 문화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검사 도구는 총 5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설문으로, 그 내용은 관객들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과 토요신명무대 공연에 대한 전반적인 느낌과 만족도 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국립부산국악원의 토요신명무대를 찾은 관람객은 ‘남성’(35.1%)에 비해 ‘여성’(64.9%)의 비율이 높게 조사되었으며, 연령대는 ‘20세 이하’(29.8%)를 비롯해 ‘50대’(18.9%)가 많아 고른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직업 분포는 ‘학생’(35.3%), ‘전업 주부’(18.3%), ‘회사원’(8.4%) 등이 높게 조사되었다. 응답자의 거주지 분포는 국립부산국악원이 위치한 ‘부산진구’(32.2%)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공연 정보와 관련해서는, 응답자들은 처음 공연 정보를 가족이나 친구와 같은 ‘주변사람들’(55.0%)로부터 얻는 경우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셋째, 공연에 대한 만족도와 관련해서는 ‘매우 만족’(56.5%)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지루했던 공연 내용이 있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있다’(17.1%)의 비율보다 ‘없다’(76.4%)의 비율이 현격히 높았다. 넷째, 공연 프로그램 수의 적절성과 관련해서는 ‘적당’(50.8%)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추가되어야 할 공연 내용은 ‘민속악’(24.9%)을 가장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줄여야 할 공연 내용과 관련해서는 응답하지 않은 비율(73.0%)이 상당히 높아 응답자들 대부분 현재의 프로그램 구성에 만족해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보고 싶은 공연과 관련해서는 ‘악가무종합극’(23.8%)을 비롯해 ‘어린이음악극’(18.9%) 등을 가장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involving 382 spectators who watched Saturday performance of Korean Music and Dance by the Busan National Gugak Center is aimed at acquiring suggestions for the planning of performances that can receive more favorable reactions, based on the audience’s various opinions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an. Furthermore, it intends to offer valuable information that can help the Busan National Gugak Center to contribute more to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ulture. As for a test instrument, a questionnaire composed of a total of live sections was used.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about the audience’s demographic features and their overall feelings and satisfaction with th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more women man men in the audience who attended the performance. The spectators were various in age, including some under the age of 20 and people in their 50s who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audience. As for the occupation of the audience, the student, the housewife and the office worker accounted for larger portion. With regard to the residence of the audience, the largest number of spectators were from Busanjin-gu where the Busan National Gugak Center is located.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the audience first heard of the performance from their family members, friends or people around them and that most of them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performance. Moreover, the largest portion of the audience answered the number of programs performed through Saturday Performance of Korean Music and Dance was reasonable, and demanded more performances of traditional music when asked what performance should be added Besides, quite lots of people said nothing in answer when asked what performance they think should be reduced. All this indicates that most of the audience were satisfied with the composition of the current program. Finally, as for performances the audience wanted to at Busan National Gugak Center, composite performance of music and dance and child music performance took first place.

      • KCI등재후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해금 내용 고찰

        정은경(Jung, Eun-Gyeo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4 국악교육 Vol.37 No.37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해금 관련 내용들을 고찰해 보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범위는 2013년부터 사용하고 있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 총 17종이며, 연구 내용과 방법은 우선, 음악과 교육과정의 해금 관련 내용들을 살펴보고, 두 번째는 음악교과서의 해금 내용 수록 현황을 점검하며, 세 번째는 해금과 관련된 지도내용들을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표현, 감상, 생활화의 내용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금에 대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는 출판사는 총 17종 가운데 세곳을 제외한 14종의 음악교과서에서 해금과 관련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었다. 특히 표현, 감상, 생활화의 영역 중에서 감상 영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음은 표현 영역이었으며, 생활화 영역에서는 직접적으로 해금과 관련해 다루어진 내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교과서에서 제시된 해금 관련 학습활동을 보면, 대부분 해금이 포함된 악기 편성을 알아보는 활동과 음악을 들으며 악기 음색을 구별하는 활동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다. 이러한 활동을 하기 위한 관련 제재곡으로는 정악에서는 수제천과 가곡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고, 민속악에서는 시나위와 산조, 창작국악곡에서는 이성천 작곡의 ‘청소년을 위한 국악관현악 입문’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해금의 영역별 지도내용은 표현 영역에서는 주로 노래 부르기와 악기 연주하기 활동이 제시되었는데, 특히 가곡과 관련한 노래 부르기 활동에서 가곡 연주에 해금이 편성되는지를 알아보는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악기 연주하기 활동으로 해금이 제시된 음악교과서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해금 운지법에 대한 설명이 없어 현실적으로 수업이 가능할지 우려된다. 또한, 감상 영역에서는 주로 악곡의 특징과 국악사와 관련해 해금의 내용이 기술되어 있지만, 대부분 간단한 악보 소개와 더불어 음악을 감상하는 단순 활동이 많았으며, 국악사에 있어서는 고려 시대에 등장한 해금을 소개하는 내용이 매우 간단히 제시되어 있었다. 이상으로 현대에 들어 해금이 학교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학습내용과 학습활동 등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을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tent related to haegeum -a traditional Korean string instrument- in secondary school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ith 17 music textbooks for secondary school corresponding to the 2009 revision that have been in use since 2013, the study reviewed the content on haegeum, examined the inclusion of the haegeum-related content, and then analyzed instructional content regarding haegeum by content section (expression, appreciation, and practice in daily life) presented in the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on haegeum was contained in 14 among 17 music textbooks from different publishing companies. In particular, the appreciation was the largest part in the related content, followed by the expression section, and the practice in daily life section wa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content on haegeum. Second,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haegeum-related activities suggested in the textbooks, it is found that the most frequent activities were recognizing the instrumental organization that includes haegeum, and distinguishing the tones of the instrument while listening to music. As related musical pieces, Sujecheon and Gagok were used most frequently in court music, Sinawi and Sanjo in folk music, and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Orchestra for Young Persons by Seong-cheon Lee in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Third, as for instructional content of haegeum by each section, singing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were mainly presented in the expression section, and in particular, the activity of singing Gagok-related songs consisted largely of identifying whether haegeum is included in playing Gagok. Since music textbooks proposing haegeum for an activity of “playing an instrument” didn’t include any basic explanation on haegeum fingering, there is a concern about applying it to actual classes. In addition, although the appreciation section described haegeum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 pieces and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music, it mainly contained simple activities of appreciating musical pieces with a brief introduction. Regarding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music, a very brief introduction was provided on haegeum that first appeared in the Koryo Dynasty. As a result, haegeum was found to be used in varied learning content and activities in the school curriculum.

      • 판소리의 해석학

        정은경(Jung Eun Gyeong) 낭만음악사 2007 낭만음악 Vol.20 No.1

        판소리는 조선 후기 민중들의 삶과 그들의 미의식을 반영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속예술 장르이다. 그동안 판소리에 대한 연구는 국악 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음악학이나 국문학 일반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다. 그 가운데서도 판소리를 미학적으로 연구한 성과들은 비교적 많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독일 현대 철학자인 하르트만(N. Hartmann 1882~1951)의 미학적·철학적 입장을 도입해 판소리를 새롭게 해석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하르트만은 한마디로 현상학적·존재론적 예술철학을 대표하는 인물로서, 그의 미학의 중심축은 바로 ‘성층관계’와 ‘현상관계’에 있다. 그의 관점에 따르면, 미적 대상은 단순히 겉으로 드러나는 ‘전경(Vordergrund)’ 층과 그 대상을 더욱 본래적인 것으로 나타내주는 ‘후경(Hintergrund)’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따라서 ‘미’라고 하는 것은 ‘후경’ 층이 ‘전경’ 층에 현상(現象)하는 것이다. 이러한 하르트만의 미학적 견해는 음악 작품을 해석하는 데에도 예외일 수 없기 때문에, 그는 음악 작품을 이 성층구조에 의해 파악했다. 즉, 우리가 단순히 귀로 들을 수 있는 청각적 질료에 해당하는 것은 음악의 ‘전경’이라고 했고, 이 소리라고 하는 질료에 의해 어떤 정신적 동태를 하는 것을 음악의 ‘후경’으로 설명하여, 음악의 이층적 구조에 대한 ‘성층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하르트만의 미학적 관점을 토대로 우리의 판소리도 해석 해보고자 한다. 판소리의 미학적 범주로 거론되는 것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여기서는 판소리의 ‘이면(裏面)’의 미학을 하르트만의 ‘전경’과 ‘후경’의 개념과 연관 지어 판소리에 대한 미학적 해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This thesis i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newly interpreting aesthetics for Pansori, by applying the aesthetic and philosophical approach of N, Hartmann, a modern German philosopher. Studies on Pansori in the past have been many, conducted by scholars in not only Korean music but also in musicology and Korean literature in general. Among such studies, aesthetical studies on Pansori have yielded relatively rich results. Hartmann is a scholar who represents phenomenological and ontological art philosophy, whose centering axis in aesthetics lies in ‘sedimentary relationship’ and ‘phenomenal relationship.’ In other words, according to Hartmann an aesthetic object consists of apparent ‘Vordergrund’ and ‘Hintergrund’ that expresses ‘Vordergrund’ in a more essential manner. He understood a musical piece according to this dualistic structure. In other words, the audial material that we perceive with our ears is ‘Vordergrund’, while certain mental movement expressed through sound is ‘Hintergrund’. This is what he called ‘sedimentary relationship in music.’ Therefore, in this study, Pansori is interpreted based on the aesthetic framework of such theory of Hartmann. There are many aspects of Pansori discussed according to the aesthetic category. However, among them this study attempts an aesthetic interpretation in relation to the concepts of ‘'Vordergrund’ and ‘Hintergrund’ proposed by Hartmann, focusing on the aesthetics of ‘the other side.’ In a word, ‘Vordergrund’ in Pansori art is ‘sori,’ that is, melodies sung by the singers. A singer expresses ‘the other side’ of Pansori, which is the narrated contents of music, through ‘sori.’ What ‘depicting the other side’ designates is the overall musical behavior of the singer, as well as the subjective music interpretation and musical expression of the singer. That is why, when the listeners try to understand what the singer ultimately wants to express on the ‘other side,’ merely based on the sounds that the singer makes as ‘Vordergrund’, then they will not be able to properly understand Pansori as art. Pansori is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form of art, whose value is increasingly acknowledged. Therefore, the aesthetic value possessed by Pansori should be evaluated not only through the emotional and aesthetic framework unique to Korean culture but also through the aesthetic, philosophical, and interpretational framework of the wes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such openness of Pansori aesthetics can not only absorb the global trend but will also function as a channel which can enhance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superiority of Korean cultural art to the world.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국악 기악 교육의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정은경(Jung Eun-Gyeo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05 국악교육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velopmental plan of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bou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lementary schools. Instrumental activity of students plays an integral role in elementary schools. This investigation was focused on several aspects: traditional method of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bou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 teaching method of the Haegum, a music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Major point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onception of traditional teaching method of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bou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lementary schools. (2) The educational importance of the Haegum. (3) The instruction of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bout the Haegum in elementary schools. (4) The importance of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bou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5) The instrumental music activity abou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sic education. The Haegum is one of the most popular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The importance of the Haegum is increasing, because it is a very essential component of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The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for the seventh curriculum are analysed for this study. As a result of this, it is recognised that the instrumental education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s only considered for Danso and Janggo in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Therefore, as a way of diversification to instrumental education 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n instruction method of the Haegum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suggested. Generally, the Korean traditional music-related activities are the basis of various experience activities so that the students may expand the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y practicing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given in the schools. In addition, instrumental music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are to extend the musical imagination of young students through musical experiences, an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s must give various musical opportunities allowing an individual student to develop his/her musical imagination to the utmost extent. To succeed and develop the traditional culture of a country, it is very important to learn the traditional instruments. Consequently, this study has valuable mea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