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축형 연령통합척도 타당화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연령통합인식 관계: 연령집단 간 비교

        정순둘,임정숙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1

        This study validates an abridged version of the age integration scale by Chung et al. (2015), which constitutes sub-dimensions of age flexibility and age heterogeneity-from Riley et al. (1994)-and observes disparities in the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among different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1,433 people in the "Age Integration and Generation Integration Survey" data, with the support of the Social Science Competency Enhancement Project (SSK) (suppor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This paper analyzed the data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ple-group factor analysis, and a compare means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ale was abridged to 13 items from 28, of which eight items concern age heterogeneity and five concern age flexibility. Second, the multi-group analysi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younger, middle, and older age groups, therefore allowing the scale to be used among all age groups. Third, whe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younger ad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levels of age integration, age heterogeneity, and age flexibil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Middle-aged ad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levels of age integration, age heterogeneity, and age flexibil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and social status. Older ad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level of age integration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education level, and social status. They also showed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ge flexibil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and social status and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ge heterogene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and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olitical and practical measures to promote perception on age integration in the future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정순둘 등(2015)이 개발한 연령통합척도를 Riley 등(1994)이 개념구성한 연령유연성과 연령다양성을 하위요인으로 한 단축형 연령통합척도로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척도의 실용성을 확보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징에 따른 연령통합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한 사회과학역량강화지원사업(SSK)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령통합 및 세대통합 조사’자료의 총 143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다집단 요인분석, 평균비교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척도는 총 28문항에서 13문항으로 수정되었으며, 연령다양성 8문항, 연령유연성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청년, 중년, 노년 집단으로 분류하여 다집단 요인분석에서 연령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전 연령에서 사용가능성이 확보되었다. 셋째, 연령집단 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연령통합인식 차이에서 청년집단은 거주지역에서만 연령통합인식, 연령유연성, 연령다양성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년집단에서는 거주지역과 계층인식에서 연령통합인식, 연령 유연성, 연령다양성 차이를 보였다. 노년집단은 연령통합인식에서는 거주지역, 교육수준, 계층인식이 유의미하였으며, 연령유연성에서는 거주지역과 계층인식, 연령다양성에서는 거주지역과 교육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연령통합인식 향상을 위한 연구를 위한 방향과 정책 및 실천을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신체적 노후준비 영향요인:Andersen과 Newman 모델의 적용

        정순둘,김성원 한국노인복지학회 2013 노인복지연구 Vol.0 No.59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physical preparation for later life of babyboomers with the pre-elderly and to seek practical implication for healthy aging of both groups. Anderson and Newman model was used and data were collected in 2011. A total of 1,021 cases of babyboomers and 848 cases of the pre-elderly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Hierarchical regression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ysical preparation for later life between the babyboomers and the pre-elderly. On the other hand,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a few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physical preparation for later life between the two groups. Except commonly influential variables, in regards to the babyboomers, the variables such as 'children', 'household income', and 'willing to mental health screening' were revealed as significant factors to explain physical preparation for later life, whereas, in terms of the pre-elderly, education was the only one.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suggestions for social work interven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의 건강한 노후를 위한 실천적 개입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베이비부머의 신체적 노후준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Andersen & Newman 모델에 근거하여 살펴보았다. 예비노인과의 비교를 통해 베이비부머의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베이비부머(1955~63년생) 1,021명, 예비노인(1947~1954년생) 848명 등 총 1,869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신체적 노후준비는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준비에 대한 영향요인들은 두 집단별로 약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부머의 경우 가능성요인중 자녀유무, 가구소득, 정신건강검진의향 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예비노인의 경우 소인요인중 학력만이 유의미한 변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가지고 연구결과에 대한 함의와 실천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연령통합의 개념, 철학, 사회적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전문가 인식과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정순둘,기지혜,최혜지 한국노인복지학회 2015 노인복지연구 Vol.0 No.68

        본 연구는 연령통합 개념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문가의 인식과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탐색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노인과 연령차별 등에 대한 관심을 가진 전문가 31명이며, 자료 수집은 2013년 4월부터 8월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은 전문가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델파이조사와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령통합은 다른 연령간의 상호이해와 존중의 개념으로 이해되었으며, 이 개념은 노인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전 연령층을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통합의 철학적 근거는 공존, 사회통합, 인간존중이었으며, 연령통합의 사회적 영향은 사회연대, 세대 간 사회관계 증진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차원에서 연령통합의 긍정적 영향은 사회참여 기회와 삶에 대한 자율성 증가이고, 부정적 영향은 노인의 노동이 시간제 노동으로 고착되거나 능력이 없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배제 측면으로 나타났다. 연령통합이 이루어지더라도 현재와 같은 연령별 역할기대는 소멸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령통합의 아이디어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actual concept,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age integration, and its social impacts. Thirty one experts of gerontology were chosen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13 to August 2013. For this purpose, delphi study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experts and literature reviews were both conducted. As a result, the concept of age integration was appeared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among various age groups, which was not just for the elderly but for all ages. Age integration was philosophically based on coexistence, social integration and respecting individuals, was appeared to strengthen social solidarity and to enhance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For individuals the positive impacts of age integration were revealed to be increasing the opportunity of social participation and autonomy in their own life. The negative impacts were found for older people to remain locked into part time job and there is much possibility of social exclusion for older people with no ability. It is predicted that role expectations as we know it today would not be disappeared even at the age integrated surroundings.

      • KCI등재후보

        한국 사회복지특수대학원 교육의 발전방향 : 학부 및 일반대학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순둘,박지혜,김수현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4 한국사회복지교육 Vol.26 No.-

        In this study,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were compared with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 in order to suggest for direction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in Korea. 5 University of Seoul-city 2, Gyeonggi-do 1, Gyeongsang-do 1, Jeolla-do 1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is research elicited some curriculum of social welfare education has no difference between educational Institution. In particular, the Special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does not have a distinct identity. Based on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social welfare education should be separated according to direction and purpose of educational organization of social welfare. Secondly, in terms of training of practice can utilize the weekend program and their work place practice, and thirdly,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has to limit the number of required subject and ​​expansion of Major area. 본 연구는 학부 및 일반대학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특수대학원 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언하기 위해 학부,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특수대학원의 현황을 살펴보고, 서울시 등 4개 지역 5개 대학의 각 교육기관별 교육목적과 방향, 교과과정 영역과 교과목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실제 사회복지교육이 학부와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특수대학원 간에 분화되어 있지 않았으며, 특히 사회복지특수대학원의 경우 특수대학원이 갖는 정체성이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를 첫째, 학부,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특수대학원 세 교육기관 간 사회복지교육의 방향과 목표에 대한 분명한 경계화 작업 및 기능과 역할 재정립을 제언하였다. 둘째, 사회복지특수대학원 교육의 주요 해결점으로 실습교육의 주말 프로그램 및 자기 직장을 활용한 실습을 제안하였으며, 셋째, 사회복지특수대학원의 필수과목 수 제한과 전공영역 과목확대 및 교과내용의 내실화를 제안하였다. 끝으로, 사회복지특수대학원의 교과과정을 학부와 똑같이 운영하는 경우, 사회복지특수대학원의 교육이 실무자를 위한 재교육과 사회복지에 입문하는 초보자에 대한 교육 차원임을 상기하고 이를 교과과정에 반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 노인의 재난시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정순둘,박현주,최여희,이지현,Chung. Soon-Dool,Park. Hyun-Ju,Choi. Yeo-Hee,Lee. Ji-Hyun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8 No.1

        Warning phase of disaster is a critical period in determining the likely survival of threatened citizens. Elderly requires special attention primarily because they tend to be uncompliant and less likely to cooperate with authorities. But there is much less research on how elderly respond to disaster warnings, while there is a strong consistent empirical literature on older citizen in the recovery periods of disas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ping behavior of elderly when they are at risk of disaster.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senior citizens aged over 60 who are residing in Pyungchang and Injae in Kangwon province which had damaged due to heavy rain in 2006. Perry & Lindell(1997)`s index, a series of six categories that represent coping behaviors which progressively approximate the action of evacuating was used : do nothing(1), check environmental cues for evidence of a threat(2), engage in threat-specific property protection(3), engage in protective action for personal safety(4), prepare to evacuate(5), evacuate the areas as instructed in the warning(6). Almost respondents(69.2%) chose the level 6(51.5%) and level 5(17.7%). This proves the elderly are not uncompliant or uncooperative population. Furthermore, this finding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ublic warning in case of disasters. And 13.8% of total respondent checked level 1 for their reaction.

      • KCI등재후보

        재난 시 노인의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정순둘,박현주,최여희,이지현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08 No.05

        본 연구는 재난에 특히 취약한 노인에게 재난 경고시의 행동 요령과 정보전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재난 시 경고시간(warning period)동안의 노인들의 대처행동을 분석하고 대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06년 집중호우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가 있었던 강원도 인제군과 평창군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130명이었다.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노인들이 자연 징후를 보고 수해를 알게 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대처행동을 6단계로 나타내는 Perry & Lindell(1997)'s index를 통해 재난시의 노인들의 대처행동이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인의 일상생활수행 능력(ADL)과 거주기간이 대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해 노인들은 ADL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대처행동을 보였으며, 거주 기간이 길수록 낮은 수준의 대처행동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약 70%의 노인들이 재난시의 대처 행동에 충실하게 따랐으며, 노인들이 재난 시 비협력적이거나 비순응적인 집단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노인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경고의 발령과 전달의 중요성을 강조해주는 결과이며, 자연재해에 대한 사전 정보와 지식 전달, 그리고 대피에 대한 인식과 비상시의 대피계획 등에 관한 학습과 훈련의 필요성을 나타내 주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oping behavior of the elderly in the warning phase of disaster and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the coping behavior of the elderly.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senior citizens aged over 60 who are residing in Pyungchang and Injae of Kangwon province which had damaged by flood disaster in 2006. Perry & Lindell(1997)'s index, a series of six categories that represent coping behaviors which progressively approximate the action of evacuating in the warning phase of disasters was used. Results showed that respondents have high coping skills. Although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coping behavior, length of residence has negative effect on the coping behavior of the elderly. This finding proves the elderly are not uncompliant or uncooperative population in the warning phase of disaster. This result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apid and accurate giving of public warning system of disaster and necessity of prior notification of useful information about natural disaster and effective evacuation plan for the elderly.

      • KCI등재후보

        강원도 노인의 수해경험과 재해인식에 관한 연구-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비교 -

        정순둘,기지혜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8 No.1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elderly people’s experiences and perception of flood disasters in Gangwon province, which is mainly devastated by flood disasters, and seeking to the coping strategy against vulnerability of disaster between elderly men and women. A total of 183 elderly people aged 60 and over who were directly or indirectly damaged by flood disasters of 2006 in Pyung-chang and In-je in Gangwon provinc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disaster experiences between elderly men and women, howev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erception of disaster among them. Although elderly women a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 possibility of secondary flood disasters than elderly men, elderly women are less knowledgeable than elderly men in disaster attacks and they have appeared to have low coping skills. This study showed that elderly women were more likely to live alone than elderly men and they have low income comparing to the elderly men. In conclusion, elderly women should be considered as a most vulnerable group to the disaster and gender-based approach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in disaster preven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주요 수해지역인 강원도 지역의 노인을 대상으로 수해경험과 재해인식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성별로 비교해 본 후 분석자료를 바탕으로 노인의 재해취약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06년 집중호우로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은 강원도 인제군과 평창군의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183명을 대상으로 수해경험과 재해인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에 따른 수해경험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재해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재해재발인식수준이 높았지만 실제 재해발생에 대한 지식이나 대응능력은 남성노인보다 낮았다. 또한 학력이 낮고, 소득수준이 낮으며 무배우자의 혼자 사는 여성노인이 많이 이들을 재난취약집단으로 간주하고 성별을 고려하는 적합한 대응체제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