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논문] 서양음악의 수용과 아시아 - 한국·중국·일본·타이완의 초기 수용과정을 중심으로 -

        민경찬(Min Kyung Chan) 낭만음악사 2005 낭만음악 Vol.- No.69

        본 논문은, 한국·중국·일본·타이완 등 아시아 각국에 서양음악이 언제 누구에 의해 무슨 목적으로 전달되었고, 또 그것이 어떻게 수용되었으며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등에 관하여 비교 분석을 통함으로써 유사성과 상이성을 도출해 내어 그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br/> 먼저 근대음악사 또는 양악사의 전사(前史)에 해당하는 ‘19세기 이전 서양음악의 전달 및 수용 양상’을 고찰해 본 다음 이어 서양음악 수용과정에서 나타난 각 나라의 공통적인 현상을 ‘기독교의 아시아 선교 활동과 서양음악의 전달’, ‘자국의 필요에 의해 수입한 최초의 서양음악’, ‘학교의 음악교육’, ‘학교의 음악교육 내용’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br/> 그 결과 ‘선교사-교회-찬송가-미션스쿨-기독교신자’로 이어지는 틀과 함께, ‘국가-국가기관-공립학교-창가-국민’으로 이어지는 틀이 형성되어 초기의 양악사를 장식하였다는 유사성을 추출해 낼 수 있었다. 그리고 유사성이라는 큰 흐름 안에서도 여러 가지 상이한 양상도 도출해 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and compares how Western music was first received and disseminated in Korea, China, Japan and Taiwan. Generally speaking, the processes of reception in these four countries were similar. It was Protestant missionaries, however, who got down to the full-scale dissemination of Western music. By the time the modern states were established in the 19th century, they began their missionary works actively and disseminated Western music such as hymns. With missionaries who also served as music teachers, the church played a role as a center in conveying and propagating Western music in these three countries. Hymns contributed to produce the group-singing culture, and later-generation composers of the three countries borrowed melodies from the hymns and even took them as a model for their works.<br/> Apart from the church, the modern state was also involved in importing and disseminating Western music. The state established Western-style military bands, taught Western music as a part of general education and even supported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musicians. In other words, the modern state employed Western music as a means to enlighten the public and to lead a war.

      • [논문]베를리오즈의 음악미학적 비평과 작품분석 연구

        박무원(Moo-won Park) 낭만음악사 2005 낭만음악 Vol.- No.68

        본고는 음악적 낭만주의를 도식화하는 것과 낭만주의는 영원한 범주라는 일반적인 접근 방법이 편중된 미학적 경향이라고 보고, 베를리오즈의 작품에 나타난 낭만주의적 미의식을 음악미학적으로 비평하였다.<br/> 낭만주의 음악미학 접근 방법의 하나는 특정 작곡가의 작품과 관념에 대하여 미학적인 비평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 작곡가의 예술과 철학노선으로의 투쟁, 그리고 음악 미학의 근본 문제에 대한 미학철학의 의미를 축소하거나 무시하지 않고 작품과 관련하여 언급하였다.<br/> 또한 이 글에서는, 음악미학적 이념과 그것이 음악학 분야에 끼친 영향을 음악작품의 내용과 사회적 근원과 관련하여 다루었다. 특히, 베를리오즈가 음악미학자이며 음악비평가로서 음악미학적으로 접근한 비평방법 및 음악작품의 창작방법을 통한 문학적 특성과 그가 추구한 목표 등을 본질적 판단의 측면에서 언급하였다, 음악미학과 관계된 양식 특성과 그의 음악에 대한 미학적 비평을 예술적이고 이성적 직관에 의한 음악적인 사고로 비평한 여러 작곡가의 견해들을 음악미학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When we talk about the aesthetic conception of music, too much is made of symbolic and philosophical ideas rather than the aesthetic conception. Aside from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we also need to consider how musical esthetic is related to the composer in the act of composition: his reasoning, spin-offs from his mental attitude, based on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We need to study and compare the aspects above to broaden music education.<br/> This article deals with Berlioz's musical world. He was a symphony composer in France and a creator of Program Music, which was a characteristic new musical form in a dramatic, orchestral style. Aside from being simply a composer, he was also an instrumentationalist and a well-known writer like Wagner. For the most part, the study of Berlioz has relied on his historical reception. However, in this article, I want to discuss Berlioz (who was a musical aesthetician and a critic) from the aspect of his aesthetic criticism and the aesthetic propensity of his work, and from an analysis of his views on musical aesthetics a field of study which is not accessed by many people.<br/> Berlioz was a composer who invented a new musical genre called Program Music, and at the same time a critic and conductor. Program Music belongs to musical drama, which is the combination of classical music, which can be described as an absolute music because of its perfect formal beauty, and literary factors. In instrumentation, it breaks new ground and attempts a new, dramatic expressivity in the orchestra describing a story with music, leading characters can be indicated by a motif (a melody of delicate emotion composed with specific musical intervals), or a theme. In Berlioz's musical aesthetic, music is not only a matter of form but also a matter of accessing romantic fantasy. Berlioz's technique developed as a lead-motive later in Wagner's time, and became the main reas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organic process of composition. If we grasp the artistic meaning of music and, at the same time, the form and artistry of compositional technique, not only can we feel the real beauty of the music but we can also express the meaning of a musical performance and develop a more concrete, creative and aesthetic appreciation. Many people have a very conservative perspective in understanding and learning music, but that is because they understand it superficially with symbolic conceptions only. If the musical aesthetic is recognized in music, not only can we have the abundance of music's historical knowledge, but also we can grow in powers of intuition for moral and emotional personal development.<br/> Berlioz concluded that while Painting has no other purpose than the accurate imitation of nature, Music is a "unique art". In other words, music is itself a tool of unique character, giving impression without the aid of any form of imitation, and suggesting that a physical(direct) description should be an instrument, not an object.<br/> He insisted that music mustn't simply copy nature, yet at the same time it should be very accurate, so that an audience listening carefully might understand the composer’s intention, and so that music's interpretation might never be decided by emotion alone. He expressed disagreement with the idea of naturalistic intuition of representation in his musical aesthetic view. This was in accord with the romantic aesthetic: expression of emotion and passion is in the centre and the expression of concept equates to the conception of the musical form. Therefore, his contribution in music history developed with a new genre called "Program Music".

      • 리코더의 현대주법과 교육적 측면의 활용

        조진희(Jin-Hee Cho) 낭만음악사 2008 낭만음악 Vol.20 No.4

        리코더는 우리 주변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으면서도 그 예술성에 대해서는 막상 잘 못 인식된 면이 있다.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에 리코더가 어떤 위치였는지, 클래식과 낭만시대에 사람들로부터 외면 받게 된 이유와 또한 20세기에 다시 세상에 나와 예술성과 동시에 교육적 악기로서의 지위와 가능성에 대해 규명한다. 20세기의 아방가르드 음악은 리코더의 중요한 레퍼토리로 자리 잡게 되는데 그 배경과 리코더의 아방가르드 주법을 작품들의 예를 들어가며 제시한다. 1970년대 이후에 홍수처럼 쏟아져 나오는 아방가르드 음악의 한계성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Although a recorder is the most common musical instrument around us, its artistry often passes unnotic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recorder's place in the Renaissance and Baroque period and the reason it was neglected by people in the Romanticism and Classicism period.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examine its position and possibility as an educational instrument as well as its artistic value in the 20th century. This study is to present how Avant-garde music of the 20th century has taken its place as major repertoire of a recorder, and the avant-garde execution of a recorder, taking examples of its works. It is also to study the limitation of a flood of avant-garde music in the 1970s.

      • 음악 이론으로서의 소리 합성 개론

        김진호(Jinho Kim) 낭만음악사 2007 낭만음악 Vol.19 No.4

        소리 합성의 연구 영역은 음악과 공학 및 과학이 서로 만나는 지점이기도 하지만 예술적인 서양 음악의 역사를 특별한 방식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허락하는 한 관점을 제공해줄 수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그러니까 소리 합성의 제 기법들 덕분에 지적이며 예술적인 음악의 재료의 영역은 서양 음악사의 과정을 통해 보다 넓어졌으며 그 재료들을 조직화하는 방법론으로서의 작곡 기법 역시 보다 풍요로워졌고 앞으로도 또 그러할 것이다. 이 논문은 음악 이론 및 정보적 음악학의 연구대상으로서의 소리 합성의 기본 개념과 그 역사, 쟁점, 제 기법들 및 소리 합성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음악적 작품들의 소개를 다루고 있다. The domain of sound synthesis constitutes not only a field where music and science converge but also a viewpoint by which we can reconstruct western artistic music history in a particular way. With the aid of the synthesis techniques the domain of intellectual and artistic music material was enlarged through the western music history, and the compositional techniques as the methodology to organize the musical materials were more enriched. This article surveys the concepts, constituent elements, the pre-history and the history, the points at issue, the models, the profits of the study on sound synthesis, the techniques of sound synthesis, and the digital synthesis-realized musical pieces. As the techniques, this article surveys synthesis by sample, the French Concrete Music and sound treatment, synthesis by wave table, synthesis by vector, granular synthesis and stochastic synthesis of Xenakis, additive synthesis, the spectrum models, subtractive synthesis, the model of sound source-filter, and physical model.

      • 16세기 말과 17세기 초 실내 성악 음악에서 나타난 가사와 음악 간의 관계

        유선옥(SunOK Ryu) 낭만음악사 2009 낭만음악 Vol.22 No.1

        이 논문은 가사와 음악 간의 연관성이 다른 시대보다 더욱 긴밀하였던 16세기 말과 17세기 초의 실내 성악 음악에서 가사와 음악 간의 관계가 어떻게 나타났는지 고찰하여 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16세기 말부터 작곡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 타소(Torquato Tasso, 1544-1595)의 『해방된 예루살렘』(Gerusalemme Liberata)에서 발췌한 에르미니아(Erminia)의 ‘목가적’인 애가, 《종종, 여름의 한창 열기 속에서》(Sovente, allor che su gli estivi ardori, Ⅶ. 19-20)를 동일하게 선택하여, 각기 다른 형태의 음악으로 만든 16세기 말과 17세기 초의 대표적인 작곡가 세 사람, 베르트(Giaches de Wert, 1535-96), 딘디아(Sigismondo d’India, 1592-1629), 치프라(Antonio Cifra, 1584-1629)의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베르트와 딘디아, 치프라는 서로 상이한 음악적 양식과 명칭으로, 즉 베르트는 16세기 말 마드리갈의 일반적 성부 구성인 무반주 5성부 마드리갈로, 딘디아와 치프라는 17세기 초 인기 있는 양식이었던 콘티누오 반주가 있는 독창과 콘티누오 반주가 있는 4성부로 각각 다르게 작곡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가사의 구조와 의미를 음악에 반영하였으며 가사의 의미, 특히 가사의 배후에 숨어 있는 함의와 가사에서 전해지는 감정을 보다 중요시 여겼다. 이처럼 이 세 명의 작곡가들은 이 시대의 실내 성악 음악에서 핵심쟁점이었던 가사와 음악 간의 관계에 대해 유사한 입장을 가지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16세기 말과 17세기 초의 실내 성악 음악이 1600년경을 기점으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음악사의 르네상스와 바로크라는 시대구분을 반영하며 그 구분에 상응하는 주목할 만한 변화를 보이는 것은 아니며, 더욱이 최근에는 1600년경을 역사를 구분하는 시점으로 크게 중요시 여기고 있지 않음을 고찰하여 볼 수 있었다. This thesis tells relationships between the text and music of the chamber vocal music in the late sixteenth and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which is the period that these two factors are most close in their connections. To inquire into these relations, this paper chooses a lament of pastoral feature, Sovente, allor che su gli estivi ardori(Ⅶ. 19-20), abstracted from Torquato Tasso(1544-1595)’s Gerusalemme Liberata which had affected a great influence to the composers from late sixteenth century. In this point of view, this dissertation analyzed the relations of the text and the music through focusing on the works of Giaches de Wert(1535-96), Sigismondo d’India(1592-1629), and Antonio Cifra(1584-1629) who composed different styles of music with above-mentioned text. In result, Wert, d’India, and Cifra compose their works by using respectively madrigal for unaccompanied five-voice madrigal, solo voice with continuo, and four-voice with continuo. Even though they write their music through distinctive musical styles and titles, they reflect the structure and the meaning of text into their works. Furthermore they regard the implicature of text and the feeling from the text as a cardinal element. This fact tells us that these three composers have very similar standpoint to the connections of text and music that is the essential point at issue of that age.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notice that the chamber vocal music in the late sixteenth and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does not reflect the periodization of the Renaissance and the Baroque which are universally accepted as a division into periods in musical history. In addition, the chamber vocal music does not show remarkable changes which are correspondent to the periodization. Moreover, we can identify that the latest academic world does not consider around the year of 1600 as a point of time for distinguish the history.

      • 음악적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총체예술의 필요성과 의의

        박지원(Park Ji Won) 낭만음악사 2008 낭만음악 Vol.20 No.2

        본 연구는 예술의 한 장르로서의 음악의 본질과 함께 빠르게 변모하는 21세기의 다양한 문화콘텐츠, 탈장르 혹은 통합으로 언급되는 예술 장르의 현격한 변화에 발맞추어 음악교육 또한 시대적인 맥락에서 재해석되고 분석, 개발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낭만시대에 특히 팽배했던 공감각 (싸이네스테시아)이론에 착안하여 예술 작품의 이해와 창의성개발을 연계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데 이를 위한 탄탄한 이론적 기반으로써 공감각 (싸이네스테시아)이론이 예술의 총체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연함과 아울러 예술적 통일성에 기여함을 시사하고 자한다. 즉, 총체예술(혹은 예술적 통일성)과 음악교육, 창의성 계발의 연계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총체적인 예술 형태가 시사하는 “우리의 감각이 총체적으로 쓰이고 자극될 때, 그 감흥과 상상력을 극대화, 최대화시킬 수 있음”1)에 주안점을 두고 음악적 창의성에 접근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theory of Synesthesia in application of music education among aesthetic education; to reveal the possible patterns and ideas of synesthesia in 21st century's cultural literacy; to develop musical creativity through "Artistic Integrity" using synesthetic ideas. Synesthesia is "a sensory phenomenon in which stimulus in one sense mode is interpreted in terms appropriate to some other senses or to an associate imagery." This investigation focused on helping students understand music as broader entity while they study associations of art works in the light of 'Total Artworks' or 'Artistic Integrity.' It is hoped that these concepts enrich creative and cognitive thinking processes in music making as an integral part of artistic training and musical sensitivity.

      • 서양음악의 수용과 아시아 - 한국·중국·일본·타이완의 초기 수용과정을 중심으로 -

        민경찬 낭만음악사 2005 낭만음악 Vol.18 No.1

        본 논문은, 한국중국일본타이완 등 아시아 각국에 서양음악이 언제 누구에 의해 무슨 목적으로 전달되었고, 또 그것이 어떻게 수용되었으며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등에 관하여 비교 분석을 통함으로써 유사성과 상이성을 도출해 내어 그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근대음악사 또는 양악사의 전사(前史)에 해당하는 ‘19세기 이전 서양음악의 전달 및 수용 양상’을 고찰해 본 다음 이어 서양음악 수용과정에서 나타난 각 나라의 공통적인 현상을 ‘기독교의 아시아 선교 활동과 서양음악의 전달’, ‘자국의 필요에 의해 수입한 최초의 서양음악’, ‘학교의 음악교육’, ‘학교의 음악교육 내용’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그 결과 ‘선교사-교회-찬송가-미션스쿨-기독교신자’로 이어지는 틀과 함께, ‘국가-국가기관-공립학교-창가-국민’으로 이어지는 틀이 형성되어 초기의 양악사를 장식하였다는 유사성을 추출해 낼 수 있었다. 그리고 유사성이라는 큰 흐름 안에서도 여러 가지 상이한 양상도 도출해 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