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연시설 복합문화공간의 구성을 위한 기초적 연구

        정어진,고재민,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는 문화예술을 소비하고 향유하는 라이프스타일로 변화하면서 한 공간 내 문화·예술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의 수요가 증가했다. 이러한 수요를 담당하고 있는 공연시설은 복합화가 이루어진 공연시설로 변화하고 있으나 공연 상연 유무에 따라 시설의 이용도가 좌우되면서 공연이 없을 시 낮은 이용도를 보이고 있다. 공연상연 유무에 따라 이용되는 시설의 특성상 커뮤니티 역할 수행에 한계가 있고 복합된 시설간 연계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공연시설이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커뮤니티 역할수행 및 공간 활성화를 위해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지 변화양상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시설 중 복합문화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는 선진 사례로서 국내·외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공간의 변화양상과 활용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 복합문화공간으로서 공연시설의 공간에 적용 가능한 공간 활성화 요소를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이론고찰을 통해 공연시설과 복합문화공간의 주요 개념 및 역할을 파악하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간 활성화에 대한 방향성을 도출한다. 도출된 개념의 실질적 검증을 위해 국내외 사례대상관을 선정하여 분석한다. 사례로 선정한 기관은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활성화 상태를 고려하여 공간현황을 중심으로 선정하였고, 문헌자료, 홈페이지 자료, 인터넷 조사, 현장방문 등의 방법을 통해 공간 활성화에 대한 방향성과 적합성 여부를 확인한다. (결과) 사례대상관의 공간현황을 분석한 결과 공간배치 특성에 관한 요소로 공간의 기능적 융합 및 공간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융합성, 시각적 특성에 관한 요소로 물리적 공간의 개방을 통한 개방성, 공간의 기능적 특성에 관한 요소로 공간 기능적 명확한 개념을 갖는 개념성이 도출되었다. (결론) 복합문화공간의 역할을 수행하는 공간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문화시설 간 단순 복합화가 아닌 문화예술의 향유를 더불어 일상 속 다양한 행위들이 가능한 공간으로서 공간의 기능이 통합되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출된 요소를 국내 공연시설에 적용하여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역할을 재정립하는 것을 더불어 공간의 변화가 일어나 소통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을 대중에게 제공하여 공연시설의 위상 제고와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를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자동 설정 기법

        최낙중,정어진,김동균,최양희,Choi, Nak-Jung,Joung, Uh-Jin,Kim, Dong-Kyun,Choi, Yang-Hee 한국통신학회 2007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2 No.3A

        우리는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인터넷 프로토콜을 위한 세 가지의 주소 자동 설정 기법을 소개한다. RADA (Random ADdress Allocation)는 무작위로 IP 주소를 선택하는 방법이고, LiA (Linear Address Allocation)는 최대 IP 주소를 사용하여 순서대로 새로운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이다. LiACR (Linear Address Allocation with Collision Resolution)이라고 칭하는 LiA의 확장된 방법은 제어 메시지의 오버헤드를 줄이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짧은 시간동안 다수의 노드들이 네트워크에 들어오게 되면 RADA는 LiA나 LiACR 보다 훨씬 빠르게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하지만 RADA는 주소 공간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즉, RADA 는 특히 전장이나 위급 상황에서 긴급한 주소 설정이 필요할 경우 유용하다. 반면에 LiA나 LiACR은 네트워크 크기가 크고, 닫힌 형태이며, 관리 제어의 형태로 종속되는 이를테면, 무선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조정되는 애드 혹 네트워크에 더 적합하다. We introduce two distributed IP address auto-configuration mechanisms for mobile ad hoc networks. RADA (Random ADdress Allocation) is based on random IP address selection, while LiA (Linear Address Allocation) assigns new addresses sequentially, using the current maximum IP address. An improved version of LiA, hewn as LiACR (Linear Address Allocation with Collision Resolution) further reduces the control overhea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when many nodes join a network during a short period, RADA assigns addresses more quickly than LiA and LiACR. However, RADA uses the address space less efficiently, due to its random allocation of IP addresses. Hence, RADA is particularly useful in battlefield scenarios or rescue operations where fast setup is needed, while LiA and LiACR are more suitable for ad hoc networks that are moderate, confined and subject to some form of governance control, such as that orchestrated by a wireless service provider.

      • KCI등재

        토끼 망막에서 칼빈딘 면역반응성 ON 원뿔두극세포의 속얼기층 OFF 아층판에서의 리본연접

        구태형,김홍림,전지현,정어진,천명훈,문정일,김인범 대한체질인류학회 201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4 No.4

        Some retinal neurons, including intrinsically photosensitive retinal ganglion cells have their dendrites stratified in sublamina a of the inner plexiform (IPL), the OFF sublayer, but paradoxically show light-driven ON electrophysiological respons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n this paradoxical response, by using immunoelectron microscopy with a specific antibody against calbindin, we examined the synaptic connections of the calbindin-immunoreactive ON cone bipolar cell of the rabbit retina, which is thought to make the ribbon synapse in sublamina a of the IPL. The ribbon synapses in sublamina a by calbindin-immunoreactive ON cone bipolar cells were mainly found at the border between the inner nuclear layer and the IPL. Interestingly, the output targets at these ribbon synapses turned out as monads, and multiple synaptic ribbons were engaged in each synapse. These findings were different from those at the conventional ribbon synapse formed by calbindin-immunoreactive ON cone bipolar axon terminals. Thus, these findings may 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lbindin-immunoreactive ON cone bipolar ribbon synapse in sublamina a and can be used to classify the synapse in the retinal circuit research. 내인성광수용신경절세포(intrinsically photosensitive retinal ganglion cell)를 비롯한 일부 망막 신경원은속얼기층(inner plexiform layer)의 OFF 아층판(sublayer)에 가지돌기가 분포함에도 불구하고 역설적 ON 빛반응을 보인다. 이러한 기전을 이해하고자, 토끼 망막에서 이러한 신경원과 리본연접(ribbon synapse)을 OFF 아층판에서 형성할 것으로 생각되는 칼빈딘 면역반응성 ON 원뿔두극세포(calbindin-immunoreactive ON cone bipolar cell) 축삭이 속얼기층의 OFF 아층판에서 실제로 연접을 이루어 ON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칼빈딘 항체를 이용한 면역전자현미경법(immunoelectron microscopy)을 수행하여 표본을 만들고 전자현미경을 통해 망막 속얼기층의 OFF 아층판을 통과하는 칼빈딘 ON 원뿔두극세포의 축삭에서 리본연접을 관찰하였다. OFF 아층판에서의 리본연접은 주로 속얼기층의 가장 바깥쪽인 속핵층(inner nuclear layer)과 속얼기층 경계부에서 주로 발견되었고, 연접후성분은 한동이(monad)였다. 또한 이러한 리본연접에는 하나 이상의 연접리본(synaptic ribbon)이 동원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양상들은 ON 아층판인 속얼기층의 b 아층판(sublamina b)에 종지하는 ON 원뿔두극세포의 축삭종말이 형성하는 통상적인 리본연접(conventional ribbon synapse)과는 다른 형태로, ON 원뿔두극세포가 OFF 아층판인 속얼기층 a 아층판에서 이루는 축삭리본연접(axonal ribbon synapse)의 특징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는 망막의 신경회로 연구에 있어서 속얼기층에서 연접의 종류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