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民日報》를 통해 본 해방 직후 연변 조선인 사회 (1945년 9월~11월)

        정송이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871

        After liberation, people of Manchukuo still actively worked in Yanji and there was a tug of war between the nationalist Party of China, which waited withdrawal of the Soviet army, and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lso ethnic tension between Koreans and Chinese worried Koreans about settlement and retur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nalyzing various social aspects, shown in Yanbian Koreans society until the society was dominated by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in November, 1945, after liberation. And <Hanmin Daily news>, published in Yanji on 18 September 1945 is used as a major material, which unearths Yanbian Koreans society. First <Hanmin Daily news>, used as a major material, was published at the time of Manchukuo by Korean journalists and community leaders and <Mansun Daily news> continued the tradition of Japanese colonial period's local newspaper in the aspect of newspaper page's composition. This is saying continuity, which liberated Yanbian had, with Manchukuo. And newspaper used Dangun era name and a republic era name simultaneously and listened Chinese government and gave major coverage to movements of the Korean Peninsula at the same time. These points are transitional aspects, which Yanbian Korean society had at that time. After liberation, Gando provisional government(the same as provisional government) was established by the Soviet army and native Manchukuo occupied most administration positions and they were generally pro nationalist party. Although the provisional government, looked through <Hanmi Daily news>, was underground interim government, it organized the Council of people's commissars and went through formalities to establish formal government. Also it suggested progressive cost of tenant farming like the 3 ․ 7 ,the 2 ․ 8 unlike original assessment and it showed new aspect that treated Koreans on the same footing with Chinese in all policies. Meanwhile, through <Hanmin Daily news>, we could look at a society of yanbian Korean. First, We could see will of settlement of yanbian Korean. Despite the conflicts between Korean and the Chinese nations, Koreans were suggesting a settlement as publishing <Hanmin Daily news> through the pages. Also Yanbian Koreans planned a permanent settlement of Korean as methods, which were advocating slogan, "friendship between Korea and China" and were quickly reviving ethnic education. Above all, It could be shown that a strong sense of settlement of Yanbian koreans, that is, sense of facing north affected highly. Secondly, then we could show a society of Yanbian Koreans became fell into a leftist way of thinking. As Socialist of Yanbian Koreans took lead the Double Tenth event, crowd groups of various places became enhanced formation and that would come out as a great power.Though it was not a organ of Chinese communist affiliation, 60% of <Hanmin Daily News>'s running stories were full of articles, that explained socialist theories. It may became measures, which satisfied Koreans, who were not received socialist theories until then in radically socialized Yanji society and every socialists' need to communicate ideas. 해방 직후 연변에는 여전히 만주국의 인물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었으며, 소련군의 철수를 기다리는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주도권 쟁탈이 벌어지고 있었다. 또 조선인과 중국인 사이에 폭발한 민족갈등은 조선인들로 하여금 정착과 귀환을 고민하게 하였다. 본고는 해방 직후 1945년 11월 중국 공산당에 의해 연변이 장악되기까지 연변 조선인 사회에서 보이는 다양한 사회상의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1945년 9월 18일에 연길에서 창간된 한국어 신문 《한민일보》는 연변 조선인 사회를 밝혀내는 주요 사료로 사용되었다. 먼저 주 사료로 사용된 《한민일보》는 만주국 시기 조선인 언론인과 유지들에 의해 발간되었으며 신문 지면의 구성 상 《만선일보》 나아가 일제 시기 국내 신문의 계보를 잇고 있다. 이는 해방 연변이 가진 만주국과의 연속성을 말해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신문은 단군 연호와 민국 연호가 동시에 사용되고 있으며 중국 국공의 소식에 귀를 기울이면서도 한반도의 동정에 관한 기사를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이러한 점은 당시 연변 조선인 사회가 가지는 과도기적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해방 직후 연변에는 소련군에 의해 間島省 臨時政府(이하 임시정부)가 세워져 있었으며 관리들은 대부분이 元만주국 관리들이었고 대체로 친국민당 세력이었다. 《한민일보》를 통해서 바라본 임시정부는 잠행적 과도정부임에도 불구하고 인민위원회를 조직하며 정식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었다. 또 기존의 평가와 달리 3 ․ 7제, 2 ․ 8제와 같이 진보적인 소작료를 제시하였으며, 모든 정책에서 조선인과 중국인을 동등하게 취급하는 새로운 면을 보여주었다. 한편 《한민일보》통해 연변 조선인 사회 일반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첫째, 연변 조선인들의 정착 의지를 볼 수 있었다. 조선인들은 조 ․ 중 민족 간의 갈등 속에서도 《한민일보》를 발간하여 지면을 통해 정착을 권유하였다. 또 민족 갈등보다는 ‘중조 우호’의 슬로건을 제창하거나 민족교육을 재빨리 부활시키는 방법으로 조선인의 영구 정착을 도모하였다. 이는 무엇보다 조선인들의 강한 정착의식 즉, ‘북향 의식(北向意識)’이 크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당시 연변 조선인 사회가 급격히 좌경화되어 가는 모습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연변 조선인 사회주의자들이 쌍십절 행사를 주도하게 되면서 그들이 조직한 각지의 군중단체가 결성 강화되고 그것이 하나의 거대한 힘으로 드러날 수 있게 되었다. 또 중국공산당 계열의 기관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한민일보》 연재기획물의 60% 이상은 사회주의 이론을 소개하는 글로 채워져 있다. 이는 급격히 사회주의화되어가는 연변 사회에서 그동안 사회주의 이론을 접하지 못한 조선인들과 사상을 전파하려는 사회주의자 모두의 필요를 채워주는 수단이 되었을 것이다.

      • 문화 컨텐츠로서의 한국무용 발전방안 연구

        정송이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Cultural arts is becoming has become a critical element in today's society along with religion and science. The world today is undergoing rapid transition and companies from all around the world are taking advantage of culture as part of their marketing strategy. The Republic of Korea endeavors to make itself known worldwide and their companies are also bringing culture into their marketing strategy in order to enhance their repu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vidence for the need to improve various Korean dance performances based on Korea's unique tradition and propose a method by which it can improve. Previous research data and literature have been looked into in the hope of obtaining cultural concepts, understand the need for cultural contents in modern society and the tendency of cultural contents in the current market. By researching the literature and cas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ulture in the world market have been looked into, analyzed the factors of success in the cases and suggested the effects that we can expect with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the cultural value of Korean dance. Various literatures have been gathered with the intention of elevated the validity and confidence of this study, and detailed strategies have been proposed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dance as part of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analyzing each ca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people will need to be aware the importance of the basics of educati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should be strengthened, Korean dance lessons should be recognized as one of many art lessons and the lessons should become an independent subject. Secondly, the scale of workforce that creates cultural contents should be augmented. All contents will be developed according to a particular scenario. Topics that could highlight the uniqueness of Korea to arouse public interest are required and Korean dance scenario directors are also required who are specialized in creating stories and characters that the public can have empathy with. Thirdly, contents that combine various genres with the aid of experts in each of the genre will need to be developed. Utilizing the experts' expertise and experience through encouraging interactions amongst them to develop Korean dance and organize performances, will give rise to the advent of a brand new genre of art, ultimately affecting the country's reputation. Fourthly, enterprise mecenet activity and cultural marketing should be used as a means of support. Extensive financial support from companies and country will assist artists to develop and perform contents of broad genre, which in turn elevates the quality of marketing, distribution and performances. Companies can also maximize their profit by having those contents in their possession, which is favorable as their profit will be the country's profit. Combining the creativity, originality and artistic value of Korean dance with a company's public reputation will be advantageous in terms of their marketing strategy. Fifthly, cultural arts marketing strategy will need to be taken advantage of to develop and improve dance performances that reflect the creativity and originality of Korean dance. Marketing should remain a critical component in cultural arts to survive in the market where distribution of goods and services and business are active. The marketing will need to focus on producing the outcomes that are pleasing to the eyes and Korean dance performances should seek to obliterate the barriers that exist between the audience and performers. Korean tradition and culture account for the significant portion of cultural industry. The cultural value and prospect of Korean dance will open up a brand new chapter of arts and will form connections between arts and industries. One distinct cultural market will be established by letting the beauty of Korean dance in Korean culture be known worldwide, encouraging everyone be well educated in it and converting the culture into goods and services to be exported. In addition to that, globalization of the country and companies will be the leaders in advertisement of Korean culture. Korean dance performances shall be developed continuously that can contribute to the growth of the country's economy and companies' business status as part of cultural industry. 문화 예술은 종교와 과학의 뒤를 이어 시대의 핵심 코드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오늘 날 세계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 하고 있으며 세계의 기업들은 문화를 경영전략의 한 수단으로 숙고하여 커다란 발전을 이루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 속에 독창적인 우리의 이미지를 심기위해 다방면으로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으며, 기업들 또한 브랜드 가치 상승을 위한 문화 마케팅의 수단으로서 문화라는 코드를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무용의 문화 예술적 가치를 바탕으로 한 문화 컨텐츠로서의 다양한 한국무용공연 개발의 필요성과 함께 그 발전방안을 제시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행연구 자료 및 문헌조사를 통하여 문화 컨텐츠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고, 현대 사회 속에서 문화 컨텐츠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현재 문화컨텐츠 시장의 동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문헌조사 및 사례연구를 통하여 세계시장 속에서 한국문화의 위치에 대해 알아보고 각 사례들의 성공요인을 분석 하였으며, 한국무용이 가지는 문화 예술적 가치와 기업 및 국가의 지원에 의한 파급효과에 대해 제시 하였다. 연구 자료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문헌을 수집하였고, 각 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문화 컨텐츠로서의 한국무용의 구체적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 결과를 도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 교육의 중요함을 인식해야 한다. 초, 중등 학생들의 교과 과정에서부터 예술 교육이 강화 되어야 하며 한국무용 수업도 예술수업으로서 그 가치를 인식하고 체계적인 학습을 통해 독립된 교과로 교육 되어져야 한다. 둘째, 문화 컨텐츠 창작 인력이 개발 되어야 한다. 모든 컨텐츠는 시나리오에 의해 개발되고 만들어진다. 한국의 색채와 정신을 살린 가장 한국적인 소재로 대중의 관심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소재가 필요하며, 그 시나리오 속에 일반 대중들도 공감 갈 수 있는 이야기와 캐릭터로 이러한 작업만을 전문으로 하는 전문 한국무용 시나리오 작가가 필요한 것이다. 셋째, 각 분야의 전문가들 간의 교류를 통한 혼합 장르의 새로운 컨텐츠가 개발 되어야 한다. 그들의 전문적인 지식 및 경험을 활용하고 인력교류를 통해 한국무용에 접목시키고 그것들을 토대로 공연 작품을 개발한다면 보다 새로운 스타일의 혼합 장르예술이 탄생하게 되며 그 가치는 국가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넷째, 기업의 메세나 활동과 문화 마케팅을 통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업 및 국가의 지속적이고 전폭적인 지원은 예술가가 안정된 재정 가운데 폭넓은 컨텐츠의 개발 및 창작 활동을 펼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게 되며, 그로 인한 공연의 질적 향상과 함께 공연의 유통 및 마케팅 면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업 또한 하나의 컨텐츠를 보유함으로서 많은 이윤창출로 이어 나갈 수 있다. 기업이 발전하면 동시에 국가의 경쟁력도 발전하게 된다. 한국무용이 가지는 창의성과 독창성, 높은 예술적 가치와 기업이 가지고 있는 브랜드 이미지를 잘 결합시킨 작품을 개발하여 예술 마케팅에 접목 시켜야 한다. 다섯째, 한국무용의 창의성과 독창성을 잘 반영한 무용 컨텐츠를 개발?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문화 예술의 마케팅 경영 기법이 활용 되어야 한다. 순수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마케팅은 유통과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에 있어서 분명히 존재 하여야 하며, 체험적 요소를 최대한 활용하는 감성, 이미지 마케팅을 중심으로 한국무용 공연의 경우도 무대와 관객사이의 벽을 없애기 위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기획과 연출이 필요하다. 문화 컨텐츠 산업에서 우리의 우수한 문화와 전통은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그 중 한국무용이 가지는 문화적 가치와 비전은 문화산업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 것이며 예술과 산업의 수많은 접점이 생겨날 것이다. 내수적 가치로써의 문화뿐만 아니라, 문화의 컨텐츠 화는, 다양한 문화의 수출이고, 그 중심에 한국무용이 가지는 아름다운 우리 문화의 요소들이 세계 속에 인지, 교육됨으로써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또 하나의 문화 컨텐츠 시장이 개발될 것이다. 나아가 국가와 기업의 세계화에도 우리의 문화로써 선도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한국무용 컨텐츠 개발을 국가와 기업의 경제에 기여 할 수 있는 문화산업으로써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

      • 太平天國 女性政策 實施背景

        정송이 淑明女子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1855

        Taipingtienguo(太平天國) performed the unprecedented women policy by making women participate in the whole field of administration, military affairs and production-labor. The women policy of Taipingtienguo(太平天國) was related to the society mores of Kuang-dong(廣東) and Kuang-xi(廣西) region very closely. The unique manners and customes of this region remained intact in most cases because the region was located in the southern extremity of China and had a small number of peoples come and go. So the mores of each ethnic groups and Ke-jia(客家) society was reflected into women policy of Taipingtienguo(太平天國) as it was. As the result, women could be liberated from Foot-binding(纏足) even for some time and participate in not only production activities but also militaryactivities on a full scale. But the women policy of Taipingtienguo(太平天國) exposed much limitation. Though Taipingtienguo(太平天國) started from christianism and equalism was derived from it because the christianism which the leadership had accepted was distorted and the Confucian idea was added to it. On the other part, Taipingtienguo(太平天國) became more feudalized·degenerated in proportion to approaching the latter period and the revolution discipline of early period was tarnished very much. Finally, it didnt defeat the united attack of China army and Western world Powers and collapsed, and womens status returned to the previous one. So, it is laborous to evaluate the women policy of Taipingtienguo(太平天國) as truthful man and woman equality policy and modern movement for the emancipation of women. But it was the opportunity that the womens power was admitted and used positively in comparison with previous Chinese womens status, though the basic thought of women policy was not thorough and exposed several limitation points. It was very significant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women movement thereafter that women participated in the policy of society revolution across-the-board. 太平天國은 여성을 행정·군사·생산노동 전반에 걸쳐 본격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중국 역사상 전례없는 여성정책을 실시하였다. 태평천국의 여성정책은 廣東 및 廣西지역의 사회습속과 매우 밀접히 관련된 것이었다. 이 지역은 지리적으로 중국의 남쪽 끝에 위치하여 사람들의 왕래가 적어 그 지역 고유의 풍속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하여 각 소수민족과 客家사회의 습속이 태평천국 여성정책에 그대로 반영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여성들이 纏足에서 잠시나마 해방될 수 있었고, 생산활동 뿐 아니라 행정 및 군사활동에도 전격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 태평천국이 기독교 교의로부터 출발했기 때문에 태평천국의 여성정책이 남녀평등정책이라고는 하나 지도층이 수용한 기독교 교리는 왜곡된 것이었으며, 여기에 중국의 儒家的 전통사상이 가미되면서 태평천국의 여성정책은 많은 한계를 드러내었다. 한편 후기로 갈수록 태평천국은 봉건화·부패화 되어 초기의 혁명기율이 매우 흐려졌다. 이에 淸軍과 서구 열강의 연합공격을 이겨내지 못하고 태평천국은 멸망하였으며 여성의 상태도 이전으로 되돌아가고 말았다. 따라서 태평천국의 여성정책을 진정한 남녀평등정책, 근대적 여성해방운동이라고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 같다. 그러나 비록 여성정책의 기초사상이 철저하지 못했고, 여러 한계점을 드러냈다고 하더라도 이전의 중국 여성의 지위를 생각해 볼 때, 여성들의 역량이 적극적으로 인정받고 활용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여성이 사회개혁정책 전반에 참가했다는 것은 이후 중국의 여성운동 발전에 있어서도 매우 큰 의미가 있는 것이다.

      •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 본 산업재해 근로자의 트라우마와 분노

        정송이 서울신학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1855

        본 논문에서는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 산재근로자의 트라우마와 분노를 재해석하고, 궁극적으로 산재근로자와 가족ㆍ사회ㆍ신앙공동체의 상호 돌봄을 위한 관계적이고 공동체적인 기독교상담학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연구목적은 산재근로자의 트라우마와 분노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ㆍ문화적으로 구성된 산물이므로 관계적인 과정과 공동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트라우마와 분노가 만연해있는 한국사회의 상황적 현실을 설명하고, 산재근로자들의 트라우마와 분노를 케넷 걸겐(Kenneth J. Gergen)의 사회구성주의 방법론으로 재해석하였다. 이는 인간을 ‘관계적 존재(Relational Being)'로 보고 자신과 타인, 그리고 세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서 트라우마와 분노에 대한 자기 이야기를 새롭게 구성하는 관계적 과정을 통한 관계회복에 대한 치유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재근로자들이 경험하는 트라우마를 병이나 장애로 진단하고, 병리적으로 보는 기존의 상담 접근법에서 벗어나 관계적이고 사회ㆍ문화적인 맥락에서 접근하였다. 또한 산재근로자들이 경험하는 분노를 부정적인 감정이라 인식하고 조절 하거나 해결하려고 하는 기존의 접근법보다는 사회구성주의 관점의 이야기치료 접근으로 자신의 가치와 신념을 위협하는 이야기를 다시 씀(re-story)으로써 관계적 존재로 변화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산재근로자의 트라우마와 분노에 대한 그들의 가치와 신념이 위협받았던 이야기를 다시 써내려가는 과정을 통해 그들의 존재는 물론 신념과 가치관이 변화될 수 있고, 변화된 그들의 가치가 수용될 공동체의 사랑과 지지가 필요하며, 산재근로자와 가족ㆍ사회ㆍ신앙공동체의 상호 돌봄을 통해 사회의 변화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산재근로자의 트라우마와 분노를 사회구성주의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지금까지 자연재해와 사회재난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연구가 있었고, 산재의 경우 경찰이나 응급구조대원ㆍ소방직 근로자의 트라우마와 치료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많았던 반면, 일반산재근로자의 트라우마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상대적으로 빈약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산업왕국이자 동시에 산업재해왕국인 한국사회의 일반산재 근로자의 트라우마와 분노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트라우마와 분노에 대한 기존의 상담적인 접근은 개인을 대상으로 한 내면 중심적인 접근이었으며, 트라우마와 분노에 대해서는 병리적인 것으로 보고 치료하거나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 사회심리학적인 접근을 시도하여 트라우마와 분노에 대하여 관계적, 사회ㆍ문화적으로 접근하였다. 특히 사회구성주의자 케넷 걸겐의 사회구성주의 방법론을 적용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걸겐은 사회구성주의의 대표적인 학자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그의 이론을 부분적으로 소개한 책들만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인간을 ‘관계적존재’로 보는 걸겐의 관점이 본 논문을 통해 소개되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사회구성주의가 관계를 중요하게 여길 뿐만 아니라 관계를 인간생존의 기본 전제이고 상호작용의 거점으로 강조하기 때문에 관계와 공동체를 신학적 토론의 중심 이슈로 생각하는 관계신학과 사회구성주의적 접근을 연결하여 트라우마와 분노를 논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트라우마와 분노에 대한 관계신학적인 성찰을 통하여 트라우마와 분노를 신학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트라우마를 의존성의 원리와 사랑의 논리를 가지고 이해할 때 인간과 관계하고자 하시는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고 공동체성을 회복하게 된다. 분노 또한 전통적인 신학으로 이해할 때는 일곱 가지 대죄 중의 하나로 인식하여 죄로 여겼지만, 사회구성주의와 관계신학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하나님의 형상인 인간은 하나님과 예수님이 분노하셨듯이 하나님의 뜻에 어긋나는 가치에 대해서는 분노를 정당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넷째, 본 논문에서 트라우마와 분노에 대한 사회 심리적 기독교상담을 제안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기존의 기독교상담에서는 심리학과 신학을 어떻게 통합시킬 것인지에 대해 고민해왔다. 그리하여 심리학과 신학을 통합하려는 시도는 많이 있었지만, 사회심리학을 접목한 기독교상담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간을 사회적인 존재, 관계적인 존재로 보고, 관계를 통한 회복, 즉 관계적이고 공동체적인 돌봄으로서 기독교상담을 제안하였다. 인간은 인간과 관계하고자 하시는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정체성을 찾게 된다. 스탠리 그렌즈(Stanley J. Grenz)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인간은 자신의 인성 안에 하나님의 무한한 자아를 유한하게 반영하는데, 자신이 소유한 어떤 것으로써가 아니라 공동체 안에서, 그리고 관계를 통해서 표현하는 능력으로서 반영한다고 하였다. 이렇듯 인간은 관계적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인간은 하나님과 자기 자신, 타인과 세계와 관계하는 관계적 존재로서 자아를 인식한다. 트라우마와 분노에 대한 사회 심리적 기독교상담은 힘의 논리가 아닌 아가페 사랑의 논리를 가지고 스탠리 그렌즈가 주장했듯이 관계적ㆍ사회적 자아 안에 삼위일체 하나님을 반영하도록 부름 받은 교회, 공동체로서의 교회로 나아가야 한다. 즉, 트라우마와 분노에 대한 사회 심리적 기독교상담은 관계적ㆍ공동체적으로 접근하여 상호간에 돌보는 상담이 되어야 하고, 아가페 사랑의 공동체의 지지와 격려를 제공해야 한다. This study reinterpreted the workers' trauma and anger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ocial constructionism and ultimately tried to approach the relational and communal christian counseling in order to care mutually the workers' family, social, faith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relational process and communal approach for the workers' trauma and anger which is not the issue of an individual but of the social and cultural product. The research explained the Korean contextual reality in which the trauma and anger is prevailing, and then reinterpreted it by the Social Constructionism methodology of Kenneth J. Gergen. It regards the human as Relational Being and puts the healing process on the relational recovery through newly constructing the story about the trauma and anger in the relational context of the self and others and world. The research approached the workers' trauma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relation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 not the general counseling approach that diagnosed the trauma as the disorder and disease. It tried to prove to change the life through the re-story of the workers' values and belief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ocial constructionism. It was contrasted with the general counseling approach that saw the workers' anger as the negative feeling so tried to control and resolve the negative feeling. The workers' being, beliefs and values can be changed through the re-story process for their threatened beliefs and values with their trauma and anger. The changed beliefs and values need the love and support of community that accept their beliefs and values. Then our society can be changed through the mutual caring of the christian community of the workers' family and society. The research reinterpreting the workers' trauma and anger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ocial constructionism has meanings as follows. First, there has been many concerns and studies about the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and the therapy for the traumas of police, rescue workers and fireman who are in the dangerous situations until now. As compared with these studies, there has been rare about the concerns and studies about the trauma of the persons with industrial injuries. The research has the meaning in a respect of dealing with the trauma and anger of the persons with industrial injuries in Korea that is the industrial kingdom at the same time the industrial disaster kingdom. Second, the general counseling approach regarded the trauma and anger as the diseases and tried to resolve it from the point of view of an individual intrapsychology. But this study approached the trauma and anger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ocial psychology of social constructionism in the relation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social constructionism methodology of Kenneth J. Gergen the social constructionist. He is not widely known in Korea in spite of the representative of the social constructionists. This study has the meaning of introducing his perspective of regarding the human as the 'relational being'. Third, this study reflected the trauma and anger by the relational theology which regarded the relation, encounter and community as important as the social constructionism. As we understand the trauma by the principle of dependence and love, community spirit of God's love which is willing to relate with human will be restored. As we understand the anger by the conventional theology, it is one of the seven great sins, but as we understand it by the social constructionism the human who is the image of God should anger at the values against God's will as Jesus got angry at the values against God's will. Fourth, this study has the meaning of suggesting the social psychological christian counseling about the trauma and anger. Christian counseling and pastoral counseling has been considering how to integrate the psychology with the theology. There has been trying to integrate the general psychology with the theology, but it is rare to find the christian counseling and pastoral counseling integrating with social psychology. This study suggested the christian counseling as the relational communal caring and relational recovery through the relational process which regards the human as the social and relational being. Human' identity is in the relation with God who wants to relate with human. According to Stanley J. Grenz God's infinite love is reflected in the human's personality which was created in God's image. It is reflected in an expressiveness of the community and relation not in something we possess. Therefore human as the image of the relational God perceives one's ego as the relational being with God and with self, others and world. The social psychological christian counseling about the trauma and anger, as Stanley said, should proceed to the church community which is called to reflect the trinity God from the relational social ego with the love of agape not with the logic of power. The social psychological christian counseling of the trauma and anger should be the mutual caring counseling through the relation communal approach and should offer the support and encourage of the agape love's community.

      • 문화자본으로서 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 필요성 연구

        정송이 경북대학교 정책정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우리나라는 인적자원에 대한 기대와 열망이 높고 크다. 그중에서도 앞으로 사회 구성원으 로 역할을 할 청소년에게 많은 지원을 해 오고 있다. 청소년은 누구에게나 사회·경제적 수 준에 관계없이 고른 기회를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부모의 사회 적·경제적 수준 차이가 기회나 교육에서 격차를 만들고 이것이 다시 사회적·경제적 격차 를 대물림, 재생산한다는 점은 지속적으로 지적된 바 있다. 이 연구는 사회·경제적 수준 차이가 문화자본의 격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면, 이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미디어 리터러시가 ‘아비투스적 문화자본’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고 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명분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17~18세 사이의 고등학생과 학교를 다니지 않지만 같은 연령대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여전히 사회·경제적 수준 차이가 지식 격차, 정보 격차를 만 들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동시에 미디어를 제대로 이용할 수 있다면 이 간극 을 좁힐 수도 있다는 가능성도 함께 볼 수 있었다. 더불어 급변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면 교육 기회에서 취약 계 층이면서 사회·경제적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청소년에게 먼저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는 시사점도 발견하였다. South Korea has high expectations and aspirations for human resources.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has provided significant support to youth who will act as social members in the future. Contrary to our hope that equal opportunities should be given to youth regardless of their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variances in the socioeconomic levels generate gaps in opportunities or education. Additionally, it has been constantly pointed out that the divides in opportunities or education transmit and reproduce social and economic dispar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if the socioeconomic differences also affect the gaps in cultural capital, media literacy can function as 'habitus cultural capital' as a substitute to resolving the issues, justifying the need for education. This study discovered that socioeconomic discrepancies still resulted in knowledge and information gap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high school students aged 17 ~ 18 and youth of the same age group who did not attend school. At the same time, it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closing the disparities through using the media efficiently.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youth is critical i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media environment,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prioritizing youth who are vulnerable in terms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have relatively low socioeconomic status.

      • 한국 영화에 나타난 교육용 관용 표현 선정 및 분석 연구

        정송이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aims to select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in Korean films, to classify them by the level of difficulty and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by the topics and functions. For this purpose, Chapter 1 present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research and two research questions. In addition, the preceding studies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m broadly into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and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films. Chapter 2 investiga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s follows: ‘the education of idiomatic expressions, the education of idiomatic expressions utilizing films, the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in Korean fil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topics, and functions.’ First, as for the education of idiomatic expressions, the related theories were organized, focusing on the concept and categories of idiomatic expressions and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of idiomatic expressions. Concerning the education of idiomatic expressions utilizing films, this study investigated it, focusing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films,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s and idiomatic expressions, and standards for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Korean films. As for the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in Korean films, this study organized the related theories, focusing on standards for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standards for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Also,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topics and func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domains of the topics and functions of the internationally circulated standard Korean language curriculum. Chapter 3 sorted out research procedures, data collection, selection and analysis methods. The concrete research procedures were organized as follows: First,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Korean films; second,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in Korean films; third, the judgment of the class of the level of difficulty through experts’ ratings; and fourth,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topics and functions. Data collection means the process in which a list of Korean films necessary for the selection of idiomatic expressions is collected, and educational films are selected. For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films, the list of 99 films that have been screened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of Y. University and the list of 39 films, included in ‘the Selection of Recommended Films’ provided on Video Rating Education Portal for Youth operated by the Korea Media Rating Board were sorted out. Of the 131 films collected from the two lists, the films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s for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films were selected, and only those rated over eight points on average in the film ratings on Naver and Daum were selected for the reflection of popularity to draw up the final list of 40 films in total. Lastly, the selection and analysis methods described the methods for selecting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classifying their classes and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by topics and functions. Chapter 4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in Korean films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ir classes, and consequently, the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topics and functions. For the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in Korean films, first, a list for the selection of the idiomatic expressions used in the films was drawn up. Next, the level of difficulty was judged through experts’ ratings, and the idiomatic expressions were classified by the level of difficulty. In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in Korean film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iomatic express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opics and functions. Chapter 5 proposed a plan for a class of idiomatic expressions utilizing films, divided the class into films-centered class and idiomatic expressions-centered class for design and drew up a teaching plan. The films-centered class is suitable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through teaching the idiomatic expressions in one film. The idiomatic expressions-centered class utilizes lines in various film scenes as sample sentences in teaching one idiomatic expression and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learners’ level. Lastly, Chapter 6 presented the conclusion that summed up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above discussions and made suggestions. This study utilized films as resources to select Korean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that can be used for classes and textbooks. Since the idiomatic expressions presented in the list are those in the lines of the real films, teaching the expressions by showing the films in class can help learners’ understanding and interest them. 본 연구는 한국 영화에 나타난 교육용 관용 표현을 선정하여 난이도 등급별로 분류하고 주제 및 기능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제시하고 연구 문제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의 경우 크게 ‘한국어 관용 표현 교육에 관한 연구,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관용 표현 교육, 영화를 활용한 관용 표현 교육, 한국 영화에 나타난 교육용 관용 표현 선정 및 분류, 주제 및 기능에 따른 교육용 관용 표현 특성’과 같이 살펴보았다. 먼저 관용 표현 교육에 관해서는 관용 표현의 개념과 범주, 관용 표현 교육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관련된 이론들을 정리하였다. 영화를 활용한 관용 표현 교육에 관해서는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영화와 관용 표현의 관계, 교육용 한국 영화 선정 기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국 영화에 나타난 교육용 관용 표현 선정 및 분류에 관해서는 교육용 관용 표현 선정 기준, 교육용 관용 표현 분류 기준을 중심으로 관련된 이론들을 정리하였다. 주제 및 기능에 따른 교육용 관용 표현 특성에 관해서는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주제 및 기능 영역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연구 절차, 자료 수집, 선정 및 분석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절차는 ‘첫째, 교육용 한국 영화 선정, 둘째, 한국 영화에 나타난 교육용 관용 표현 선정, 셋째, 전문가 평정을 통한 난이도 등급 판정, 넷째, 주제 및 기능에 따른 관용 표현의 특성 분석’과 같이 정리하였다. 자료 수집은 관용 표현 선정에 필요한 한국 영화 목록을 수집하여 교육용 영화를 선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교육용 영화 선정의 경우 Y대학교 한국어학당에서 상영해온 영화 99편의 목록과 영상물등급위원회에서 운영하는 <청소년 영상등급교육포털>에서 제공하는 ‘추천 영화 선정작’의 영화 39편의 목록을 정리하였다. 두 목록에서 취합한 131편의 영화들 중에서 교육용 영화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영화들을 추려낸 후 대중성 반영을 위해 <네이버>와 <다음>의 영화 평점이 평균 8점 이상인 영화만을 선정하여 총 40편의 최종 목록을 작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선정 및 분석 방법에서는 교육용 관용 표현을 선정하고 등급 분류를 하는 방법과 주제 및 기능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 영화에 나타난 교육용 관용 표현 선정 및 등급 분류 결과, 주제 및 기능에 따른 교육용 관용 표현 특성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한국 영화에 나타난 교육용 관용 표현 선정 및 등급 분류의 경우 먼저 영화 속에 사용된 관용 표현의 선정 목록을 작성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전문가 평정을 통해 난이도 등급 판정을 실시하여 관용 표현을 난이도 등급별로 분류하였다. 한국 영화에 나타난 교육용 관용 표현 특성 분석에서는 주제 및 기능에 따른 관용 표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영화를 활용한 관용 표현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영화 중심 수업과 관용 표현 중심 수업으로 나누어 수업을 설계하고 교안을 작성하였다. 영화 중심 수업의 경우 한 편의 영화를 중심으로 해당 영화에 나오는 관용 표현들을 가르치는 방식으로 중 ·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관용 표현 중심 수업은 하나의 관용 표현을 가르칠 때 여러 영화 장면의 대사들을 예문으로 활용하는 방식으로서 등급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한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앞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고 분석한 결론을 제시한 후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수업이나 교재에 사용될 수 있는 한국어 교육용 관용 표현을 선정하기 위한 자원으로 영화를 활용하였다. 목록에 제시된 관용 표현이 실제 영화 대사에 나오는 표현이므로 수업 시간에 영화를 보여주면서 해당 표현을 가르친다면 학습자들의 이해를 도우면서 흥미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 초등학교 방과후 보육교실 실태 조사와 활성화 방안 연구 : 천안시를 중심으로

        정송이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These days, the tendency about children's problems are arising, partly because more and more young mothers are participating in the labor market, and partly a number of children who happen to be with only single mom or dad or their grandparents are increasing. But they cause serious problems because a child is exposed noxious environments after school. Furthermore, because of victims of sexual harassment's age is going down the need for children security is arising and because of the money that is paid on extra study is huge, the need for social responsibility on children has rapidly arose. In addition to that,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is aimed for primary school students to teach them both study customs and life habits. More and more the need for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has been ascending in Korea. According to the fact, the government have made several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s at some primary schools in a few areas. Nevertheless, the quality of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s are not well supported by the government. This dossier is aimed to introduce the working of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s in Korea, and to provide several suggestions for the activation and expansion of those needed programs. Then it will describe the notion and the purpose of the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and current situations in detail. The major findings and suggestions of this contai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operated as part of a certain facility of primary school. Because of this dependence, the program is not properly organized and has lack of effectiveness. Secon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t has to offer 'studying training' to its teachers and develop the program. Third, it has to be governed considering its community. It should do more than only teach children after school and should use its environment and human resources to help children develop their emotion and physical ability. Fourth, it should organize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construction committee involving a construction professional and an expert of children development. Fifth, it should introduce its own independent study facilities o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s. Sixth, improve treatment of teachers to reduce rates of leaving their job and confirm teaching to be continued. After all, concerns of quality of children are increasing and in order to create a true mean of a welfare state, a government and a local self-governments should have more concern and interests. Thus, a chance of having appropriate protection and education should be offered to children in low-income family who need a special care, handicapped children and even children who are exposed harmful environments by a government and a local self-governments.

      • 여성의 데이트폭력 피해경험과 대처방식의 관계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정송이 한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의 목적은 데이트폭력 이론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에서 데이트폭력 피해요인으로 설명한 변인들이 피해유형별 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데이트폭력은 가정폭력의 전조로 바라보며 주목받는 범죄유형 중 하나이지만 친밀한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폭력인 만큼 개인들의 갈등으로 치부되어 신고의향이 낮고 대처방식도 소극적으로 나타나기 마련이다. 국내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데이트폭력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었지만, 데이트폭력 피해에 대한 대처행동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자아존중감 변인에 대해서도 연구가 미흡한 편이였다. 이에 데이트폭력의 유형별로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차이를 확인하고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2015년에 실시한 데이트폭력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여성 데이터 2000명 중 피해자의 최근의 피해경험을 중심으로 분석하기 위해 응답 시 교제당사자이면서 피해경험이 있는 최종 1223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분석은 t-test를 통해 적극적 대처방식과 소극적 대처방식에 관한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고 상관분석으로 변인들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적극적 대처행동에 관한 요인들을 확인하였다. 위 연구 분석 시 행동통제, 정신적 폭력, 신체적 폭력, 성적 폭력으로 폭력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로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test를 통한 검정 결과, 데이트폭력 피해를 경험한 여성들은 소극적 대처방식을 주로 사용하였지만 행동통제와 정신적 폭력 피해를 당한 집단은 신체적, 성적 폭력 피해를 당한 집단에 비해 적극적인 대처방식이 더 많이 나타났다. 둘째, 행동통제와 정신적 폭력처럼 비(非)물리적인 폭력피해의 경우에서는 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응답자의 연령, 나이차, 응답자의 한 달 가족수입, 상대방의 음주상태 등 개인적·관계·상황요인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와 다르게 신체적 폭력이나 성적 폭력처럼 물리적 폭력 피해의 경우에서는 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상대방의 음주 상태나 피해정도인 상황요인에서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적극적 대처방식에 대하여 자아존중감의 영향은 확인하지 못하였지만, 자아존중감과 나이의 상호작용항을 통한 조절효과는 행동통제 피해모형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과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한국적 맥락에서 제시하였다. 우선, 데이트폭력 피해자가 적극적인 대처행동을 할 수 있도록 행동통제 인식을 위한 다양한 광고를 시도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청소년 시기에 교제 관련 범죄예방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일반인들 내에서도 행동통제가 데이트폭력의 시발점이라는 인지교육을 통해 적극적인 대처행동으로 연결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적극적 대처행동을 위해 연령별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하여 개개인의 향상성을 상승시켜야하며, ‘친밀한 관계’요소를 양형요인으로 추가함으로써 처벌의 확실성과 엄격성을 높여 범죄억제효과를 기대하고자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확인하고 이를 보완하여 조사대상자의 확대, 온라인집단과 오프라인집단의 혼합 설문조사, 개인의 가정환경요인 및 다양한 조절변수 추가분석이라는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한반도 특산식물 개족도리풀 종자의 Deep Simple Epicotyl 형태생리적휴면과 발아특성

        정송이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개족도리풀(Asarum maculatum Nakai)은 전 세계에서 한반도에만 분포하는 특산식물이며, 주로 숲 속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특히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중에서도 국내 고유종 및 희귀종(LC)으로 지정되어 있는 식물이다. 잎은 심장형으로 표면에는 흰색 반점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으로 다른 족도리풀속 식물과는 달리 관상가치가 높다. 뿌리는 한방에서 세신이라하여 약재로 쓰이며 그 효능으로는 거담, 천식, 진통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 약용 및 관상적 재료로도 큰 잠재력을 가진 식물임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종에 대한 보전수립은 상업적인 이용과 생물 다양성에 있어서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족도리풀의 효율적인 종자발아를 위해 휴면유형을 파악하고, 적합한 휴면 타파 방법을 규명하는 것이다. 우리는 개족도리풀의 종자를 통한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일련의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자연조건에서 개족도리풀의 종자의 배는 여름에 자라기 시작했고, 종자로부터 유근의 출현은 초가을에 처음으로 관찰되었다. 떡잎은 이듬해 봄에 처음 관찰되었으며 3월과 4월 사이에 정점에 이르렀다. 실험실 내 실험에서 개족도리풀 종자의 배는 25/15℃ 및 20/10℃의 상대적 고온에서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아는 상대적 저온인 4℃와 15/6℃에서 배양하였을 때 유근의 출현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상대적 고온인 25/15℃와 20/10℃에서 유근출현이 나타났다. 또한 공통적인것은 필드와 실험실 실험 모두에서 유근출현이 완료된 직후라 하더라도 떡잎은 출현하지 않았다. 이것은 1차휴면인 형태적(MD) 및 생리적(PD) 휴면이 타파되어도 2차휴면인 배축(epicotyl)휴면이 있음을 의미한다. 필드의 실험을 통해 배축휴면을 완전히 타파시키기 위해서는 일정기간의 추가적인 저온을 충족시켜야 떡잎이 안정적으로 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자에서 배의 성장과 발아가 아무런 처리 없이 약 30일 이내에 이루어질 경우 형태적 휴면(morphological dormancy)이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발아하는데 30일 이상이 필요하며, 저온 및 고온 또는 복합처리를 하여야 타파되는 형태생리적휴면(morphophysiological dormancy)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개족도리풀 종자는 모든 처리에서 30일이내에 발아하지 못하였으므로 형태생리적휴면(MPD)이 존재한다. 형태생리적휴면은 9가지 범주로 나뉘는데 상대적인 고온(≥15℃)에서 배가 자라는 simple type과 상대적 저온(≤0-10℃)에서 자라는 complex type이 있다. 또한 GA3에 의한 타파여부에 의해 non-deep, intermediate, deep type으로 분류된다. 결론적으로 개족도리풀의 종자는 배의 신장이 상대적 고온에서 반응하고, 유근이 출현하므로 simple type임을 알 수 있다. GA3에 대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deep type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내린 결론은 개족도리풀의 종자에는 deep simple epicotyl MPD 휴면을 가진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반도에 자생하는 개족도리풀의 휴면유형과 발아기작에 대한 첫 번째 보고이며, 형태생리학적으로 휴면상태인 한국 자생식물의 발아기작을 규명하고, 번식 프로토콜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좋은 수업에 대한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정송이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lements of the teaching regard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as good teaching, their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good teaching and their needs for good teaching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good teach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on good teaching? 2. What are the difference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in perception of good teaching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3. How ar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compared with each other in perception of good teach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7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242 parents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national, public and private daycare centers that were all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prepared by modifying and complementing the questionnaires used in Lee and Lee(2014) 's study and Park(2012) 's stud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studies.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ir perception of good teaching and barriers to that, and their needs. One-way ANOVA was utilized to look for differences among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cheffe's test was conducted to make a post-hoc analysis. Besides, t-test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parents on good teaching was analyzed. As for the way of looking at good teaching, they perceived that there should be ‘an atmosphere of mutual trust between preschoolers and teachers’ in good teaching. Concerning barriers to good teaching, the teachers put the most stress on ‘difficulty in proceeding with teaching due to oversized classes’, and the parents gave the most weight to ‘difficulty in quality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Regarding needs for good teaching, they placed the most importance on ‘assistance for better treatment for the sake of better teacher welfare’. Second,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amo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parents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was analyzed. As to the way of looking at good teaching, the teachers took significantly different views of good teaching according to teaching career, academic credential, the type of workplace and class in charge, wherea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par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their children attended. As to barriers to good teaching and needs for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eachers according to teaching career, the type of workplace and class in charge,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parents according to every background variable. Thir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parent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terms of perception of good teaching. Regarding the way of looking at good teaching, the parents gave more priority than the teachers to ‘emphasizing group activities rather than individualized activities’ and ‘an atmosphere of mutual trust between preschoolers and their teacher’. The teachers attached more importance than the parents to ‘attitude of making faithful preparations for classes’. Concerning barriers to good teaching, the teachers gave more weight than the parents to ‘the shortage of quality teaching materials’. As to needs for good teaching, the teachers gave higher average scores to every factor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id and two factors of environmental support that were ‘offering teaching materials for articulation with homes and local community’ and ‘support for better treatment for the sake of better teacher welfare’. The parents gave higher average scores to ‘providing chances for teachers to take various training courses’ and ‘offering chances to observe classes conducted by fellow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