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학교에서의 선교교육이 사역현장에 미치는 영향 : 총신대 선교대학원을 중심으로

        박영주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87

        한국교회의 성장은 하나님의 축복이요 복음에 빚진 자가 되어 열방을 향해 나아가기를 하나님은 열망하실 것이다. 그러나 한국교회가 해가 거듭할수록 성장은 멈춰지고 앞만 보고 무작정 달려온 후유증들이 한국교회의 여기저기서 흘러나오고 있다. 선교역시 시대의 유행처럼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하다보니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커져 세상에서 오히려 빛을 잃어가고 있는 현실이다. 지금이야말로 한국교회에서조차 세계 선교의 사명을 감당하기 위하여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선교교육이 절실하게 필요하며, 신앙과 자질을 갖춘 선교지도자들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신학교에서의 선교교육의 모습을 알아보고 그 가운데서도 총신대 선교대학원의 선교교육이 그들이 섬기는 사역현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연구 분석하여 앞으로의 한국교회 선교 사역에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를 위한 견본 추출에 있어서 생각만큼 쉽지는 않았지만 본 논문을 계기로 학교에 대한 애정이 더욱 고취되었고, 실질적으로 사역현장에서 섬기고 계시는 선배 목회자와 선교사님들의 학교에 대한 자긍심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첫째, 21세기 세계선교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 한국교회에 신학교에서의 선교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더욱 인식되기를 바라고 둘째로, 총신대 선교대학원이 하나님이 세우신 목적대로 드려질 수 있도록 본교에서의 선교교육이 더욱 발전되고 사역 현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지대함을 알고 영적 탁월성과 함께 전문성을 지닌 지도자를 양성하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도 주님의 이름으로 국내외 사역 현장에서 드려지고 있는 선배들에게 하나님의 위로하심이 늘 충만하기를 기도드린다.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채플 만족도 연구

        이찬일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71

        1. 연구의 목적 및 문제 제기 채플은 기독교 대학에서 공통적으로 찾아 볼 수 있는 예배이다. 여기에서 ‘기독교 대학’이란 선교사나 교단 또는 기독교인이 기독교 이념 혹은 기독교 정신을 토대로 하여 고등 교육을 구현하기 위해 설립한 기간을 말한다.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역시 이것에 부합되는 교육목적을 지니며, 채플을 드린다.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의 교육목적은 ‘1.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합동)의 교단에서 사역할 목회자 양성, 2. 민족복음화와 세계선교의 주역이 될 선교일꾼의 양성, 3. 기독교 문화 창달에 기여할 일꾼을 양성에 있다.’ 이다.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은 현재 화요일에서 금요일까지 오전 11:30부터 12:15분까지 시간을 정해놓고 ‘채플’을 드리고 있다. 이 채플은 ‘실천’이라는 과목이라고 표현되어 학생들은 한학기도 예외 없이 매 학기 전체 채플 수의 80%의 출석을 해야지만 이 과목을 통과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매 학기 너무나도 당연시 드리는 예배에 문제점이 속속들이 드러나고 있다. 예배 태도의 문제와 출석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극명하게 드러내 주는 사건은 2012년 5월 달에 있었던 채플 불시 점검이었다. 현재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의 채플 출석은 채플 시작 전 지문을 이용하여 전산으로 출석 체크를 하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2012년 5월 달에는 카드를 이용한 출석 체크를 했었고 마음만 먹으면 대리 출석 및 출석만 확인 후 도망가는 일이 가능 했다. 학생들에게선 이러한 행위를 ‘찍튀’라는 이름을 통해 공공연하게 알려지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던 중 학교기관인 경견훈련원 측에서 실시한 2012년 5월 25일에 있는 채플 불시 검사에서 대리 출석(예배 불참), 출석 입력 후 예배당 이탈의 명목으로 97명이 적발되는 일이 있었다. 이러한 수치는 목회자를 양성하는 학교에서 있어서는 안 되는 아주 큰 문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채플에 대한 실태에 대해 정확하게 연구되지 못했던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 속에서 지금 쯤 학교 채플에 대한 정확한 의미와 그 실태에 조사를 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드리고 있는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만의 채플에 대한 정의 및 의미와 양적 조사를 통한 채플에 대한 만족도 및 생각을 제시 한 후 올바른 채플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려 한다.

      • 신학대학원생 MMPI특성에 관한 연구

        김석주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신학대학원생(목회자 후보생)의 MMPI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현대사회는 고도 산업화 시대로 개인의 가치를 능력과 업적만으로 평가하는 경쟁적 사회구조로 변화시켰으며, 인간관계를 긴장유발과 가치의 부재, 인간애 상실 등 여러 가지 역기능적 사회문제를 야기했다. 바로 이로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미래의 목회를 준비하는 신학대학원생은 성도들로 하여금 높은 영적인 삶을 살도록 인도하면서 한편으로 본을 보여야 한다. 결국 인격적인 면에서 지도자가 되어야 하고, 성격 또한 원만해야 할 것이다. 목회가 성령의 사역이라고 한다면, 성령의 담지자(擔持者)인 목회자는 경건하고 건전한 목회 윤리를 소유하고 바람직한 인격을 겸비한 인간형성이 되어져야만 그 사역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목회자 후보생의 성격특성을 아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할 것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학대학원생과 한국규준그룹간 성격특성상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신학대학원생의 남학생 그룹과 여학생 그룹간 성격특성상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신학대학원생의 연령별, 대학 전공별간 성격특성상 어떤 차이가 있는가? 넷째, 신학대학원생과 목사 그룹간 성격특성상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생을 대상으로 2005년도 신입생 및 복학생을 표본으로 하여 566문항 MMPI검사를 직접 실시하고, 컴퓨터 자동채점 후 그 결과를 전산처리 하였다. 결과처리에 사용된 자료는 총 346명의 MMPI척도이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배경변인에 따른 MMPI 각 척도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One-way ANOVA 그리고 사후검증으로 @Scheffe˘의 통계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신대원생그룹과 한국남자규준그룹의 MMPI척도별 차이를 볼 때, 타당도척도에서 F척도는 한국남자규준그룹이, K척도는 남자 신대원생그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척도에서는 Hs, D, Pd, Pa, Pt, Sc, Ma, Si척도가 한국남자규준그룹이 남자 신대원생그룹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 신대원생그룹은 Hy, Mf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여자 신대원생그룹과 한국규준그룹 MMPI 검사결과로 타당도척도에서 F척도는 한국여자규준그룹이, K척도는 여자 신대원생그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척도에서는 Pa, Si(p<.05), D, Mf(p<.01), Pt, Sc(p<.001), 그리고 Ma척도에서 한국여자규준그룹이 여자 신대원생그룹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s척도는 여자 신대원생그룹이 규준그룹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MMPI 검사결과에서 나타난 성별 타당도척도 및 임상척도 점수의 경우 L, K척도가 남학생 보다 여학생이 높게 나왔으며, F척도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게 나왔다. 그러나 구체적인 차이의 정도는 L, K척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척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Mf, Pt, Sc, Si에서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Hs, D, Hy, Pd, Pa, Ma에서 각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f척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셋째, MMPI 검사결과에서 나타난 연령별 타당도척도 및 임상척도 결과는 각각 다음과 같다. 남학생그룹의 경우, 타당도척도에서 L척도는 만45~54세, F척도는 만15~24세 그리고 K척도는 만25~34세 그룹이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는다. 여학생그룹의 경우는 타당도척도에서 L, F, K척도 모두에서 만35~44세 그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척도에서는 만35~44세 그룹이 Hs, D, Hy, Pa, Pt, Sc, Ma에서 만15~14세 그룹이 Mf, Si 그리고 만25~34세 그룹이 Pd에서 각각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각각의 척도에 있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대학 전공별 남여그룹의 타당도척도 및 임상척도 결과는 각각 다음과 같다. 남학생그룹의 경우 대학 전공에 따른 MMPI척도는 거의 차이가 보이지 않는다. 여학생의 경우는 남학생의 경우와는 달리 그룹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척도가 있는데, Hs와 Sc척도에서 일반대 출신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다. 통계적인 유의미성은 보이지 않으나, Mf척도에 있어 신학대 신학전공의 여학생그룹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남자 신대원생그룹과 목사 그룹간의 타당도척도 및 임상척도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타당도척도의 L척도를 제외하고 모든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신대원생(남자)의 경우 목사 그룹에 비해 F(p<.05), Pd(p<.01), Pa(p<.001), Ma(p<.001), Si(p<.01)에서 낮은 점수를 보여 주고 있다. 한편 K(p<.001), Hs(p<.001), D (p<.001), Hy(p<.001), Mf(p<.001), Pt(p<.01), Sc(p<.001)에서는 목사 그룹에 비해 신대원생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왔다. This research is about MMPI characteristic of Seminary student (Pastor candidate) Modern society is a highly industrialized society and so changed in competitive social structure that simply evaluate individual's value by ability and results and bring about a social problem of various kinds of dysfunction (stress of human relation, the lose of humanity) According to the demands of the times Seminary student must be a good example to church members and lead so as to live highly spiritual life ultumately They must be fugles in personal aspect, and bear a good character Because Ministry is the work of Holy Ghost, MInister can be equal to the task by Minister who full of Holy Ghost possesing the pious and sound pastoral morals and by becoming a man of noble. Therefore, it is sure that must be prior first of all that undestand special quality of personality of pastoral candidates Therefore, the ostensive substanc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what is difference in personality between seminary student and Korea canon group? Second, what is difference in personality between girl student group with boy student group of seminary ? Third, what is difference in personality according to age, major, college ? Fourth, what is difference between pastoral cadidate group and pastor group?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MMPI examinations about 566 subjects to students of Chongshin seminary it is sampled type of freshman and student who go back to school in 2005 year and handled the result computing after computer automatic marking. Data that is used for handling result is MMPI measure of 346 persons. In other to investigate traits of demography, is outputed according to frequency and percent, and so as to search MMPI each measure difference by background variance and is used statistical analysis method like one-way, ANOVA, scheffe for an expostfacto examination If present analysis result laying stress on research contents of these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when one analysis MMPI measure difference between male group of seminary student and male canon group of korea, In resonable-measure, It exposed that by F-scale, male canon group of korea is more than male group of seminary student by K-scale, the former is more high than the latter It is uncovered that male canon group of korea is more high statistically and meaningfully in Hs, D, Pd, Pa, Pt, Sc, Ma, Si scale of clinic measure than male group of seminary. though It is revealed that male group of seminary is more high than them in Hy, Mf scale but meaningless statistially accoring to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female group of seminary student and male canon group of korea in resonable-measure It is uncovered that the latter is more high than the former by F-scale and the former is more high than the latter by K-scale In clinic measure, male canon group of korea is more high meaningfully and statistially than female group of seminary student by Pa, Si(p<.05), D, Mf(p<.01), Pt, Sc(p<.001),and in Ma scale also although It is uncovered that female group of seminary student is more high than male canon group of korea but is insignificant statistially Second, MMPI examination result appears that male student of seminary is more high than female student of seminary in sex, resonable criterion and clinic criterion by L,K-scale but concretely diffrence is seldom by all of L,k scale and is insignficant statistially , In clinic measure a Man is more high than a woman and by Mf, Pt, Sc, Si a woman is high and by Hs, D, Hy, Pd, Pa, Ma also Specially,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Mf-scale statistically (p < . 001) Third, the result of examination is shown in the results of sex, resonable scale, and clinic scale as following In the case of male student group, L-scale in clinic measure is an excellent grade group o fat least 45 ~ 54 years old, group of15-24 years old in F-scale and group of 25-34 years old in K-scale but the difference is scaresly meaningfully and statistically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 group at least 35 ~ 44-year-old group was expose that is high in L, F, K measure in resonable scale measure In clinic measure 35 ~ 44-year-old groups in Hs, D, Hy, Pa, Pt, Sc, Ma, 15 ~ 14-year-old group in Mf, Si and 25 ~ 34-year-old groups in Pd each high appear But difference in each measure is not meaning as statistically. Fourth, the point of rasonable scale and clinic scale of college, major, female, male categories as each following in the case of boy student group, difference of MMPI measure by college major does not look almost. girl student's case do not correspond with boy student's case, there is a gap meaningfully between group, students who graduate from a university was the highest point in Hs and Sc measure. there is insignificance statistically. but in Mf measure it appears that woman of seminary student is highest Fifth, the result appeared as following in resonable and clinic measure between men of seminary student and pastor group. taken altogether except L-scale in resonable measure, in all measure there is difference statistically. Specially, seminary student(men) is lower point than pastor group in F(p<.05), Pd(p<.01), Pa(p<.001), Ma(p<.001), Si(p<.01) On the other hand, seminary student(men) is meaningfully in statistically than pastor group in K (p < . 001), Hs (p < . 001), D (p < . 001), Hy (p < . 001), Mf (p < . 001), Pt (p < . 01), Sc (p < . 001).

      • 여성 신학대학원생이 겪는 갈등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목회상담적 함의

        서지연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nature of the conflict experienced with female seminary students through Van Manen'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at reveals the essential structure of human life world experience so that it can resonate with the readers and lead to practical knowledge. In addition, by analyzing, interpreting, and discussing the results of such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pastoral counseling, the author broaden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about the conflicts experienced by female seminary students, and seek out the pastoral counseling implications that can help them, personal dimen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It was intended to suggest alternatives in the dimension of the social and structural dimensions. At the personal level, Karen Horney's conflict theory, Marshall B. Rosenberg's Nonviolent Communication at the interpersonal level, and Howard Zehr's restorative justice at the social structural level were used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conflict of the study participan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selected 6 women enrolled in a conservative seminary in Korea. The knowledge based on intersubjectivity, which began with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and expanded to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made to feel through the literature and art works through hermeneutic cycle. After collecting experiential data from the researcher's experience, data on experiences of others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the study participants and observation notes. The text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analysis through hermeneutic reflection and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writing. The 150 semantic units derived as a result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110 revealed themes and 28 essential themes, and divided into 4 entities: lived space, lived body, temporality, and relationship. Experienced spatiality is an invisible wall (limitation) that denies women’s talents and existence, ‘Reduction of the possibility of self-existence’, ‘unchanging wall’, ‘glass ceiling syndrome’, ‘community connected with pain’, ‘chaotic identity in the community’, and ‘a training ground for warriors’. Experienced bodily nature is a torch (patience) of sin and strife between already and still,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world and the church(Seminary)’, ‘the advantageous evangelist’, ‘spirit and body bound together’, ‘the bonsai of the mind’, ‘freedom seized by others’, ‘anxiety and fear of targets of sexual crime’, ‘exposure to the violence of prejudice and gaze’, and ’the source of patience: sadness’. Experienced temporality is a mixed tense and emotion (confusion), ‘the gap between the past and other reality’, ‘the life of the Chosun Dynasty’, ‘the reality that cannot be surpassed’, ‘the cloud of the future’, ‘the longing for an equal human hidden in the wounds (blame)’, ‘living with difficulties’, ‘a mission that is firmer than the past’, and ‘fruits from the time of chaos’. The experienced relationship is a tension between the desire for equality and the ignorance of others, ‘new status system’, ‘carrying the burden alone’, ‘hidden stereotypes in consideration’, ‘black hole in relations’, ‘Immanuel in tribulation’, ‘human support’. The main theme that can encompass the experience of the entit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is the struggle (patience) of sanctification between ‘already not yet’ transforming into a leader who transcends the limits and changes the world. It is like a process of training to change the world beautifully by allowing butterflies to come to the world through a painful metamorphosis and to give life to plants by buried pollen. It was to help female seminary students to blossom the life and healing of the soul and make the environment beautiful by delivering the love of God to the world through the struggle of sanctification between the painful of already not yet. However, if an environment where appropriate pastoral care is provided in the process of suffering, female seminary graduates can play a role and function like a butterfly as a minister, but in a dire environment where adequate pastoral care is lacking, the situation is able to have a negative impa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stud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conflict experiences of female seminary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female seminary students are limited in ministry due to the current denominational position on women's ordination, the traditional culture of sexism that has not changed in the church, men's ignorance and prejudice toward women, and the tendency to avoid responsibility rather than protecting victims in the event of sexual problems, poverty issue, female childbirth issue and the lack of compatibility between ministry, female worker's career model, equal treatment as a minister, and lack of respect for ministry and sincere care, personal psychological conflict, family conflict, interpersonal conflict, gender It was found that it leads to conflict between people and commun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as an alternative, the treatment of equal ministers as pastoral care that pastors and believers can do, respect for the ministry of female seminary student, and providing genuine care are suggested as alternatives. As an alternative to professional pastoral counseling that professional pastoral counselors can do, the analysis of the conditions for developing conflict, the belief that it can change, and the practice of revealing needs through non-violent comunication are presented. Pastoral theology and social structural alternatives that can be made at the individual, community, and general assembly level are the provision of career models and professional curriculum of seminary for women, establishment of a sexual violence prevention center and counseling welfare center for female ministers, and the Shalom Paradigm movement. 본 연구는 인간의 생활세계 경험의 본질 구조를 드러내어 독자들과 공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반 매넌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여성 신학대학원생들이 겪은 갈등의 본질 구조와 의미를 드러내고 이를 실천적 지식으로 이끌고자 하였다. 또한 이 같은 연구결과를 목회상담학적 관점에서 분석, 해석, 논의하면서 여성 신학대학원생이 겪은 갈등에 대하여 이해의 지평을 넓혀 그들을 도울 수 있는 목회상담학적 함의를 찾아 예방과 치료를 위한 개인적 차원, 대인 관계적 차원, 사회구조적 차원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인적 차원에서는 카렌호나이의 갈등이론, 대인관계적 차원에서는 먀살 B. 로젠버그의 비폭력대화, 사회구조적 차원에서는 하워드 제어의 회복적 정의로 연구참여자의 갈등을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연구자는 보수교단의 신학대학원에 재학 중인 여성들 중 6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자의 경험으로부터 시작하여 연구참여자의 경험으로 확장한 상호주관성에 기반한 해석학적 순환으로 독자들에게 문학작품과 예술작품을 통해 느끼도록 하였다. 연구자의 경험에서 체험자료를 수집한 후 연구참여자의 심층면담과 글, 관찰일지을 통하여 타인의 경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에 근거하여 텍스트 구성하고, 해석학적 반성을 통한 분석과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의 절차를 따라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로 도출된 150개의 의미단위는 110개의 드러난 주제, 28개의 본질적 주제로 간추려 4개의 실존체인 공간성, 몸성, 시간성, 관계성 별로 나누었다. 체험된 공간성은 여성의 달란트와 존재를 부정케 하는 보이지 않는 벽(한계)로 ‘자기 존재 가능성의 축소’, ‘만고불변의 벽’, ‘유리천장 신드롬’, ‘아픔으로 연대된 공동체’, ‘공동체 속 혼돈된 정체성’, ‘전사의 훈련장’으로 드러났다. 체험된 몸성은 이미와 아직 사이에서 죄와 고투의 성화痛(인내)으로 ‘세상과 교회 (신대원)의 온도차’, ‘유리하는 복음전달자’, ‘영육이 묶임’, ‘마음의 분재(盆栽)화’, ‘타인에게 압류된 자유’, ‘성범죄 타깃의 불안과 두려움’, ‘편견과 시선의 폭력에 노출’, ‘인내의 근원 : 애심’으로 드러났다. 체험된 시간성은 뒤섞인(혼재된) 시제와 감정(혼돈)으로 ‘과거와 다른 현실의 괴리’, ‘조선 시대 삶 영위’, ‘뛰어넘을 수 없는 현실’, ‘앞날에 드리운 운무(雲霧)’, ‘상처(비난) 속 숨겨진 동등한 인간에 대한 갈망’, ‘난제와 함께 살아내기’, ‘과거보다 확고해진 사명’, ‘혼돈의 시간에서 얻은 열매’로 드러났다. 체험된 관계성은 동등함의 욕구와 타인의 무지 사이에서 긴장으로 ‘새로운 신분제’, ‘혼자 짐 짊어지기’, ‘배려 속 숨은 고정관념’, ‘관계 속 블랙홀’, ‘환난 속 임마누엘’, ‘사람 버팀목’으로 드러났다. 연구참여자의 실존 경험을 포괄할 수 있는 대주제는 한계를 뛰어넘어 세상을 변화시키는 지도자로서 탈바꿈하는 이미와 아직 사이에서 성화의 고투(인내) 과정이다. 나비가 고통스러운 변태과정을 거쳐 세상에 나와 꽃가루를 묻혀 전함으로 식물에게 생명을 피울 수 있게 함으로 세상을 아름답게 변화시키어 갈 수 있도록 훈련하는 과정과 같다. 여성 신학대학원생들이 고통스러운 이미와 아직 사이에 성화의 고투 과정을 거쳐 세상에 하나님의 사랑을 전함으로 영혼의 생명과 치유를 꽃 피울 수 있도록 돕고 그 환경을 아름답게 만들어 가도록 하는것이었다. 그러나 고통의 과정에서 적절한 목회돌봄이 제공되는 환경이면 여성 신학대학원생들이 사역자로서의 마치 나비와도 같은 역할과 기능을 할 수 있지만 적절한 목회돌봄이 제공이 결핍되는 처절한 환경이면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질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신학대학원생의 갈등 경험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여성 신학대학원생들은 여성목사안수 불허로 인한 사역의 한계, 교회 안에 바뀌지 않은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성차별적 문화, 남성들의 여성에 대한 무지와 편견, 성과 관련된 문제 발생 시 피해자 보호보다는 책임 회피적 경향, 경제적 빈곤 문제, 여성의 출산문제와 사역의 양립 가능성 불투명, 여성 사역자의 진로 모델 부재, 사역자로서 동등한 대우 및 사역의 존중과 진정성 있는 돌봄 등의 부재로 인하여 개인 심리적 갈등, 가족갈등, 대인관계 갈등, 젠더간의 갈등, 공동체 갈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회자들과 성도들이 할 수 있는 목회돌봄으로서의 동등한 사역자의 대우, 여성 신학대학원생의 사역 존중, 진정성 있는 돌봄 제공을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전문목회상담사들이 할 수 있는 전문적인 목회상담의 대안으로 갈등을 발전시키는 조건 분석, 변화할 수 있다는 믿음, 비폭력대화로 욕구 드러내기 훈습을 제시하였다. 개인과 공동체, 총회차원에서 할 수 있는 목회신학적, 사회구조적 대안은 여성신학대학원의 진로 모델 및 전문 커리큘럼 제공, 여성 사역자 성폭력 예방센터 및 상담복지센터 설립, 샬롬 페러다임 운동을 제시하였다.

      • 기독대학생의 불안수준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불안특성 분석과 목회상담학적 함의

        김온유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기독대학생의 불안수준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불안특성을 조사 연구하여 목회상담학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독대학생들이 가지는 대학생활에서의 특성들은 불안이라는 문제 앞에서 다양하고도 특별한 불안유형과 특성의 수준들이 있다고 가정하고 그 불안수준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불안특성들을 연구하기 위해 그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들의 일반적인 특성, 불안수준(고, 중, 저)에 따른 진로장벽, 심리적 특성, 신앙생활의 차이, 불안과 영향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불안요인은 무엇인지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대상 표집은 조사 당시 신학과 332명, 일반학과 1350여명(합1682여명)인 기독교종합대학 총신대학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 되었다. 그 가운데 500명 대상을 무작위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7년 4월 1일부터 6월 5일까지 실시하였고, 총 500부를 배부하여 471부를 회수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 방법으로 첫째, 기독대학생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기독대학생의 수준(고, 중, 저)에 따른 진로장벽, 심리적 특성과 신앙생활의 차이는 어떠한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셋째, 기독대학생의 불안과 영향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기독대학생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체계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한 결과 불안 저 집단은 전체 중 19.3%, 중 집단은 62.6%, 고 집단은 18%로 분포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로 나타났다. 첫째, 연구결과 진로 및 진로 특성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력 결과를 살펴보면, 진로계획으로써 대학 졸업 후의 진로는 결정여부를 질문한 결과, ‘그렇다’가 76.1%, ‘아니다’ 23.9%로 과반수이상이 진로를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졸업 후의 진로는 어떻게 계획하고 있는지를 질문한 결과에는 ‘취업’이 32.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대학원 진학, 기타, 유학 순이었다. 대학 졸업 후의 취업(혹은 진학)을 위하여 어느 정도 준비하고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에서는 ‘보통’이 33.3%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별로 열심히 하고 있지 않음’, ‘비교적 열심히 하고 있음’, ‘전혀 하고 있지 않음’, ‘매우 열심히 하고 있음’ 순으로 나타났다. 즉 졸업 후의 진로결정(대학원진학 포함)이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벽은 진로에 대한 불안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인데 대인관계 어려움, 자기명확성 부족, 경제적 어려움,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직업 정보의 부족, 나이문제, 신체적 열등감, 흥미부족, 미래 불안들은 기독 대학생의 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독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의 결과를 살펴보면, 회복탄력성과 부모애착이 기독 대학생의 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부모애착도가 안정적으로 형성되었을수록 불안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독 대학생의 신앙생활 특성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성경읽기, 교회생활참여도, 교회에서의 신앙 상담 경험, 상담기관 상담 경험이 기독 대학생의 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앙생활 특성이 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교회 신앙 상담 경험, 성경읽기, 교회생활참여도, 상담기관 상담 경험 순으로 기독 대학생의 불안에 부적 관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독 대학생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인 조사결과 가정경제수준이 높을수록, 가정의 분위기가 화목할수록 불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으로 기독대학생의 불안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는 목회적 상담으로써 진로장벽의 제거, 탄력성 회복, 가족애착의 함양, 신앙상담과 영성 함양 등을 해 주어야 할 것이며 제도적인 지원과 대학교 내의 상담센터를 최대로 활용하는 것이 기독대학생들의 건강한 대학생활과 장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기독대학생들의 불안요인과 불안유형의 극복에 대해 조사하고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전문적인 연구와 프로그램 계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과 이 연구가 기독대학원생들에게도 확장되는 것을 제안한다. Major in Pastoral Counseling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Pastoral Theology Chngsahin University Kim, Ohn-yo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ounseling method of the pastoral care by studying anxiety level and anxiety affecting anxiety level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in college life ar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are various and specific types of anxiety and trait characteristics before the problem of anxiety. In order to study the anxiety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level of anxiety and anxiety. The questionnaire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liefs, anxiety and influence variable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xiety level (high, middle, low) We examined systematically the factors. The sample was randomly sampled for college students at Chongshin Universit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 2017 to June 5, 2017, and a total of 50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471 copies were collected. First,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Second, one way 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career barri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aith life according to the level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high, middle, low). Thir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influence variables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Fourth, we condu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systematically factors influencing anxiety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nxiety level was classified as high, middle, and low, and the anxiety group was distributed in 19.3% of the total, 62.6% of the middle group, and 18% of the high group. As a result of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survey, which shows the anxiety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the higher the level of home economics and the better the home atmosphere, the lower the level of anxiety. The effects of career and career characteristics on anxiety were examined, and career planning, graduate school entrance, and career barrier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nxiety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on anxiety showed that resili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nxiety of the theological college students. The effect of religious life characteristics on the anxiety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nxiety of the theological college students, the Bible reading, participation in church life, experience of faith counseling in church, and counseling agency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affecting the anxiety of the students were found to be influenced by the experience of church faith counseling, Bible reading, church life participation, counseling agency counseling. In conclusion, as a pastoral counseling that can reduce the anxiety factors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remove career barriers, restore resilience, foster family attachment, faith counseling, and spiritual growth. It will have an impact. In the follow - up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measurement tools and validation studies that can investigate and evaluate the anxiety factors and anxiety types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and suggest that this study should be expanded to Christian graduate students. In other words, it is urgent to develop professional researches and programs to solve the pathological problems and causes of the anxiety level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 총신의 개혁과 회복 2016-2018

        곽한락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살아계신 성 삼위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교만하여 하나님을 모르고 하나님의 곁을 떠나 흑암의 삶 속에서 하나님을 대적하며 살았던 저를 저의 생명이 되신 살아계신 하나님을 뵈어 이곳 총신에서 하나님을 알아가는 신학을 익히며 훈련하는 신학대학생이 된지도 어느덧 3년이란 세월을 보내고 아브라함을 부르시던 하나님께서 필자도 갈 곳이 어딘지 모르지만, 이곳 총신에서 빼내시어 가라 하시기에 발길을 옮겨 새 둥지를 틀 그날을 준비합니다. 3년 동안 낯설고 새로웠던 과목마다 교수님들을 통해서 부족한 저에게 깨달음을 주시고 옛사람을 벗어버리고 주님을 알게 하시고 주님의 성품을 닮아가도록 가르쳐주신 신학대학원에 계시는 모든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스승님의 존귀하심과 크신 사랑을 잊을 수 없음은 때늦은 학생이라서 더욱 감사가 크게 느껴집니다. 특히 3년 동안 이곳 총신에서 훈련받는 동안 기쁜 일도 많았지만, 가슴 아픈 일이 있었다면 단연 학내 사태로 인한 수업 거부로 서로 주고받은 상처들입니다. 동기들과 교수님들과 후배들과 교단의 선배 목사님들과도 하나님을 믿는 신앙의 양심에 따라 행하는 모양이 서로 다르다 보니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교제가 단절되고 오해를 낳게 되어 그 상처들이 너무나도 깊어 아픈 가슴을 안고 정들었던 교정을 뒤로하고 떠나기에는 뼛속까지 스며든 깊은 상흔(傷痕)이 진액으로 배어 나와 어느새 두 볼을 타고 흘러내립니다.

      • 평신도 선교사 이해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원우들을 중심으로

        이원혁 總神大學校 宣敎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평신도 선교사의 이해와 필요성에 관한 연구이다. 오늘 날 한국 교회가 세계 선교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지역 교회에서는 성도들에게 선교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게 되었다. 이를 위해서 교회 내의 선교부 혹은 수많은 선교 단체들을 통해 선교에 대한 이론과 장기 혹은 단기 선교의 현지 훈련과 경험 등을 직접적으로 아니면, 간접적으로 경험해 봄으로서 선교의 중요성을 더욱 깨닫게 되었고, 이러한 영향으로 말미암아 성도들은 선교를 통한 새로운 삶의 영역을 가지게 되었다. 이 영역은 기존의 선교는 목회자만이 하는 것이라는 사고의 틀을 벗어던지고 이제는 선교가 어느 한 계층만이 해야 하늘 소극적인 사고와 자세가 아닌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이라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실천해야하는 적극적인 사고의 자세로 변환되는 시기가 도래되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선교의 패러다임의 전환의 시기에 살고 있는 목회자, 강도사, 전도사 그리고 장로 혹은 교회 내의 선교부를 담당하고 있는 직분자들은 세계 선교를 평신도들보다 선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특히, 오늘 날 선교의 흐름이 전통적 선교사에서 평신도 선교사로의 전환의 시기이며, 그 필요성과 중요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이 시점에서 교회 내의 직분자들은 현대 선교의 새로운 방안인 평신도 선교사에 대한 이해와 그 중요성에 대해서 각인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원우들을 중심으로 하여 원우들의 직분에 관계없이 52명이며, 연구 도구로는 본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첫째는 응답자의 일반 정보와 선교에 대한 관심도는 빈도 분석과 백분율로 나타내면서 응답자의 연령과 직업 그리고 선교의 관심도차 선교 훈련의 유무에 대해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둘째는 전문인 선교사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에 대해서, 셋째는 목사 선교사와 평신도 선교사의 차이에 대해서, 넷째는 전문인 선교사로서의 파송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21세기 한국 선교의 효과적 방안에 대해서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분석과 빈도 분석 그리고 상관관계 분석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21세기 선교의 새로운 방안으로 제시되는 평신도 선교에 대해서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원우들을 중심으로 교회의 직분자들의 전문인 선교사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으며, 또한 21세기 선교의 중심이 되는 평신도의 선교지에서의 역할에 대한 이해관계에 대해서 평신도를 이해하고 준비시킴으로서 현장에서의 선교의 효율성을 극대화를 위해 지금부터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 도시목회자의 스트레스와 탈진에 대한 치유방안 연구 : 총신대 선교대학원 목회자 중심으로

        김상문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오늘날 한국 교회 상황 속에서 도시 목회자 탈진의 원인을 육체적, 정신적인 피로와 내적인, 외적인 갈등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원인일 것이다. 특히, 한국 교회 모습 속에서 목회의 성공은 수적인 것과 양적인 면을 통해서 나타나야하며 그것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그러므로 목회자는 성도들에게 입맛에 맞는 설교를 준비해야하며 성도들을 24시간 돌봐야하는 부담감이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생활이 반복되면 목회자 스스로가 누구를 위하여 목회를 하는지에 대한 회의와 심리적인 압박으로 인해서 오는 탈진과 스트레스가 자리 잡을 것이다. 본 논문을 연구하게 된 배경은 도시 목회자들이 예배인도, 심방, 전도, 행정 등으로 인해서 스트레스와 탈진을 경험하게 된다는 사실을 어느 잡지를 통해서 알게 되었다. 그 잡지에서는 여러 가지 목회자가 스트레스와 탈진이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해서 더욱더 상세하게 열거하고 있다. 첫째로, 목회자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설교가 성도들에게 잘 전달되지 못해서 힘들어하거나 낙담하는 목회자들이 많다는 사실이다. 둘째, 담임목회자나 부교역자의 사이의 관계, 목회자와 성도의 관계 가 원활하지 않아서 갈등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셋째, 목회를 하다가 목회자가 누구를 위해서 이 땅에 존재하는지에 대한 자아정체성과 소명의 의식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 혼란 할 때가 있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 논문은 오늘날 도시 목회자의 모습에 대해서 설명하고 조사한다. 그리고 스트레스로 인한 영향이 탈진으로 유발 되는 과정에 대해서 사회학적 관점을 통해 분석하고 스트레스와 탈진 척도를 조사한다. 이로서 목회자가 스트레스와 탈진에 직면 했을 때 문제 대한 대처 방안을 모색하며 건강한 목회를 추구하고 행복한 목회가 되고자 한다.

      • 권성수목사의 성령설교를 통한 생명사역 연구

        서태상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국문초록 본 논문은 대구에 소재하는 동신교회의 담임목사님이자 오랫동안 한국의 총신대학교에서 신학생을 가르쳐서 한국교회의 영적 양적 성장에 커다란 기여를 하신 권성수 목사의 삶과 신학사상 그리고 설교와 그에 따른 생명사역을 연구한 것이다. 권성수목사가 2000년도에 처음 동신교회에 부임하였을때 1,228명이었던 성도가 2014년 3월16일 기준으로 4,500여명까지 이룩한 부흥으로 한국교회를 놀라게 만들었는데 이러한 권목사의 놀랄만한 사역의 성장배경에는 그의 높은 신학적 지식과 목회인 생명사역간의 균형을 이룩한 결과이며 또한 개척교회로부터 시작하여 5남매를 하나님 앞에 사역자로 키우신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코람데오의 투철한 신앙심, 그리고 처음부터 끝까지 계획하고 연구하고 노력하는 그의 부지런함의 결실이 아닐 수 없다. 이 모든 것을 가능케 한 것은 하나님의 은혜이다. 그리고 그러한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 사역에 최선을 다하고 설교에 온 생명을 걸고 살아온 권성수목사의 삶과 사역은 우리에게 깊은 감동을 주고 있다. 이제 본 논문을 정리 요약해보자. 먼저 1장에서는 서론으로 본 논문의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연구질문, 연구방법 및 연구범위 그리고 연구자료 및 연구의 범위를 다루었다. 작금의 한국교회의 침체의 원인을 목회자에게서 찾고 그 주된 이유로서 바람직하지 못한 설교문제를 직시할 때 지방이면서도 꾸준히 영적으로 양적으로 부흥하고 있는 권성수목사의 설교를 통해서 새로운 한국교회의 부흥을 찾아야 겠다고 생각하여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2장에서는 생명사역자로서 권성수목사의 설교자로서의 신앙적 배경과 사상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권성수목사의 어린시절은 조부모님과 부모님의 교회를 사랑하는 신앙을 몸소 배우는 시기였다. 제자들이 예수님의 성도사랑을 배우듯이 어린 권성수목사는 밥을 해가서 교인들과 함께 나누어먹고 하루종일 교회에서 헌신봉사하며 일주일 내내 주일을 기다리던 할머니의 뜨거운 신앙심 일제 강점기 교회종을 지키기 위하여 땅속에 파묻어서 종을 빼앗기지 않았던 할아버지의 충성심 그리고 개척교회를 하기 위하여 시골의 논밭을 정리하고 서울로 와서 끝까지 말씀중심의 신앙으로 몸소 사역자의 길을 보여주신 아버지, 5명의 권성수목사의 형제를 모두 하나님께 드리겠다는 서원을 하시고 하나님의 사람으로 키우신 그 하나님에 대한 사랑 이러한 선친들의 가르침으로 어린 권성수목사는 하나님의 사역자로서 한치의 어긋남도 없이 준비되어가던 시기였다. 권성수목사의 신학적사상의 배경은 칼빈과 박형룡 그리고 총신대학교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의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신학적 배경으로 인해서 권성수목사는 하나님제일주의 사상을 가지게 되었고 교수생활에서나 목회생활에서도 오직 하나님앞에서 라는 신전의식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려고 부단히 노력하였고 언제나 하나님앞에 부끄럽지 않은 생활을 하려고 애를 썼다. 특히 신학이 강단현장에서만이 아니라 강단을 넘어 지역사회와 온세상의 직접적인 변화를 추구한다는 측면에서 권성수목사에게 교회에 대한 강렬한 사랑을 실천하게 되었다. 교회는 교회 안에서만 하나님의 말씀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변화시키고 세상의 변화를 주도해야 된다는 사상이 그를 생명사역에로 이끈 동기가 되었다. 3장에서는 권성수목사의 생명사역의 핵심이 되는 성령설교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성령설교란 무엇인지 살펴보았고 성령설교의 성경적배경으로 오순절 성령강림과설교, 사도들에게 임한 성령과설교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성령설교의 중심원리를 설명하였는데 성령설교의 핵심원리인 BEST 를 통하여 성령설교의 중심원리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이것은 먼저 성경중심의 성경관, 두 번째 성령강해설교, 세번째 성령의 역동성, 그리고 성령의 주도적 변화를 말한다. 권성수목사는 성령설교를 그의 생명사역의 큰 뿌리로 삼고 생명사역의 열매를 추구하고 있다. 성경적배경은 데살로니가전서 1장 5절을 요절로 삼았다. “우리 복음이 너희에게 말로만 이른 것이 아니라 또한 능력과 성령과 큰 확신으로 된 것임이라 우리가 너희 가운데서 너희를 위하여 어떤 사람이 된 것은 너희가 아는 바와 같으니라.” 성령설교는 예수 그리스도를 주인공으로 모시는 복음 설교(Gospel preaching), 성령의 능력과 확신으로 전하는 능력 설교(power preaching), 설교자의 바른 인격과 윤리로 전하는 생활 설교(life preaching), 청중으로 하여금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생활을 닮아 변화하도록 하는 변화 설교(transformation preaching)인데 이것이 ‘성령 설교’의 본질이다. 즉 ‘복음 설교’와 ‘능력 설교’와 ‘생활 설교’와 ‘변화 설교’가 각기 다른 별도의 설교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녹아서 하나가 되는 설교--이것이 ‘성령 설교’의 방향이다. 성령 설교’는 이런 의미에서 ‘베스트 설교’이다. 여기서 ‘베스트’(BEST)는 ‘성경’(Bible)의 영어 이니셜 B와‘강해’(Exposition)의 E와 ‘성령’(Spirit)의 S와 ‘변화’(Transformation)의 T의 결

      • 캠퍼스 사역의 패러다임 전환 방안: “복음화”에서 “선교화”로

        정기종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23

        The evangelization movement of the campus ministry is the work of many young people all over the world who devoted their life and passion for youth before the Lord, Jesus Christ. The servants who had been used in God's work did not fear the challenge at the time of the youth because of their holy desire for the Gospel, but devoted their lives completely to the Lord and obeyed Him.However, in modern times, young people in the campus are living their lives in a shady world more like dry bones, which have lost their enthusiasm and meaning of their lives. Today's phenomena such as the decrease of the church's ministries for youth and university students and the contraction of campus mission agencies are a serious threat to campus evangelization in Korea. In order for the young adults who groan in the declining age to take over the tradition of the enthusiasm of the old faithful activists in accordance with rekindling the flames of intense evangelization, it is necessary for spiritual leaders not only to identify quickly cultural changes within the campus, but alsoto research constantly on transformational shift in campus ministries.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evangelization movement data that took place at Campus in the last 18-19 centuries in Chapter II and the historical data of the Korean Campus Evangelization Ministry in Chapter III. In addition, in the chapter IV of the present status of the Ministry of Korea Campus, data were collected as a mixed research method to study the cas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 leading university in Chonnam province, with a microscopic perspective through examining the status of each campus mission agencies in Korea.Through the survey written as a research tool, three mission agencies active on the campus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he Student Christian Endeavor (S.C.E), the Campus Crusade for Christ (C.C.C), and the Evangelical Student Fellowship (E.S.F) were extracted as the sample. Especially, case studies focused on trainees and secretarie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ypes of ministries, and interview-based research was focused onfive missionaries serving for overseas campus ministries at present who had been Campus ministers in Korea since their youth. Furthermore, current four leaders of Campus mission agencies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ere selected to collect primary records from interviews, transcripts, and e-mail surveys. Through the collected primary data, interview participants, statistics of each agency's status, characteristics and strengths of the campus ministry, practical problems and tasks of the campus ministr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concluded as follows. First, the identity of young Christian students in campus should be clear and secure. When Christian youths forget their missionary callings and are concerned only with their personal development or survival, just like the general university students, they will lose the meaning of Christian existence.Christians on campus are witnesses who testify of the Gospel throughtheir campus life, accepting the Lord's Great Commission to “Therefore go and make disciples of all nations” as absolute genuine commands. They should go inside and outside the campus as missionaries. Second, we must establish holistic mission theology. Effective campus missions are impossible without the fundamental thesis of what the campus mission is, who is the subject, who should do the mission, and what the strategy is. 'God's Mission' (Missio Dei) -aimed at the whole man's salvation-which is consistently emphasized by modern missiontheologiansis different from the past mission theology in terms of integrating evangelism and social salvation beyond the horizon of the existing church-centered mind-set. Campus missions should be based on holistic mission theology for individual conversion or nurturing through evangelism and at the same time for the transformation of campus culture and social structure. In view of holistic mission theology, all efforts to develop Christian scholarship through the integration of faith and reasons, or to create a Christian campus culture, are missional activities. Third, there is a need for “cooperative missions” between Christian professors, university students, mission agencies, and local churches. We must develop a collaborative mission strategy by tying together the Christian professors with passion for campus missions, campus mission agencies with strategic know-hows, and local churches with abundant resources.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propose a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It must be necessary for a future study to build a united mission system, so that churches and missions agencies can renew their unique advantages, possibilities, functions, and roles according to the wave of times. 캠퍼스 사역의 복음화 운동은 전 세계 수많은 젊은이들이 오직 예수 그리스도만을 사랑하고 젊음의 열정을 주님 앞에 쏟는 것이다. 하나님의 역사에 쓰임 받았던 종들은 복음에 대한 거룩한 열망으로 청년의 때에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고 자신의 삶을 온전히 주님께 맡기며 순종했다. 하지만 현시대의 캠퍼스 청년들은 그늘진 세상 가운데에서 열정을 잃어버린 채 생명을 잃은 마른 뼈와 같은 삶을 살아가고 있다. 오늘날의 교회 청년대학부의 감소, 캠퍼스 선교단체 사역의 위축 등의 현상은 한국 캠퍼스 복음화에 심각한 위협 요소가 된다. 타락해져 가는 시대 속에서 신음하는 청년들이 옛 신앙운동가들의 열정을 이어받아 다시금 강렬한 복음화의 불길을 일으키도록 하기 위해서는 영적 지도자들이 캠퍼스 안에서 시대적·문화적 변화를 빠르게 파악하고 그에 따라 사역의 패러다임이 어떻게 전환되어야 할지 끊임없이 연구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본 연구는 제Ⅱ장의 지난 18-19세기에 캠퍼스에서 일어났던 복음화 운동 자료와 Ⅲ장에 한국 캠퍼스 복음화 사역의 역사적 자료를 토대로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Ⅳ장의 한국 캠퍼스 사역의 현황 연구에서 한국 캠퍼스 각 선교단체들의 현황과 더불어 미시적인 관점으로 전남지방의 중심 대학인 전남대학교의 사례를 연구하기 위하여 혼합 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로 작성된 설문지를 통해서는 전남대학교 캠퍼스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세 개의 선교단체 기독학생면려회(S.C.E), 한국대학생선교회(C.C.C), 기독대학인회(E.S.F)를 표본으로 추출하여 각 선교단체 리더 훈련생과 간사를 중심으로 유형별 사례연구를 진행하였고, 인터뷰 방식 연구는 젊은 날에 캠퍼스 사역에 헌신하였고 현재는 파송 선교사로서 해외에서 캠퍼스 사역에 힘쓰고 있는 선교사 5명과 전남대학교 캠퍼스 선교단체 대표자 4명을 사례연구 대상으로 택하여 면담 녹취록 및 e-mail 설문을 통해 1차 기록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1차 자료 즉, 인터뷰 참여자, 각 선교단체의 사례별 현황 통계, 캠퍼스 사역의 특징과 강점, 캠퍼스사역의 실제적 문제점과 과제를 도출하였고 연구한 결과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캠퍼스 기독 청년들의 정체성을 분명히 해야 한다. 기독 청년들이 선교사적 소명을 잊고 일반 대학생들과 같이 개인의 발전이나 생존에만 관심하게 될 때 그들은 그리스도인의 존재 의미를 잃어버릴 것이다. 캠퍼스 안의 기독인들은 캠퍼스 생활을 통해 복음을 증거 하는 증언자들로서 “너희는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으라.”는 주님의 명령을 절대적인 지상명령으로 수용하며 캠퍼스 안과 밖을 선교의 장으로 여기며 살아가야 한다. 둘째, 총체적 선교신학을 정립해야 한다. 캠퍼스 선교란 무엇인지, 대상은 누구인지, 누가 선교해야 하는지, 전략은 무엇인지에 대한 선교신학의 정립 없이는 효과적인 캠퍼스 선교는 불가능하다. 현대의 선교신학자들이 한결같이 강조하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는 전인(全人)구원을 목표로 기존의 교회 중심적 사고를 넘어서 전도와 사회구원을 통합하는 과거의 선교신학과는 다르다. 캠퍼스 선교는 복음전도를 통한 개인의 회심이나 양육과 동시에 캠퍼스 문화 및 사회구조의 변혁을 위한 총체적 선교신학에 기초해야 한다. 총체적 선교신학의 관점에서 볼 때, 신앙과 학문의 통합을 통한 기독교 학문의 발전이나 기독교적 캠퍼스 문화를 창조하기 위한 모든 노력들은 다 선교적 행위가 된다. 셋째, 기독교수회, 대학생 선교단체, 교회 간의 ‘협력 선교’가 필요하다. 기독교수회의 캠퍼스 선교에 대한 열정과 선교 전략적 노하우를 지닌 캠퍼스 선교단체들 그리고 상대적으로 인적 · 물적 자원이 풍부한 지역교회를 묶어 협력적 선교전략을 세워야 한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교회와 캠퍼스 선교단체가 서로 간직하고 있는 고유의 장점과 가능성, 기능과 역할을 시대적 흐름에 따라 재정립하여 교회와 선교단체가 유기적으로 연합할 수 있도록 연합선교시스템 구축을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