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유아 대상 영화교육에 대한 고찰

        정아림,신설아,김경철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7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9 No.2

        우리 사회는 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고 있으며 미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창의·인성 소양을 함양 하는 것이 교육의 목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 중 하나로 영화교육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교육 분야에서 영화교육을 어떻게 실시해야 하는지 고찰해보는 데 있다. 문헌탐색을 통해 초·중등 영화교육의 현황과 우리나라 유아 대상 영화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고,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초·중등은 영화교육 교육표준이 개발되고 다양한 사례가 있었으나 유아교육 분야 의 영화교육은 이에 미치지 못 하였다. 영화를 활용하는 연구는 수업의 도입 단계에서 영화를 감상하는 정도에 그쳤고, 영화를 제작하는 연구는 단순히 동극을 촬영하는 것이었다. 이에 우리나라 유아 대상 영화교 육의 과제로 다양한 스토리텔링을 통한 시나리오 작성, 영화감상과 제작을 통한 자기표현, 유아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Our society is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 is becoming a goal of education to cultivate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 order to cultivate future human resour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movie education as one of the education that can cultivate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d to examine how to conduct movi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 literature search,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movie education, the current state of Korean film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and discussed future issues. There were various cases of development of National Film Education Standard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but film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not enough. Research using movies was limited to watching movies at the beginning, and research to produce movies was simply to film the theatricals. Therefore, we proposed the scenario writing through various storytelling, self expression through film appreciation and production, and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 영화를 만드는 초록반 이야기

        김경철,정아림,신설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1

        본 연구는 유아들과 함께 영화를 만드는 과정을 통해 유아들에게 일어나는 변화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6월부터 11월까지 6개월 동안 C도 C시 D유치원의 만 4세 초록반 유아 26명과 담임교사가 함께 영화 만들기 활동을 하고 있다. 그리고 연구자는 담임교사와 정기적 만남, 이메일, 스마트폰 등으로 꾸준하게 교류하면서 활동 내용과 방향을 공유하고 상의해가면서 진행 중이다. 영화 만들기 활동의 첫 단계는 도입단계로 유아들이 카메라와 친숙해질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과 접근 방법을 활용하여 참여과정을 촉진시키는 단계이며, 두 번째 단계는 개발과 기획단계로 영화의 스토리를 만들기 위해 습식수채화를 통해 아이디어를 얻고 이를 토대로 스토리보드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세 번째 사전제작단계에서는 습식수채화를 엮어서 미리 영상을 만들어 보고 영화를 만드는 데 필요한 모든 준비작업을 포함하며, 네 번째 제작단계는 이야기를 나타내 보이는 데 필요한 모든 이미지와 소리를 기록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다섯 번째 후반제작단계에는 찍고 녹음한 것들 중 어떤 것을 선택하여 최종본 영화로 완성시킬 것인가에 관한 편집의 과정이 포함되고, 마지막 여섯 번째 단계에서는 D유치원의 유아들을 초대하여 영화 관람의 시간을 갖고, 초록반 스스로의 평가시간이 포함된다. 9월 현재, 세 번째 단계까지 진행이 되었고 ‘무지개 마을’, ‘문어 치과 가기’, ‘병아리를 사주자’라는 제목의 스토리가 완성되었으며, 약 3개월의 연구 기간 동안 유아들에게 나타난 변화로는 ‘익숙한 것을 새롭게 보기’, ‘어? 저 친구가 저런 생각을?’, ‘우리 반 선생님이 최고에요.’가 있었다.

      • 선택과 책임 덕목을 가르치는 유아교사들의 경험

        김경철,신설아,정아림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1

        본 연구는 유아들에게 ‘선택과 책임’ 덕목을 가르치는 유아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선택과 책임’ 덕목 교육이 이루어지는 유아교육현장의 모습, 유아 및 학부모의 반응을 들여다보면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선택과 책임’ 덕목 교육에 대한 이해 및 시사점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G도 I시 성당부설 유치원 만4, 5세 유아들에게 ‘우리는 지혜리더’ 프로그램을 교육하는 유아교사 2인과 2회의 면담을 가진 후, 면담내용에서 의미 있는 주제를 추출한 다음, 주제에 맞추어 내용을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선택과 책임’ 덕목을 가르치는 유아교사들은 1)가르치는 어려움, 2)일상생활 속의 ‘선택과 책임’ 지도, 3)예상치 못한 선물이라는 경험을 하였다. 1)가르치는 어려움은 무형의 덕목 개념을 가르쳐야한다는 부담감과 교수방법 및 유아와의 상호작용에서의 자신감 결여 등으로 나타났다. 2)‘선택과 책임’ 덕목의 교육내용이 일상생활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어서 유아들에게 보다 더 쉽게 내면화 될 수 있었고, 교사 자신도 기본생활습관 및 사회성.정서 지도에 자연스럽게 적용할 수 있었다. 3)덕목 교육의 특성상 교육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지만 유아들이 유치원에서나 가정에서 성인의 중재나 개입 없이 ‘선택과 책임’ 덕목을 활용하여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모습에서 교사들은 보람을 느꼈다.

      • KCI등재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유아교사의 특성 탐색

        김경철(Kyung-chul Kim),정아림(A-rim Jung),신설아(Seol-a Sh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유아교사의 특성이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 문제는 예비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유아교사 특성의 개념적 구조와 중요도는 어떠한가?이다. 이를 위해 개념도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K대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재학생 2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초점질문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마인드맵을 기초로 55개의 최종 진술문을 추출하고 이를 범주화한 다음, 5점 척도로 평정한 뒤 다차원척도분석과 군집분석을 하여 개념도를 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예비 유아교사들은 좋은 유아교사의 특징을 유아-교사 차원과 인지적-정의적 차원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예비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유아교사의 특성은 바른 인성을 가지고 소통하는 교사, 전문성을 가지고 유아를 교육하는 교사, 유아 중심의 가치관을 가지고 실천하는 교사로 나타났다. 셋째, 군집별 중요도는 유아 중심의 가치관을 가지고 실천하는 교사, 전문성을 가지고 유아를 교육하는 교사, 바른 인성을 가지고 소통하는 교사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used the technique of concept mapping to explo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positiv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aim was to identify a conceptual framework for positive characteristics demonstrated by good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relative importance, as perceived by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20 first-year undergraduates students enroll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at K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d data and concept maps were derived from the interviews and then analyzed. The comments made during the participants’ interviews were narrowed down to a final list of 55 statements, which were then categorized and ranked by the participants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employed to evaluate the dimensions of the extracted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conceptual structures. First,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e ‘early childhood-teacher’ and ‘cognitive-affective’ dimensions as two different dimensions. Second,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e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ers in three clusters, which they ranked in importance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practitioners of teaching who possess child-centered values; next, teachers who instruct young children with professionalism; and lastly, communicative teachers who show upstanding character.

      • KCI등재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지도서』의 감각활용활동 분석

        최연철(Choi Youn-Chul),정아림(Jung A-R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1

        인간의 감각은 과학적 탐구와 예술적 표현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생활의 영위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Comenius, Pestalozzi, Frobel, Montessori 등의 유아교육학자들은 유아 감각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으며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도 사회생활영역을 제외한 건강, 표현, 언어, 탐구 생활영역에서 각 생활영역의 특성에 맞게 감각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지도서』의 각 생활주제와 각 생활영역에 나타난 감각교육 관련 내용을 오감각에 기초하여 분석을 하였다. 『유치원지도서』 각 생활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11권의 지도서의 총 1,465개 활동 가운데 ‘감각기관 활용하기’를 교육과정 관련 요소로 포함한 활동 수는 59회(4%)로 유치원 교육과정에서의 감각교육 강조를 고려한다면 매우 적게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지도서』의 각 생활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건강생활영역, 사회생활영역과 표현생활영역에서 청각이 가장 나타났으며 언어생활영역에서는 시각과 청각이, 탐구생활영역에서는 시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Human senses are known to play very crucial roles in managing daily life as well scientific research and artistic expression. Thus early childhood educators such as Comenius, Pestalozzi, Frobel and Montessori stressed the importance of sensory education and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revised in 2007, also emphasized sensory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sensory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only a total of 59 out of 1,465 activities make use of the five senses. Also among the five senses, sight and hearing related activities turn out to be major sensory activities in ‘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 KCI등재

        스크린 프린팅 공법을 통한 방사선 무연 차폐 시트에 관한 연구

        강상식 ( Sang-sik Kang ),정아림 ( Ah-rim Jeong ),이수민 ( Su-min Lee ),양승우 ( Seung-woo Yang ),김교태 ( Kyo-tae Kim ),허예지 ( Ye-ji Heo ),박지군 ( Ji-koon Park )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6

        많은 선행 연구에서는 무연 차폐재를 제작하기 위하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방사선 차폐 능력과 경량화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바인더 및 미세 기공에 대한 구현이 어렵기에 제품화 공정에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품화 공정에 요구되는 겔 페이스트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기 위하여 스크린 프린팅 공법을 활용하여 충전율에 따른 방사선 차폐 능력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차폐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IEC 61331-1:2014와 KS A 4025에 부합하도록 실험 환경을 설계하였으며, 방사선 조사 조건은 KS A 4021 규격을 준용하여 총 여과 2.0 mmAl로 여과된 100 kVp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TVL를 기준으로 Pb 1270 μm, BaSO<sub>4</sub> 3035 μm, Bi<sub>2</sub>O<sub>3</sub> 1849 μm, WO<sub>3</sub> 2631 μm에서 근사한 값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충전율은 BaSO<sub>4</sub> 38.6%, Bi<sub>2</sub>O<sub>3</sub> 27.1%, WO<sub>3</sub> 30.15%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차후 저온고압 성형을 적용한다면 충전율을 높이면서도 기공률을 낮춤으로서 방사선 차폐 능력의 개선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many previous studies, monte carlo simulation is used to produce lead-free shielding sheet, and the possibility of radiation shielding capability and weight reduction is presented. But it is difficult to simulation for binder and micro-pores because of In fact it does not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ommercialization proces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radiation shielding capability corresponding to filling factor was presented by using the screen printing method to provide information on gel-paste required for the commercialization process. In this study, the geometric setup for evaluate of radiation shielding ability was designed to comply with IEC 61331-1:2014 and KS A 4025. In addition, radiation irradiation conditions were 100 kVp filtered with 2.0 mmAl total filtration was applied according to KS A 4021 standard. In this study, Pb 1270 ㎛, BaSO4 3035 ㎛, Bi<sub>2</sub>O<sub>3</sub> 1849 ㎛ and WO<sub>3</sub> 2631 ㎛ were analyzed based on ten value layer. Additionally, the filling factor was analyzed as BaSO<sub>4</sub> 38.6%, Bi<sub>2</sub>O<sub>3</sub> 27.1%, WO<sub>3</sub> 30.15%. However, in the case of applying low-temperature high-pressure molding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radiation shielding capability can be sufficiently improved by reducing the porosity while increasing the filling factor.

      • 유아교육 관련 인증제의 비교 연구

        김경철(Kyung-Chul Kim),정아림(A-Rim, J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유아교육관련 인증인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와 방과 후 과정 특성화 프로그 램 추천제, 우수 유치원 평가인증의 장단점에 대해 비교해 보고, 앞으로의 인증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 향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증실시기관에 따른 장단점을 발견하였으며, 평가준거의 모호함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인증연구기관과 인증실시기관, 인증부여기관을 분화하여 평가 준거의 모호함은 각 학회연계기관인 인증연구기관에서 해결하고 유아교육원과 같은 전문기관에서 인 증을 실시하여 인증의 전문성을 높이고, 교육부와 공동으로 인증을 부여하여 인증의 신뢰성을 높이고 우수한 자본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인증신청기관과 평가위원이 모두 중요 하게 생각하는 환경구성과 교재교구의 적합성에 대한 지표가 애매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체적 인 지표가 개발되어야 하며 더불어 교재교구 인증시스템의 개발도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