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사 ‘관리된 감정’의 영향 : 삶으로의 확장과 전문가적 지위의 간섭

        최혜지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9 비판사회정책 Vol.- No.62

        Despite the social nature of emotions, the social factor has been largely excluded in the discourse of the emotional labor of social workers and it has been exclusively thought within the frame of management discourse. The research is based on this critical thought. Thus, the research explores and extends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the lives of social workers and analyzes the effects of professional status on the process of emotional labor. The research used the data collected from 329 social workers employed by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Gyeonggi-do. The research relied on the integrated model analysis that combines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moderating effect. The analysis shows that emotional labor through emotional damage as a medium has a nega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rofessional status, which modifies the emotional effect of emotional labor, through emotional damage as a medium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The study discusses the research result with Hochschild’s theory of emotional labor and suggests a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은 경영 담론의 틀 내에서 사유되어 왔으며 감정의 사회성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요인은 배제된 채 논의되어 왔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한다. 이에 따라 감정노동의 영향을 사회복지사의 삶으로 확장하여 규명하고, 사회복지사의 전문가적 지위가 감정노동의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했다. 경기도 사회복지 이용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 329명의 자료를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통합한 통합모형분석 방법을 이용해 분석했다. 감정노동은 감정손상을 매개로 사회복지사의 삶의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낮추었으며, 사회복지사가 인식한 전문가적 지위는 감정노동이 감정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고 동시에 감정손상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혹실드의 감정노동이론을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논의했으며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했다.

      •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과 삶의 만족도의 영향관계에 대한 가족교류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혜지,최혜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8 생명연구 Vol.49 No.-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the use of smartphones, which transforms everyday space to virtual reality, influences one’s life satisfaction. This research starts from a special concern on the inconsistent results of prior researches and the lack of effort to explain such inconsistenc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e and life satisfaction using data form 524 non-aged persons below the age of 55 and 352 aged persons 55 or older, analyzing the combined model of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erations showed a controlled effect of the meditating effect. In other words, the use of smartphones causes static family interaction and the meditating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which causes a static influence on the influence of family interaction on life satisfaction, is only significant among the non-aged persons, showing that it is controlled by generational differences. 이 연구는 일상적 공간을 가상세계로 확장한 스마트폰의 사용이 개인의 삶의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주목한다. 특히 관련 주제를 탐색한 선행연구의 결과가 연구마다 비일관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그 이유를 규명하려는 노력이 부재하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한다. 524명의 54세 이하 비고령자와 352명의 55세 이상 고령자 자료를 이용해 스마트폰 사용과 삶의 만족도 사이의 영향관계에서 가족교류의 매개효과와 세대의 조절효과를 하나의 모형으로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마트폰 사용이 가족교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가족교류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족교류의 매개효과는 비고령세대에서만 유의미함으로써 세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고령자 정보격차의 또 다른 위험, 정치참여의 소외

        최혜지,최혜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9 비판사회정책 Vol.- No.65

        This study was developed from the critical notion that informatization may implement the better government by securing participation of people on political decision making process. With employing an empirical data from 225 older and 533 younger, this study examined whether informatization was a positive instrument enhancing political participation of elderly or a negative huddle extending inequality of political power through analyzing an association between digital divid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addition, reflecting an idea that political awareness and action varies across generations, differences in association between digital divid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s well as in political participation by generation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informatiz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political participation. This implied that present social structure of inequality would be reinforced by excluding from political participation of elderly who had a low chance to advocate his/her interest due to limited digital capability that was a by product of low socio economic status. Also, an interaction effect of generation with digital access on political participation was supported ‘정보화는 국민에게 정책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보다더 나은 정부를 구현해 나감을 강조하고’라는 글로부터 이 연구의 문제의식이 발전되었다. 경험적 자료를 통해 정보화가 고령자의 정치참여를 확대하는 민주적 도구인지 또는 권력자원의 불평등을 강화하는 문제인지 검증하고자 했다. 더불어 정치적 행위는 개인이 성장한 사회적, 역사적 맥락을 내재화하여 세대마다 다르게 나타난다는 논의에 기초하여 정보화와 정치참여의 영향 관계가 세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고자 했다. ‘2017 연령통합 설문조사’ 원자료로부터 225명 고령세대와 533명 청장년세대의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고령세대의 정치참여는 정보활용에 의해, 청장년세대의 정치참여는 정보접근과 정보활용으로부터 정적으로유의미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령세대는 정보접근의 증가가 정치참여의 확대로 연결되지 못하는 반면 청장년세대는 정보접근의증가가 정치참여를 의미 있게 확대하는 세대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끝으로 정보격차에 의한 정치참여의 소외는 고령세대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경성화하여 고령자는 다차원의 불평등이 교차하는 비복지 상태에 처할수 있음을 논의했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