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톨릭 계열 신학대학 도서관의 장서개발에 관한 연구

        정윤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Catholic Theological Academic Libraries are successfully implementing their roles of cultivating churchman with their specific objectives and functions well suited. In order to carry out the above goals of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librarians and students at seven Catholic Theological Academic Libraries.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such analyzing methods as F-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library users of the Catholic Theological Academic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current status of their collection development. Second, the library users were satisfied more with their major related materials than with liberal arts related materials. Finally, the Catholic Theological Academic Libraries were highly interested in the development of their book collection although most of them did not even have codified polic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book collection.

      • 알타비스타 프로그램이 유아의 하나님 개념에 미치는 효과

        정윤 총신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인 알타비스타를 기독교유아교육기관에서 실행함으로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을 소개하고, 기독교유아교육과정이 유아의 하나님 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서 교육과정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알타비스타 프로그램이 유아의 하나님 개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1) 알타비스타 프로그램 실시가 유아의 하나님의 개념 중 사랑의 하나님 개념에 프로그램 실시 전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알타비스타 프로그램 실시가 유아의 하나님의 개념 중 전능하신 하나님 개념에 프로그램 실시 전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알타비스타 프로그램 실시가 유아의 하나님의 개념 중 엄하신 하나님 개념에 프로그램 실시 전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4) 알타비스타 프로그램 실시가 유아의 하나님의 개념 중 멀리 계신 하나님 개념에 프로그램 실시 전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 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하나님 개념은 알타비스타 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유아의 사랑의 하나님 개념은 알타비스타 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유아의 전능하신 하나님 개념은 알타비스타 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유아의 엄하신 하나님 개념은 알타비스타 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 보다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지 않았다. 다섯째, 유아의 멀리계신 하나님 개념은 알타비스타 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유추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알타비스타 프로그램은 유아의 하나님 개념 중 사랑의 하나님, 전능하신 하나님, 멀리계신 하나님 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알타비스타 프로그램이 하나님을 친밀하고, 사랑해 주시며, 전능 하신분으로 인식하도록 돕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벌을 주시거나 화를 내시는 엄하신 하나님으로 인식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둘째, 유아의 엄하신 하나님 개념에 대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평균점수가 차이를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는 알타비스타 프로그램 진행 시 담임교사와의 사전 논의와 주요개념에 대한 묵상이 부족했던 점이 원인으로 보여 짐으로, 교사의 알타비스타의 주요개념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전반적인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 다른 해석으로는, 엄하신 하나님과 관련된 주제의 수업을 전개함에 있어서 우리를 사랑하시기 때문에 권위자와 규칙을 세우시고, 이를 통하여 우리를 보호하기 위함이라는 내용으로 전개 되었기에, 엄하신 하나님보다는 사랑의 하나님으로 인식하게 되는 결과를 보였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셋째, 유아의 엄하신 하나님의 개념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사전 점수 보다 사후점수가 더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하나님에 대한 지식이 증가할수록 유아들은 사랑의 하나님으로 인식하며, 엄하신 분으로 생각하지 않게 된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이영주, 2006; 이정민, 2011), 기독교인 교사가 매일 함께 기도하고, 주 1회 예배를 드리는 과정을 통해서 비교집단과 알타비스타 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헙집단 모두 하나님에 대한 지식이 증가함으로서 유아들은 하나님을 친밀하고, 자신을 사랑해 주는 존재로 인식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알타비스타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과 사후 검사에 대한 유아들의 대답을 통해서 유아들의 복음과 관련된 질문 및 하나님 개념에 대한 답변, 수업과 관련된 반응이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 예로, “밤에 예수님이 자꾸 생각나요.”라고 이야기하기도 하였고, 하나님이 계신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에 “느껴져요”라고 대답하는 유아도 있었으며, 실험기간 이후에도 유아들의 그림과 언어적인 표현을 통해서 하나님과 예수님이 계속적으로 표현되었습니다. 이는 알타비스타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인지적인 측면 뿐 만이 아닌, 정서적이며, 영적인 측면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this study is to introduce children's curriculums of Christianity through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s of Christianity executing the Alta Vista program which is one of such curriculums, while verifying the influence of such a curriculum by finding out the effect of the children's curriculums of Christianity on the children’s God concept. The specific issues required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as follows. What kind of effect could the Alta Vista program have on the children’s God concept. 1) What kind of difference is there in terms of the concept about the Lord of love among various concepts of the children about God before and after the Alta Vista program is executed? 2) What kind of difference is there in terms of the concept about the God of omnipotence among various the children’s God concept before and after the Alta Vista program is executed? 3) What kind of difference is there in terms of the concept about the God of rigor among various the children’s God concept before and after the Alta Vista program is executed? 4) What kind of difference is there in terms of the concept about the God from a distance among various the children’s God concept before and after the Alta Vista program is executed? The results for such issues of the study were shown as follows. Firstly, regarding the children’s God concept, the score shown by the experimental group subject to the execution of the Alta Vista program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one shown by the comparative group. Secondly, regarding the children’s God concept of love, the score shown by the experimental group subject to the execution of the Alta Vista program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one shown by the comparative group. Thirdly, regarding the children’s God concept of omnipotence, the score shown by the experimental group subject to the execution of the Alta Vista program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one shown by the comparative group. Fourthly, regarding the children’s God concept of rigo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score shown by the experimental group subject to the execution of the Alta Vista program, and the one shown by the comparative group. Fifthly, regarding the children’s God concept from a distance, the score shown by the experimental group subject to the execution of the Alta Vista program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one shown by the comparative group. Through the abov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verified that based on the execution of the Alta Vista curriculum to the children under the age of 5, their concept towards the Lord could be developed. Therefore, the basis for encouraging any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 of Christianity to apply the Alta Vista curriculum at site was provided. Firstly, the Alta Vista program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ncepts of the God of love and omnipotence as well as the one of the God from a distance, among various the children’s God concept. Such a result shows that the Alta Vista program could help the children to recognize the God as being friendly and omnipotent while providing love. The program does not make them recognize the God as being angry and rigorous while providing punishment. Secondly, regarding the children’s God concept of rigo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erms of the average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Such a result might have been caused by the lack of advance discussions with the head teacher of the children as well as the lack of meditation for the major concepts of such a program regarding the execution of the Alta Vista program. It shows that the teacher's level of understanding towards the major concepts of the Alta Vista program could influence the overall curriculum. According to another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the topics related to the God of rigor, the children understood that the God established and applied various rules because of the love towards us. Since they became aware that the God tried to protect us with such rules, they were able to see the love provided by the God, while not recognizing the God as being rigorous. Thirdly, regarding the children’s God concept of rigor,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showed lower ex post scores compared to the advance ones. Such a result represents that as the children's level of knowledge about the God increases, they tend to see more of the love provided by the God, while not recognizing the God as being rigorous, As the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group subject to the execution of the Alta Vista program prayed to the God together with their Christian teacher each day and had a service once a week, their knowledge about the God increased. As a result, they started to recognize the God as being friendly to them with love. Fourthly, through the answers made by the children under the age of 5 regarding the advance process and the ex post examination of the Alta Vista program, it was possible to see that their answers for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gospel and the concept towards the God changed. Also, they started to show different responses towards the related classes. For example, some of them said that they could not help thinking about Jesus at night. Also, there were some children who said that they could feel the existence of the God when they were asked about how they could find out the existence of the God. Even after the experimental period, they continuously expressed the existence of the God and Jesus through various pictures and lingual expressions. Such results show that the Alta Vista program not only influences the cognitive aspect of the children under the age of 5, but also their emotional and spiritual aspects.

      • 한국 노인 당뇨병 환자에서 근감소성 비만의 발생과 관련 요인 분석 : 2009-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정윤 조선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Objective Sarcopenic obesity is a double burden for older people because it carries the cumulative risk of functional abnormality, metabolic, cardiovascular risk, and mortality compared to either sarcopenia or obesity alone. Identifying individuals at risk and precise, early intervention to prevent sarcopenic obesity can greatly improve public health in today’s aging society. Diabetes is related to an increase in visceral adiposity and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sarcopeni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prevalence of sarcopenic obesity and determine associated factors with sacopenic obesity in Korean older people with diabetes. Research Design and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conduc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rom 2009 to 2010. Out of 19,491 participants, the analysis included data for 3,206 older peopl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dentify independent associated factors with sarcopenic obesity. The complex sample analysis was used for the KNHANES data for weighting all values following the guidance of statistics from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sults The prevalence rates of nonsarcopenic nonobesity, nonsarcopenic obesity, sarcopenic nonobesity, and sarcopenic obesity were 43.2%, 7.7%, 23.5%, and 25.6%, respectively, in all subjects. The prevalence of sarcopenic obesity in older people with diabet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out diabetes (33.9% vs. 23.4%, p-value < 0.001). Diabetes was an independent associated factor with sarcopenic obesity in korean older people after fully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including chronic diseases, sociodemographic influences, and lifestyle differences. Among the older people with diabetes, undiagnosed diabetes, diabetes duration with more than 10 years, elevated diastolic blood pressure, known hypertension, increased intake of protein, and number of comorbidity were independent associated factors with higher risk of sarcopenic obesity. History of stroke and increased vitamin D level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sarcopenic obesity. Conclusion Diabetes influenced the sarcopenic obesity risk in Korean older people. Undiagnosed diabetes, diabetes duration with more than 10 years, elevated diastolic blood pressure, known hypertension, increased intake of protein, number of comorbidity, history of stroke, and vitamin D level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sarcopenic obesity in Korean older people with diabetes.

      • 강렬한 상대론적 전자빔을 이용한 가상 음극 발진기의 제작과 고출력 마이크로파의 발생 및 진단

        정윤 광운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강렬한 상대론적 전자빔 발생 장치인 “천둥”(최대 600 kV, 85 kA, 60 ns)을 이용하여 축방향 출력 가상 음극 발진기(axially_extracted Virtual Cathode Oscillator : Vircator)를 제작하였다. 가상 음극 발진기는 진공 도파관을 진행하는 전자빔이 공간 전하 한계 전류(space charge limiting current)를 초과할 때 생기는 가상 음극을 이용한 것으로 고출력원으로서(~ GW)의 장점이 있다. 실제 제작에 앞서 실험을 통해 전류 밀도를 측정하였으며 이것을 변수로 하여 2차원 PIC(Particle In Cell) 코드인 MAGIC을 이용하여 가상 음극의 동작 원리를 관찰하고 발진기의 주파수와 출력을 예측하였다. 전산모사의 결과를 토대로 가상 음극 발진기를 제작하였는데 다이오드 전압 300 kV, 양극(anode)과 음극(cathode)의 간격(A-K gap)이 5 mm일 때 전류 밀도는 1 kA/cm2였으며 최대 출력은 200 MW로 측정되었다. 주요한 동작 주파수는 7.25(±0.25) GHz로 전산모사와 일치하였으며 이 대역에서의 출력은 195 MW로 전력 변환 효율이 3.3 %이고 기체 방전 실험 결과 전파 모드는 TM01임을 확인하였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virtual cathode is formed when the electron beam current in the drift region exceeds the space charge limiting current. In this study, The axially extracted virtual cathode oscillator(Vircator), which is the new conceptual device and the ultra-high power(~ GW) microwave generator, with "Chungdoong" intense relativistic electron beam pulser(max. 600 kV, 85 kA, 60 ns) has been constructed. The virtual cathode formation has been numerically simulated by two dimensional PIC code "MAGIC", from which the dominant frequency and the extracted power have been evaluated before the experiment. In experiments, the incident current density into drift tube was measured to be 1 kA/cm2 under the diode voltage and the A-K gap were kept to be 300 kV and 5 mm respectively. The maximum extracted power of the fabricated vircator was found to be about 200 MW at the frequency range of 7.25(±0.25) GHz, and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was calculated to be 3.3 %. Also the microwave propagation mode was found to be TM01 from the gas discharge experiment, which shows good agreements with the simulation results.

      • 建築 設計情報 管理시스템 開發에 관한 硏究 : 段階別 設計情報 管理를 中心으로

        정윤 목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축산업분야의 경쟁이 심화되고, 업무 생산성 제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건축설계 분야의 설계정보의 수집·관리를 위한 체계정비가 절실한 시점이나 설계업무 수행과정 중에 수집·생성·관리되는 자료 및 정보가 정리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미 정보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분야에 비하여 건축설계업무는 문제의 구체화와 해결안을 수립하기 위하여 더 많은 자료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유동적이고 복잡하게 얽혀 있는 수많은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각종 정보들의 수집 및 관리를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프로젝트의 완성을 위해서 선택과 의사결정의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건축설계업무는 설계과정에서 발생되는 설계정보의 일관성 있는 관리를 통한 업무보조용 시스템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설계업무 과정 중 수집·생성되는 설계정보를 설계단계별로 구분하여 세부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특성에 따라 유형화하여 시스템에서 관리해야할 설계정보를 선정하였다. 설계정보의 수집·가공·입력·갱신 측면에서 활용성, 필요성 등에 의한 정보의 중요도를 근거로 데이터베이스화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설계정보들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설계업무 보조를 위한 방안으로 설계정보 관리시스템 프로토타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크게 설계단계별 설계정보의 파악과 이를 전산화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설계업무 보조를 위한 설계정보 관리 시스템의 프로토타입 개발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중·소규모 설계사무소에 적합한 설계정보 관리시스템을 주요한 주제로 삼아 연구의 결과가 향후 열악한 건축설계사무소의 여건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n This expending society, the volume of architecture project is changing to largeness, high-rise and complication. Therefore it requires using data and information solution through professional organization. It is hard to figure out complicated architecture requirement even though decision has made. The information is valuable resource as well as potential reason to accelerate society movement. Architectural work is a kind of repetition and circulation with researching and processing of diverse data, to improve work efficiently and quality, therefore fast analysis should be needed to related data and also collecting data in wide area. This research has achieved design data management system for data in architecture design process, which is carried systemized management and researching. Using this prototype system, the architect who maintains small architect office can accumulate and analyze design data by the process of the project.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is system is architect can use these data and information for the next project.

      • 중국 농촌정책 개혁에 대한 연구 : 토지제도를 중심으로

        정윤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은 농업국이므로 농업, 농촌, 농민의 삼농문제는 중국의 지속적인 발전을 반드시 해결해야할 과제다. 특히, 세계화와 이에 따른 중국의 WTO 가입으로 농촌문제의 해결은 전면소강사회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결해야할 어렵지만 중요한 과제다. 농민의 소강이 없으면 전체 국민의 소강도 없고, 농촌의 현대화가 없으면 국가의 현대화가 없기 때문이다. 농촌문제는 토지문제와 도시화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중국은 국가발전을 위해서는 중국사회주의 시장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농촌토지제도를 모색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그간의 토지제도를 비판적으로 정리하고 선진국의 토지제도를 살펴보는 것은 전면적인 소강사회 건설에 기여할 있는 새로운 토지제도를 모색하는데 필수적인 작업이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우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농촌토지제도의 변천과정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고 외국의 농촌제도를 살펴봄으로써 농촌토지제도의 개혁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농촌정책의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고 농촌정책 특히 토지제도의 의미를 살펴본다. 제3장은 토지제도의 변천과정을 통해 중국농촌현황을 분석하고 중국농촌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한다. 제4장은 미국과 일본의 토지제도를 분석한 뒤 중국농촌도지개혁에 대한 함의를 찾아본다. 제5장에서는 농촌정책의 새로운 상황과 문제점을 제시한 뒤, 2012년 중국공산당 18대 회의와 2016년 13개5년 규획에서 제시한 개혁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농촌정책의 개혁방향을 제시한다. 결론에서는 현행 농촌정책 평가와 외국 농촌제도개혁 경험을 참고하여 중국농촌정책 개혁의 목표와 제도적 방안을 제시한다. 핵심어: 중국, 농촌토지제도, 토지재산제도, 소작제도, 가정연산도급제도

      • 노인의 가족관계별 식단 만족도 연구

        정윤 韓瑞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eating styles of the 218 younger elderly aged 50 to 75, sampled in Choong-Nam province in 2000.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summarized that the older groups who live in three generation household and have domestic roles are more likely to have meals alone, and therefore less likely to enjoy taste of meal in general.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in order to deliver a better service to the users various meal service, the eating houses are carefully designed to meet local residents' need for service and help them have a wider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At the same time, it's necessary to enlighten their sense of welfare and create more favorable public opinion for the elderly issues. Second, more programs should be utilized for the group of weak tendency; for instance, older groups of domestic chore burden caring grandchildren should be given special welfare meal program of intergenerational pastime program.

      •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문화인식 및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정윤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Multicultural population including children through multicultural population influx has increased. Together with this, new cultures come and interact with the original culture, thus causing multicultural education at school became important. Following this, though multicultural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at school,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using of creativity experiment activity time, teaching learning method, teacher’s burden, etc. These cases bring the author of this research comes to an idea to perform multicultural education during the general academic class time so the process can be more effectively carried, and do the study about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language textbook on cultural awarenes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in what form does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language textbooks can be implemented?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multicultural awarenes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skill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o solve the problems,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language textbooks were introduced in 14 sessions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extbooks focusing in language teaching were performed in the control group. The changing of th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critical thinking skill were observ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awareness results, showed to be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 average improvement of the multicultural awareness in pre and post-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can be seen. From this result,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language textbooks is proven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multicultural awareness’ enhancement. Second, critical thinking skill analysis test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ith increased average scores in experimental group’s pre and post-test’s results. Moreover, after the program being introduced, the critical thinking skill result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except the sub elements, all showed increasing trend in the average improvement. From thes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language textbook is seen to have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critical thinking skills of the students. Third,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students’ activity paper and class impression showed results that students have interest and concern toward various cultures and have commitment to respect them. It can be seen that the students want to learn others’ opinion and have initiative to tell their own opinions through active, subjective, and vigorous discussi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how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utilizing language textbook has positive impact on students' cultural awareness and critical thinking skill. This result is suggest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ing applied in regular academic class and can be utilize together with the academic goal. In the future, more researches involving various grades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using various subjects to apply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are suggested. * Keywords: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awareness, critical thinking 다문화인구유입으로 다문화아동을 포함한 다문화 인구가 증가하였다. 이와 함께 새로운 문화가 유입되고 기존의 문화도 변화를 겪게 되어 자연스럽게 학교에서의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학교에서 다문화교육이 실시되고 있지만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통한 다문화 교육은 시간 운영, 교수학습방법, 교사의 교수 부담 등에 있어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는 교과 시간을 활용하여 다문화 교육을 실시하면 더 실천적이고 효율적인 다문화교육을 실시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국어교과서를 활용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문화인식 및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은 어떤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가? 둘째,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다문화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비판적 사고력은 차이가 있는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에는 14회의 국어교과서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투입하였고, 비교집단은 교과서중심의 국어 수업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다문화인식과 비판적 사고력의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정규 교과 수업을 진행한 비교집단의 다문화 인식 비교 결과, 실험집단의 다문화 인식의 평균이 높은 결과를 보였고,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결과를 비교한 결과도 다문화 인식의 모든 항목에 있어 평균의 향상을 볼 수 있었다. 이 결과로서 국어교과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의 다문화 인식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비판적 사고기능 검사 분석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 분석 결과도 비판적 사고기능의 항목에 있어 평균의 향상이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 분석 결과 프로그램 투입 후 모든 항목의 평균이 실험집단에서 더 높은 값을 보였다.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 분석 결과, 비판적 사고 성향의 각 항목에 있어 일부 하위 요소를 제외하고 유의미한 평균의 향상을 볼 수 있었다. 이 결과로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은 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학생들의 활동지와 수업소감문을 통한 질적분석 결과 학생들은 다양한 문화에 흥미와 관심을 보이고 존중해야겠다는 다짐을 보였으며, 친구들의 다양한 의견을 들어보고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는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과정 속에 건전한 회의성, 객관성, 철저성의 모습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과 비판적 사고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정규 교과 시간을 활용하여 교과 목표 달성과 함께 다문화 교육 목표 달성도 이룰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이 연구는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다문화교육의 아이디어를 제공한 점에서 연구의의를 갖는다. 앞으로 초등학교의 다양한 학년과 중·고등학교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연구와 다양한 과목에 적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