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엘리트 운동선수의 선수정체성 구성개념

        정윤영 ( Yoon-young Jeong ),김병준 ( Byoung-jun Kim ),천성민 ( Sung-min Cheo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2 No.1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 환경과 문화에서 차이가 있는 외국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개발된 선수정체성 측정도구(AIMS)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국내 실정에 적합한 선수정체성 구성개념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심층면담을 주된 자료수집방법으로 연구참가자가 선수생활을 하면서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구술 또는 기술에 의해 선수정체성을 탐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과정 중 주제범주의 생성과 의미화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집된 자료를 계속 정독하며 각 선수들 간의 공통적인 대답들의 연관성을 찾아 주제별로 구분하여 범주를 생성한 뒤 공통요소들에 대하여 항목별로 의미를 생성하는 과정을 거쳤다. 결과: 국내 엘리트 운동선수의 선수정체성은 기존의 선수정체성 측정도구(AIMS)의 3요인(사회적 정체성, 배타성, 부정적 정서성)외에 국내 선수만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7요인(신체적 유능감, 정신력, 자부심, 사회적 정체성, 부정적 정서, 미흡감, 격리감)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론: 외국 선수를 대상으로 개발된 선수정체성 측정도구(AIMS)의 제한적인 하위구성개념 3요인 이외에 한국 스포츠 환경의 특성이 반영된 국내 선수만의 복합적이면서 보다 포괄적인 선수정체성개념이 발견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ept of athlete identity suitable for elite korean athletes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AIMS(Athlete Identity Measurement Scale) developed for foreign athletes with differences in sports environment and culture. Methods: In order to explore the athlete's identity,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during their careers were exam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inductive category analysis, and the subject categories were created and meaningful during the analysis process. Results: 1) In addition to the three factors (social identity, exclusivity, negative emotions) of the existing AIMS(Athlete Identity Measurement Scale), the athlete identity of elite korean athletes were diverse, comprising seven factors (physical competence, mental toughness, self-esteem, social identity, negative emotion, insufficiency, isolation). Conclusion: In addition to the three factors of the limited sub-constitutional concept of the AIMS(Athlete Identity Measurement Scale) developed for foreign athletes, the complex and diverse athlete identities unique to elite korean athlet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ports environment were determined. These resultes suggested that athletic identity might not general across different cultures and should be examined specific to unique sport environments.

      • KCI등재

        유동인구 자료를 이용한 서울시 도시공간구조 분석 연구

        정윤영(Jeong Yoon Young),문태헌(Moon Tae Heon) 한국지역개발학회 2014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6 No.3

        Seoul announced ‘2030 Seoul Plan’ of which the main idea was to change urban spatial structure into multinuclear structure on the basis of 5-daily life zone(생활권), and to establish 3-civic center(도심), 7-wide area center(광역중심). However as urban spatial structure has a great importance on urban planning, the citizen’s daily living status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spatial structure presented in ‘2030 Seoul Plan’ reflects properly the real citizen’s daily life by analyzing the quantitative data such as pedestrian flow and O-D data. For the spatial interaction analysis, this study employed ‘social network analysis’ which can explore the central area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5-daily life zone and 3-civic center would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well, while 7-wide area center do not sufficiently reflect on the reality. However, as urban spatial 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considering their various background such as history, society, culture even politics, our results don't limit to modify the '2030 Seoul Plan', bu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and analyzing citizen’s dynamic daily life before the confirmation of urban spatial structur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흰쥐 대뇌겉질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α와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면역반응 신경세포의 생후 발달에 관한 연구

        정윤영(Yoon-Young Chung),김남훈(Nam-Hoon Kim),김종중(Jong-Joong Kim),문정석(Jeong Seok Moon),박영란(Young-Lan Park),류소연(So-Yeon Ryu),김현곤(Hyun-Kon Kim)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4

        본 연구에서는 생후 발달중인 대뇌겉질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TGF-α)와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이들 각각을 함유하는 신경세포 뿐 아니라 두 가지 단백질을 동시에 함유하는 신경세포를 구분하여 각 세포의 발달 양상을 조사하였다. TGF-α 면역반응 양성 세포는 출생 시에 이미 분자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에서 관찰되었으며 생후 20일에 마루겉질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TGF-α 면역반응 양성 세포의 염색 강도와 수는 생후 15일에서 20일 사이에 가장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생후 20일경에 성숙 흰쥐의 세포 양상과 유사하였다. EGFR 면역반응 양성 세포는 출생한 날에는 등쪽 안배모양겉질에서만 출현하였으며 생후 3일에 이마겉질, 마루겉질, 뒤통수겉질, 관자겉질 등에서 소수 나타났다. EGFR 면역반응 양성 세포는 생후 90일, 즉 성숙 흰쥐의 마루겉질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성숙 흰쥐의 IV, V, VI층에서 EGFR 면역반응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세포들은 이마겉질과 마루겉질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났다가 가쪽의 섬겉질로 이행하면서 감소하였고, 생후 10일과 그 이후에 성숙 흰쥐의 세포 양상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EGFR 면역반응의 출현시기와 분포위치 등은 서로 다른 겉질 영역의 기능적 활동과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에서 TGF-α와 EGFR에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신경아교세포는 관찰할 수 없었다. TGF-α과 EGFR 면역반응은 대부분 신경세포에서 관찰되었고 TGF-α와 EGFR를 공유하는 세포도 모두 신경세포였다. TGF-α와 EGFR 공유신경세포는 생후 3일에 대부분의 대뇌겉질에서 관찰되었으며 생후 10일까지는 대부분 미성숙한 형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출생한 날을 제외하고 생후 발달중이거나 성숙 흰쥐 모두에서 대뇌겉질 신경세포에 TGF-α와 EGFR이 광범위하게 발현되었으며 대부분 EGFR 함유 신경세포가 TGF-α를 분비하는 세포였다. 한편 TGF-α와 EGFR 함유 신경세포의 생후 출현시기 및 세포 형태의 발달상의 차이를 보임으로써 이는 정상적으로 발달중인 대뇌겉질에서 TGF-α가 생후 연령별로 여러 가지 다른 조절 기전에 의해 EGFR을 활성화하여 신경세포에 작용함으로써 그 기능을 발휘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TGF-α) an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immunoreactivities were examined in the cerebral cortex of the rat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TGF-α-immunoreactive cells were found at birth in all cortical layers except the molecular layer. TGF-α-immunoreactive cells were most abundant in the parietal cortex at P20. The intensity and number of the TGF-α-immunoreactive cells increased at postnatal days 15 or 20 (P15-P20). Mature patterns of TGF-α-immunoreactive cells were achieved at P20. EGFR-immunoreactive cells appeared only in dorsal endopiriform cortex at P0. The first EGFR-immunoreactive cells were observed in the neocortex at P3. These cells were most abundant in the parietal cortex at P90. In adult, the most prominent EGFR immunoreactivity occured in layer IV, V and VI. These cells were numerous in the frontal and parietal cortex, diminishing laterally towards the insular cortex. Adult patterns were reached on and after P10. The time of appearance and localization of EGFR immunoreactivity correlated with functional activity in the different cortical areas. No clear labelling of glial cells with TGF-α and EGFR antibodies was found. TGF-α and EGFR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in the majority of neurons in the postnatal developing and adult cerebral cortex of the rat. Also double-immunohistochemistry with antibodies to TGF-α and EGFR showed co-localization of TGF-α and EGFR in neurons of the cerebral cortex. Co-localization of TGF-α and EGFR was first detectable in most cortices at P3. By P10, these neurons showed immature neuronal features. The present results showing TGF-α and EGFR immunoreactivity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postnatal developing (except P0) and adult cerebral cortex, mainly localized in neurons. And TGF-α and EGFR co-localize in most neurons, thus indicating that most EGFR-containing cells are TGF-α-synthesizing cells. In addition to difference of time of appearance and mature neuronal pattern suggest that TGF-α has the capacity of activating the EGFR in the normal postnatal developing cerebral cortex, therefore, TGF-α and EGFR may interact within cortical neurons through many different mechanism according to postnatal age.

      • KCI등재

        노화흰쥐의 시상하부에서 vasopressin-면역반응 신경세포의 형태학적 변화

        박영란(Young-Lan Park),정윤영(Yoon-Young Chung),천관영(Kwan-Young Cheon),박근용(Keun-Yong Park),설경수(Kyeong-Soo Seol),김종중(Jong-Joong Kim),문정석(Jeong Seok Moon) 대한체질인류학회 2007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0 No.1

        노화는 중추신경계의 구조를 변화시킬 뿐 아니라 여러 신경인자들의 분포에 영향을 미쳐 생체리듬에 많은 변화를 초래한다. vasopressin (VP)은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펩타이드의 일종으로서, 주로 혈압을 상승시키고 항이뇨호르몬 작용을 가진다. 본 연구는 여러 생체리듬조절에 관여하는 시상하부에 분포하는 VP-면역반응 신경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노화흰쥐에서 관찰함으로써 노화로 인한 신경세포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Sprague-Dawley계의 약 12주령인 젊은 흰쥐와 약 18월령의 노화흰쥐에 통상의 조직처리를 한 후 VP 일차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비교 관찰하였다. VP의 염색결과, VP-면역반응 신경세포는 주로 시상하부의 뇌실곁핵과 시각로위핵에서 두드러지게 관찰되었으며 노화흰쥐의 VP-면역반응 신경세포에서 핵과 세포체 크기가 젊은흰쥐에 비해 매우 크게 관찰되었으나 노화흰쥐의 VP-면역반응 신경세포의 수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시각교차위핵에서 노화흰쥐에서 VP-면역반응 신경세포의 수는 젊은흰쥐보다 약 2배정도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시상하부에서 VP 분비의 변화를 초래하여 다양한 기본생활주기가 달라지고 하루주기행동의 주간리듬(diurnal rhythm)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The role of neuropeptid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Numerous peptide molecules are found in the mammalian CNS and many of them are thought to act as either neurotransmitters or neuromodulators. The neuropeptides found in high concentration in the hypothalamus include vasopressin (VP),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 somatostatin, and oxytocin. The main approches to assess the involvement of neuropeptides can be focused on functions affecting the aging of the brain. Morphological aging of the CNS has been characterized by degenerative changes of fiber connections and cell loss, although degeneration does not always occur to the same extent throughout various parts of the brain and, moreover, varies for different cell types. Despite of many studies in VP containing neurons , there exist discrepancies in results about the changes of aged rat brai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herefore, to investigative possible changes in the number and morphology of VPimmunoreactive neurons with aging in each area of the hypothalmus of the aged rats. As a result, the number of VP-immunoreactive neurons was decreased in hypothalamus nucleus of aged group. Especially, in VP-immunoreactive neurons of hypothalamus, the size of neuronal cell body and nuclei in aged group is larger than in young group and the fiber density of immunoreactivity neurons of median eminance (ME) in aged group is stronger than in young group. But, the total number of VP-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suprachiasmatic nucleus (SCN) of the aged group is larger than in the young group. These studies indicate the involvement of VP-immunoreactive neurons in aging process of hypothalamus, and aging process may affect the synthesis of VP in the neurons of hypothalamic nuclei. Whereas, in VP expression, aging process induces an enlargement of the cell size of surviving neurons to compensate.

      • KCI등재후보

        흰쥐 대뇌겉질의 생후발달에 따른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면역반응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정윤영(Yoon Young Chung),김홍순(Hong Soon Kim),김종중(Jong Joong Kim),문정석(Jeong Seok Moon) 대한해부학회 2000 Anatomy & Cell Biology Vol.33 No.4

        TGF-α는 중추신경계의 증식과 분화뿐 아니라 신경세포의 유사분열 후 생존과 분화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지금까지는 주로 뇌 전체를 부위별로 분류하여 TGF-α의 발현과 분포를 포괄적으로 보고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생후 발달중인 흰쥐의 대뇌겉질에서 TGF-α 면역반응성을 영역별, 층별로 구분하여 자세히 조사하였다. 흰쥐 대뇌겉질에 서 TGF-α 면역반응은 생후 연령에 따라 각각의 겉질 영역에서 매우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출생한 날에는 TGF-α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가 미각영역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I층을 제외한 대부분의 층에서 관찰되었다. 특히, 출생한날과 생후 5일에 마루겉질의 II층과 III층에서 약하게 표지된 TGF-α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가 나타났다. 생후 10일의 입쪽 마루겉질에서는 일차몸통감각영역과 이차몸통감각영역을 식별할 수 있도록 두 영역간의 분포에 차이가 있었으며 꼬리쪽의 마루겉질에서는 II층에서 VI층까지 광범위하게 양성 신경세포들이 관찰되었다. 생후 15일에서 생후 90일까지는 강하게 염색된 신경세포들이 마루겉질 전체에 걸쳐 I층을 제외한 II층부터 VI층까지 양성 소견을 보였다. 과립형 뇌들보팽대 뒤영역에서 TGF-α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가 처음으로 출현한 시기는 생후 15일이었다. TGF-α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의 염색강도와 그 수는 생후 20일에 가장 증가하였고 생후 30일에 감소하였다. TGF-α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의 형태학적인 모양은 생후 20일경에 성숙해졌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대뇌겉질에 분포하는 TGF-α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가 대뇌겉질의 생후 발달 과정 초기에 출현는 것으로 보아 뇌의 다른 부위에서 TGF-α 면역반응이 발생 초기부터 일찍 출현한다는 것과도 관련이 있으며, 성숙 흰쥐뿐 아니라 생후 발달중인 흰쥐 대뇌겉질을 포함한 뇌의 여러 부위에서 광범위하게 TGF-α 면역반응성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GF-α가 대뇌겉질의 생후 발달 과정에서 뇌세포의 생존과 성장을 조절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TGF-α) induces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entral nervous system (CNS) as well as the survival and differentiation of postmitotic CNS neurons.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TGF-α expression throughout brain reg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GF-α immunoreactivity in the neocortex of the rat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in detail. TGF-α immunoreactivity in the neocortex of the rat followed very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postnatal ages and cortical areas. In the newborn rat, TGF-α-immunoreactive neurons were found in all cortical areas except the gustatory area. Especially, In the parietal cortex, weaklylabelled TGF-α-immunoreactive neurons appeared in layers II and III from P0 to P5. Areal difference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omatosensory area was observed in the rostral parietal zone at P10, but TGF-α-immunore-active neurons distributed in layers from II to VI in the caudal parietal zone. From P15 to P90, heavily-labelled neurons appeared in layers from II to VI throughout the parietal cortex. In the granular retrosplenial area, TGF-α-immunoreactive neurons first appeared at P15. The intensity and number of the immunoreactivity of TGF-α-containing neurons increased during the first 20 day of postnatal life but dramatically decreased at P30. Mature patterns of TGF-α-immunoreactive neurons were achieved at P2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GF-α immunoreactivity in the neocortex may be related to the early appearance of TGF-α immunoreactivity in many other brain regions, and suggest that TGF-α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brain of rat and TGF-α may play a role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of the cerebral cortex.

      • KCI등재후보

        포유동물의 바닥가쪽편도체에서 parvalbumin함유 신경세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정윤영(Yoon Young Chung),장인엽(In Youb Chang),김종중(Jong Joong Kim),문정석(Jeong Seok Moon),김홍순(Hong Soon Kim),배춘상(Choon Sang Bae) 대한해부학회 2000 Anatomy & Cell Biology Vol.33 No.2

        흰쥐, 고양이, 개 및 원숭이의 바닥가쪽편도체에서 면역조직화학방법을 이용하여 칼슘결합단백인 parvalbumin (PV)의 분 포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서로 다른 종에 속하는 포유동물의 바닥가쪽편도체에서 모두 PV에 면역반응을 나타 내는 신경세포와 신경섬유가 관찰되었다. PV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들은 대부분 신경돌기에 가시를 가지고 있지 않은 국 소에 전달되는 신경세포의 양상을 띠었으며, 세포체의 모양에 따라 PV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들은 주로 세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었다. 제 1 형은 구형의 세포체로 세 개 이상의 신경돌기들이 세포체에서 나오는 양상을 띠었다. 제 2 형은 각을 이룬 세포체 모양이거나 전형적인 뭇극신경세포의 세포체 모양을 하며 크기 또한 다양하였다. 제 3 형의 신경세포는 방추형으로 된 세포체의 양끝에서 돌기가 나오는 모양이었다. PV 면역반응양성 신경섬유의 끝부분은 염주 모양을 띠었으며, 바구니 모양의 신경얼기를 형성하고 있었는데 이는 PV가 GABA성 바구니 모양 세포에 분포한다는 것을 암시하는 소견이었다. 결론적으로 포유동물의 바닥가쪽편도체핵에 분포하는 PV 면역반응 양상은 형태학적으로 종간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The calcium-binding protein parvalbumin (PV) was localized in the basolateral amygdala of the rat, cat, dog and monkey using immunohistochemical techniques. In all species, neuronal cell bodies and fibers that are immunoreactive to PV were observed in the basolateral amygdala. In most of the amygdala, PV-immunoreactive cells had the appearance of aspiny local circuit neurons. Based primarily on the shape of the soma, PV-immunoreactive aspiny neurons were divided into three main types. Type 1 cells had a spherical soma and more than 3 dendrites, type 2 cells had angular and multipolar somata of variable sizes, and type 3 cells had fusiform somata and dendrites emanated from the opposite poles of somata. PV-immunoreactive varicose fibers formed basket-like plexi around unstained neurons, which suggests that PV is located in GABAergic basket cells, respectively. PV-immunoreactivities in the mammalian basolateral amygdala were morphologically similar, rather than different in all spec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손상된 흰쥐 척수에 사람중간엽세포 이식시기에 따른 영향

        박영란(Young Lan Park),문정석(Jeong Seok Moon),정윤영(Yoon Young Chung),김 진(Jin Kim),송창훈(Chang Hun Song),김종중(Jong Joong Kim) 대한해부학회 2007 Anatomy & Cell Biology Vol.40 No.2

        골수와 탯줄혈액에서 분리한 중간엽세포(mesenchymal stem cells: MSCs)는 각종 질병을 치료하는데 많이 이용하는 성체줄기세포이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에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 SCI) 후 꼬리 정맥에 이식한 사람중간엽세포(human MSCs: hMSCs)가 손상부위로 안정하게 이주하여 신경세포 및 신경아교세포로 분화되는지 관찰하였고 hMSCs의 이식날짜에 따른 SCI로 인한 마비된 척수의 운동기능의 회복률 차이를 비교하고자 본 실험을 시도하였다. 본 실험에서 SCI은 척추궁절제술을 시행하여 8~9번째 흉추부위척수를 노출시킨 후 동맥류 집게를 이용하여 약 30초간 압박하여 손상시켰다. 이식에 이용한 hMSCs는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식하기 직전에 cholera toxin subunit B (CTX-B) FITC로 미리 표지하였고 이후 hMSCs를 쥐의 꼬리정맥을 통해 이식하거나 SCI 부위에 직접이식을 하였다. 이식된 CTX-B FICT로 표지된 hMSCs가 손상된 부위에 이주하였으며, 이식된 hMSCs는 이식한 전체의 수에 비하면 매우 적었다. 그리고 SCI1+hMSCs 군에 서 관찰된 CTX-B FITC로 표지된 hMSCs은 SCI5+hMSCs 군보다 더 많이 분포하였다. human specific mitochondria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법을 통해 CTX-B FICT로 표지된 세포가 hMSCs임을 재확인하였으며 이 중 일부는 신경세포의 표지단백질들이 발현되었다. 또한 hMSCs가 면역억제제를 쓰지 않은 조건에서도 일부세포는 4주까지 생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SCI후에 hMSCs를 이식한 흰쥐에 행동평가를 시행한 결과 대체적으로 뒷다리의 운동성이 서서히 회복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SCI을 시행하고 1일 후에 이식한 실험군(SCI1+hMSCs)이 5일 후에 이식한 실험군(SCI5+hMSCs)보다 뒷다리 운동이 더 효과적으로 회복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SCI후에 hMSCs의 이식은 SCI 후 흰쥐 운동성 회복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hMSCs에 대한 연구는 자가이식, 윤리적, 면역학적 측면에서 다른 방법의 세포치료에 비해 더욱 유용한 치료방법이라 할 수 있으며 임상응용에 중요한 기초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wo sources of adult stem cells that have aroused great interest are human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hMSCs) and human umbilical cord blood cells. hMSCs have been reported to maintain their ability to differentiate into neuronal lineage cell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erefore, transplantation of hMSCs represents an attractive new form of cellular therapy for clinical application in spinal cord injury (SCI).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ransplanted hMSCs from the venous circulation moved into a target zone of compression injury in the spinal cord of rats, and if they ameliorated the behavioral impairments associated with SCI. SCI in rats was induced by compressing the spinal cord for 30 s with an aneurysm clip. hMSCs labeled with cholera toxin subunit B conjugated to fluorescein isothiocyanate (CTX B-FITC) were injected intravenously through the tail vein or directly on the SCI site using a 27-g needle. Suspensions of hMSCs collected from adult humans were delivered at concentrations (1×106cells/200 μL) in 1 or 5 d after experimental SCI. After transplantation of hMSCs, the SCI regions displayed some endogenous background fluorescence, but CTX B-FITC-labeled hMSCs were clearly identifiable. They were observed in injured but not in intact areas; they were usually round or slightly elongated with a prominent nucleus. Only a few hMSCs were found in the spinal cord in each case but there were more cells in the rats injected at day one than at day fiv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se were indeed transplanted hMSCs using antisera recognizing human-specific nuclei or human-specific mitochondria. Double immunofluorescence analysis showed the production of some neuronal and glial cell markers in the SCI lesions. Behavioral test scores of SCI rats treated with hMSCs at day one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for rats treated at day five and for the untreated SCI group. Thus, hMSCs appear to be beneficial in reversing the behavioral effects of SCI in this rat model, even when infused one day after injury. They might be a viable source of stem cells for the treatment of human neurological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